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013B1 - 소변기용 수전매몰함 - Google Patents

소변기용 수전매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013B1
KR101471013B1 KR1020130012170A KR20130012170A KR101471013B1 KR 101471013 B1 KR101471013 B1 KR 101471013B1 KR 1020130012170 A KR1020130012170 A KR 1020130012170A KR 20130012170 A KR20130012170 A KR 20130012170A KR 101471013 B1 KR101471013 B1 KR 101471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shing water
water supply
front open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9597A (ko
Inventor
강옥수
Original Assignee
강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옥수 filed Critical 강옥수
Priority to KR1020130012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013B1/ko
Publication of KR20140099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46Mechanical actuating mean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변기용 수전매몰함에 있어서, 저부와 네 측벽을 가진 내부수용부와, 상기 내부수용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내부수용부로 접근가능한 전면개구를 갖는 매몰함본체와; 상기 매몰함본체에서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통된 배관공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체결숫나사부가 형성된 보호관접속체결부와, 상기 체결숫나사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보호관을 상기 보호관접속체결부에 연결시키는 보호관체결캡을 갖는 보호관접속부와;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배관공을 통해 도입된 급수배관과 접속되는 접속공을 갖는 급수조인트와; 상기 급수조인트로 유입된 세척수의 배출을 위해 상기 전면개구 방향으로 세척수배관과의 연결을 위한 배관공을 갖는 세척수배관접속부와; 상기 급수조인트와 상기 세척수배관접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세척수의 공급개폐를 조절하는 전동밸브와; 상기 전면개구를 차단하여 상기 세척수배관접속부와 연결되는 연결공을 갖는 외부커버와; 상기 외부커버를 통해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수전매몰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의해 수전매몰함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며, 배관의 보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변기용 수전매몰함 {LANDFILL BOX FOR A URINAL}
본 발명은 소변기용 수전매몰함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에 설치된 소변기는 사용자가 소변기의 정면에 서면 소변기의 수전함에 장착된 감지센서가 사용자를 감지하여 소변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변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는 외부의 급수배관에서 급수배관과 연결된 수전함 내의 조인트를 지나 소변기와 연결된 세척수배관을 통해 공급된다.
이러한 수전함은 소변기의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시각적 혹은 공간활용적인 이유로 벽체에 매몰되는 경우도 있다.
벽체 매몰형의 수전함에서는 그에 연결되는 급수배관도 벽체에 매몰되어 있으며, 세척수 배출을 위한 세척수배관도 일부는 벽체에 매몰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매몰형 수전함은 그 조립 및 설치 작업과 배관의 결속, 유지보수 등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급수배관이나 세척수배관이 노후화되거나 손상될 경우 이를 보수 혹은 교체하기 위한 작업도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전매몰함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며, 배관 보수가 가능한 소변기용 수전매몰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변기용 수전매몰함에 있어서, 저부와 네 측벽을 가진 내부수용부와, 상기 내부수용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내부수용부로 접근가능한 전면개구를 갖는 매몰함본체와; 상기 매몰함본체에서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통된 배관공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체결숫나사부가 형성된 보호관접속체결부와, 상기 체결숫나사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보호관을 상기 보호관접속체결부에 연결시키는 보호관체결캡을 갖는 보호관접속부와;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배관공을 통해 도입된 급수배관과 접속되는 접속공을 갖는 급수조인트와; 상기 급수조인트로 유입된 세척수의 배출을 위해 상기 전면개구 방향으로 세척수배관과의 연결을 위한 배관공을 갖는 세척수배관접속부와; 상기 급수조인트와 상기 세척수배관접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세척수의 공급개폐를 조절하는 전동밸브와; 상기 전면개구를 차단하여 상기 세척수배관접속부와 연결되는 연결공을 갖는 외부커버와; 상기 외부커버를 통해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수전매몰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측벽에 전달보호관과 상기 매몰함본체의 결합을 위한 전달보호관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동밸브,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공급을 위해 상기 매몰함본체의 상기 측벽에 전기배관의 연결을 위한 인입접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동밸브,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 분기를 위해 전달인입접속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 내장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소개구를 가지며 상기 매몰함본체의 상기 전면개구에 결합되는 내부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커버는 상기 축소개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목적은, 수전매몰함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며, 배관의 보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소변기용 수전매몰함이 매몰된 상태도이고,
도 2는 컨트롤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매몰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매몰함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매몰함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매몰함이 매몰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기(1)용 수전매몰함(100)은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도록 소변기(1)의 상부 벽면에 매몰되며, 전면개구(120)에 외부커버(130)가 설치된 박스형태의 매몰함이다. 도 1에 음영으로 표시된 매몰함본체(110), 보호관(200) 및 전기보호관(300)은 벽면에 매몰된 것을 뜻하며, 벽면에 매몰되지 않고 노출된 구성요소로는 외부커버(130) 및 컨트롤유니트(400)가 있다.
외부커버(130)는 매몰함본체(110)를 개폐가능하게 하며 소변기(1)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세척수배관(240)과 연결되어 있다. 세척수배관(240)은 벽면에 매립된 매몰함본체(110)로부터 벽의 외부에 설치된 소변기(1)와 연결되기 위하여 절곡되어 있다. 세척수배관(240)은 벽면에 매립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외부에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유니트(400)는 센서외부커버(420), 센서창(442)을 가진 센서보호커버(440) 및 감지센서(460)를 포함하고 있다. 센서창(442)을 통해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60)는 사용자 감지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후술할 전동밸브(700)를 제어한다. 경우에 따라서 감시젠서(460)는 센서외부커버(420)에 부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매립된 매몰함본체(110)는 벽면방향으로 향하는 저부(142)와, 네 측벽(144)을 가진 내부수용부(140) 및 내부수용부(140)로 접근 가능한 전면개구(120)를 포함하고 있다. 전면개구(120)는 내부수용부(140) 내에 설치된 급수배관(220)을 보수, 교체 또는 추가로 설치해야 할 경우에 내부수용부(140)로의 접근을 허용한다.
외부커버(130)와 전면개구(120) 사이에는 내부커버(150)가 존재하며, 내부커버(150)에는 축소개구(152)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커버(150)의 일 측은 매몰함본체(110)의 전면개구(120)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타 측은 기존의 전면개구(120)보다 폭이 좁은 축소개구(1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커버(150)를 전면개구(120)에 설치할 경우, 전면개구(120)보다 폭이 좁은 축소개구(152)에 의해 외부에서 보여지는 개구의 크기가 작아져서 매몰함본체(110)가 외부에 노출되는 부위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매몰함본체(110)가 매립된 형태가 미려해진다.
매몰함본체(110)의 측벽(144)에는 매몰함본체(110)와 보호관(200)과의 체결을 위한 보호관접속부(160)를 가진다. 보호관(200)은 급수배관(220)이 벽면에 바로 매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존재하며, 급수배관(220)은 보호관(200) 내에 유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급수배관(220)이 파손될 경우 급수배관(220)을 유지, 보수 또는 교체할 때 외부에서 전면개구(120)를 통해 내부수용부(140) 내로 접근하여 급수배관(220)을 외부로 빼낸 후 보수 또는 교체하여 다시 내부수용부(140)를 통해 보호관(200)으로 장입시킨다. 보호관접속부(160)는 체결숫나사부(162)를 가지는 보호관접속체결부(161)와, 체결암나사부(165)를 가지는 보호관체결캡(164)으로 이루어진다.
보호관접속체결부(161)는 급수배관(220)이 내부수용부(140)로 인입되도록 배관공(163)을 가지며, 보호관접속체결부(161)는 체결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돌출된 체결숫나사부(162)를 가지고 있다. 배관공(163)을 가지는 보호관접속체결부(161)는 매몰함본체(110)가 벽면에 매립된 후에 추가로 배관을 설치해야 할 경우를 대비하여 여분을 두고 제작된다.
보호관체결캡(164)은 체결숫나사부(165)와 맞물리는 체결암나사부(165)를 가지고 있으며, 보호관(200)을 매몰함본체(110)에 체결하기 위하여 보호관(200)이 통과 가능하도록 보호관통과공(167)을 가지고 있다. 보호관통과공(167)에 보호관(200)이 통과되어 결합되도록 보호관통과공(167)의 내측 연부에는 미늘형태의 일방향 걸림턱(166)이 존재한다. 일방향 걸림턱(166)은 보호관(200)이 삽입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보호관(2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배관공(163)을 통해 내부수용부(140) 내로 도입되는 급수배관(220)은 내부수용부(140)에 수용된 급수조인트(500)의 접속공(520)에 결합된다. 급수조인트(500)는 복수의 접속공(520)을 가지고 있는데 어느 하나의 접속공(520)은 매몰함본체(110)의 측벽(144)방향으로 향하여 급수배관(220)과 접속되며, 다른 하나의 접속공(520)은 벽체 외부의 세척수배관(240)으로 급수를 공급하도록 전면개구(120)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급수조인트(500)는 내부의 급수배관(220)과 외부의 세척수배관(240)이 연결되도록 'L'자 형으로 되어있으나, 급수배관(220)의 추가 설치를 위해 추가의 접속공(520)을 갖는 경우 'T' 또는 '+'자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조인트(500)로 유입된 세척수를 외부에 설치된 세척수배관(240) 및 소변기(1)로 배출하기 위하여 내부수용부(140)에는 세척수배관접속부(600)가 존재한다. 세척수배관접속부(600)는 외부에 존재하는 세척수배관(240)과 연결되기 위해 전면개구(120) 방향으로 향하는 세척수배관공(620)을 가지며, 외부커버(130)에 형성된 연결공(132)을 통과하여 세척수배관(240)과 결합한다.
급수조인트(500)와 세척수배관접속부(600)의 사이에는 전동밸브(700)가 존재한다. 전동밸브(700)는 소변기(1)로의 세척수 공급이 가능하도록 개방되거나, 세척수 공급을 막도록 차단된다. 감지센서(400)에 의해 소변기(1) 앞에 사용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면 감지센서(400)가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부는 전동밸브(700)를 작동시켜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전동밸브(700)를 일정 시간 동안 개방한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동밸브(700)는 세척수를 차단한다. 이는 사용자가 소변기(1)의 사용을 끝내고 자리를 이탈할 때에도 같은 방식으로 세척수의 공급 및 차단이 행해진다. 전동밸브(700)는 전기가 통하면 플랜지가 올라가 밸브가 열리고, 전기가 차단되면 플랜지 무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밸브가 닫히는 방식인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이동경로는 급수배관(220), 급수조인트(500), 전동밸브(700), 세척수배관접속부(600) 및 세척수배관(240)을 차례로 지나 소변기(1)로 공급된다.
전동밸브(700), 감지센서(400) 및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공급을 하기 위해 매몰함본체(110)의 내부수용부(140) 내로 전선(320)이 유입되기 위해 인입접속부(170)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320)은 급수배관(220)과 마찬가지로 전기보호관(300) 내에 삽입된 채로 벽면에 매립된다. 매몰함본체(110)의 측벽(144)에는 전선(320)이 유입되도록 전선공(175)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체결숫나사부(172)가 형성된 인입접속체결부(171)와, 체결숫나사부(172)와 맞물리는 체결암나사부(174)를 가지고 전기보호관(300)을 인입접속체결부(171)에 연결시키는 인입체결캡(173)을 갖는 인입접속부(170)가 형성된다. 인입접속부(170)는 전선(320)을 내부수용부(140) 내로 인입시킨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이 이외에는 보호관접속부(160)와 유사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서는 전선(320) 및 전기보호관(300) 대신에 내장배터리(800)가 존재한다. 내장배터리(800)는 전동밸브(700), 감지센서(400) 및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공급을 하기 위해 내부수용부(140) 내에 배터리홀더(820)와 함께 설치된다. 내장배터리(800)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리튬 배터리가 가장 바람직하다. 내장배터리(800)를 사용할 경우 내장배터리(800)가 수명이 다할 때를 대비하여 전선(320)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전선(320) 및 전기보호관(300)은 내장배터리(800)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제 3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및 전기를 전달하기 위하여 전달보호관접속부(900) 및 전달인입접속부(920)가 존재한다. 화장실에 소변기(1)가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경우 급수 및 전기를 처음 받는 매몰함본체(110)에서 옆의 소변기(1)에 존재하는 매몰함본체(110)로 급수 및 전기를 전달하기 위해 전달급수배관 및 전달전선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달급수배관은 도 3에 도시된 급수조인트(500)의 전달접속공(540)에 결합되어 급수배관(220)을 통해 들어오는 급수를 전달받는다. 제 1실시예의 보호관(200) 및 전기보호관(3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전달급수배관은 전달보호관(202)에, 상기 전달전선은 전달전선보호관(302)에 유동가능하게 삽입되어 함께 벽체에 매립된다. 또한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달보호관(202)은 전달보호관접속부(900)에 의해 매몰함본체(110)와 결합되어 있고, 전달전선보호관(302)은 전달인입접속부(920)에 의해 매몰함본체(110)에 결합되어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소변기(1) 및 매몰함을 설치하더라도 시공이 복잡해지지 않고 간단해지며,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1: 소변기 100: 수전매몰함
110: 매몰함본체 120: 전면개구
130: 외부커버 132: 연결공
140: 내부수용부 142: 저부
144: 측벽 150: 내부커버
152: 축소개구 160: 보호관접속부
161: 보호관접속체결부 162: 체결숫나사부
163: 배관공 164: 보호관체결캡
165: 체결함나사부 166: 걸림턱
167: 보호관통과공 170: 인입접속부
171: 인입접속체결부 172: 체결숫나사부
173: 인입체결캡 174: 체결암나사부
175: 전선공 200: 보호관
202: 전달보호관 220: 급수배관
240: 세척수배관 300: 전기보호관
302: 전달전선보호관 320: 전선
400: 컨트롤유니트 420: 센서외부커버
440: 센서보호커버 442: 센서창
460: 감지센서 500: 급수조인트
520: 접속공 600: 세척수배관접속부
620: 세척수배관공 700: 전동밸브
800: 내장배터리 820: 배터리홀더
900: 전달보호관접속부 920: 전달인입접속부

Claims (6)

  1. 소변기용 수전매몰함에 있어서,
    저부와 네 측벽을 가진 내부수용부와, 상기 내부수용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내부수용부로 접근가능한 전면개구를 갖는 매몰함본체와;
    상기 매몰함본체에서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통된 배관공을 형성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체결숫나사부가 형성된 보호관접속체결부와, 상기 체결숫나사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보호관을 상기 보호관접속체결부에 연결시키는 보호관체결캡을 갖는 보호관접속부와;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배관공을 통해 도입된 급수배관과 접속되는 접속공을 갖는 급수조인트와;
    상기 급수조인트로 유입된 세척수의 배출을 위해 상기 전면개구 방향으로 세척수배관과의 연결을 위한 배관공을 갖는 세척수배관접속부와;
    상기 급수조인트와 상기 세척수배관접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세척수의 공급개폐를 조절하는 전동밸브와;
    상기 전면개구를 차단하여 상기 세척수배관접속부와 연결되는 연결공을 갖는 외부커버와;
    상기 외부커버를 통해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에 마련되어 벽면에 매립된 상기 급수배관을 유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전달보호관을 상기 매몰함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전달보호관접속부와;
    상기 매몰함본체의 상기 측벽에 마련된 전기보호관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전기를 상기 전동밸브,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급하기 위한 인입접속부와;
    상기 인입접속부로 유입된 전기를 타측 소변기로 분기하여 공급하기 위한 전달인입접속부와;
    축소개구를 가지며 상기 매몰함본체의 상기 전면개구에 결합되는 내부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커버는 상기 축소개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수전매몰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밸브,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 공급을 위해 상기 내부수용부 내에 내장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용 수전매몰함.
  6. 삭제
KR1020130012170A 2013-02-04 2013-02-04 소변기용 수전매몰함 KR101471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170A KR101471013B1 (ko) 2013-02-04 2013-02-04 소변기용 수전매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170A KR101471013B1 (ko) 2013-02-04 2013-02-04 소변기용 수전매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597A KR20140099597A (ko) 2014-08-13
KR101471013B1 true KR101471013B1 (ko) 2014-12-09

Family

ID=5174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170A KR101471013B1 (ko) 2013-02-04 2013-02-04 소변기용 수전매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0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469U (ja) * 1990-12-28 1995-02-07 東陶機器株式会社 便器洗浄装置
KR200159883Y1 (ko) * 1997-09-08 1999-11-01 공영조 다중구조의 보호관을 갖는 관고정장치
JP2002021163A (ja) * 2000-07-06 2002-01-23 Amenity:Kk トイレ施設の管理システム及びトイレ施設の管理方法
KR200380188Y1 (ko) * 2004-12-27 2005-03-29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매립형 수전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469U (ja) * 1990-12-28 1995-02-07 東陶機器株式会社 便器洗浄装置
KR200159883Y1 (ko) * 1997-09-08 1999-11-01 공영조 다중구조의 보호관을 갖는 관고정장치
JP2002021163A (ja) * 2000-07-06 2002-01-23 Amenity:Kk トイレ施設の管理システム及びトイレ施設の管理方法
KR200380188Y1 (ko) * 2004-12-27 2005-03-29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매립형 수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597A (ko)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41248A1 (en) Automatic shutoff assembly for a water closet
WO2006090963A1 (en) Method of constructing cold and hot water piping system
JP2015509735A (ja) モジュール結合式ペット用排便器掃除装置
US7114514B2 (en) Water management and leak detection for hot water tank
KR101954317B1 (ko)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
KR101471013B1 (ko) 소변기용 수전매몰함
KR200424181Y1 (ko) 회전이 용이한 회전밸브가 결합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수전 결합구조
KR20070115388A (ko) 회전이 용이한 회전밸브가 결합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수전 결합구조
EP3231949B1 (fr) Robinet flotteur pour une chasse d'eau de wc à trois voies
JP6586265B2 (ja) 給水構造
WO2015071517A1 (es) Electrodoméstico modular reutilizador de aguas grises
KR100841794B1 (ko) 냄새 없는 양변기
CN104596112B (zh) 一种管道入墙式开关整合的燃气热水器系统
US20200011040A1 (en) Hidden Valve Technology
JP5997997B2 (ja) 建物用排水システム
KR200461990Y1 (ko) 이중 배출구가 구비된 수도꼭지
TWI475166B (zh) Bathroom automatic leak detection water shutters
KR20110091255A (ko) 체크밸브 내장형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100855304B1 (ko) 결합 및 회전이 용이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수전 결합구조
JP2015190205A (ja) 給排水設備ユニット及び給排水方法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140140454A (ko) 알람밸브
KR200421819Y1 (ko) 냄새 없는 양변기
JP4161128B2 (ja) 水栓柱
KR200429469Y1 (ko) 결합 및 회전이 용이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수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