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170B1 - 공기 분급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분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170B1
KR101471170B1 KR1020130032403A KR20130032403A KR101471170B1 KR 101471170 B1 KR101471170 B1 KR 101471170B1 KR 1020130032403 A KR1020130032403 A KR 1020130032403A KR 20130032403 A KR20130032403 A KR 20130032403A KR 101471170 B1 KR101471170 B1 KR 101471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ggregate
main body
classifi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223A (ko
Inventor
안두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Priority to KR102013003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17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7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로 유입되는 골재를 공기와 진동 및 순환을 통해 분급시킴으로써, 분급된 골재의 미세입자는 효율적으로 집진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모래를 정밀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분급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분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골재투입부로 투입되는 골재를 1차 분급시키는 1차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유입부; 상기 본체의 중간부 일측에 상기 집진기와 연통형성되어, 분급된 미세입자가 집진기로 집진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어, 1차 분급되어 낙하하는 상기 골재를 2차 분급시키는 2차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기유입부; 상기 2차공기가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2차공기유입구에 구비되어, 1차 분급된 상기 골재를 진동시켜 3차 분급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본체의 중간부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챔버부의 내벽을 따라 상기 골재가 순환되며 4차 분급되도록 상기 챔버부의 중앙에 구비된 순환팬;을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급된 골재의 미세입자는 효율적으로 집진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모래를 정밀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분급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분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Description

공기 분급장치{Air class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공기 분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로 유입되는 건축용 폐자재, 자갈, 모래 또는 미세입자로 이루어진 골재를 공기와 진동 및 순환을 통해 분급시키며 자동화 운전이 가능한 공기 분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급장치는 가공골재나 폐콘크리트를 파쇄하여 미세입자를 집진시켜 일정크기의 모래를 추출할 때 사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분급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23520호와 같이, 도 1을 참조하면, 원석 또는 폐콘크리트를 크라싱프랜트에서 1차 조쇄한 골재를 저장호퍼에서 공급피더와 제사기와 진동선별기와 밀폐된 공기분급기에 이송콘베이어로 이송하여 모래가 생산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호퍼(1)로부터 배출된 1차 조쇄골재를 제사기(3)에 공급하는 밀폐식 공급피더(2)와, 1차 가공골재를 규격 모래로 파쇄하는 밀폐식 제사기(3)와, 제사기에서 파쇄된 골재를 모래규격에 따라 경사식 진동스크린망(6)으로 선별하는 밀폐식 진동선별기(4)와, 진동선별기(4)를 통과한 규격 모래를 상기 밀폐식 공기분급기(5)에 보내어 모래와 미분으로 분리하되, 골재 이송은 덮개로 덮혀져 있거나 이송케이스(7a)(7b)(7c)(7d) 내부에 구비된 이송콘베이어(8a)(8b)(8c)(8d)로 이루어져 작업과정에서 미분이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분급장치는, 진동선별기(4)를 통과한 규격 모래와 함께 미분을 공기분급기(5)에 보내어 모래와 미분을 분리하도록 하고 있으나, 공기분급기(5)를 통해 미분이 모두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래와 미분으로 분리되지 않고 모래배출관(14)으로 그대로 배출되어 작업자가 재차 모래와 미분을 분리해야 하는 등 작업효율이 떨어졌으며, 작업시간도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공개번호 제0523520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로 유입되는 골재를 공기와 진동 및 순환을 통해 분급시킴으로써, 분급된 골재의 미세입자는 효율적으로 집진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모래를 정밀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분급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분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부가 개폐모터를 제어하는 동시에 공기조절모터 및 순환팬의 작동을 자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모래를 크기에 따라 정밀하게 추출 및 그 추출과정을 자동화로 운전시킬 수 있는 공기 분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골재투입부로 투입되는 건축용 폐자재, 자갈, 모래 또는 미세입자로 이루어진 골재가 공기에 의해 분급되고, 분급된 미세입자는 집진기에 의해 집진되고, 분급된 모래는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 분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골재투입부로 투입되는 골재를 1차 분급시키는 1차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유입부; 상기 본체의 중간부 일측에 상기 집진기와 연통형성되어, 분급된 미세입자가 집진기로 집진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어, 1차 분급되어 낙하하는 상기 골재를 2차 분급시키는 2차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기유입부; 상기 2차공기가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2차공기유입구에 구비되어, 1차 분급된 상기 골재를 진동시켜 3차 분급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본체의 중간부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챔버부의 내벽을 따라 상기 골재가 순환되며 4차 분급되도록 상기 챔버부의 중앙에 구비된 순환팬;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골재투입부로 투입된 골재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개폐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개폐축과, 상기 개폐축에 고정결합되어 개폐축과 일체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의 개폐크기가 조절되는 조절판을 포함하는 개폐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와 연통된 연결관의 연결입구에 다수개가 적층되며 결합된 격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리판은, 상기 연결입구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각각 기울어진 각도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부는, 상기 2차공기유입구에 구비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하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캠축 및 상기 캠축에 고정결합되어 캠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타원형상의 진동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공기유입부와 제2공기유입부는,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공기조절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공기조절축과, 상기 공기조절축에 고정결합되어 공기조절축과 일체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는 제1댐프 또는 제2댐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로 골재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개폐크기를 조절하는 조절판이 결합된 개폐축을 회전시키는 개폐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개폐모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입구의 개폐크기가 조절되면 제1공기유입부와 제2공기유입부에 각각 구비된 조절날개가 결합된 공기조절축을 회전시키는 공기조절모터를 자동제어하여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1차공기와 2차공기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순환팬의 출력을 자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로 유입되는 골재를 공기와 진동 및 순환을 통해 분급시킴으로써, 분급된 골재의 미세입자는 효율적으로 집진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모래를 정밀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분급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분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가 개폐모터를 제어하는 동시에 공기조절모터 및 순환팬의 작동을 자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모래를 크기에 따라 정밀하게 추출 및 그 추출과정을 자동화로 운전시킬 수 있는 공기 분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챔버부의 내벽에 내마모 코팅기술에 의한 코팅이 이루어져 챔버부가 골재에 의한 마모가 이루어지지 않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공기 분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와 집진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를 나타낸 정면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의 개폐조절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의 개폐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의 제1공기유입부, 제2공기유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의 진동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의 진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의 순환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 분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와 집진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체(101)의 상부에 형성된 골재투입부(102)로 투입되는 건축용 폐자재, 자갈, 모래 또는 미세입자로 이루어진 골재가 공기에 의해 건축용 폐자재, 자갈, 모래 또는 미세입자로 분급되고, 분급된 미세입자는 집진기(200)에 의해 집진되고, 분급된 모래는 본체(101)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04)로 배출되는 공기 분급장치(100)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를 나타낸 정면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의 개폐조절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의 개폐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의 제1공기유입부, 제2공기유입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의 진동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의 진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의 순환팬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100)는 개폐조절부(110), 제1공기유입부(120), 연결관(130), 제2공기유입부(140), 진동부(150) 및 순환팬(160)을 포함한다.
먼저, 개폐조절부(110)는, 개폐축(112)과 조절판(114)을 포함한다.(도 5참조)
개폐축(112)은 골재투입부(101)로 투입된 골재가 본체(10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골재유입구(103)에 형성되어 본체(101)의 외부에 설치된 개폐모터(116)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여기서, 개폐모터(116)는 후술할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개폐축(112)을 정회전과 역회전을 시킨다.
조절판(114)은, 개폐축(112)에 고정결합되어 개폐축(112)과 일체로 회전됨에 따라 골재유입구(103)의 개폐크기가 조절된다.
제1공기유입부(120)는, 본체(101)의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제1공기유입부(120)는 골재투입부(101)로 투입되는 골재를 1차 분급시키는 1차공기가 유입된다.
제1공기유입부(120)는 공기조절축(122)과 제1댐프(124)를 포함한다.
공기조절축(122)은, 제1공기유입부(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본체(101)의 외부에 설치된 공기조절모터(126)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즉, 공기조절축(122)은 공기조절모터(126)에 연결 또는 결합되고, 공기조절모터(126)의 작동에 따라 회전가능하다.
제1댐프(124)는 공기조절축(122)에 고정결합되어 공기조절축(122)과 일체로 회전된다.
즉, 제1댐프(124)는 공기조절축(122)과 일체로 회전됨에 따라 본체(101)로 유입되는 1차공기유입구(128)의 개폐크기를 조절하여 그 1차공기유입구(128)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제1공기유입부(120)에 유입되는 공기의 조절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후술할 제어부가 공기조절모터(126)를 제어하여 제1공기유입부(120)에 구비된 공기조절축(122)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미리 설정된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키면, 공기조절축(122)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댐프(124)가 1차공기유입구(128)의 1차공기의 유입방향과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어, 1차공기유입구(128)가 폐쇄된다. 반대로, 후술할 제어부가 공기조절모터(126)를 제어하여 제1공기유입부(120)에 구비된 공기조절축(122)을 역회전 또는 정회전으로 미리 설정된 일정각도만큼 공기조절축(122)을 회전시키면, 공기조절축(122)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댐프(124)가 1차공기유입구(128)의 1차 공기 유입방향과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어, 1차공기유입구(128)가 완전 개방된다. 여기서, 제어부의 공기조절모터(126)의 제어에 따라 1차공기유입구(128)의 개폐크기는 조절될 수 있어 1차공기의 유입양이 조절될 수 있다.
연결관(130)은, 본체(101)의 중간부 일측에 집진기(200)와 연통형성된다.
즉, 연결관(130)은 집진기(200)와 연결되어 분급된 미세입자가 집진기(200)로 집진되는 관이다.
이때, 연결관(130)에 연결된 집진기(200)는 일정세기의 흡입력으로 미세입자를 집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100)는 격리판(170)을 더 포함한다.
격리판(170)은, 본체(101)와 연통된 연결관(130)의 연결입구(132)에 다수개가 적층되며 결합된다.
또한, 격리판(170)은, 연결입구(132)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각각 기울어진 각도가 커지게 적층되며 결합되어, 분급된 건축용 폐자재, 자갈, 모래 또는 미세입자 모래가 집진기(200)로 집진되지 않게 차단하고 미세입자만 집진기(200)로 집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격리판(170)끼리 벌어지는 틈(172)은, 연결입구(132)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으로, 연결입구(132)의 상부보다는 하부에서 보다 작은 미세입자가 틈(172)으로 빠져 나가면서 집진기(200)로 집진된다.
특히, 연결입구(132)의 하부에 결합된 격리판(170)끼리 벌어진 틈(172)이 연결입구(132)의 상부보다 작은 이유는, 후술할 제2공기유입부(140)로 유입되는 2차공기로 골재가 2차 분급되고, 후술할 진동부(150)에 의해 골재가 3차 분급될 때, 분급된 미세입자와 모래 중, 모래가 집진기(200)로 최대한 집진되지 않고 미세입자만 집진되기 위한 것이다.
제2공기유입부(140)는, 연결관(130)과 배출구(104)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제2공기유입부(140)는 1차 분급되어 낙하하는 골재를 2차 분급시키는 2차공기가 유입된다.
즉, 제2공기유입부(140)로 2차 공기를 유입시켜 골재를 2차 분급시키는 것은, 골재가 1차 분급과정에서 모래와 미세분자로 분급되지 못한 골재를 재차 분급시켜 분급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2공기유입부(140)로 유입되는 2차 공기의 일부는 후술할 순환팬(160)에 의해 챔버부(105)의 내벽을 따라 순환되고, 일부는 집진기(200)에서 흡입하는 흡입력에 의해 연결입구(132)로 이동되는 동시에, 후술할 진동부(150)에 의해 재차 분급될 수도 있다. 이렇게 2차 분급, 진동부(150)에 의한 3차 분급 및 순환팬(160)에 의한 4차 분급된 미세입자는 집진기(200)로 집진되어 골재의 분급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제2공기유입부(140)는 공기조절축(142)과 제2댐프(144) 및 공기조절모터(146)를 포함하며, 제2공기유입부(1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제1공기유입부(120)에 구비된 공기조절축(122)과 제1댐프(124) 및 공기조절모터(126)와 동일한 기능을 하고, 작동 또한 후술할 제부에 의해 제어됨이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진동부(150)는, 2차 공기가 본체(101)로 유입되는 2차공기유입구(148)에 구비되어, 1차 분급된 골재를 진동시켜 3차 분급시킨다.
진동부(150)는, 고정축(152), 진동판(154), 캠축(156) 및 진동캠(158)을 포함한다.(도 8 및 도 9 참조)
고정축(152)은 2차공기유입구(148)에 구비되어 고정된다.
진동판(154)은 고정축(1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진동판(154)은 하측면에 구비된 캠축(156)에 의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축(152)에 결합되고, 상측면으로 1차 분급되어 낙하하는 골재가 떨어진다.
캠축(156)은 진동판(154)의 하측부에 구비되되, 진동판(154)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축(152)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캠축(156)은 본체(101)의 외부에 설치된 회전모터(159)에 의해 회전된다.
진동캠(158)은 달걀과 같은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캠축(156)에 고정결합되어 캠축(156)의 회전에 따라 캠축(156)과 일체로 회전하며 진동판(154)을 진동시킨다.
즉, 진동판(154)은 고정축(152)을 중심으로 진동캠(158)의 회전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그 진동으로 진동판(154)의 상측면에 떨어지는 1차 분급된 골재를 재차 분급시키는 것이다.
순환팬(160)은, 본체(101)의 중간부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챔버부(105)의 내벽을 따라 골재가 순환되도록 챔버부(105)의 중앙에 구비된다.
여기서, 분급된 골재는 챔버부(105)의 내벽을 따라 순환되는 과정에서 4차 분급되고, 챔버부(105)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할 때 연결입구(132)를 지나가며 낙하하게 되는데, 4차 분급되는 골재의 미세입자는 집진기(200)에 집진된다.
그리고, 챔버부(105)의 내벽에는 골재에 의한 마모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내마코 코팅기술에 의한 코팅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순환팬(160)은, 순환모터(166)와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순환축(162)과, 순환축(162)에 결합된 순환날개(1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순환날개(164)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순환축(162)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분급장치(100)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본체(101)의 내부로 골재가 유입되는 골재유입구(103)의 개폐크기를 조절하는 조절판(114)이 결합된 개폐축(112)을 회전시키는 개폐모터(116)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개폐모터(116)의 제어를 통해 골재유입구(103)의 개폐크기가 조절되면 제1공기유입부와 제2공기유입부에 각각 구비된 제1댐프(124)가 결합된 공기조절축(122)을 회전시키는 공기조절모터(126)를 자동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공기조절축(122)을 제어하여 본체(101)로 유입되는 1차공기와 2차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더불어, 제어부는 순환팬(160)의 출력을 자동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다른 공기 분급장치(100)는, 본체(101)로 유입되는 골재를 공기와 진동 및 순환에 의해 분급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분급된 골재의 미세입자는 효율적으로 집진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모래를 추출할 수 있어 분급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공기 분급장치 101: 본체
102: 골재투입부 103: 골재유입구
104: 배출구 105: 챔버부
110: 개폐조절부 112: 개폐축
114: 조절판 116: 개폐모터
120: 제1공기유입부 122, 142: 공기조절축
124: 제1댐프 126, 146: 공기조절모터
128: 1차공기유입구 130: 연결관
132: 연결입구 140: 제2공기유입부
144: 제2댐프 148: 2차공기유입구
150: 진동부 152: 고정축
154: 진동판 156: 캠축
158: 진동캠 159: 회전모터
160: 순환팬 162: 순환축
164: 순환날개 166: 순환모터
170: 격리판 172: 틈
200: 집진기

Claims (6)

  1.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골재투입부로 투입되는 건축용 폐자재, 자갈, 모래 또는 미세입자로 이루어진 골재가 공기에 의해 분급되고, 분급된 미세입자는 집진기에 의해 집진되고, 분급된 모래는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 분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골재투입부(102)로 투입되는 골재를 1차 분급시키는 1차공기가 유입되는 제1공기유입부(120);
    상기 본체(101)의 중간부 일측에 상기 집진기(200)와 연통형성되어, 분급된 미세입자가 집진기(200)로 집진되는 연결관(130);
    상기 연결관(130)과 배출구(104) 사이에 형성되어, 1차 분급되어 낙하하는 상기 골재를 2차 분급시키는 2차공기가 유입되는 제2공기유입부(140);
    상기 2차공기가 상기 본체(101)로 유입되는 2차공기유입구(148)에 구비되어, 1차 분급된 상기 골재를 진동시켜 3차 분급시키는 진동부(150); 및
    상기 본체(101)의 중간부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챔버부(105)의 내벽을 따라 상기 골재가 순환되며 4차 분급되도록 상기 챔버부(105)의 중앙에 구비된 순환팬(16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1)와 연통된 연결관(130)의 연결입구(132)에 다수개가 적층되며 결합된 격리판(1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리판(170)은, 상기 연결입구(132)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각각 기울어진 각도가 커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진동부(150)는,
    상기 2차공기유입구(148)에 구비된 고정축(152)과,
    상기 고정축(1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진동판(154)과,
    상기 진동판(154)의 하측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1)의 외부에 설치된 회전모터(159)에 의해 회전되는 캠축(156) 및
    상기 캠축(156)에 고정결합되어 캠축(15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진동판(154)을 진동시키는 타원형상의 진동캠(158)을 포함하는 공기 분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투입부(102)로 투입된 골재가 상기 본체(101)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1)의 외부에 설치된 개폐모터(116)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개폐축(112)과,
    상기 개폐축(112)에 고정결합되어 개폐축(112)과 일체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의 개폐크기가 조절되는 조절판(114)을 포함하는 개폐조절부(110);를 더 포함하는 공기 분급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유입부(120) 또는 제2공기유입부(140)는,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1)의 외부에 설치된 공기조절모터(126, 146)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공기조절축(122, 142)과, 상기 공기조절축(122, 142)에 고정결합되어 공기조절축(122, 142)과 일체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본체(101)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는 제1댐프(124) 또는 제2댐프(144)를 포함하는 공기 분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의 내부로 골재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개폐크기를 조절하는 조절판(114)이 결합된 개폐축(112)을 회전시키는 개폐모터(116)를 제어하고, 상기 개폐모터(116)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입구의 개폐크기가 조절되면 제1공기유입부(120)와 제2공기유입부(140)에 각각 구비된 조절날개가 결합된 공기조절축(122, 142)을 회전시키는 공기조절모터(126, 146)를 자동제어하여 상기 본체(101)로 유입되는 1차공기와 2차공기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순환팬(160)의 출력을 자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 분급장치.
KR1020130032403A 2013-03-26 2013-03-26 공기 분급장치 KR101471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403A KR101471170B1 (ko) 2013-03-26 2013-03-26 공기 분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403A KR101471170B1 (ko) 2013-03-26 2013-03-26 공기 분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223A KR20140117223A (ko) 2014-10-07
KR101471170B1 true KR101471170B1 (ko) 2014-12-11

Family

ID=5199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403A KR101471170B1 (ko) 2013-03-26 2013-03-26 공기 분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081B1 (ko) * 2018-11-20 2019-06-10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351A (ja) * 2002-01-30 2003-08-05 Kotobuki Sangyo Kk タイヤの粉砕物の分離選別機
JP3613474B2 (ja) * 1992-07-18 2005-01-26 ドイツ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粒状原料の分級機と、それを組み込んだ粉砕システム
JP3744628B2 (ja) * 1996-11-25 2006-02-15 株式会社サタケ 比重選別機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28212B1 (ko) * 2005-09-30 2006-09-25 주식회사 신텍 양방향 다중 콘베어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3474B2 (ja) * 1992-07-18 2005-01-26 ドイツ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粒状原料の分級機と、それを組み込んだ粉砕システム
JP3744628B2 (ja) * 1996-11-25 2006-02-15 株式会社サタケ 比重選別機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3220351A (ja) * 2002-01-30 2003-08-05 Kotobuki Sangyo Kk タイヤの粉砕物の分離選別機
KR100628212B1 (ko) * 2005-09-30 2006-09-25 주식회사 신텍 양방향 다중 콘베어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223A (ko)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212898A1 (ja) セパレータ装置及びショット処理装置
US7780012B2 (en) Classifier for granular material
JP6570273B2 (ja) 分級機能付粉砕装置
KR101616633B1 (ko) 건식 모래용 분급기
CN100522393C (zh) 粗颗粒选粉机
WO2022041893A1 (zh) 一种电气控制的自动化筛选机及筛选方法
JP5376735B1 (ja) ペレットの冷却および篩い分けおよび搬送装置
KR101471170B1 (ko) 공기 분급장치
US9555445B1 (en) Rotating suction chamber apparatus
RU2386489C1 (ru) Пневмоклассификатор
US9527112B2 (en) Dynamic separator for pulverulent materials
CN203556562U (zh) 三分级选粉机
MXPA97002608A (en) Efficient production of gypsum calcinated by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fine and
CN205495994U (zh) 一种茶叶加工快速分选机
CN110662610A (zh) 粉体的分级装置和分级系统
CN203991309U (zh) 一种筛分选粉装置
KR101695000B1 (ko) 분체형 연원료용 분급장치
CN114871100A (zh) 一种组合式空气动力三级分选设备及其调节方法
CN114007751A (zh) 粉碎系统的运转方法及粉体的制造方法
CN106140432A (zh) 一种砂石筛分装置
CN109731785A (zh) 一种矿石粉多级分选系统
JP2001046897A (ja) セメントクリンカの粉砕装置
CN204583500U (zh) 选粉机
JPH05301080A (ja) 砕砂ダスト除去装置
KR20230127617A (ko) 분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