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201B1 -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201B1
KR101471201B1 KR1020080068887A KR20080068887A KR101471201B1 KR 101471201 B1 KR101471201 B1 KR 101471201B1 KR 1020080068887 A KR1020080068887 A KR 1020080068887A KR 20080068887 A KR20080068887 A KR 20080068887A KR 101471201 B1 KR101471201 B1 KR 101471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push rod
rod screw
pad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415A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2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6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both directions for adjusting excessive and insufficient play
    • F16D65/6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both directions for adjusting excessive and insufficient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2065/386Slack adjusters driven electrically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인 EWB(Electro Wedge Brake)는 제동 시 ECU(1) 제어로 제동력(Clamping Force)을 발생하는 동력원인 EWB 액추에이터(2)를 갖춤과 더불어, 에어 갭(Air-Gap)을 유지한 상태에서 휠 디스크에 대한 패드 마모 조정 시 솔레노이드(11)를 통한 구속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스프링(8)을 통한 가압 력으로 너트(6)에서 빠져나온 NSL(Non - Self Locking) 스크류 타입 푸시 로드 스크류(7)가 패드 쪽으로 밀려난 후, 솔레노이드(11)가 푸시 로드 스크류(7)를 다시 구속할 때, 푸시 로드 스크류(7)의 웨지 플랜지(9)에 솔레노이드(11)를 통해 접근해 맞물리는 스위치 레버(12)가 마찰 접촉 력이 크면서 라쳇(Rachet)과 같이 기어 잇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 웨지(Wedge) 결합 구조를 갖음에 따라, 푸시 로드 스크류(7)의 NSL 스크류 리드 크기를 영향을 무시하면서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Resolution)을 영(0)으로 형성할 수 있어, 휠 디스크에 대한 패드의 최소 간격인 에어 갭(Air-Gap)을 항상 일정한 값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패드 마모 보정을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웨지, 브레이크, 리솔루션

Description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 조정 장치{Pad abrasion resolution adjusting device for Electric Wedge Brake System}
본 발명은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Brake System)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동장치이다.
이러한 브레이크는 통상 운동에너지를 마찰력을 이용해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것을 대기 속으로 방출시켜 제동작용을 하는 마찰식 브레이크가 사용되는데 이는,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를 그 양쪽에서 패드가 유압에 의하여 눌려지면서 제동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압 식 브레이크는 제동 시 유압을 이용하여 패드를 강하게 디스크 쪽으로 밀어 주는 방식으로 구현됨에 따라, 페달 조작 력을 배력 하는 부스터를 통해 작동되어 유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와, 휠 실린더 쪽으로 이어지는 유압 라인은 물론, 이들을 제어하고 보조하는 각종 장치들로 복잡한 구성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고, 이러한 구성의 복잡함과 유압 사용에 따른 제동 성능의 신뢰성가 안정성 강화에 어느 정도 한계성이 있을 수밖에 취약성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유압 식 브레이크가 갖지 못하는 구성의 단순함을 가져오고 제동 성능의 신뢰성 강화와 주차 브레이크 작용도 함께 구현할 수 있음과 더불어, ABS(Anti Brake System)의 응답성과 성능 향상과 더 나아가 통합 섀시 제어를 최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전자 웨지 브레이크(EWB, Electro Wedge Brake) 시스템을 개발 및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자 웨지 브레이크인 EWB는 제동 시, 액추에이터를 통해 작동되는 웨지 조립체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 쪽으로 가압 함에 따라 마찰시킴으로 써 제동 작용을 구현하는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EWB는 12V의 전압(Voltage)을 사용하는 모터(Motor)를 이용하더라도 유압 식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EWB가 웨지(Wedge)현상을 이용한 자체 힘 배력(Self-Energizing)작용을 구현하기 때문으로 즉,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웨지가 이동해 패드를 가압 함과 더불어 패드와 디스크간 마찰력이 추가적인 입력(Input Force)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이러한 웨지 구조에 따른 작용으로 모터에 의한 힘이 작더라도 큰 제동력을 구현 할 수 있고, 이는 1개의 모터 사용만으로 도 충분한 제동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이러한 EWB는 제동 시나 패드 마모 보정 시 및 전동 주차 브레이크인 EPB(Electro Parking Brake) 구현 시, NSL(Non - Self Locking)타입 스크류를 구속하거나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를 더 구비하는데, 이러한 솔레노이드는 온(On)시 스프링을 통해 지속적인 전진 이동력을 받는 NSL(Non - Self Locking)타입 푸시 로드 스크류 부위를 구속해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일례로, 솔레노이드의 푸시 로드 스크류 부위 구속을 위해 통상적으로, 푸시 로드 스크류 부위에 라쳇(Ratchet)을 형성하고, 상기 라쳇에 맞물리는 레버가 솔레노이드의 온·오프(On·Off)에 따라 구속이나 해제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를 통해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되는 푸시 로드 스크류는 휠 디스크에 대한 패드 설정 간격 즉, 패드 마모 시 푸시 로드 스크류의 전진 이동을 통해 에어 갭(Air Gap)을 고려한 설정 간격 이내 유지 작용을 하게 되며, 이러한 조정 작업은 솔레노이드와 레버 및 라쳇 간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푸시 로드 스크류의 전진 이동을 통한 패드 마모 조정 정도는 구조에 기인한 한계가 있게 되는데 즉, 라쳇이 푸시 로드 스크류와 함께 회전하면서 전진 이동되고, 솔레노이드의 작용으로 레버가 라쳇에 맞물려 푸시 로드 스크류를 구속해 주는 방식으로 구현됨에 따라,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Resolution)이 푸시 로드 스크류의 리드 길이(Lead Length)와 더불어 라쳇의 기어 잇수에 의존하는 한계가 있게 된다.
이는 패드와 휠 디스크 간 필요한 간극인 에어 갭(Air Gap)의 변동을 발생시켜주게 되는데 즉, 패드 마모 보정을 위해 푸시 로드 스크류가 회전되면서 전진 이동된 후 레버가 라쳇에 맞물릴 때, 라쳇의 기어 잇수와 스크류 리드 크기로 인해 에어 갭(Air Gap)을 유지하는 위치에서 맞물리지 않고 더 전진되거나, 후퇴되는 위치를 발생시킬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항상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에어 갭(Air Gap)이 일정 범위에서 변동되는 취약성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전자 웨지 브레이크(EWB, Electro Wedge Brake)를 이루면서 스프링의 가압 력을 받아 패드를 전진 이동시키는 NSL(Non - Self Locking)타입 푸시 로드 스크류를 강제 구속해 마모 보정을 구현할 때, 웨지(Wedge)구조의 마찰력을 이용해 푸시 로드 스크류를 구속해 줌에 따라, 푸시 로드 스크류 부위가 갖는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Resolution)을 영(0)으로 형성할 수 있어, 휠 디스크에 대한 패드의 최소 간격인 에어 갭(Air-Gap)을 항상 일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 조정 장치가 에어 갭(Air-Gap)을 유지한 상태에서 휠 디스크에 대한 패드 마모 조정 시 솔레노이드(11)를 통한 구속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스프링(8)을 통한 가압 력으로 너트에서 빠져나온 NSL(Non - Self Locking) 스크류 타입 푸시 로드 스크류가 패드 쪽으로 밀려난 후, 솔레노이드가 푸시 로드 스크류를 다시 구속할 때, 푸시 로드 스크류부위가 웨지(Wedge) 단면 구조를 통해 마찰력으로 강제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웨지 구조는 NSL(Non - Self Locking)타입 너트에 결합되어져, 스프링을 통한 지속적인 가압 력을 받는 NSL 스크류 타입 푸시 로드 스크류에 동 축 상으로 형성된 웨지 플랜지의 테두리 전 둘레를 따라, 웨지 단면으로 파여진 피 메일 웨지와,
전원 공급(On) 시 로드를 인출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통해 상기 웨지 플랜지의 피 메일 웨지쪽으로 접근해 맞물리도록, 스위치 레버의 끝단 부위를 이루는 결합단에 웨지 형상을 이루는 메일 웨지
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푸시 로드 스크류가 일반 탄소 강 재질로 이루어지고, 피 메일 웨지가 파여진 웨지 플랜지는 고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웨지 브레이크(EWB, Electro Wedge Brake)를 이루는 솔레노이드의 전원 공급에 따른 NSL(Non - Self Locking)타입 푸시 로드 스크류에 대한 강제 구속 시, 푸시 로드 스크류에 구비된 래치와 이에 맞물리는 스위치 레버가 웨지(Wedge)구조를 이룸에 따라, 푸시 로드 스크류가 구속될 때 서로 맞물리는 래치와 스위치 레버의 강화된 마찰력으로 푸시 로드 스크류 부위가 갖는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Resolution)을 영(0)으로 형성할 수 있어, 휠 디스크에 대한 패드의 최소 간격인 에어 갭(Air-Gap)을 항상 일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 조정 장치를 갖춘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의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인 EWB(Electro Wedge Brake)는 제동 시 ECU(1) 제어를 통해, 제동력(Clamping Force)을 발생하는 동력원인 EWB 액추에이터(2)와, 상기 EWB 액추에이터(2)의 작동으로 캘리퍼(4)에 구비된 한 쌍의 패드가 휠 디스크 쪽으로 밀착 가압된 상태에서 패드 쪽으로 이동되고, 페일-세이프(Fail-Safe)와 패드 설정간격 유지 및 주차 제동을 위해 연계 작동 되는 NSL(Non - Self Locking)타입 스크류 결합 된 어저스터(5) 및 전원 공급된 솔레노이드(11)의 작용으로 상기 어저스터(5)를 구속할 때, 마찰력이 크게 발생되는 웨지(Wedge) 구조를 이용하는 구속 제어 부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ECU(1)는 조작되는 전자 페달의 답입량 정보와 더불어, 차량에 장착된 요 모멘트 센서를 통한 차량 자세 정보등을 제공받아, 제동 시 요구되는 제어를 구현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액추에이터(2)는 발생된 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함과 더불어, 휠 디스크 쪽으로 패드를 밀러 줄 때 가압 력을 배력시키는 웨지 효과(Wedge Effect)를 발생하는 웨지 앗세이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웨지 앗세이는 롤 러가 웨지 단면을 따라 구르면서 패드를 더 밀어주는 입력(Input Force)을 증폭하는 자기 배력(Self-Energizing)작용을 구현하는 방식이며, 이는 EWB의 일반적인 구성이다.
또한, 페일-세이프(Fail-Safe)와 패드 마모 보정 및 주차 제동에 대한 연계 작동을 구현하는 어저스터(5)도 EWB의 일반적이고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며, 이는 통상적으로 NSL(Non - Self Locking)타입 스크류 결합 된 너트(6)와 푸시 로드 스크류(7) 및 푸시 로드 스크류(7)에 지속적인 가압력을 가하는 스프링(8)으로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푸시 로드 스크류(7)의 선단 부위로는 트러스트 타입 베어링(10)을 구비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저스터(5)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구속 제어 부는 푸시 로드 스크류(7)에는 풀려나가는 푸시 로드 스크류(7)를 구속하기 위해 동심원으로 일체로 형성된 웨지 플랜지(9)와, 전원 공급 시 로드를 인출시키는 솔레노이드(11) 및 상기 솔레노이드(11)에서 인출되는 로드를 통해 웨지 플랜지(9)쪽으로 접근해 맞물리는 스위치 레버(12)로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웨지 플랜지(9)와 스위치 레버(12)는 웨지(Wedge) 결합 구조를 갖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 플랜지(9)에 그 둘레를 따라 웨지(Wedge)단면 형상을 갖도록 파여진 피메일 웨지(9a)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레버(12)의 끝단 부위를 이루는 결합단(12a)에는 피메일 웨지(9a)에 끼워져 마찰력을 발생하는 메일 웨지(12b)가 형성된다.
즉, 상기 웨지 플랜지(9)의 피메일 웨지(9a)로 스위치 레버(12)의 메일 웨 지(12b)가 끼워지면, 상기 피메일 웨지(9a)에 입력을 가하는 메일 웨지(12b)에 대한 반력(Fi)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피메일 웨지(9a)에는 메일 웨지(12b)에 의한 수직 항력(Fn)이 발생하게 되어, 푸시 로드 스크류(7)의 회전이 웨지 플랜지(9)의 구속으로 멈추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웨지 플랜지(9)와 스위치 레버(12)가 갖는 피메일 웨지(9a)와 메일 웨지(12b)의 웨지(Wedge) 구조는 마찰력 크기 즉, 웨지 플랜지(9)에 발생하는 수직 항력(Fn)의 크기 변화가 용이한데 이는, 피메일 웨지(9a)와 이에 맞물리는 메일 웨지(12b)간 웨지 단면 각도에 변화를 주어 마찰력을 크게 함에 따라 용이하게 변화를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인 EWB(Electro Wedge Brake)는 제동 시 ECU(1) 제어로 제동력(Clamping Force)을 발생하는 동력원인 EWB 액추에이터(2)를 갖춤과 더불어, 에어 갭(Air-Gap)을 유지한 상태에서 휠 디스크에 대한 패드 마모 조정 시 솔레노이드(11)를 통한 구속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스프링(8)을 통한 가압 력으로 너트(6)에서 빠져나온 NSL(Non - Self Locking) 스크류 타입 푸시 로드 스크류(7)가 패드 쪽으로 밀려난 후, 솔레노이드(11)가 푸시 로드 스크류(7)를 다시 구속할 때, 푸시 로드 스크류(7)의 웨지 플랜지(9)에 솔레노이드(11)를 통해 접근해 맞물리는 스위치 레버(12)가 마찰 접촉 력이 크면서 라쳇(Rachet)과 같이 기어 잇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 웨지(Wedge) 결합 구조를 갖음에 따라, 푸시 로드 스크류(7)의 NSL 스크류 리드 크기를 영향을 무시하면서 패드 마 모 보정 리솔루션(Resolution)을 영(0)으로 형성할 수 있어, 휠 디스크에 대한 패드의 최소 간격인 에어 갭(Air-Gap)을 항상 일정한 값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패드 마모 보정을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EWB는 EWB는 캘리퍼(4)에 결합된 하우징을 이용해 ECU(1) 제어되도록 장착되어, 제동력(Clamping Force)을 발생하는 동력원인 모터를 구비한 EWB 액추에이터(2)와 더불어, 모터의 회전에서 전환된 직직 이동력으로 롤러가 웨지 단면을 따라 구르면서 형성되는 자기 배력(Self-Energizing)작용을 통한 추가적인 패드 부가 입력(Input Force)을 발생하는 웨지 앗세이(3)로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EWB에는 제동 시 휠 디스크 쪽으로 밀착 가압 된 패드 쪽으로 밀착되어 제동 반력을 흡수하면서, 페일-세이프(Fail-Safe)와 패드 설정간격 유지 및 주차 제동을 위해 연계 작동되는 NSL(Non - Self Locking)스크류 타입 너트(6)와 푸시 로드 스크류(7)를 구비한 어저스터(5)를 더 갖춤과 더불어, 전원 공급 시 상기 푸시 로드 스크류(7)에 형성된 웨지(Wedge) 단면 구조의 웨지 플랜지(9)에 맞물려 푸시 로드 스크류(7)의 이동을 강제로 구속하도록, 웨지(Wedge) 형상의 스위치 레버(12)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11)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패드 마모 보정이 완료된 후, 웨지 플랜지(9)와 스위치 레버(12)간 웨지(Wedge) 구조를 이용한 마찰력으로 강제 구속되는 NSL 타입 푸시 로드 스크류(7)의 작동 구현은 EWB의 제동 작동 구현 시 작동하지 않게 되므로, 통상적인 EWB의 작동 설명 없이 패드 마모 보정 작동에 국한되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EWB에서 구현되는 패드 설정 간격 유지는 패드와 디스크(5)간에 설정된 간격(Clearance)을 패드 마모 시, 초기 조립 상태와 같이 에어 갭(Air-Gap)을 갖는 상태로 항상 유지해주는 기능으로서, 엔진 시동 시마다 패드를 휠 디스크간 간격을 이동시켜 설정 간격 유지를 위한 조정을 하거나 또는, ECU(1)가 패드 마모를 감지해 구현하는 방식을 적용하며, 그 구현 과정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일례로, 엔진 시동 시 ECU(1)는 EWB 액추에이터(2)를 구동 해, EWB 액추에이터(2)의 동력으로 웨지 앗세이(3)가 이동되면서 패드를 휠 디스크 쪽으로 밀게 되는데, 이때 NSL 타입 푸시 로드 스크류(7)는 솔레노이드(11)를 통해 강제 구속된 상태 즉, 스위치 레버(12)가 솔레노이드(11)를 통해 푸시 로드 스크류(7)의 웨지 플랜지(9)쪽으로 밀려진 상태에서, 스위치 레버(12)의 메일 웨지(12b)가 푸시 로드 스크류(7)에 형성된 웨지 플랜지(9)의 피 메일 웨지(9a)에 맞물려 푸시 로드 스크류(7)의 이동을 강제로 구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8)의 가압 력을 받는 푸시 로드 스크류(7)가 솔레노이드(11)의 작용으로 구속된 상태에서 패드가 휠 디스크에 밀착되면, 패드는 휠 디스크에 에어 갭(Air-Gap)을 유지한 채 마모 된 패드에 따른 설정 간격 초과를 제거해 준 상태가 된다.
이어, ECU(1)는 솔레노이드(11)의 전원 공급을 차단(Off)시켜 솔레노이드(11)를 통한 NSL 타입 푸시 로드 스크류(7)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푸시 로드 스크류(7)는 스프링(8)의 가압 력을 받아 너트(6)로부터 빠져나오면서 패드 쪽으로 전진 이동되어진다.
이후, ECU(2)는 EWB 액추에이터(2)를 재 구동(정 회전 또는 역회전)해 패드 와 휠 디스크간 조정된 간격(Clearance)이 확립되도록, 웨지 앗세이(3)를 밀거나 또는 당겨 패드와 휠 디스크 사이를 확립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EWB 액추에이터(2)를 통한 패드와 휠 디스크간 조정된 간격(Clearance) 확립과 더불어, 푸시 로드 스크류(7)가 패드 쪽으로 전진 이동해 밀려난 상태가 되면, ECU(1)는 솔레노이드(11)의 로드 인출로 스위치 레버(12)가 푸시 로드 스크류(7)쪽으로 접근되도록 전원을 공급(On)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On)된 솔레노이드(11)를 통해 스위치 레버(12)가 푸시 로드 스크류(7)에 일체로 형성된 웨지 플랜지(9) 쪽으로 접근되면, 상기 스위치 레버(12)의 끝단인 결합단(12a)에 형성된 메일 웨지(12b)가 웨지 플랜지(9)의 피 메일 웨지(9a)쪽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메일 웨지(12b)와 피 메일 웨지(9a)간 맞물림은 마찰력이 크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스위치 레버(12)의 메일 웨지(12b)가 웨지 플랜지(9)의 피 메일 웨지(9a)에 끼워지면서 솔레노이드(11)가 가하는 힘으로 웨지 플랜지(9)를 가압함에 따라, 스위치 레버(12)의 메일 웨지(12b)에 의한 가압 력 즉 반력(Fi) 크기와 웨지 각에 따른 수직 항력(Fn)이 웨지 플랜지(9)쪽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웨지 플랜지(9)에 작용하는 수직 항력(Fn)은 푸시 로드 스크류(7)의 이동 즉, NSL 타입 스크류 특성에 따른 스프링(8)의 가압력 작용이나 외력 작용에 따른 푸시 로드 스크류(7)의 전진이나 후퇴 이동을 구속해주는 구속력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수직 항력(Fn)의 크기는 피 메일 웨지(9a)와 이에 맞물리는 메일 웨지(12b)간 웨지 단면 각도 변화를 통해 조절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 즉, 웨지 플랜지(9)와 스위치 레버(12)가 웨지 구조를 통해 맞물리는 경우, 기어 잇수를 형성한 라쳇 구조 시 발생될 수 있는 패드와 휠 디스크 간 에어 갭(Air Gap)의 변동을 방지하는데, 이는 스위치 레버(12)의 메일 웨지(12a)가 맞물리는 피 메일 웨지(9a)가 웨지 플랜지(9)의 테두리 전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푸시 로드 스크류(7)의 거동 특성인 전진을 위한 회전 정도에 전혀 관계없이 스위치 레버(12)의 맞물림 위치에서 바로 정지됨에 기인하게 된다.
이어, ECU(2)는 패드 마모 보정 시와 반대로 EWB 액추에이터(2)를 구동해 웨지 앗세이(3)를 초기 상태로 전환하여, 제동 작용을 위한 준비 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패드 마모 조정 후 솔레노이드(11)를 통해 구속되는 푸시 로드 스크류(7)는 웨지 구조에 따른 마찰력 강화를 위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일례로, 푸시 로드 스크류(7)와 웨지 플랜지(9)의 재료적 특성을 이용해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로드 스크류(7)에 일체로 형성된 웨지 플랜지(9)를 일반 탄소 강 재질(A)로 형성한 반면, 전 둘레를 따라 웨지(Wedge)단면으로 파여진 피 메일 웨지(9a)가 형성된 웨지 플랜지(9)의 테두리 부위는 고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B)로 형성해 주게 된다.
이때, 고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B)인 웨지 플랜지(9)는 피 메일 웨지(9a)가 형성된 테두리 부위만을 별도로 만들고, 일반 탄소 강 재질(A)인 푸시 로드 스크 류(7)에 웨지 플랜지 부위를 형성하도록 해, 피 메일 웨지(9a)가 형성된 웨지 플랜지(9)부위를 푸시 로드 스크류(7)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 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피 메일 웨지(9a)부위를 고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B)로 만든 웨지 플랜지(9)는 솔레노이드(11)의 작용으로 스위치 레버(12)의 메일 웨지(12b)와 맞물릴 때, 피 메일 웨지(9a)와 메일 웨지(12b)간 마찰력 증대로 수직 항력(Fn)이 보다 큰 값을 갖는 점 이외에 모두 동일한 작동을 구현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 조정 장치를 갖춘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모 보정 리솔루션 조정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로드 스크류의 이종 재질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ECU 2 : 액추에이터
3 : 웨지 앗세이 4 : 캘리퍼
5 : 어저스터 6 : 너트
7 : 푸시 로드 스크류 8 : 스프링
9 : 구속 플랜지 9a : 피메일 웨지
10 : 베어링 11 : 솔레노이드
12 : 스위치 레버 12a : 결합단
12b : 메일 웨지

Claims (5)

  1. 제동력(Clamping Force)을 발생하는 EWB 액추에이터(2); 상기 EWB 액추에이터(2)의 회전을 직선이동으로 전환하도록 스프링(8)과 NSL(Non - Self Locking)타입 너트(6)및 NSL(Non - Self Locking) 스크류 타입 푸시 로드 스크류(7)로 구성된 어저스터(5); 상기 어저스터(5)에 의한 자기 배력(Self-Energizing)작용으로 휠 디스크에 대해 설정된 간격(Clearance)인 에어 갭(Air-Gap)을 갖는 패드를 가압하는 웨지 앗세이(3); 상기 휠 디스크에 대한 패드 마모 조정 시 상기 푸시 로드 스크류(7)가 스프링(8)을 통한 가압 력으로 너트(6)에서 빠져나와 상기 패드 쪽으로 밀려나도록 구속력을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11); 상기 솔레노이드(11)가 상기 푸시 로드 스크류(7)를 다시 구속할 때 상기 푸시 로드 스크류(7)부위를 마찰력으로 강제 구속하는 웨지(Wedge)단면의 웨지 구조가 포함되며,
    상기 웨지 구조는 상기 푸시 로드 스크류(7)에 형성된 웨지 플랜지(9)의 테두리 전 둘레를 따라 웨지 단면으로 파여진 피 메일 웨지(9a)와, 전원 공급(On) 시 인출되는 상기 솔레노이드(11)의 로드로 가압되어 상기 피 메일 웨지(9a)쪽으로 접근하는 스위치 레버(12)의 결합단(12a)에 웨지 형상을 이루어 상기 피 메일 웨지(9a)와 맞물리는 메일 웨지(12b)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 조정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 스크류(7)가 일반 탄소 강 재질(A)로 이루어지고, 상기 웨지 플랜지(9)는 고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B)로 이루어지며, 상기 푸시 로드 스크류(7)가 상기 웨지 플랜지(9)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 조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웨지 플랜지(9)에는 상기 푸시 로드 스크류(7)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 조정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 메일 웨지(9a)는 고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B)로 이루어져 상기 웨지플랜지(9)의 테두리부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 조정 장치.
KR1020080068887A 2008-07-16 2008-07-16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조정 장치 KR101471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887A KR101471201B1 (ko) 2008-07-16 2008-07-16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887A KR101471201B1 (ko) 2008-07-16 2008-07-16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15A KR20100008415A (ko) 2010-01-26
KR101471201B1 true KR101471201B1 (ko) 2014-12-09

Family

ID=4181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887A KR101471201B1 (ko) 2008-07-16 2008-07-16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2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727A (ja) * 2003-06-24 2005-01-20 Robert Bosch Gmbh 自己倍力作用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5529289A (ja) * 2002-04-26 2005-09-29 イーストップ・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パーキングブレーキ機能を備える自動車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そのような自動車ブレーキシステムのための電気機械ホイールブレーキ
KR20070022336A (ko) * 2004-06-19 2007-02-2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셀프-에너자이징 전기 기계식 마찰 브레이크
KR20090040073A (ko) * 2007-10-19 2009-04-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 웨지 브레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9289A (ja) * 2002-04-26 2005-09-29 イーストップ・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パーキングブレーキ機能を備える自動車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そのような自動車ブレーキシステムのための電気機械ホイールブレーキ
JP2005016727A (ja) * 2003-06-24 2005-01-20 Robert Bosch Gmbh 自己倍力作用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
KR20070022336A (ko) * 2004-06-19 2007-02-2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셀프-에너자이징 전기 기계식 마찰 브레이크
KR20090040073A (ko) * 2007-10-19 2009-04-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 웨지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15A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890B1 (ko)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부가 기능 구현 타입 단일 모터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
JP5282012B2 (ja) 安全制動機能を備えた制動装置
KR101511437B1 (ko) 전자기계식 브레이크 장치
JP2005529289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機能を備える自動車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そのような自動車ブレーキシステムのための電気機械ホイールブレーキ
KR20160011283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816396B1 (ko) 전동식 브레이크
KR101977322B1 (ko) 자기 강화 브레이크 캘리퍼
KR20120064451A (ko) 전동 브레이크 장치
JP2004360907A (ja) 機械的な自己倍力装置を備えた摩擦ブレーキ及び摩擦ブレーキを作動させる方法
KR101482270B1 (ko) 기어를 이용한 주차 제동 기능을 갖춘 전동 브레이크 장치
JP2007147081A (ja) ブレーキ装置
KR20090119486A (ko)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패드 간격 조정 방법
JP4191871B2 (ja) ブレーキ装置
US20100258386A1 (en) Self-boosting disk brake
KR101471201B1 (ko)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패드 마모 보정 리솔루션조정 장치
KR20110026588A (ko) 차량의 제동시스템
KR20100030285A (ko) 라쳇을 이용한 주차 제동 기능을 갖춘 전동 브레이크 장치
KR20100030010A (ko) 주차 제동 기능을 갖춘 전동 브레이크 장치
KR101350560B1 (ko) 이중 래치를 이용한 패드 마모 조정 기능을 갖는 단일 모터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
KR101350688B1 (ko) 토크 변환 기어를 이용한 패드 설정 간격 유지 기능을 갖는단일 모터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
KR101329387B1 (ko) 솔레노이드 미케니즘을 이용한 부가 기능 구현 타입 단일모터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
KR20090006970A (ko) 솔레노이드 미케니즘을 이용한 부가 기능 구현 타입 단일모터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
KR101482269B1 (ko) 주차 제동 기능을 갖춘 전동 브레이크 장치
KR101463251B1 (ko)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의 휠 디스크 장착 성 향상 장치
KR20090006969A (ko) 솔레노이드 미케니즘을 이용한 부가 기능 구현 타입 단일모터 전자 웨지 브레이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