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595B1 -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 - Google Patents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595B1
KR101471595B1 KR1020130056678A KR20130056678A KR101471595B1 KR 101471595 B1 KR101471595 B1 KR 101471595B1 KR 1020130056678 A KR1020130056678 A KR 1020130056678A KR 20130056678 A KR20130056678 A KR 20130056678A KR 101471595 B1 KR101471595 B1 KR 101471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electrode layer
model
controller
mus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389A (ko
Inventor
양승진
김남혁
장인배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티
Priority to US13/972,219 priority Critical patent/US9384680B2/en
Publication of KR20140073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injections, endoscopy, bronchoscopy, sigmoidscopy, insertion of contraceptive devices or enem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lgebr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 인체의 둔부와 유사하게 제작되어 주사바늘의 위치와 깊이를 검출하고, 인체를 대상으로 둔부근육주사 훈련을 실시하는 것과 동일한 훈련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둔부와 유사하게 형성된 둔부 모형과, 상기 둔부모형의 양측에 내삽되고, 주사 바늘을 감지하는 전극층과 주사액이 주입되는 근육층을 포함하는 주입모듈과, 상기 전극층과 연결되어, 주사바늘의 위치를 검출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사바늘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hip model for intramuscular injection training}
본 발명은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인체의 둔부와 유사하게 제작되어 주사바늘의 위치와 깊이를 검출하고, 인체를 대상으로 둔부근육주사 훈련을 실시하는 것과 동일한 훈련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는 주사기를 사용하여 약액을 피내, 피하, 근육, 정맥, 동맥 등에 주입하는 것으로 약제의 효과를 정확하고 빠르게 얻기 위한 경우, 입으로 약제를 투여할 수 없는 경우, 약제가 소화액에 의해 변하거나 흡수되기 곤란한 경우 또는 약제가 소화기점막을 자극할 경우 등에 이용된다.
특히, 근육주사는 피하주사 보다 빠른 효과를 바라는 경우 또는 정맥주사가 불가능한 경우에 이용되는 방법으로 주사의 종류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주사 부위는 근육이 잘 발달된 곳을 선택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중둔근 일부의 대둔근을 포함한 둔부의 배면부위, 중둔근과 소둔근을 포함하는 둔부의 복면부위, 외측 광근, 대퇴직근, 상박의 외측에 위치한 삼각근 등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위는 둔부의 배면부위, 복면부위이다.
이중에서도 둔부 근육주사에서 주사의 위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둔부는 근육주사에 있어 가장 많이 쓰여 왔지만 큰 혈관과 뼈, 신경이 인접해 있어 주사 위치에 주의를 기울여야 손상과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둔부 근육주사에서 주사의 깊이는 주사를 놓으면서 조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2.5~3.8cm 정도의 깊이로 삽입한다. 잘못된 위치와 과도한 깊이의 근육주사로 인하여 야기되는 손상 및 합병증으로는 말초신경손상 및 이로 인한 기형, 혈관 내 주입으로 인한 색전증 및 기타 부작용, 괴사, 농양형성, 지속성 통증, 골막염 등이 있다. 따라서 근육주사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반복적인 주사 실습이 매우 중요하게 요구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근육주사 실습은 의료행위의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이다. 잘못된 근육주사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의료인의 배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환자들의 권리 의식 신장에 따른 실습 대상자의 부족 현상이 심각하여 의료교육을 받는 학생들은 임상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능력과 자질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임상으로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실감 있는 근육주사 실습과 교육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둔부 근육주사 훈련용 실습모형의 개발과 보급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국내의 많은 의과대학, 간호대학 등에서 시뮬레이션 센터를 설립하고, 인체모형을 통한 교육을 전면적으로 도입하여 임상술기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둔부 근육주사를 실습할 수 있는 모형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제작되고 있는 둔부모형은 단순 주사실습만 가능한 상태로, 주사 위치 검출 및 과도한 주사 깊이 감지 등에 대한 실습 결과를 확인할 수 없다. 또한 수입되는 모형도 실습효과의 객관적 판단을 위한 평가 기능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인체의 둔부와 유사한 조건의 둔부 모형에 근육주사를 실습할 수 있어, 실제 환자에게 의료행위를 시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이론 및 실기를 정확히 숙달하게 함으로써 의료인의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는 인체의 둔부와 유사하게 형성된 둔부 모형과, 상기 둔부모형의 양측에 내삽되고, 주사 바늘을 감지하는 전극층과 주사액이 주입되는 근육층을 포함하는 주입모듈과, 상기 전극층과 연결되어, 주사바늘의 위치를 검출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사바늘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둔부모형은, 양측에 상기 주입모듈이 내삽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부에 상기 컨트롤러가 내삽되는 장착홈을 형성하며, 인체의 전상장골극과, 후상장골극과, 장골능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대퇴 상부에 돌출된 대전자를 형성하는 내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를 감싸도록 내측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외측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상장골극, 후상장골극, 장골능, 대전자에는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발광수단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입모듈은, 외측방향에 배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1전극층과, 상기 제1전극층의 일면에 합착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합착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2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의 일면에 합착되고,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근육층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전극층의 양단에 전위차를 주고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전극층의 전압을 측정하여 주사바늘의 위치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입모듈은 상기 근육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3전극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전극층은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주사바늘이 근육층을 통과해 과도하게 삽입하여 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전극층은 4분의 3분법에 따른 주사영역인 제1영역과, Clarke’s point법에 따른 주사영역인 제2영역과, Hochstetter’s point법에 따른 주사영역인 제3영역과, 상기 제1영역 내지 제3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제4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 영역별로 전압을 측정하여 주사바늘의 위치를 검출한다.
본 발명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에 따르면, 실제와 유사한 조건의 둔부 모형에 근육주사를 실습할 수 있어, 실제 환자에게 의료행위를 시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이론 및 실기를 정확히 숙달하게 함으로써 의료인의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다.
또, 육안으로 뼈 모양 및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주사바늘의 위치와 주사 바늘의 깊이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결과를 시뮬레이션 하여 실습 결과를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사바늘을 둔부 모형에 삽입하는 실습 외에 실제 약액을 둔부모형의 근육층에 주사할 수 있고, 주입된 약액을 별도의 배출수단을 통해 모형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실제와 동일한 실습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근육주사의 교육효과를 증대시키고 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둔부모형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입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입모듈의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입모듈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제2전극층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정면도,
도 9는 도 1의 둔부모형과 지지부재를 함께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의 프로그램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는 인체의 둔부와 유사하게 형성된 둔부모형(100)과, 상기 둔부모형(100)의 양측에 내삽되고, 주사 바늘(11)을 감지하는 전극층(211,213,215)과 주사액이 주입되는 근육층(214)을 포함하는 주입모듈(200)과, 상기 전극층(211,213,2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사바늘(11)의 위치를 검출하는 컨트롤러(300)와, 상기 컨트롤러(30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사바늘(11)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입출력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둔부모형(100)은 인체의 둔부와 유사하게 형성된 것으로, 그 표면은 주사실습 시 실제 인체와 유사한 피부촉감 및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실리콘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둔부모형(100) 후술되는 주입모듈(200)을 내장하기 위한 수용홈(111)을 양측에 구비할 수 있고, 인체의 전상장골극(115)과, 후상장골극(116)과, 장골능(117)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대전자(114)를 감지할 수 있는 뼈 모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모듈(200)은 상기 둔부모형(100)의 양측에 내삽되고, 주사 바늘(11)을 감지하는 전극층(211,213,215)과 주사액이 주입되는 근육층(214)을 포함한다.
참고로, 일반적인 둔부 근육주사 훈련용 주사기(10)는 3 ~ 5㎖의 주사기(10)에 두께 20 ~ 23G, 길이 1 ~ 1.5inch의 주사바늘(11)을 사용한다.
상기 컨트롤러(300)는 주입모듈(200)로부터 주사바늘(11)의 위치 및 깊이를 검출을 수행하고 검출된 정보를 입출력장치(400)에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입출력장치(400)는 상기 컨트롤러(300)로부터 주사바늘(11)의 위치 및 깊이 정보를 입력 받아 GUI 그래픽으로 표현하고, 모범적인 주사 위치와 대비하여 실제로 삽입된 주사바늘(11)의 정확도를 시각적, 수치적으로 표현한다. 또한, 둔부의 근육주사 실습을 수행하기 위한 실습절차 및 위치 판별법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으며, 애니메이션 기능과 동영상 기능을 통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정면도이다.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부에 전원 스위치(301), 전원 커넥터(302), 추후 설명되는 배출모듈(5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물 배출 스위치(304), 물배출 커넥터(303)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마이크로프로세서(310)를 구비하여 각 전극층(211,213,215)의 전위차를 측정함에 따라 주사바늘(11)의 위치정보 및 과도 깊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근육층(214)에 주입된 약액의 배출을 위한 펌프(510)가 장착되어 일정량의 주사 실습이 이루어진 다음 약액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출력장치의 프로그램 구성도이다. 상기 입출력장치(400)의 프로그램 구성은 훈련모드와 평가모드로 구성되어 훈련모드에서는 자가학습 및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평가모드에서는 둔부의 근육주사 방법인 Hochstetter’s point, Clarke’s point, 4분의 3분법의 방법을 선택하여 평가할 수 있다.
참고로, 둔부의 복면 주사에 적합한 주사법으로 Hochstetter’s point 방법과 Clarke’s point 방법이 있다. Hochstetter’s point 방법은 먼저 손바닥으로 대전자를 감지한 후, 검지로 전상장골극을 중지로 장골능을 감지하고 전상장골극과 장골능 사이에 들어오는 부분에 주사하는 방법이다. 또, Clarke’s point 방법은 한손으로 전상장골극을 감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후상장골극을 감지한 후 정확하게 3등분하고 전상장골극에 가까운 쪽에 주사하는 방법이다. 또한, 둔부의 배면 주사에 적합한 주사법으로 4분의 3분법의 경우 좌골신경과 대전자를 기준으로 가로로 2등분하고, 다시 가운데를 기준으로 세로로 볼기고랑과 장골능까지 2등분하고 나눈 4등분 중 상외측 부위에 주사를 실시하는 방법이다.
훈련모드에서는 애니메이션 기능과 동영상 기능이 추가되어 학습효과를 최대화하며 각 방법에 대한 설명과 근육주사 실습절차가 포함되어 자가 학습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훈련실습화면에서는 주사바늘(11)로 실습 시 각 주사 방법에 따른 주사 위치가 표시되며 정확도를 수치적으로 표현하여 준다. 또한, 과도 깊이 유무를 판별하여 표시하여 실습 결과를 보여주며 저장할 수 있다. 평가실습화면에서는 주사바늘(11)로 실습 시 각 주사 방법에 따른 주사 위치가 표시되며 정확도를 수치적으로 표현하여 주며 과도 깊이 유무 판별과 실습절차를 준수 여부를 체크할 수 있으며 실습결과표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둔부모형(100)은, 양측에 상기 주입모듈(200)이 내삽되는 수용홈(111)을 형성하고, 상부에 상기 컨트롤러(300)가 내삽되는 장착홈(112) 및 배터리(600)가 내장되는 배터리 홈(113)을 형성하며, 인체의 전상장골극(115)과, 후상장골극(116)과, 장골능(117)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대퇴 상부에 돌출된 대전자(114)를 형성하는 내측부재(110)와, 상기 내측부재(110)를 감싸도록 내측부재(1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외측부재(120)를 포함한다.
참고로, 전상장골극(115)은 골반뼈의 앞면의 제일 위에 있는 돌기부위를 지칭하고, 후상장골극(116)은 골반뼈의 뒷면의 제일 위에 있는 돌기부위를 지칭하며, 장골능(117)은 허리 부분을 이루는 뼈의 하나로서 장골의 가장 위쪽 자리인 돌출된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각각의 전상장골극(115)과, 후상장골극(116)과, 장골능(117) 및 대전자(114)는 Hochstetter’s point, Clarke’s point, 4분의 3분법에 따라 주사위치를 찾는 데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상장골극(115), 후상장골극(116), 장골능(117), 대전자(114)에는 발광수단(70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700)은 외부의 실습자가 인식 가능토록 하는 범위에서 공지의 다양한 발광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광수단(700)은 고휘도 LE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상장골극(115), 후상장골극(116), 장골능(117), 대전자(114)에 발광수단(700)을 장착함에 따라 실습 시 각각에 대응하는 뼈 모양을 촉지함과 동시에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상장골극(115), 후상장골극(116), 장골능(117), 대전자(114)에 장착된 발광수단(700)은 입출력장치(400)를 통해 켜거나 끌 수 있으며, 육안으로도 뼈 모양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내측부재(110)의 전상장골극(115), 후상장골극(116), 장골능(117), 대전자(114)에 발광수단(700)이 형성될 경우, 외측부재(120)에 의해 상기 발광수단(700)의 빛이 차단되어 외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부재(120)는 상기 발광수단(700)이 장착된 위치에 상기 발광수단(700)의 빛을 외부로 통과시키는 통공이 형성되거나, 발광수단(700)의 빛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투명도를 갖는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상기 발광수단(700)은 상기 전상장골극(115), 후상장골극(116), 장골능(117), 대전자(114)의 위치외 대응되게 외측부재(12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둔부모형의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둔부모형(100)은 내측부재(110)와 외측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부재(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허리, 엉덩이, 허벅지의 상부까지 인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플라스틱, 스펀지, 우레탄폼 등의 소재를 성형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110)의 양측에는 주입모듈(200)을 삽입하기 위한 수용홈(111)이 형성되고, 인체의 전상장골극(115)과, 후상장골극(116)과, 장골능(117)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인체의 대전자를 감지할 수 있도록 뼈 모양과 유사하게 대전자(114)를 돌출시킨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110)의 상부에는 컨트롤러(300)가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300) 및 후술되는 펌프(510)를 운용하기 위한 배터리(600)를 장착할 수 있는 배터리 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는 AC전원 및 배터리 사용이 가능하다.
외측부재(120)는 상기 내측부재(110)를 감싸도록 내측부재(11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측부재(110)와 탈착이 가능하며, 주사실습 시 실제와 유사한 피부촉감 및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실리콘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입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상기 주입모듈(200)은, 외측방향에 배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1전극층(211)과, 상기 제1전극층(211)의 일면에 합착되는 절연 재질의 절연층(212)과, 상기 절연층(212)의 일면에 합착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2전극층(213)과, 상기 제2전극층(213)의 일면에 합착되고,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근육층(214)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제1전극층(211)의 양단에 전위차를 주고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전극층(213)의 양단에서 전압을 측정하여 주사바늘(11)의 위치를 검출한다.
먼저, 상기 주입모듈(200)은 주사기(10)를 삽입 시 주사바늘(11)의 위치 및 깊이 검출을 위하여 제1전극층(211), 절연층(212), 제2전극층(213)을 상부에 배치하고, 제2전극층(213) 하부에는 주사액을 주입하기 위한 근육층(214)을 배치한다.
상기 제1전극층(211) 및 제2전극층(213)은 도전성 실리콘 또는 도전성 천을 비롯한 공지의 다양한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전성 재질의 두께는 주사기(10) 삽입 시 저항감이 적도록 0.2 ~ 1mm의 두께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재질의 저항 값은 길이방향으로 10Ω ~ 100kΩ 사이의 저항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근육층(214)은 주사실습 시 실제 주사기(10)의 약물이 주입되는 곳으로 주사실습 시 저항감 및 주사기를 뒤로 당겼을 때 저항감이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근육층(214)은 상기 주사기(10)에서 배출된 약액의 주입 가능하도록 복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실제 인체의 근육과 비슷한 재질이면서 복수의 기공을 갖는 발포성 소재인 실리콘 폼 또는 우레탄 폼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제1전극층(211)의 양단에 전위차를 주고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전극층(213)의 양단에서 전압을 측정하여 주사바늘(11)이 제1전극층(211)과 제2전극층(213)을 관통하면 제2전극층(213)의 전압을 측정하여 주사바늘(11)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패드(210)는 상기 근육층(214)의 일면에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3전극층(2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전극층(215)은 상기 컨트롤러(300)와 연결되어 주사바늘(11)이 근육층(214)를 통과하여 제3전극층(215)을 관통하면 제3전극층(215)의 전압을 측정하여 과도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입출력장치(400)에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과도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제3전극층(215)은 제1전극층(211) 및 제2전극층(213)과 같은 조건으로 도전성 실리콘 또는 도전성 천을 비롯한 도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2전극층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전극층(213)은 4분의 3분법에 따른 둔부의 배면(dorsogluteal site) 주사영역인 제1영역(213a)과, Clarke’s point법에 따른 둔부의 복면(ventrogluteal site) 주사영역인 제2영역(213b)과, Hochstetter’s point법에 따른 둔부의 복면(ventrogluteal site) 주사영역인 제3영역(213c)과, 상기 제1영역(213a) 내지 제3영역(213c)에 포함되지 않는 제4영역(213d)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각 영역별(213a,213b,213c,213d)로 전압을 측정하여 주사바늘(11)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영역 (213a,213b,213c)별로 전압을 측정할 경우, 근육주사 방법인 Hochstetter’s point, Clarke’s point, 4분의 3분법의 방법을 선택하여 근육주사 능력을 평가할 수 있고, 제4영역(213d)의 전압을 측정할 경우, 잘못된 위치로 주입된 주사바늘(11)을 검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둔부의 복면 주사에 적합한 주사법으로 Hochstetter’s point 방법과 Clarke’s point 방법이 있다. Hochstetter’s point 방법은 먼저 손바닥으로 대전자를 감지한 후, 검지로 전상장골극을 중지로 장골능을 감지하고 전상장골극과 장골능 사이에 들어오는 부분에 주사하는 방법이다. 또, Clarke’s point 방법은 한손으로 전상장골극을 감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후상장골극을 감지한 후 정확하게 3등분하고 전상장골극에 가까운 쪽에 주사하는 방법이다. 또한, 둔부의 배면 주사에 적합한 주사법으로 4분의 3분법의 경우 좌골신경과 대전자를 기준으로 가로로 2등분하고, 다시 가운데를 기준으로 세로로 볼기고랑과 장골능까지 2등분하고 나눈 4등분 중 상외측 부위에 주사를 실시하는 방법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입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입모듈의 배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입모듈(200)은, 상기 근육층(214)에 주입된 주사액을 배출하도록 관통된 배출구(225)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300)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펌프(510)와, 상기 펌프(510)와 상기 배출구(225)를 연결하여 근육층(214)의 주사액을 펌프(510)로 이송하는 유입튜브(520)와, 상기 펌프(510)로 유입된 주사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튜브(530)를 포함하는 배출모듈(500)이 추가로 장착된다. 이때, 주입모듈(200)은 상기 펌프(510)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관통된 유입구(226)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배출구(225)가 유입구의 역할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다.
상기 주입모듈(200)에는 상기 근육층(214)으로 주입된 약액이 주입모듈(200)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실링 처리되고, 후면에만 주사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25)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25)는 상기 근육층(214)의 주사액을 주입모듈(200)의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역할을 하고, 상기 유입튜브(520)와 연결되어 배출된 주사액을 펌프(510)로 이송하고, 상기 펌프(510)는 유입된 주사액을 배출튜브(53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9는 도 1의 둔부모형과 지지부재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지지부재(600)는 상기 둔부모형(100)의 상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둔부모형(100)이 끼워지도록 중심에 둔부모형(100)의 단면과 유사한 형태로 타공된 중공부(610)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610)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620)를 형성하여, 상기 중공부(610)에 상기 둔부모형(100)을 끼우고 상기 돌출부(620)가 바닥면에 지지되게 둔부모형(100)을 눕힌 다음, 둔부모형(10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주사실습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에 따르면, 실제와 유사한 조건의 모형에 둔부에 근육주사를 실습할 수 있어, 실제 환자에게 의료행위를 시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이론 및 실기를 정확히 숙달하게 함으로써 의료인의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고, 주사바늘을 둔부 모형에 삽입하는 실습 외에 실제 약액을 둔부모형의 근육층에 주사할 수 있고, 주입된 약액을 별도의 배출수단을 통해 모형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실제와 동일한 실습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근육주사의 교육효과를 증대시키고 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주사기 11 : 주사바늘
100 : 둔부모형 110 : 내측부재
111 : 수용홈 112 : 장착홈
113 : 배터리홈 114 : 대전자
115 : 전상장골극 116 : 후상장골극
117 : 장골능 120 : 외측부재
200 : 주입모듈 211 : 제1전극층
212 : 절연층 213 : 제2전극층
213a : 제1영역 213b : 제2영역
213c : 제3영역 213d : 제4영역
214 : 근육층 215 : 제3전극층
225 : 배출구 226 : 유입구
300 : 컨트롤러 400 : 입출력장치
500 : 배출모듈 510 : 펌프
520 : 유입튜브 530 : 배출튜브
600 : 지지부재 610 : 중공부
620 : 돌출부 700 : 발광수단

Claims (6)

  1. 둔부 근육주사 훈련을 위한 둔부모형 장치에 있어서,
    인체의 둔부와 유사하게 형성된 둔부 모형;
    상기 둔부모형의 양측에 내삽되고, 주사 바늘을 감지하는 전극층과 주사액이 주입되는 근육층을 포함하는 주입모듈;
    상기 전극층과 연결되어, 주사바늘의 위치를 검출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사바늘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모형은, 양측에 상기 주입모듈이 내삽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부에 상기 컨트롤러가 내삽되는 장착홈을 형성하며, 인체의 전상장골극과, 후상장골극과, 장골능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대퇴 상부에 돌출된 대전자를 형성하는 내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를 감싸도록 내측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외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 모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상장골극, 후상장골극, 장골능, 대전자에는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발광수단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모듈은, 외측방향에 배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1전극층과, 상기 제1전극층의 일면에 합착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일면에 합착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2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의 일면에 합착되고, 내부에 기공이 형성된 근육층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전극층의 양단에 전위차를 주고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전극층의 전압을 측정하여 주사바늘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모듈은 상기 근육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제3전극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전극층은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주사바늘이 근육층을 통과해 과도하게 삽입하여 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층은 4분의 3분법에 따른 주사영역인 제1영역과, Clarke’s point법에 따른 주사영역인 제2영역과, Hochstetter’s point법에 따른 주사영역인 제3영역과, 상기 제1영역 내지 제3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제4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 영역별로 전압을 측정하여 주사바늘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
KR1020130056678A 2012-12-06 2013-05-20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 KR101471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72,219 US9384680B2 (en) 2012-12-06 2013-08-21 Intramuscular injection training mod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1370 2012-12-06
KR1020120141370 2012-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389A KR20140073389A (ko) 2014-06-16
KR101471595B1 true KR101471595B1 (ko) 2014-12-10

Family

ID=5112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678A KR101471595B1 (ko) 2012-12-06 2013-05-20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5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3022A1 (es) * 2015-12-28 2017-07-06 Pontificia Universidad Católica De Chile Simulador medico para la simulación de intervenciones de punción
KR102380381B1 (ko) 2020-12-23 2022-03-30 이대욱 근육주사 훈련을 위한 근막 감촉 트레이닝 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5434B2 (en) 2008-06-03 2021-12-07 Techline Technologies, Inc. Wound box trainer
US11631343B2 (en) 2016-05-02 2023-04-18 Techline Technologies, Inc. Wound box trainer
WO2021178128A1 (en) * 2020-03-02 2021-09-10 Techline Technologies, Inc. Wound box trainer
CN112652203B (zh) * 2020-12-18 2022-08-05 复旦大学 模拟人嵌入式可注水肌肉注射模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7626A (ja) * 2006-01-16 2007-07-26 Shimadzu Corp 触針式形状測定装置
JP2009508608A (ja) * 2005-09-22 2009-03-05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非接触で絶対位置を測定する器具及び方法
KR20100122172A (ko) * 2009-05-12 2010-11-22 주식회사 에프나인 가상 정맥주사 학습기용 실습 단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8608A (ja) * 2005-09-22 2009-03-05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非接触で絶対位置を測定する器具及び方法
JP2007187626A (ja) * 2006-01-16 2007-07-26 Shimadzu Corp 触針式形状測定装置
KR20100122172A (ko) * 2009-05-12 2010-11-22 주식회사 에프나인 가상 정맥주사 학습기용 실습 단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3022A1 (es) * 2015-12-28 2017-07-06 Pontificia Universidad Católica De Chile Simulador medico para la simulación de intervenciones de punción
US11164483B2 (en) 2015-12-28 2021-11-02 Pontificia Universidad Católica De Chile Medical simulator for the simulation of puncture operations
KR102380381B1 (ko) 2020-12-23 2022-03-30 이대욱 근육주사 훈련을 위한 근막 감촉 트레이닝 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389A (ko)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4680B2 (en) Intramuscular injection training model
KR101471595B1 (ko) 근육주사 훈련용 둔부모형 장치
RU2609459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чрескожной стимуляции
US11900828B2 (en) Fistula cannulation simulator
US20030068606A1 (en) Medical simulator
WO2014098347A1 (ko) 자기 자극기를 이용한 바이오피드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839329B2 (ja) 注射練習器
US20110136090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practicing dental treatments
CN207909366U (zh) 超声下穿刺脊柱的模拟装置
KR101407077B1 (ko) 근육주사 훈련용 전극 모듈
KR101385271B1 (ko) 정맥주사 훈련용 팔모형 장치
CN112071149A (zh) 一种可穿戴式医学仿真穿刺技能训练系统及方法
KR101100718B1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측정·경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락방법
WO201602882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 haptic medical simulation device
CN101877192A (zh) 脊椎穿刺训练仿真标准化病人
CN201607862U (zh) 高仿真乳腺疾病诊断和治疗操作教具模型
RU2691846C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фантом
Esterer et al. A hybrid, low-cost tissue-like epidural needle insertion simulator
CN211979995U (zh) 一种胰岛素皮下注射可穿戴练习操作装置
Choi et al. 3D-printed ophthalmic-retrobulbar-anesthesia simulator: mimicking anatomical structures and providing tactile sensations
CN210955771U (zh) 一种臀部肌肉注射对比模型
CN113223363A (zh) 基于vr技术以真人自我注射视角的糖尿病专用注射笔游戏练习系统
CN209248876U (zh) 腰椎穿刺模拟装置
CN201374142Y (zh) 臀部肌肉注射训练及对比模型
Machado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or of invasive procedures in pediatric bone marrow trans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