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558B1 -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558B1
KR101471558B1 KR1020120123665A KR20120123665A KR101471558B1 KR 101471558 B1 KR101471558 B1 KR 101471558B1 KR 1020120123665 A KR1020120123665 A KR 1020120123665A KR 20120123665 A KR20120123665 A KR 20120123665A KR 101471558 B1 KR101471558 B1 KR 101471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va
larvae
injection
larv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704A (ko
Inventor
이상훈
김인덕
김주섭
윤혜진
정로덕
Original Assignee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테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55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8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61D1/02Trocars or cannulas for teats; Vaccination appliances
    • A61D1/025Vaccinat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주사액이 주입될 애벌레가 놓이는 애벌레 지지부; 및 상기 애벌레 지지부에 놓인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주사액 주입부를 포함하는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는 항생제로 사용될 수 있는 애벌레에 면역유도 물질을 주입하여 천연 항생제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Apparatus for injecting larva with a injection}
본 발명은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물용 항생제는 성장촉진용과 치료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오늘날 집약적 및 기업적 축산으로 대규모화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성장촉진용 항생제는 가축의 성장촉진, 장내 유해균 억제, 질병 예방, 사육환경 개선 등의 목적으로 저수준으로 사료 내 첨가 급여되는 항생제이다. 또한, 치료용 항생제는 가축의 이상증후 및 질병 발생시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수의사 처방 하에 고수준으로 투여되는 항생제이다.
하지만, 최근에 가축사료 내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한 내성균 출현, 축산물 내 항생제 잔류, 가축의 질병저항성 약화, 분뇨로 유출된 항생제 잔류물로 인한 생태계 오염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축산물 1톤 생산시 항생제 0.91kg 사용으로 뉴질랜드 0.04kg, 미국 0.15kg, 일본 0.36kg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2009년 조사에 따르면, 축산물 내 항생제 내성균 조사 결과, 대장균 53.6~69.3%(테트라사이클린, 암피실린), 장구균 62.4~68.9%(테트라사이클린, 엔트로마이신), 포도상구균 67%(페니실린), 3가지 계열 이상의 항생제 내성을 보인 다제내성균 비율이 39% 차지하였다.
따라서 항생제 오남용 방지, 소비자의 축산물 위생ㅇ안전성 요구, 국내 축산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항생제 사용 규제 강화 및 무항생제 축산물 인증 정책 추진에 따른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항생제 오남용에 따른 내성균주를 퇴치할 수 있는 새로운 작용기작을 가지는 천연항생제 개발이 모색되고 있다. 누에를 포함한 곤충은 불량환경에서 오랜 진화의 역사를 통해 자기방어를 위한 강력한 항균물질을 보유하고 있어, 화학항생제를 대체 할 수 있는 천연항생제 개발소재로써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파악된다.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83111호(항체를 생산하는 트랜스제닉 누에와 그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트랜스제닉 누에의 견사선으로부터 재조합 항체를 생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천연 항생 펩타이드를 가진 곤충을 대량으로 유도하기 위한 장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천연 항생제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항생제로 사용될 수 있는 애벌레에 면역유도 물질을 주입하는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사액이 주입될 애벌레가 놓이는 애벌레 지지부; 및 상기 애벌레 지지부에 놓인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주사액 주입부를 포함하는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애벌레 지지부는, 상기 애벌레와 결합하는 애벌레 흡착부; 및 상기 애벌레가 상기 애벌레 흡착부에 흡착되도록 상기 애벌레 흡착부의 공기를 펌핑하는 흡착 펌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 펌핑부는 상기 시린지부의 주사 바늘이 상기 애벌레에서 나오는 경우 상기 공기의 펌핑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사액 주입부는, 내부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에 결합하며, 일단에 주사 바늘이 결합하고 몸체에 상기 주사액이 수용되어 상기 애벌레에 상기 주사액을 주입하는 시린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시린지부가 상기 애벌레에 주사 바늘을 꽂을 때 상기 주사액을 상기 시린지부에 펌핑하는 주사액 펌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사액은 면역 유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애벌레는 누에 애벌레가 될 수 있고, 상기 주사액 주입부는 상기 애벌레의 배면부 체강에 상기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는 항생제로 사용될 수 있는 애벌레에 면역유도 물질을 주입하여 천연 항생제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누에 애벌레의 내장 및 체강 위치를 촬영한 사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사액 주입 장치(100)는 애벌레 지지부(101), 주사액 주입부(102), 애벌레 비활성화부(103), 애벌레 저장부(104), 제어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천연 항생제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항생제로 사용될 수 있는 애벌레에 면역유도 물질을 주입하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기능성 애벌레, 예를 들면, 누에를 사료 첨가제로 활용하기 위하여, 누에 애벌레에 면역유도 물질을 주입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는 애벌레에 적용가능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누에 애벌레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애벌레로부터 천연 항생제를 생성하기 위한 분말 처리 등의 공정 절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애벌레 지지부(101)는 주사액이 주입될 애벌레가 놓이는 부분이다. 애벌레 지지부(101)는 후술할 주사액 주입부(102)가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기 위해서 애벌레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애벌레 지지부(101)는 애벌레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정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애벌레 지지부(101)는 애벌레를 평면 형상의 지지대 위에 놓고, 주사액 주입부(102)가 위치한 반대 방향에 주사액 주입부(102)의 푸쉬에 의한 애벌레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수단이 마련되어 애벌레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애벌레 지지부(101)는 진공 펌프로 애벌레를 흡착하여 결합함으로써 애벌레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후자에 대해서는 이하의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주사액 주입부(102)는 애벌레 지지부(101)에 놓인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한다. 주사액 주입부(102)는 주사액을 내부에 수용하는 주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액 주입부(102)는 애벌레 지지부(101)에 놓인 애벌레의 특정 부분에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사액 주입부(102)는 애벌레의 배면부 체강에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다. 주사액이 주입되는 부분은 애벌레의 배면부에서, 전체 높이의 80% 부위까지의 부분이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껍질을 벗긴 누에 애벌레가 핀에 꽂힌 상태가 도시된다. 도 4의 (a)는 소화기관인 내장(410)이 애벌레 체강(420)의 등 부위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4의 (b)는 내장(410)을 애벌레 체강(420)의 등 부위에서 벗겨낸 상태를 도시한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내장(410)은 애벌레의 등 부위에 위치하므로, 주사 바늘은 애벌레의 배면부에서 내장(410) 위치의 아래 부분, 즉, 애벌레의 밑면인 배면부와 그로부터 전체 몸통 두께의 80%가 되는 체강(420)에 삽입되어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다.
주사액은 면역 유도 물질이 될 수 있다. 면역 유도 물질은 생체에 독성이 없으면서 면역 능력을 조절하는 효과를 가지는 물질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생체반응조절 물질(BRM : Biological Response Modifier)이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AHCC(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Polysaccarides, Polysaccaride peptides, Nucleosides, Triterpenoids 등이 될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물질이 면역 유도 물질로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애벌레 비활성화부(103)는 애벌레에게 주사액을 주입시키기 편리하도록 애벌레를 비활성화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면, 애벌레 비활성화부(103)는 차가운 물을 담은 수조가 될 수 있으며, 애벌레는 차가운 물에 담기는 경우 순간적으로 기절하는 등 비활성화되므로, 애벌레 지지부(101)는 움직임이 둔한 애벌레는 수월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애벌레 비활성화부(103)는 얼음, 냉장고, 마취제 등이 될 수도 있다.
애벌레 저장부(104)는 주사액 주입부(102)에 의해 주사액이 주입되어, 주입 처리가 완료된 애벌레를 보관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면, 애벌레 저장부(104)는 애벌레를 담는 용기가 될 수 있으며, 애벌레 지지부(101)로부터 이탈한 애벌레가 애벌레 저장부(104)로 이동하여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애벌레가 애벌레 저장부(104)로 이동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애벌레 지지부(101)가 상술한 바와 같이 애벌레를 평면 형상의 지지대 위에 놓는 구조로 형성된 경우 해당 평면이 기울어지거나 측면으로 이동하여 애벌레가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게 함으로써 애벌레를 애벌레 저장부(104)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애벌레 지지부(101)가 진공 펌프로 애벌레를 흡착하여 지지하는 경우 진공 펌프의 작동이 정지하여 애벌레를 직하 방향으로 낙하시킴으로써 애벌레 저장부(104)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애벌레 비활성화부(103)에 놓인 애벌레는 특정 푸쉬 수단에 의해 하나씩 상술한 애벌레 지지부(101)에 놓일 수 있다. 푸쉬 수단은 관 형상에 애벌레가 일렬로 수용된 상태에서 애벌레 지지부(101) 방향으로 애벌레를 한 마리씩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05)는 상술한 애벌레 지지부(101), 주사액 주입부(102), 애벌레 비활성화부(103), 애벌레 저장부(104)가 서로 연동하면서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 기능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05)의 구체적인 기능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각 실시예를 설명할 때 그 기능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상에서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110), 흡착부 지지대(112), 애벌레 흡착부(114), 실린더부(116), 시린지부(118), 주사액 유입관(119), 하부 프레임(120), 애벌레 저장부(130), 주사액 펌핑부(140), 펌핑부 지지대(145), 주사액 저장부(150), 주사액 유출관(155), 처리 중 애벌레(210), 처리 후 애벌레(220)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공기를 펌핑하여 애벌레를 지지하고, 실린더 형상에 주사기를 결합하여 주사액을 주입하는 특징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사액 주입 장치(100)는 프레임으로 몸체가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지면과 평행한 상부 프레임(110), 상부 프레임(110)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120)이 몸체를 형성한다.
흡착부 지지대(112)는 상부 프레임(110)의 일측에 결합하여 흡착 펌핑부(미도시)와 기능적으로 결합한다.
흡착 펌핑부는 애벌레가 후술할 애벌레 흡착부(114)에 흡착되도록 애벌레 흡착부(114)의 공기를 펌핑한다. 즉, 흡착 펌핑부는 공기를 애벌레 흡착부(114) 내부로 빨아들여서 애벌레가 애벌레 흡착부(114)에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흡착 펌핑부는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관으로 흡착 펌핑부와 연결될 수 있다.
애벌레 흡착부(114)는 일단이 흡착부 지지대(112)와 결합하고, 타단이 애벌레와 결합하며 공기 흡입이 가능한 빨판이 형성되며,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애벌레 흡착부(114)는 상술한 흡착부 지지대(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애벌레는 상술한 배면부가 애벌레 흡착부(114)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사 바늘은 애벌레 흡착부(114)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을 찔러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면부 체강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는 애벌레의 평균 몸통 두께의 10% 내지 80%가 될 수 있다.
상술한 애벌레 지지부(101)는 흡착부 지지대(112), 애벌레 흡착부(114) 및 흡착 펌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부(116)는 일단에 시린지부(118)와 결합하는 내부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여 애벌레 흡착부(114)에 결합된 애벌레에 주사액이 주입되도록 한다. 실린더부(116)의 길이 및 시린지부(118)의 푸쉬 길이 등은 애벌레에 주사액이 주입될 수 있는 정도로 특정될 수 있다.
실린더부(116)의 작동 방식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린지부(118)를 애벌레 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쉬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해당 푸쉬 버튼을 누르는 경우 실린더부(116)가 작동하여 시린지부(118)가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애벌레에게 이동하고 주사액을 주입한 후 다시 뒤로 돌아와서 초기 상태로 정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애벌레 흡착부(114)에 움직임 센서를 구비하여, 애벌레가 애벌레 흡착부(114)에 결합하는 경우 실린더부(116)가 작동하여 애벌레에게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애벌레가 안정적으로 애벌레 흡착부(114)에 결합한 후에 주사액을 주입하기 위해서, 상술한 제어부(105)는 센서가 애벌레의 결합 상태를 확인한 후 특정 시간, 예를 들면, 1 내지 2초 후에 시린지부(118)가 애벌레에게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린지부(118)는 실린더부(116)의 일측에 결합하며, 일단에 주사 바늘이 결합하고 몸체에 주사액이 수용되어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한다.
애벌레 저장부(130)는 애벌레 흡착부(114)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애벌레 흡착부(114)에 결합한 처리 중 애벌레(210)는 주사액 주입 처리가 완료된 후 애벌레 저장부(130)로 낙하하여 처리 후 애벌레(220)로서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흡착 펌핑부는 시린지부(118)의 주사 바늘이 애벌레에서 나올 때 공기의 펌핑을 중단할 수 있다. 즉, 애벌레에게 주사액 주입이 완료된 경우 해당 애벌레를 애벌레 흡착부(114)에서 떼어 내어 애벌레 저장부(130)에 넣기 위해서 흡착 펌핑부는 애벌레 흡착을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5)는 실린더부(116)의 초기 상태로 회복하는 시점에 흡착 펌핑부를 제어하여 펌핑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흡착 펌핑부는 펌핑 동작을 정지한 후 바로 다시 펌핑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사액 주입 처리가 필요한 애벌레는 다시 애벌레 흡착부(114)에 결합할 수 있다. 애벌레는 사용자의 손 또는 로봇암에 의해 집어져서 애벌레 흡착부(114)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센서에 의해 애벌레가 애벌레 흡착부(114) 주위에 위치하는지 감지되는 경우 흡착 펌핑부는 펌핑 동작을 바로 다시 재개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애벌레에게 주사액을 주입하기 위해서 주사액 펌핑부(140)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사액 펌핑부(140)는 시린지부(118)와 주사액 유입관(119)으로 연결되며, 시린지부(118)가 애벌레에 주사 바늘을 꽂을 때 주사액을 시린지부(118)에 펌핑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사액 펌핑부(140)는 펌핑부 지지대(145)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주사액 저장부(150)와 주사액 유출관(155)에 의해 연결되어 주사액 저장부(150)에 저장된 주사액을 시린지부(118)에 펌핑할 수 있다. 시린지부(118)에 한 번에 펌핑되는 주사액의 양 및 시린지부(118)가 애벌레에 한번에 주입하는 주사액의 양은 면역이 유도되는 최적으로 양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주사액 펌핑부(140)와 흡착 펌핑부는 동일한 펌프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펌핑시 연결되는 연결관, 예를 들면, 주사액 유입관(119) 또는 애벌레 흡착부(114)에 연결되는 흡착 펌핑관(미도시)에 의해 그 기능이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시스템 구성, 임베디드 시스템, O/S 등의 공통 플랫폼 기술과 통신 프로토콜, I/O 인터페이스 등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및 엑추에이터, 배터리, 카메라, 센서 등 부품 표준화 기술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즉,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상술한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각 구성 요소는 물리적으로 인접한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서로 다른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각 구성 요소는 인접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은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수단 또는 제어실을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에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주사액 주입 장치 101 : 애벌레 지지부
102 : 주사액 주입부 103 : 애벌레 비활성화부
104 : 애벌레 저장부 105 : 제어부
110 : 상부 프레임 112 : 흡착부 지지대
114 : 애벌레 흡착부 116 : 실린더부
118 : 시린지부 119 : 주사액 유입관
120 : 하부 프레임 130 : 애벌레 저장부
140 : 주사액 펌핑부 145 : 펌핑부 지지대
150 : 주사액 저장부 155 : 주사액 유출관
210 : 처리 중 애벌레 220 : 처리 후 애벌레

Claims (8)

  1. 주사액이 주입될 애벌레가 놓이는 애벌레 지지부; 및
    상기 애벌레 지지부에 놓인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주사액 주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애벌레 지지부는,
    상기 애벌레와 결합하는 애벌레 흡착부; 및
    상기 애벌레가 상기 애벌레 흡착부에 흡착되도록 상기 애벌레 흡착부의 공기를 펌핑하는 흡착 펌핑부를 포함하는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 펌핑부는 시린지부의 주사 바늘이 상기 애벌레에서 나오는 경우 상기 공기의 펌핑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사액 주입부는,
    내부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에 결합하며, 일단에 주사 바늘이 결합하고 몸체에 상기 주사액이 수용되어 상기 애벌레에 상기 주사액을 주입하는 시린지부를 포함하는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린지부가 상기 애벌레에 주사 바늘을 꽂을 때 상기 주사액을 상기 시린지부에 펌핑하는 주사액 펌핑부를 더 포함하는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사액은 면역 유도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벌레는 누에 애벌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사액 주입부는 상기 애벌레의 배면부 체강에 상기 주사액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KR1020120123665A 2012-11-02 2012-11-02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KR101471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665A KR101471558B1 (ko) 2012-11-02 2012-11-02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665A KR101471558B1 (ko) 2012-11-02 2012-11-02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704A KR20140058704A (ko) 2014-05-15
KR101471558B1 true KR101471558B1 (ko) 2014-12-15

Family

ID=50888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665A KR101471558B1 (ko) 2012-11-02 2012-11-02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2542A (zh) * 2019-04-22 2019-09-03 嵊州陌桑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工厂化养殖室的自循环式侧向送风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051B1 (ko) * 2013-10-08 2021-03-04 그린테코 주식회사 누에 조성물 및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US11213006B2 (en) * 2014-12-04 2022-01-04 Senecio Ltd. Release method for insect distribution
KR101896842B1 (ko) * 2017-06-08 2018-09-07 그린테코 주식회사 면역유도를 위한 애벌레 대량 생산 자동 주사 장치
KR102074597B1 (ko) * 2018-12-20 2020-02-06 그린테코 주식회사 면역유도 애벌레 대량생산을 위한 면역원 주사 자동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742A (ja) * 1995-08-11 1997-02-25 Toray Ind Inc 蚕への接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742A (ja) * 1995-08-11 1997-02-25 Toray Ind Inc 蚕への接種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2542A (zh) * 2019-04-22 2019-09-03 嵊州陌桑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工厂化养殖室的自循环式侧向送风系统
CN110192542B (zh) * 2019-04-22 2021-07-13 嵊州陌桑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工厂化养殖室的自循环式侧向送风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704A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558B1 (ko)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AU2020260421B2 (en) Automati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substance into an animal
JP5650709B2 (ja) マルチカートリッジ式流体投与装置
CA3023658C (en) Infusion pump system and method with common line auto flush
RU270704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WO2006016952A3 (en) Dosage control for drug delivery system
CN102846407B (zh) 用于禽类两种药物同时注射的自动连续注射装置
JP6982174B2 (ja) 薬物送達デバイスのための滅菌配置
JP2009505739A (ja) ポンプと注射針を備えた卵内接種用送達装置
EP3308812A3 (en) Automatic relay pump system
JP5342558B2 (ja) 卵注入デバイスのための物質分配システム
JP2019524319A (ja) 薬剤送達デバイス
JP2023021388A (ja) ポート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る薬剤送達デバイス
KR101532251B1 (ko) 애벌레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장치
KR20150095651A (ko) 의료용 카트리지에 완충제와 다른 물질들을 첨가하기 위한 기구와 방법
KR101624224B1 (ko) 애벌레 자동 주사 장치
CN211461589U (zh) 一种新型胰岛素注射器
CN102274560A (zh) 注射针
US20230007883A1 (en) Injection pump needle mechanics
CN106725991B (zh) 一种用于家禽类的药物注射装置
Farrant et al. Caerulein-induced pancreatitis in Wistar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