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616B1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1616B1 KR101471616B1 KR1020120150156A KR20120150156A KR101471616B1 KR 101471616 B1 KR101471616 B1 KR 101471616B1 KR 1020120150156 A KR1020120150156 A KR 1020120150156A KR 20120150156 A KR20120150156 A KR 20120150156A KR 101471616 B1 KR101471616 B1 KR 1014716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paration membrane
- carbon dioxide
- buffer layer
- hydrogen
- ga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specific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8—Drying gases or vapours by diffu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2—Met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2—Metals
- B01D71/0223—Group 8, 9 or 10 metals
- B01D71/02231—Palladi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4—Ox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50—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 C01B3/501—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diffusion
- C01B3/503—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the membrane
- C01B3/505—Membranes containing pallad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50—Carbon diox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22—Carbon diox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8—Hydrog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80—Wa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CS)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소 분리막을 통한 수소가스와 이산화탄소로 분리하는 공정 이전에 수분 분리 공정을 수행하여 수소 분리막의 수명 연장 및 수소 분리의 공정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CS 장치는 H2와 CO를 포함하는 합성가스에서 CO를 수증기와 반응시켜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로 변환시켜 배출하는 WGS(water gas shifter reaction)와, WGS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수분 분리막 모듈, 및 수분 분리막 모듈을 통과한 혼합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를 분리하는 복수의 팔라듐계의 수소 분리막을 구비하는 수소 분리막 모듈을 포함한다. CCS 장치는 수소 분리막 모듈에서 분리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CS)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소 분리막을 통한 수소가스와 이산화탄소로 분리하는 공정 이전에 수분 분리 공정을 수행하여 수소 분리막의 수명 연장 및 수소 분리의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의 기후변화는 공전 궤도의 변화, 자전축의 각도가 변화하는 사이클, 세차 운동의 사이클, 태양 복사량에 의해 주기적으로 빙하기와 간빙기가 나타내고 있으며, 빙하기에서 간빙기로 전환할 때 기온의 상승은 100년 동안 1℃씩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100년 동안 평균 0.74℃가 상승해 자연현상에 의한 온도 상승보다 7배가 높으며 이는 인간의 활동에 의한 인위적 현상에 기인됨을 알 수 있다. 지구 온난화는 지구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해수면 상승, 기근, 말라리아와 같은 질병의 발생, 물 부족 현상 등의 변화와 같은 지구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인류에 큰 재항을 불러오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기후변화협약과 지구온난화를 유발시키는 온실가스 중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CS)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CCS 기술은 화석연료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기술로써,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현재 사회와 신재생, 수소 등을 이용하여 화석연료 대체연료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미래사회의 가교기술(bridging technology)로써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CCS 장치는 가스화기, 가스클리닝부, WGS(water gas shifter reaction) 및 수소 분리막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가스화기는 화석연료를 부분산화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한다. 여기서 합성가스는 H2와 CO를 포함한다. WGS는, 화학식1과 같이, CO를 수증기(H2O; 스팀)와 반응시켜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WGS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필요 이상으로 많은 수증기를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수소 분리막 모듈은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소 분리막을 이용하여 WGS 공정을 통과한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를 분리한다.
그런데 WGS를 통과한 가스에는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 이외에 다량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는 데, 수증기는 수소 분리막의 수명을 떨어뜨리고 수소 분리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팔라듐계(palladium base)의 금속 분리막은 높은 수소 투과율과 우수한 수소 분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과 비교하면 분명히 우수하다. 또한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을 이용한 수소 분리막은 연료전지나 수소를 소비하는 다른 프로세스를 위하여 유용하게 순수한 수소를 제조할 수 있고, 대상제품의 수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소화나 탈수소화 반응 프로세스에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분리막은 수소투과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공성 지지체 표면에 적층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하지만 다공성 지지체 중 금속 소재의 다공성 지지체 표면에 직접 금속 분리막을 형성할 경우, 상호 확산에 의해 수소 투과도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다공성 지지체와 금속 분리막 사이에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을 개재한다. 이러한 버퍼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졸-겔(sol-gel)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졸-겔법으로 형성된 버퍼층은 다공성 지지체와 금속 분리막 간의 확산은 억제할 수 있지만, 버퍼층을 매개로 한 다공성 지지체 및 금속 분리막 간의 결합력이 떨어져,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지지체(110)에서 금속 분리막(130)이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 분리막을 통한 수소가스와 이산화탄소로 분리하는 공정 이전에 수분 분리 공정을 수행하여 수소 분리막의 수명 연장 및 수소 분리의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퍼층을 매개로 한 다공성 지지체와 금속 분리막 간의 양호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소투과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H2와 CO를 포함하는 합성가스에서 상기 CO를 수증기와 반응시켜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로 변환시켜 배출하는 WGS와, 상기 WGS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수분 분리막 모듈, 및 상기 수분 분리막 모듈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를 분리하는 복수의 팔라듐계의 수소 분리막을 구비하는 수소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소 분리막 모듈의 수소 분리막은 다공성 지지체, 상기 다공성 지지체 위에 다수의 컬럼으로 형성되는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위에 형성된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Ti, Zr, Al, Si, Ce, La, Sr, Cr, V, Nb, Ga, Ta, W 및 Mo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MOy(M은 Ti, Zr)에서 산소의 조성이 1<y<2이거나, Al2Oz에서 산소의 조성이 2<z<3인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소 분리막은 상기 금속 분리막 위에 다수의 컬럼으로 형성된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의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금속이 Pt, Au, Cu, Ru 또는 Rh이고, 상기 세라믹 소재가 Ti, Zr, Al, Si, Ce, La, Sr, Cr, V, Nb, Ga, Ta, W 및 Mo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는 가스화기와 가스클리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화기는 화석연료를 부분산화하여 H2와 CO를 포함하는 합성가스를 생성하여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클리닝부는 상기 가스화기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합성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상기 WGS로 배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한, 수분 분리막 모듈 및 수소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분 분리막 모듈은 수증기가 포함된 이산화탄소 및 수소가스의 혼합가스에서 상기 수증기를 탈수하여 배출한다. 상기 수소 분리막 모듈은 상기 수분 분리막 모듈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혼합가스를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로 분리하는 복수의 팔라듐계의 수소 분리막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수소 분리막 모듈의 수소 분리막은 다공성 지지체와, 상기 다공성 지지체 위에 다수의 컬럼으로 형성되는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위에 형성된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 분리막을 통한 수소가스와 이산화탄소로 분리하는 공정 이전에 수분 분리 공정을 수행하여 수소 분리막의 수명 연장 및 수소 분리의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WGS와 수소 분리막 모듈 사이에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수분 분리막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수소 분리막으로 수분이 포함된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지지체와 금속 분리막 사이에 컬럼 형상의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을 형성함으로써, 다공성 지지체와 금속 분리막 간의 확산을 억제하면서 버퍼층을 매개로 한 다공성 지지체 및 금속 분리막 간의 양호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퍼층은 다수의 독립된 컬럼 형태나 복수개가 군집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축과 팽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다공성 지지체 및 금속 분리막 간의 양호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버퍼층은 세라믹계 산화물 소재에서 산소의 조성을 조절함으로써, 예컨대 MOy(M은 Ti, Zr)에서 산소의 조성을 1<y<2으로 조절하거나, Al2Oz에서 산소의 조성을 2<z<3으로 조절함으로써, 버퍼층을 매개로 한 다공성 지지체 및 금속 분리막 간의 양호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퍼층을 매개로 다공성 지지체 및 금속 분리막 간의 양호한 결합력을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수소 분리막의 수소투과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소 분리막은 다공성 지지체와 금속 분리막 사이에 컬럼 형상의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을 형성하고, 다공성 지지체로서 금속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모듈화가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된 수소 분리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대량생산에 용이한 수소 분리막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소 분리막은 코팅막으로 제조 단순성과 함께 다공성 지지체의 특성으로 모듈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뿐만 아니라 수소 제조 및 정제 공정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소 분리막은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 위에 컬럼 형태의 보호층을 코팅함으로써, 황 화합물에 대한 내식성을 향상시키면서 수소투과도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소 분리막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소 분리막의 제조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조 방법에 따른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의 버퍼층을 보여주는 표면 사진이다.
도 7은 도 6의 버퍼층을 보여주는 단면 사진이다.
도 8은 도 1의 수소 분리막의 제2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의 단면 EDX(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라인 스캔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은 도 1의 수소 분리막의 제4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소 분리막의 제1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소 분리막의 제조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조 방법에 따른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의 버퍼층을 보여주는 표면 사진이다.
도 7은 도 6의 버퍼층을 보여주는 단면 사진이다.
도 8은 도 1의 수소 분리막의 제2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의 단면 EDX(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라인 스캔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은 도 1의 수소 분리막의 제4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5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50)는 수분 분리막 모듈(57) 및 수소 분리막 모듈(59)을 포함하며, WGS(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GS(55)는 H2와 CO를 포함하는 합성가스에서 CO를 수증기와 반응시켜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로 변환시켜 배출한다. 수분 분리막 모듈(57)은 WGS(55)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분리하여 배출한다. 그리고 수소 분리막 모듈(59)은 수분 분리막 모듈(57)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를 분리하는 복수의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100)는 가스화기(51)와 가스클리닝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화기(51)는 화석연료를 부분산화하여 H2와 CO를 포함하는 합성가스를 생성하고, 생성한 합성가스를 가스클리닝부(53)으로 배출한다. 이때 가스화기(51)에서 생성된 합성가스에는 H2와 CO 이외에 H2S, COS 등과 같은 황 화합물이 이물질(α)이 포함되어 있다.
가스클리닝부(53)는 가스화기(51)에서 공급된 합성가스에 포함된 이물질(α)을 제거하고, 이물질(α)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WGS(55)로 배출한다. 특히 가스클리닝부(53)는 합성가스에 포함된 황 화합물을 제거한다.
WGS(55)는 가스클리닝부(53)를 통과한 합성가스의 CO와 수증기를 반응시켜 이산화탄소 및 수소가스로 변환시킨 후, 수분 분리막 모듈(57)으로 배출한다. 이때 CO의 CO2로의 전환율은 수분 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WGS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서, 반응에 수증기를 충분히 공급한다. 이때 WGS(55)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합성가스와 구분하기 위해서 혼합가스라 한다. 혼합가스는 이산화탄소 및 수소가스를 포함하며, 혼합가스에는 수증기가 더 포함되어 있다.
수분 분리막 모듈(57)은 WGS(55)에서 공급되는 혼합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분리(탈수)한 후, H2와 CO2가스를 수소 분리막 모듈(59)로 배출한다. 이때 수분 분리막 모듈(57)은 수분과 그 외 가스의 투과도 차이를 이용하여 수분을 분리하며, 일반적으로 수분 분리막으로는 중공사막이 이용될 수 있다. 수분 분리막 모듈(57)에서 분리된 수분은 WGS(55)에 수증기를 공급원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수소 분리막 모듈(59)은 수분 분리막 모듈(55)에서 공급된 혼합가스를 다층으로 적층된 팔라듐계의 수소 분리막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및 수소가스로 분리한다. 이때 분리한 이산화탄소는 저장 탱크에 저장한다. 분리한 수소가스는 수소 발전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50)는 수소 분리막 모듈(59)을 통한 수소가스와 이산화탄소로 분리하는 공정 이전에 수분 분리막 모듈(57)을 이용하여 수분 분리 공정을 수행하여 수소 분리막(59)의 수명 연장 및 수소 분리의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WGS(55)와 수소 분리막 모듈(59) 사이에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수분 분리막 모듈(55)을 설치함으로써, 수소 분리막(59)으로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100)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수소 분리막(1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50)의 수소 분리막 모듈(59)에 사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100)은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의 다공성 지지체(10)와, 다공성 지지체(10) 위에 다수의 컬럼으로 형성된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20), 및 버퍼층(20) 위에 형성되며 수소가스를 분리할 수 있는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공성 지지체(10)는 다공성 금속, 다공성 세라믹 또는 세라믹이 코팅된 다공성 금속일 수 있다. 다공성 금속의 소재로는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인코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공성 세라믹의 소재로는 Al, Ti, Zr, Si 등을 기반으로 한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다공성 지지체(10)에 형성된 표면 기공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다공성 지지체(10)의 표면 기공의 크기가 0.01㎛ 미만인 경우에는 다공성 지지체(10) 자체의 투과도가 낮아 다공성 지지체(10)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반면에 표면 기공의 크기가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공 직경이 너무 커져서 금속 분리막(3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공성 지지체(10)의 표면 기공의 크기는 0.01㎛ 내지 20㎛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성 지지체(10)로서 금속 소재를 사용할 때, 버퍼층(20)이 형성될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 조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100nm 내지 100㎛ 의 표면 조도가 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다공성 지지체(10)의 표면 조도는 금속 분리막(30)의 두께와 동일한 수준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공성 지지체(10)의 표면 조도를 조절하는 이유는, 다공성 지지체(10)의 표면에 형성되는 버퍼층(20)의 코팅 균일성과 양호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즉 다공성 지지체(10)의 표면을 연마하지 않는 경우 표면이 불균일하기 때문에, 버퍼층(20)의 코팅 균일성과 양호한 결합력을 확보하는 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버퍼층(20)은 다공성 지지체(10)와 금속 분리막(30) 간의 확산을 억제하면서, 다공성 지지체(10) 및 금속 분리막(30) 간의 양호한 결합력을 제공하여 접착층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버퍼층(20)은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 즉 Ti, Zr, Al, Si, Ce, La, Sr, Cr, V, Nb, Ga, Ta, W 및 Mo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버퍼층(20)은 MOy(M은 Ti, Zr)에서 산소의 조성이 1<y<2이거나, Al2Oz에서 산소의 조성이 2<z<3인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버퍼층(20)으로는 TiOy, ZrOy, Al2Oz이 사용될 수 있다(1<y<2, 2<z<3). 제1 예에서는 버퍼층(20)이 단일 층으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이때 버퍼층(20)을 전술된 바와 같은 조성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버퍼층(20)을 매개로 한 다공성 지지체(10)와 금속 분리막(20) 간의 양호한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즉 y가 1 이하이거나, z가 2 이하인 경우, 버퍼층(20)의 세라믹이 아닌 금속성이 강해지기 때문에, 버퍼층(20)을 포함한 금속 분리막(30)과 다공성 지지체(10) 간의 상호 확산에 의해 수소 투과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y>2, z>3이 되면, 버퍼층(20)을 매개로 한 다공성 지지체(10)와 금속 분리막(20) 간의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y값은 1.5~1.8을 유지하는 것이고, z값은 2.5~2.8을 유지하는 것이다.
버퍼층(20)을 형성하는 컬럼은 직경이 작으면서 조밀하게 형성하면, 확산을 억제하고, 버퍼층(20)을 매개로 한 다공성 지지체(10) 및 금속 분리막(3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소 투과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버퍼층(20)을 형성하는 컬럼이 10~200nm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컬럼의 직경이 200nm를 초과하면 포화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수소 투과율이 떨어지고, 버퍼층(20)을 매개로 한 다공성 지지체(10) 및 금속 분리막(30) 간의 결합력이 떨어질 수 있다. 컬럼의 직경을 10nm 이하로 형성하면 좋겠지만, 제조 공정 상 조밀하게 제조하기 힘든 단점을 갖고 있다.
버퍼층(20)은 수소 분리막(100)의 제조 조건 및 사용 조건을 고려하여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400℃의 사용 조건을 고려할 때, 버퍼층(20)으로 TiOy을 형성하는 경우 100 내지 200n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20)으로 ZrOy을 형성하는 경우 500 내지 800n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20)의 형성 방법으로는 스퍼터링과 같은 물리적 증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 분리막(30)은 팔라듐계 금속을 부착하거나 코팅하여 형성한다. 예컨대 금속 분리막(30)은 라미네이션과 같은 물리적인 적층 방법, 스퍼터링과 같은 물리적 증착 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팔라듐계 금속으로는 팔라듐 또는 팔라듐 합금, 팔라듐을 포함하는 이종금속의 다층 구조를 포함한다. 팔라듐 합금은 Pd에 Au, Ag, Cu, Ni, Ru 및 Rh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합금일 수 있다. 다층 구조는 Pd/Cu, Pd/Au, Pd/Ag, Pd/Pt 등을 포함하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 분리막(30)으로 팔라듐을 물리적으로 증착하여 형성하는 경우, 두께를 0.1~10㎛로 형성할 수 있다. 금속 분리막(30)의 두께를 0.1㎛ 이하로 형성하면 수소 투과율이 더욱 향상되기 때문에 좋겠지만, 0.1㎛ 이하의 두께에서 금속 분리막(30)을 조밀하게 제조하기 힘들고 이로 인해 금속 분리막(30)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렇다고 금속 분리막(30)의 두께를 10㎛ 이상으로 형성할 경우, 조밀하게 형성할 수 있는 반면에 수소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고가인 팔라듐을 이용하여 10㎛ 이상의 두껍게 형성된 금속 분리막으로 인해 전체적인 수소 분리막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팔라듐을 사용하여 금속 분리막(30)을 형성하는 경우, 0.1~1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분리막의 수명 특성, 수소 투과율 등을 고려할 때, 3~5㎛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예 따른 수소 분리막(100)은 다공성 지지체(10)와 금속 분리막(30) 사이에 컬럼 형상의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20)을 형성함으로써, 다공성 지지체(10)와 금속 분리막(30) 간의 확산을 억제하면서 버퍼층(20)을 매개로 한 다공성 지지체(10) 및 금속 분리막(30) 간의 양호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퍼층(20)은 다수의 독립된 컬럼 형태나 복수개가 군집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축과 팽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다공성 지지체(10) 및 금속 분리막(20) 간의 양호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버퍼층(20)은 MOy(M은 Ti, Zr)에서 산소의 조성을 1<y<2으로 하거나, Al2Oz에서 산소의 조성을 2<z<3이 되게 형성함으로써, 버퍼층(20)을 매개로 한 다공성 지지체(10) 및 금속 분리막(30) 간의 양호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퍼층(20)을 매개로 다공성 지지체(10) 및 금속 분리막(30) 간의 양호한 결합력을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수소 분리막(100)의 수소투과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100)의 제조 방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수소 분리막(100)의 제조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제조 방법에 따른 각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51단계에서 다공성 지지체(10)를 준비한다. 이때 다공성 지지체(10)로는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다공성 지지체(10)의 표면 조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표면 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표면 처리 방법으로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와 같은 연마 공정이나,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다공성 지지체(10)는 표면 조도가 100nm 내지 100㎛가 되게 표면이 연마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53단계에서 다공성 지지체(10) 위에 컬럼 형상의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20)을 형성한다. 즉 물리적 증착 방법을 사용하여, Ti, Zr, Al, Si, Ce, La, Sr, Cr, V, Nb, Ga, Ta, W 및 Mo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를 증착하여 버퍼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다공성 지지체(10) 상에 MOy(M은 Ti, Zr)에서 산소의 조성이 1<y<2이거나, Al2Oz에서 산소의 조성이 2<z<3인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로 버퍼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버퍼층(20)은 타겟을 TiO2, ZrO2 또는 Al2O3하여 진공 조건에서 스퍼터링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스퍼터링 공정에서 타겟을 TiO2를 사용하여 증착하게 되면, 진공 조건이기 때문에 산소의 조성이 y<2이 되게 TiOy를 버퍼층(20)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버퍼층(20)은 M 금속판 또는 분말을 소스로 산소가스를 공급하여 증발된 M을 산화시켜 컬럼 형태로 y<2이 되게 TiOy를 다공성 지지체(10) 위에 성장시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Ti 금속 타켓 또는 분말을 소스로 이용하고, 분위기 가스 중에 O2를 공급하여 증발된 Ti 종을 산화시켜서 컬럼 형태로 성장시켜 버퍼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제조 방법에서는 버퍼층(20)을 단일층으로 형성하였다. 예컨대 버퍼층(20)은 TiOy, ZrOy, Al2Oz 중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55단계에서 버퍼층(20) 위에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30)을 형성한다. 이때 금속 분리막(30)은 스터퍼링과 같은 물리적 증착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제조 방법에서는 금속 분리막(30)으로 팔라듐을 스퍼터링으로 형성한 예를 개시하였다.
이와 같은 제1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100)의 버퍼층(2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의 버퍼층(20)을 보여주는 표면 사진이다. 도 7은 도 6의 버퍼층(20)을 보여주는 단면 사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공성 지지체 상에 버퍼층이 다수의 컬럼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공성 지지체를 대신할 수 있는 치밀한 실리콘 웨이퍼(10a)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리콘 웨이퍼(10a) 위에 ZrOy(y=1.5~1.8)로 버퍼층(20)을 형성하였다. 예컨대 타겟을 ZrO2로 하여 진공 조건에서 스퍼터링 공정으로 버퍼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Zr 금속판 또는 분말을 소스로 산소가스를 공급하여 증발된 Zr을 산화시켜 컬럼 형태로 버퍼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버퍼층(20)은 실리콘 웨이퍼 위에 다수의 컬럼(22)으로 조밀하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버퍼층(20)을 형성하는 컬럼(22)의 직경이 30~50nm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버퍼층(20)은 다수의 컬럼(22)이 독립적으로 형성되거나 복수개가 군집(24)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예
한편 제1 예에서는 버퍼층(20)이 단일 층으로 형성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층(20)은 두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200)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200)은 다공성 지지체(10)와, 다공성 지지체(10) 위에 다수의 컬럼으로 형성된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20), 및 버퍼층(20) 위에 형성되며 수소가스를 분리할 수 있는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30)을 포함한다. 이때 제2 예에 따른 버퍼층(20)은 두 층으로 형성된다.
버퍼층(20)은 다공성 지지체(10) 위에 형성된 제1 버퍼층(21)과, 제1 버퍼층(21) 위에 형성된 제2 버퍼층(23)을 포함한다. 제1 버퍼층(21)과 제2 버퍼층(23)은 서로 다른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버퍼층(21)이 ZrOy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버퍼층(23)은 TiOy 또는 Al2Oz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버퍼층(21)으로 ZrOy을 형성하는 경우, 100 내지 1000nm의 두께로 제1 버퍼층(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버퍼층(23)으로 TiOy을 형성하는 경우 10 내지 200nm의 두께로 제2 버퍼층(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버퍼층(21)은 수소의 투과율을 향상시키면서 확산을 방지하는 차폐층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제2 버퍼층(23)은 접착층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버퍼층(20)을 이종의 세라믹 소재를 이용하여 2층으로 형성함으로써, 다공성 지지체(10)와 금속 분리막(30) 간의 확산을 억제하면서 버퍼층(20)을 매개로 한 다공성 지지체(10) 및 금속 분리막(30) 간의 양호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200)에 있어서, 다공성 지지체(10)와 금속 분리막(30) 간의 확산이 억제된 것을 도 9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200)의 단면 EDX 라인 스캔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200)을 이용하여 400도에서 1100시간 수소 투과 공정을 수행한 이후에, 수소 분리막(200)에 대한 단면 EDX 라인 스캔을 수행하였다. 다공성 지지체(10)로서는 다공성 니켈 지지체(Porous Nickel Support; PNS)를 사용하였다. 버퍼층(20)으로는 ZrOy/TiOy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금속 분리막(30)으로는 팔라듐을 사용하였다.
수소 분리막(300)의 단면 EDX 라인 스캔 결과를 참조하면, 다공성 지지체(10)에는 니켈 성분이 주로 검출되며, Pd, Zr, Ti가 거의 검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금속 분리막(30)에는 Pd 성분이 주로 검출되며, Ni, Zr, Ti 성분이 거의 검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버퍼층(20)을 경계로 하여 Pd 성분과 Ni 성분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200)은 다공성 지지체(10)와 금속 분리막(30) 사이에 컬럼 형상의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20)을 구비하기 때문에, 다공성 지지체(10)와 금속 분리막(30) 간의 상호 확산이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3 예
한편 제2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200)에서는 버퍼층(20)이 2층으로 형성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층(20)은 3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300)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300)은 다공성 지지체(10)와, 다공성 지지체(10) 위에 다수의 컬럼으로 형성된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20), 및 버퍼층(20) 위에 형성되며 수소가스를 분리할 수 있는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30)을 포함한다. 이때 제3 예에 따른 버퍼층(20)은 세 층으로 형성된다.
버퍼층(20)은 다공성 지지체(10) 위에 형성된 제1 버퍼층(21)과, 제1 버퍼층(21) 위에 형성된 제2 버퍼층(23)과, 제2 버퍼층(23) 위에 형성된 제3 버퍼층(25)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버퍼층(21, 23, 25)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버퍼층은 서로 다른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버퍼층(23)이 ZrOm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및 제3 버퍼층(21, 25)은 TiOy 또는 Al2Oz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버퍼층(23)으로 ZrOy을 형성하는 경우, 100 내지 1000nm의 두께로 제2 버퍼층(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버퍼층(21, 25)으로 TiOy을 형성하는 경우 10 내지 200nm의 두께로 제1 및 제3 버퍼층(21, 2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3 버퍼층(21,25)는 접착층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제2 버퍼층(23)은 차폐층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및 제3 버퍼층(21,25)은 TiOy, ZrOy, Al2Oz 중에 하나로 형성하되, 1<y<2 이거나 2<z<3인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로 형성한다. 제2 버퍼층(23)은 제1 및 제3 버퍼층(21,25)와 동일한 조성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y≥2 및 z≥3 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유는 제2 버퍼층(23)의 양쪽에 제1 및 제3 버퍼층(21,25)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2 버퍼층(23)의 조성이 y≥2 및 z≥3 이상이더라도 접착 및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버퍼층(23)으로는 Ti, Zr, Al, Si, Ce, La, Sr, Cr, V, Nb, Ga, Ta, W, Mo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예 및 비교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의 버퍼층을 매개로 한 다공성 지지체와 금속 분리막의 결합 특성을 도 11 및 도 12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여기서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300)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400)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제3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300)은 다공성 스테인리스 스틸 위에, 순차적으로 TiOy, ZrOy 및 TiOy을 순차적으로 스퍼터링하여 버퍼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팔라듐을 스퍼터링하여 금속 분리막(30)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비교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400)은 다공성 스테인리스 스틸 위에 졸-겔 법을 이용하여 ZrOy의 버퍼층을 형성한 후, 버퍼층 위에 팔라듐을 스퍼터링하여 금속 분리막(130)을 형성하였다.
제3 예 및 비교예 모두 금속 분리막(30, 130)을 형성한 이후에 CMP로 연마과정을 수행한 수소 분리막(300, 400)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CMP 연마공정은 알루미나 슬러리를 이용하여 수행하게 되는데 CMP 연마공정을 통하여 분리막 표면에 발생한 핀홀을 제거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예의 경우 팔라듐의 금속 분리막(30)이 다공성 스테인리스 스틸에서 벗겨지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버퍼층을 매개로 한 다공성 지지체 및 금속 분리막(30) 간의 결합력이 양호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도 12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경우 팔라듐의 금속 분리막(130)이 다공성 스테인리스 스틸(110)에서 벗겨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졸-겔 법으로 형성된 버퍼층을 매개로 한 다공성 지지체(110) 및 금속 분리막(130) 간의 결합력이 불량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4 예
도 13은 도 1의 수소 분리막의 제4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500)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4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500)은 다공성 지지체(10),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30) 및 보호층(40)을 포함하며, 다공성 지지체(10)와 금속 분리막(30) 사이에 개재된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 지지체(10)는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20)은 다공성 지지체(10) 위에 형성되며, 다수의 컬럼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30)은 버퍼층(20) 위에 형성되며 수소가스를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층(40)은 금속 분리막(30) 위에 다수의 컬럼으로 형성되며,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로 제조된다. 이때 다공성 지지체(10)와 버퍼층(20)은 금속 분리막(30)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체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4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500)은 금속 분리막(30) 위에 보호층(40)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면 제1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도 2의 100)과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보호층(40)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호층(40)은 금속 분리막(30)의 표면에 다수의 컬럼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금속 분리막(30)의 황 화합물에 대한 내식성을 향상시키면서 수소투과도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40)은 황 화합물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 예컨대 Pt, Au, Cu, Ru 또는 Rh으로 형성하거나, 전술된 금속에 세라믹 소재를 포함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세라믹 소재로는 Ti, Zr, Al, Si, Ce, La, Sr, Cr, V, Nb, Ga, Ta, W 및 Mo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층(40)은 금속 소재와 세라믹 소재를 함께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40)을 형성하는 컬럼은 직경이 작으면서 조밀하게 형성하면, 금속 분리막(30)의 황 화합물에 대한 내식성을 향상시키면서 수소투과도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500)은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30) 위에 컬럼 형태의 보호층(40)을 코팅함으로써, 황 화합물에 대한 내식성을 향상시키면서 수소투과도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황 화합물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수소 분리막(500)을 제공함으로써, 수소 분리 공정 이전에 수행되었던 황 화합물의 제거하기 위한 가스클리닝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특히 가스클리닝 공정의 생략으로 CCS 공정을 간소화하여 경제적인 공정 구성이 가능한 이점도 있다. 즉 도 1의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50)에서 가스클리닝부(53)를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제4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500)은 제1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100) 위에 컬럼 형태의 보호층(40)이 적용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및 제3 예에 따른 수소 분리막(200,300)에 컬럼 형태의 보호층(40)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다공성 지지체
20 : 버퍼층
21 : 제1 버퍼층
23 : 제2 버퍼층
25 : 제3 버퍼층
30 : 금속 분리막
40 : 보호층
50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100, 200, 300, 400, 500 : 수소 분리막
20 : 버퍼층
21 : 제1 버퍼층
23 : 제2 버퍼층
25 : 제3 버퍼층
30 : 금속 분리막
40 : 보호층
50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100, 200, 300, 400, 500 : 수소 분리막
Claims (8)
- H2와 CO를 포함하는 합성가스에서 상기 CO를 수증기와 반응시켜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로 변환시켜 배출하는 WGS(water gas shifter reaction);
상기 WGS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및 수소가스를 포함하는 혼합가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혼합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탈수하여 배출하는 수분 분리막 모듈;
상기 수분 분리막 모듈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혼합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를 분리하는 복수의 팔라듐계의 수소 분리막을 구비하는 수소 분리막 모듈;
상기 수소 분리막 모듈에서 분리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분리막 모듈의 수소 분리막은,
다공성 지지체;
상기 다공성 지지체 위에 다수의 컬럼으로 형성되는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
상기 버퍼층 위에 형성된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Ti, Zr, Al, Si, Ce, La, Sr, Cr, V, Nb, Ga, Ta, W 및 Mo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MOy(M은 Ti, Zr)에서 산소의 조성이 1<y<2이거나, Al2Oz에서 산소의 조성이 2<z<3인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분리막은,
상기 금속 분리막 위에 다수의 컬럼으로 형성된 금속 또는 세라믹 소재의 보호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금속이 Pt, Au, Cu, Ru 또는 Rh이고,
상기 세라믹 소재가 Ti, Zr, Al, Si, Ce, La, Sr, Cr, V, Nb, Ga, Ta, W 및 Mo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화석연료를 부분산화하여 H2와 CO를 포함하는 합성가스를 생성하여 배출하는 가스화기;
상기 가스화기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합성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상기 WGS로 배출하는 가스클리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 수증기가 포함된 이산화탄소 및 수소가스의 혼합가스에서 상기 수증기를 탈수하여 배출하는 수분 분리막 모듈;
상기 수분 분리막 모듈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혼합가스를 이산화탄소와 수소가스로 분리하는 복수의 팔라듐계의 수소 분리막을 구비하는 수소 분리막 모듈;
상기 수소 분리막 모듈에서 분리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수소 분리막 모듈의 수소 분리막은,
다공성 지지체;
상기 다공성 지지체 위에 다수의 컬럼으로 형성되는 산화물계 세라믹 소재의 버퍼층;
상기 버퍼층 위에 형성된 팔라듐계의 금속 분리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0156A KR101471616B1 (ko) | 2012-12-21 | 2012-12-21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0156A KR101471616B1 (ko) | 2012-12-21 | 2012-12-21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0940A KR20140080940A (ko) | 2014-07-01 |
KR101471616B1 true KR101471616B1 (ko) | 2014-12-11 |
Family
ID=5173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0156A KR101471616B1 (ko) | 2012-12-21 | 2012-12-21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161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0259A (ko) * | 2018-01-24 | 2019-08-01 | 한국전력공사 | 분리막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 설계 방법 |
KR102432476B1 (ko) | 2022-01-21 | 2022-08-16 | (주)로우카본 | 인공숲 조성 시스템 |
KR102470189B1 (ko) | 2021-05-31 | 2022-11-23 | (주)로우카본 | 육상용 이산화탄소 및 황산화물 포집, 및 탄소자원화 시스템 |
KR102499516B1 (ko) | 2022-08-09 | 2023-02-15 | (주)로우카본 | 캐스케이드형 인공숲 조성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6632B1 (ko) * | 2017-08-10 | 2019-06-07 | 울산과학기술원 | 고로가스 운영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9341B1 (ko) * | 2004-09-15 | 2007-02-07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수소기체분리용 팔라듐 합금복합막의 제조방법 |
KR20110049707A (ko) * | 2009-11-04 | 2011-05-12 | 주식회사 아이티엔지니어링 | 수소분리용 금속치밀막 및 그 제조 방법 |
KR20110093146A (ko) * | 2010-02-11 | 2011-08-1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다공성 금속지지체에 팔라듐계 박막 코팅방법 |
-
2012
- 2012-12-21 KR KR1020120150156A patent/KR1014716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9341B1 (ko) * | 2004-09-15 | 2007-02-07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수소기체분리용 팔라듐 합금복합막의 제조방법 |
KR20110049707A (ko) * | 2009-11-04 | 2011-05-12 | 주식회사 아이티엔지니어링 | 수소분리용 금속치밀막 및 그 제조 방법 |
KR20110093146A (ko) * | 2010-02-11 | 2011-08-1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다공성 금속지지체에 팔라듐계 박막 코팅방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0259A (ko) * | 2018-01-24 | 2019-08-01 | 한국전력공사 | 분리막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 설계 방법 |
WO2019147007A1 (ko) * | 2018-01-24 | 2019-08-01 | 한국전력공사 | 분리막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 설계 방법 |
KR102026012B1 (ko) | 2018-01-24 | 2019-09-26 | 한국전력공사 | 분리막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 설계 방법 |
KR102470189B1 (ko) | 2021-05-31 | 2022-11-23 | (주)로우카본 | 육상용 이산화탄소 및 황산화물 포집, 및 탄소자원화 시스템 |
KR102432476B1 (ko) | 2022-01-21 | 2022-08-16 | (주)로우카본 | 인공숲 조성 시스템 |
KR102499516B1 (ko) | 2022-08-09 | 2023-02-15 | (주)로우카본 | 캐스케이드형 인공숲 조성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0940A (ko) | 2014-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1616B1 (ko)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장치 | |
AU2005286952B2 (en) | Membrane steam reformer | |
AU2005287034B2 (en) | Membrane enhanced reactor | |
CN107073427B (zh) | 用于重整天然气的壳管式反应器和使用其制备合成气或氢气的方法 | |
US5393325A (en) | Composite hydrogen separation metal membrane | |
US9138718B2 (en) | Compact catalytic membrane reactor for chemical process intensification | |
US20110020192A1 (en) | Oxygen-permeable membra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 |
CA2580279A1 (en) | Reactor and process for steam reforming | |
KR101336768B1 (ko) | 수소 분리막 보호층 및 이의 코팅방법 | |
Li et al. | Development of palladium-alloy membranes for hydrogen separation and purification | |
US9751051B2 (en) | Hydrogen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101494186B1 (ko) | 수소 분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 |
Tong et al. | Thin Pd membrane prepared on macroporous stainless steel tube filter by an in-situ multi-dimensional plating mechanism | |
US20140251131A1 (en) | Palladium-alloyed membran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JP5541556B2 (ja) | 水素分離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150873B1 (ko) | 금속계 수소분리막 및 수소분리막 보호층의 제조방법 | |
KR102482676B1 (ko) | 원통형 또는 튜브형 지지체 상에 분말 입자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정화된 적층막의 제조방법 | |
KR101784437B1 (ko) | 수소 분리막용 멤브레인 및 이의 이용 | |
KR101388649B1 (ko) | 수소 분리막의 제조방법 | |
KR101494187B1 (ko) | 포일 분리막을 이용한 수소 분리막 모듈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493682B1 (ko) | 수소분리막 보호층 및 이의 코팅방법 | |
JP2004148138A (ja) | 水素分離膜およびこれを用いた水素製造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