KR101473425B1 -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 - Google Patents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425B1
KR101473425B1 KR1020100013513A KR20100013513A KR101473425B1 KR 101473425 B1 KR101473425 B1 KR 101473425B1 KR 1020100013513 A KR1020100013513 A KR 1020100013513A KR 20100013513 A KR20100013513 A KR 20100013513A KR 101473425 B1 KR101473425 B1 KR 101473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fluid
blades
impeller cov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458A (ko
Inventor
김승민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3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42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 B22D27/04Influencing the temperature of the metal, e.g. by heating or cooling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5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22D41/01Heating means
    • B22D41/015Heating means with external heating, i.e. the heat source not being a part of the la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블레이드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허브;와, 복수의 블레이드의 상부에 접합되어서,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임펠러 커버;를 포함하되, 임펠러 커버에는 유체 통로와 연통하는 복수의 유체 유입공이 형성된 것으로서, 제 2 차 유동이 감소되어 압축기의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Description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turbo compressor comprising impeller with inlet hole}
본 발명은 터보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압 및 저속의 제 2 차 유동을 감소시키는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외부 공기를 압축시키기 위해서는 피스톤식의 압축기, 로터식 압축기, 터보 압축기 등이 있다. 터보 압축기의 경우,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임펠러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압축된다. 터보 압축기에서는 임펠러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디퓨저를 통하여 스크롤 하우징으로 유입된다. 임펠러는 하우징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회전가능하다.
터보 압축기의 효율은 소모 동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중 임펠러 블레이드 팁 클리어런스(Impeller blade tip cleareance, 이하, 클리어런스)는 주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통상적으로, 클리어런스가 증가할수록 터보 압축기의 효율은 감소하게 된다.
특히, 동일한 클리어런스의 경우일지라도, 터보 압축기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블레이드 높이에 대한 클리어런스 영역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소형 터보 압축기의 경우에는 클리어런스의 증가에 의한 효율 감소가 크게 발생한다.
클리어런스에 의하여 효율이 감소하는 주된 이유는 임펠러 블레이드의 압력면(Pressure surface, PS)의 고압의 유동이 상대적으로 저압의 흡입면(Suction surface, SS)으로 흐름이 발생되어서, 제 2 차 유동(Secondary flow)의 영역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제 2 차 유동은 제 1 차 유동(Primary flow)에 비하여 저압 및 저속의 저운동량의 흐름을 일컫는다. 클리어런스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임펠러 블레이드와, 스크롤 쉬라우드 사이의 조립 간극은 임펠러 변형량을 고려하여 최소값을 사용하게 되지만, 조립 오차와 축 하중의 영향으로 한계를 가지며, 또한, 임펠러 블레이드와 스크롤 쉬라우드의 러빙(Rubbing) 발생의 위험이 있다. 일반적으로, 제 2 차 유동은 임펠러의 내부 유로를 따라 블레이드 팁으로 향할수록 발달되며, 특히, 쉬라우드 부근의 흡입면에서 강하게 형성된다.
저압 및 저속의 제 2 차 유동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제 2 차 유동이 발달하는 영역을 고압 및 고속의 유동, 즉, 제 1 차 유동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임펠러 블레이드 수를 증가시켜서 임펠러 내부 유로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고속 및 고압의 유동으로 발달시켜서 제 2 차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를 제조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가공 비용도 증가하게 되어서, 제조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된다. 또한, 전면의 블레이드의 두께에 의한 유량 감소 등을 보상하기 위하여 블레이드 높이를 증가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유입구 마하수(Mach no.) 증가에 따른 효율 저하의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스크롤 케이스 자체에 내부 유로를 형성하여 임펠러 출구쪽의 고압의 유동을 흐를 수 있게 제조하여서, 이 유로에 임펠러 내부로 연결되는 개구공을 가공하여 고압의 유동을 임펠러 내부로 흐르게 하였다. 상기한 구조는 소음 감소 효과는 물론 부차적으로 압력비 상승 및 작동 영역이 증가되는데 비하여, 스크롤 케이스 자체에 내부 유로를 형성해야 하므로, 스크롤 크기와 중량이 증가하고, 제조 및 조립의 복잡한 구조 등은 제조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임펠러 내부의 유체 통로에서 발달되는 제 2 차 유동을 감소시키는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는,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블레이드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허브;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상부에 접합되어서,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임펠러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 커버에는 상기 유체 통로와 연통하는 복수의 유체 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 통로는 허브, 블레이드, 및 임펠러 커버의 결합으로 형성된 임펄레의 내부 공간이고,
상기 유체 유입공은 상기 임펠러 커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유체 통로는 복수의 블레이드에 의하여 허브와 임펠러 커버 사이에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유체 유입공은 구획된 유체 통로에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체 유입공은 임펠러 커버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열된다.
게다가, 상기 유체 유입공은 적어도 1열 이상으로 상기 임펠러 커버의 둘레를 따라 배열된다.
나아가, 상기 유체 유입공은 상기 허브, 블레이드, 및 임펠러 커버이 결합되는 부분에서 블레이드의 선단부를 따라 인접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체 유입공은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의 측벽에 대하여 인접한 영역에 장방형의 개구공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는 제 2 차 유동이 감소되어 압축기의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동일한 요구 압력비에 대하여 임펠러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코어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추가적인 제조 및 조립 변경없이 유체 유입공를 가지는 쉬라우드의 가공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2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 압축기에 이용되는 임펠러(100)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를 절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이하, 앞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임펠러(100)는 내부 코어(110)와, 허브(120)와, 복수의 블레이드(13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코어(110)의 중심에는 회전축공(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공(111)에는 조립 과정시 회전축(미도시)이 장착되므로, 상기 내부 코어(110)는 회전축의 동력을 임펠러(1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허브(120)는 상기 내부 코어(110)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허브(120)의 표면(121)은 경사진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허브(120)는 유로(150)의 바닥면을 형성하여서 유체의 유동을 부드럽게 할 뿐만 아니라, 유체 통로의 에너지 전달을 최대한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130)들은 상기 허브(120)의 표면(121)에 형성되어 있는데,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임펠러(100)의 운동 에너지를 유체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블레이드(130)들은 상기 내부 코어(110)를 중심으로 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허브(12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130)는 파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블레이드(130)에는 임펠러 커버(1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 커버(140)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30)의 상부에 접합되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30)를 전체적으로 커버한다. 상기 임펠러 커버(140)는 중앙부가 개구된 우산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상기 임펠러 커버(140)는 유체 통로(150)의 천정면을 형성하며, 상기 허브(120) 및 복수의 블레이드(130)와 결합되어서 유체 통로(150)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 커버(140)에는 상기 유체 통로(150)에서 발달되는 제 2차 유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유체 유입공(14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임펠러 커버(140)에는 상기 유체 통로(150)와 연통가능한 유체 유입공(141)이 형성되는데, 상기 유체 유입공(141)은 상기 임펠러 커버(14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체 통로(150)는 허브(120)와 임펠러 커버(140)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130)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S)으로 구획되는데, 상기 유체 유입공(141)은 이웃하는 블레이드(130) 사이의 공간(S)과 대응되는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유체 통로(150)는 임펠러 커버(140)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웃하는 블레이드(130) 사이의 구획된 공간(S)마다 각각 1개씩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유체 유입공(141)은 적어도 1열 이상으로 상기 임펠러 커버(14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체 유입공(141)은 각각의 구획된 공간(S)마다 이와 대응되게 상기 블레이드(130)의 좌측에 1개씩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임펠러 커버(140)의 둘레를 따라 1열로 배열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상기 유체 유입공(141)은 상기 블레이드(130)의 측벽(132)에 대하여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허브(120), 복수의 블레이드(130), 및 임펠러 커버(140)가 결합되는 부분의 상기 블레이드(130)의 선단부(131)를 따라서 제 2 유동이 특히 발달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상기 유체 유입공(141)은 제 2 차 유동이 발달하는 영역인 상기 블레이드(130)의 흡입면에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입공(440)은 상기 블레이드(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130)의 측벽(132)에 대하여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체 유입공(64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차 유동이 발달한 영역에서 장방형의 개구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터보 압축기에 적용되는 임펠러(100)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면, 이의 회전력으로 인하여 임펠러(10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임펠러(100)의 회전에 의하여 유입구(161)로 유입된 유체, 이를테면, 공기는 임펠러(100)의 회전 운동 에너지를 전달받아 압축되어서 배출구(162)를 통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후, 유체는 디퓨져(diffuser)를 통과하여 속도를 줄이면서 소망하는 정도까지 압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허브(120), 블레이드(130), 및 임펠러 커버(140)가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임펠러(100)에는 유체 통로(150)가 형성되는데, 상기 유체 통로(150), 특히, 도 3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허브(120), 복수의 블레이드(130), 및 임펠러 커버(140)가 결합되는 부분에서의 블레이드(130)의 선단부(131)를 따라서 제 2 유동이 발달하는 영역(SF)이 존재한다.
저압, 저속의 제 2 유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임펠러 커버(140)에는 상기 유체 통로(150)와 연통가능한 유체 유입공(141)이 상기 임펠러 커버(14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 통로(15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압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일부는 도 3의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 커버(140)의 외면(142)을 따라서 흐르게 되고, 상기 유체 유입공(141)을 통하여 상기 유체 통로(150)로 다시 유입된다. 이처럼, 상기 유체 통로(150)로 유입된 고압의 유체는 제 2 유동이 발달한 영역(SF)을 통과하면서, 저압, 저속의 제 2 유동을 고압의 제 1 유동으로 전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 2 유동을 상쇄시킨다.
이처럼, 고압의 유동이 상기 유체 유입공(141)을 통하여 상기 유체 통로(150)로 재유입되어서 상기 유체 통로(150) 자체의 압력을 상승시키게 되므로, 동일한 임펠러(100)의 크기에 비하여 압력비가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임펠러 110...내부 코어
120...허브 130...블레이드
140...유체 유입공 150...유체 통로

Claims (7)

  1.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블레이드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허브; 및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상부에 접합되어서,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임펠러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 커버에는 상기 유체 통로와 연통하는 복수의 유체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체 유입공은 이웃하는 블레이드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통로는 허브, 블레이드, 및 임펠러 커버의 결합으로 형성된 임펠러의 내부 공간이고,
    상기 유체 유입공은 상기 임펠러 커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13513A 2010-02-12 2010-02-12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 KR101473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513A KR101473425B1 (ko) 2010-02-12 2010-02-12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513A KR101473425B1 (ko) 2010-02-12 2010-02-12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458A KR20110093458A (ko) 2011-08-18
KR101473425B1 true KR101473425B1 (ko) 2014-12-16

Family

ID=4493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513A KR101473425B1 (ko) 2010-02-12 2010-02-12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3962A (zh) * 2019-09-27 2019-12-03 安徽信息工程学院 浇包烘烤用涡喷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6122A (ja) 2007-12-26 2009-07-16 Mitsubishi Heavy Ind Ltd 遠心圧縮機用インペ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6122A (ja) 2007-12-26 2009-07-16 Mitsubishi Heavy Ind Ltd 遠心圧縮機用インペ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458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3642B2 (en) Impeller and rotary machine
RU2663784C2 (ru) Ступень компрессора осевой турбомашины и осевая турбомашина, содержащая указанную ступень компрессора
JP5608062B2 (ja) 遠心型ターボ機械
JP5709898B2 (ja) 回転機械
WO2014054440A1 (ja) 遠心圧縮機
JP5029024B2 (ja) 遠心圧縮機
JP2010144698A (ja) 遠心圧縮機
JP2012193716A (ja) 遠心圧縮機のスクロール構造
WO2018181343A1 (ja) 遠心圧縮機
CN102365464A (zh) 叶轮和旋转机械
JP2008151022A (ja) 軸流圧縮機の翼列
US8480351B2 (en) Compressor unit
WO2016051835A1 (ja) 遠心圧縮機
US20170037866A1 (en) Impeller and rotating machine provided with same
JP5251587B2 (ja) 遠心圧縮機
US9638211B2 (en) Scroll tongue part and rotary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5558183B2 (ja) ターボ機械
US20110318163A1 (en) Barrel-shaped centrifugal compressor
US20120121404A1 (en) Exhaust Hood Diffuser
KR101473425B1 (ko) 유입공이 형성된 임펠러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
JP2018135815A (ja) 遠心回転機械
JP2013224627A (ja) 軸流ファン
CN110234888B (zh) 压缩机的涡旋形状以及增压器
US10844863B2 (en) Centrifugal rotary machine
US11187242B2 (en) Multi-stage centrifugal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