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576B1 - 보행로 확장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보행로 확장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576B1
KR101470576B1 KR1020130093711A KR20130093711A KR101470576B1 KR 101470576 B1 KR101470576 B1 KR 101470576B1 KR 1020130093711 A KR1020130093711 A KR 1020130093711A KR 20130093711 A KR20130093711 A KR 20130093711A KR 101470576 B1 KR101470576 B1 KR 101470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old
mold panel
panel
concrete
pr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광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광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광이앤씨
Priority to KR102013009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Abstract

본 발명은 폭이 좁은 제방도로, 산간도로 등의 도로의 폭을 확장하여 보행로를 확보할 때,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3071639790-pat00024
"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를 통해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면을 확보하여 전달되는 하중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의 중앙부를 내측 방향으로 절곡형성함으로써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이 녹이 슬지 않도록 용융도금처리 하는 과정에서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측 거푸집패널과 타측 거푸집패널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시 일측 거푸집패널과 타측 거푸집패널이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보행로 확장설치구조 및 확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행로 확장 설치구조{FIXING STRUCTURE OF WALKING WAY}
본 발명은 보행로 확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폭이 좁은 제방도로, 산간도로 등의 도로의 폭을 확장하여 보행로를 확보할 때,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16835372-pat00038
"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를 통해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면을 확보하여 전달되는 하중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의 중앙부를 내측으로 절곡 형성함으로써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행로 확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로란 보행자의 통행에 사용하도록 된 도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차량이 운행하는 제방도로 등의 경우 도로 폭이 매우 좁아 별도의 보행로가 없는 실정이고, 제방도로 등의 갓길로 걷는 보행자의 경우 항상 교통사고에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특히 산간부의 법면에 보행로를 확장 내지 조성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대게 법면의 인접한 지면에서 외측으로 지지부재를 연장형성한 후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바닥판부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법면의 인접한 지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한 상기 지지부재의 무게중심이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가 외측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질 우려가 다분해질 뿐만 아니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별도의 버팀목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산간부 또는 제방도로 등 도로 폭이 좋은 도로에 보행로를 확장하여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보행로 확장설치구조를 등록특허 제10-0928500호로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보행로 확장설치구조는 법면에 인접한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흙 파기되어 형성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콘크리트부와, 상기 콘크리트부의 상부에 법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설치되는 바닥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 법면에 보행로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폭우 등에 의해 법면이 무너져 내릴 경우 상기 콘크리트부가 기울어질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행로 확장방법을 등록특허 제10-1005469호로 제안한 바 있다.
상기의 보행로 확장방법은 a) 법면에 인접한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깊이 터파기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공간부 바닥면에 일정깊이 천공하여 보강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보강공 및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일정두께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하여 바닥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d)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앵커삽입공이 형성된 절곡부가 구비된 일측 거푸집패널과,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앵커삽입공이 형성된 절곡부가 구비된 타측 거푸집패널과, 타단부가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의 상부에 고정되고 중간부가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거푸집패널부를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의 앵커삽입공으로 앵커를 통과시켜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와; e)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과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할 후 양생시키는 단계와; f) 상기 공간부에 상기 법면에 인접한 도로의 지면 높이로 흙을 되메우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폭이 좁은 제방도로, 산간도로 등의 도로의 폭을 확장하여 보행로를 확보할 수 있고, 특히 도로에 시공이 간편하고 폭우 등에 의해 법면 등이 무너져 내려도 쉽게 기울어져 넘어지지 않는 보행로를 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천공된 보강공에 철근을 배근시 상기 철근의 상부가 공간부의 바닥면에 일정높이 노출됨에 따라 거푸집 패널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중량물의 견고한 고정 및 결합력을 향상시켜 인장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상기의 보행로 확장방법의 지지대가 고정된 일측 거푸집 패널 및 타측 거푸집 패널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상기 지지대(350)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H-빔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 거푸집 패널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350)의 상단, 즉 H-빔의 상단에는 복수의 고정플레이트가 일정간격으로 결합되고, 각 고정플레이트 위에는 판부가 결합되며, 상기 판부 위에 바닥판부(37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행로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패널부(30)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다음 일측 지지대의 고정플레이트와 타측 지지대의 고정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상기 판부를 결합하고 그 위에 바닥판부(370)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플레이트 위에 판부가 결합되고 그 위에 바닥판부(370)가 결합된 보행로를 보행자가 걸어가게 되면 그 하중이 H-빔에 그대로 전달되게 되는데 상기 H-빔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양측 판재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인하여 지지력이 약하고 심하게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은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각 상단부, 하단부,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내측 수평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비틀림을 방지하였으나, 상기 일측 거푸집 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로 이루어지는 거푸집패널부(30)는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처리하여 용융도금처리 하게 되는데, 열처리 과정에서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거푸집패널부(30) 내부에 콘크리트를 부었을 때 양측 거푸집 패널이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폭이 좁은 제방도로, 산간도로 등의 도로의 폭을 확장하여 보행로를 확보할 수 있는 보행로 확장방법 및 확장구조로써 특히 보행로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결합되며, 지지대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행로 확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이 녹이 슬지 않도록 용융도금처리 하는 과정에서 열에 의해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의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거푸집패널이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행로 확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로 확장 설치구조는, 법면에 인접한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흙파기되어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일정두께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하여 형성되는 바닥면 콘크리트부와; 상기 바닥면 콘크리트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에 형성된 절곡부의 체결공에 앙카를 삽입하여 상기 바닥면 콘크리트부에 고정되고,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융도금 처리된 일측 거푸집패널과; 상기 바닥면 콘크리트부의 타측에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과 일정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에 형성된 절곡부의 체결공에 앙카를 삽입하여 상기 바닥면 콘크리트부에 고정되고,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융도금 처리되며, 상부에 "
Figure 112014085558583-pat00057
" 형상의 고정빔 삽입홈이 형성되는 타측 거푸집패널과; 상기 고정빔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의 상부에 접합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며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의 상부에 접합고정되고,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85558583-pat00058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단부에는 제1고정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고정빔과;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과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조성물이 타설 및 양생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부와;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면을 확보하고 전달되는 하중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85558583-pat00059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고정설치되는 바닥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는 무게중심이 외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외측 끝단 상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절단하고,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는 절단된 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마감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의 내측면에서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의 내측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일측 고정편과,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의 내측면에서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의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타측 고정편 및 상기 일측 및 타측 고정편의 단부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배불림 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불림 방지부; 및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에 형성되는 관통구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각각 내측방향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과 인접한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을 상기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고정하여 결합함으로써 보행로를 연속적으로 시공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은 용용도금시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배불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폭이 좁은 제방도로, 산간도로 등의 도로의 폭을 확장하여 보행로를 확보할 때,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3071639790-pat00010
"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를 통해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면을 확보하여 전달되는 하중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의 중앙부를 내측 방향으로 절곡형성함으로써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이 녹이 슬지 않도록 용융도금처리 하는 과정에서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측 거푸집패널과 타측 거푸집패널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시 일측 거푸집패널과 타측 거푸집패널이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행로 확장시공을 위한 지지대가 고정된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행로 확장시공을 위한 법면의 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지면에 터파기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공간부의 바닥면에 바닥면 콘크리트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대가 고정된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도 8 내지 13은 본 발명에 따라 보행로를 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보행로 확장구조 및 확장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로 확장구조는 크게 공간부(3)와, 바닥면 콘크리트부(4)와, 일측 거푸집패널(10)과, 타측 거푸집패널(20)과, 고정빔(30)과, 콘크리트 타설부(5)와, 지지대(40) 및 바닥판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간부(3)는 법면(2)(둑·호안(護岸)·절토(切土) 등의 경사면)에 인접한 지면에 도로(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정깊이 흙파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작업자는 예를 들어 굴삭기 등의 중장비등을 이용하여 법면에 인접한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깊이의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로(1)란 제방도로, 산간도로 등 도로폭이 좁고 법면이 형성된 도로를 말한다.
상기 바닥면 콘크리트부(4)는 상기 공간부(3)의 바닥면에 일정두께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간부(3)의 바닥면에 일정두께로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 및 양생하여 상기 바닥면 콘크리트부(4)를 형성함에 따라 폭우 등에 의해 상기 법면(2) 및 지면 등에 흡수된 많은 양의 물로 인해 상기 법면(2) 및 상기 공간부(3)의 지면 등이 쉽게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은 상기 바닥면 콘크리트부(4)의 일측에 배치되어 앙카를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앙카를 삽입하여 바닥면 콘크리트부(4)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12)이 형성된 절곡부(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은 상단부와, 전단부 및 후단부에도 내측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12′)이 형성된 절곡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절곡부(11) 및 체결공(12)은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을 바닥면 콘크리트부(4)에 앙카를 통해 고정함과 동시에, 일측 거푸집패널(10)을 고정하는 역할과 함께 일측 거푸집패널(10)과 타측 거푸집패널(20)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일측 거푸집패널(10)의 하부가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형성된 절곡부(11′) 및 체결공(12′)은 상기 일측 거푸집(10)을 인접한 일측 거푸집패널과 연속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은 장방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이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융도금시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배불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용융도금이라 함은 피도금물을 가열 용융된 금속 중에 침적시켜, 피도금물의 표면에 피막을 만드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희생 양극작용으로 철강을 보호할 수 있도록 아연을 통해 용융도금처리하며, 이와 같이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을 가열 용융된 아연 중에 침적시킬 때 그 열에 의해 형상이 비틀어지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20)은 상기 바닥면 콘크리트부(4)의 타측에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과 일정간격을 갖도록 배치되어 앙카를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앙카를 삽입하여 바닥면 콘크리트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22)이 형성된 절곡부(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20)은 상단부와, 전단부 및 후단부에도 내측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22′)이 형성된 절곡부(21′)가 형성된다.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절곡부(21) 및 체결공(22)은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20)을 바닥면 콘크리트부(4)에 앙카를 통해 고정함과 동시에, 일측 거푸집패널(10)과 타측 거푸집패널(20)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타측 거푸집패널(20)의 하부가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2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형성된 절곡부(21′) 및 체결공(22′)은 상기 타측 거푸집(20)을 인접한 타측 거푸집패널과 연속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20)은 이후 설명할 고정빔(30)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
Figure 112013071639790-pat00011
" 형상의 고정빔 삽입홈(23)이 형성된다.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20)은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과 마찬가지로 장방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융도금시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타설 시 배불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형성된다.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 및 타측 거푸집패널(20)에는 복수의 관통구(14,24)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의 관통구와 타측 거푸집패널의 관통구(14,24) 사이에는 각각 복수의 배수관(70)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관(70)은 폭우 등에 의해 법면(2) 및 지면에 흡수된 많은 양의 물을 방출하여 상기 법면 및 지면 등이 쉽게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과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20) 사이의 공간에는 콘크리트 조성물이 타설 및 양생되어 콘크리트 타설부(5)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바닥면 콘크리트부(4)와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과 타측 거푸집패널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조성물의 견고한 고정 및 결합력을 향상시켜 인장 강도를 보강형성함에 따라 상기 법면 등이 무너져 내려도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이 쉽게 기울어지지 않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5)에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의 배불림현상을 방지하는 배불림 방지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배불림 방지부(60)는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의 내측면에서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20)의 내측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일측 고정편(61)과,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20)의 내측면에서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의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타측 고정편(62) 및 상기 일측 및 타측 고정편(61,62)의 단부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배불림 방지부재(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측 고정편(61)과, 타측 고정편(62)은 상기 일측 거푸집(10) 및 타측 거푸집(20)의 각 내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불림 방지부재(63)의 양측 단부는 각각 상기 일측 고정편(61) 및 타측 고정편(62)과 용접결합된다.
상기 일측 고정편(61) 및 타측 고정편(62)은 상기 배불림 방지부재(63)의 외주면을 수용한 상태에서 용접결합될 수 있도록 단면이 "∨"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불림 방지부재는 그와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빔(30)의 양측 하단 모서리 또는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빔을 지지하면서 일측 및 타측 거푸집패널(10,20)의 내측면에 용접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일측 고정편(61) 및 타측 고정편(6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일측 고정편(61) 및 배불림 방지부재(63)만이 도시되었지만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에도 일측 고정편(61)과 동일한 형상의 타측 고정편(62)이 형성된다.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과 타측 거푸집패널(20)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배불림 방지부(6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5)를 형성할 때 상기 일측 및 타측 거푸집패널(10,20)이 외측으로 팽창하면서 배불림현상이 발생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 및 타측 거푸집패널(2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내측방향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12′,22′)이 형성된 절곡부(11′,2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과 인접한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을 상기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고정하여 결합함으로써 보행로를 연속적으로 고정연결하여 보행로를 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체결공에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고정결합함으로써 보행로 확장시공 비용을 절감시키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정빔(30)은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20)에 형성된 고정빔 삽입홈(23)으로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의 상부에 접합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20)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며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의 상부에 접합고정된다.
상기 고정빔(30)은 H-빔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며,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3071639790-pat00012
"의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상기 고정빔(30)의 타단부에는 제1고정플레이트(31)가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31)는 이후 설명할 지지대(40)와 결합하기 위해 구비된다.
도 7의 상단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과 타측 거푸집패널(20) 사이의 공간에 2개의 고정빔(30)이 이격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좌측에 설치된 고정빔(30)의 끝단에는 제1고정플레이트(31)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고, 우측에 설치된 고정빔(30)의 끝단에는 제1고정플레이트(31)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31)와 결합되는 제2고정플레이트(41)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면을 확보하고 전달되는 하중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3071639790-pat00013
"자 형상으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40)는 고정빔(30)과 마찬가지로 H-빔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되 외측 끝단 상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절단하여 무게중심이 외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고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대(40)를 고정할 때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3071639790-pat00014
"의 형상을 이루도록 고정함에 따라 이후 설명할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안착되는 바닥판부(50)를 지지하는 면적을 증대시켜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흔들림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40)의 끝단에는 절단된 면을 마감처리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도록 절단된 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마감부재(43)를 결합하며, 상기 마감부재에는 보행자가 낙상하지 않도록 보행자를 보호하는 안전바와 같은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31) 및 제2고정플레이트(41)의 표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와 볼트결합을 통해 신속하게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40)의 상부에는 바닥판부(50)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는 상기 바닥판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3고정플레이트(42)가 결합되며, 상기 제3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별도의 판부(51)가 안착되어 체결고정되고, 이후 상기 판부(51)와 바닥판부(50)가 고정설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행로 확장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법면(2)에 인접한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깊이 터파기하여 공간부(3)를 형성한다.
여기서, 도로(1)란 제방도로, 산간도로 등 도로폭이 좁고 법면이 형성된 도로를 말하며, 상기 공간부(3)는 굴삭기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지면을 터파기하여 일정 폭과 깊이를 가지는 공간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간부(3)의 바닥면에 일정두께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하여 바닥면 콘크리트부를 형성한다.
상기 공간부(3)의 바닥면에 일정두께로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 및 양생하여 바닥면을 형성함에 따라 폭우 등에 의해 상기 법면 및 지면 등에 흡수된 많은 양의 물로 인해 상기 법면 및 상기 공간부의 지면 등이 쉽게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와, 전단부 및 후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12)이 형성된 절곡부(11)가 구비된 일측 거푸집패널(10)과,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부에 "
Figure 112013071639790-pat00015
" 형상의 고정빔 삽입홈(23)이 형성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와, 전단부 및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22)이 형성된 절곡부(21)가 구비된 타측 거푸집패널(20)과, 상기 고정빔 삽입홈(23)으로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의 상부에 접합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며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의 상부에 접합고정되고,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3071639790-pat00016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단부에는 제1고정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고정빔(30) 및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과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조성물이 타설 및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타설부(5)를 상기 공간부(3)의 바닥면에 안착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 및 타측 거푸집패널(20)은 장방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중간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며, 이와 같이 중간부를 내측으로 절곡형성한 이유 및 작용효과는 앞서 상술하였으므로 이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의 체결공(12,22)에 앵커를 삽입하여 상기 공간부(3)의 바닥면에 고정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5)에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 및 양생한다.
상기 공간부(3)의 바닥면에 형성된 바닥면 콘크리트부와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과 타측 거푸집패널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조성물의 견고한 고정 및 결합력을 향상시켜 인장 강도를 보강형성함에 따라 상기 법면 등이 무너져 내려도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이 쉽게 기울어지지 않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와 제2고정플레이트(31)를 매개로 결합되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면을 확보하고 전달되는 하중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3071639790-pat00017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40)를 상기 고정빔(30)과 고정결합한다.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31) 및 제2고정플레이트(41)의 표면에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40)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31)와 고정결합된다.
이후, 상기 지지대(40)의 상단에 일정깊이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3고정플레이트(42)에 별도의 판부(51)를 안착시켜 고정결합한 다음 각 판부의 상단에 바닥판부(50)를 고정결합하여 시공을 완료한다.
1 : 도로 2 : 법면
3 : 공간부 4 : 바닥면 콘크리트부
5 : 콘크리트 타설부 10 : 일측 거푸집패널
11,11′ : 절곡부 12,12′ : 체결공
20 : 타측 거푸집패널 21,21′ : 절곡부
22,22′ : 체결공 23 : 고정빔 삽입홈
30 : 고정빔 31 : 제1고정플레이트
40 : 지지대 41 : 제2고정플레이트
42 : 제3고정플레이트 50 : 바닥판부
51 : 판부 60 : 배불림 방지부
61 : 일측 고정편 62 : 타측 고정편
63 : 배불림 방지부재

Claims (5)

  1. 법면(2)에 인접한 지면에 길이방향으로 흙파기되어 형성된 공간부(3)와;
    상기 공간부(3)의 바닥면에 일정두께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하여 형성되는 바닥면 콘크리트부(4)와;
    상기 바닥면 콘크리트부(4)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에 형성된 절곡부의 체결공에 앙카를 삽입하여 상기 바닥면 콘크리트부에 고정되고,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융도금 처리된 일측 거푸집패널(10)과;
    상기 바닥면 콘크리트부(4)의 타측에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과 일정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에 형성된 절곡부의 체결공에 앙카를 삽입하여 상기 바닥면 콘크리트부에 고정되고,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융도금 처리되며, 상부에 "
    Figure 112014085558583-pat00060
    " 형상의 고정빔 삽입홈(23)이 형성되는 타측 거푸집패널(20)과;
    상기 고정빔 삽입홈(23)으로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의 상부에 접합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20)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며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의 상부에 접합고정되고,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85558583-pat00061
    "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단부에는 제1고정플레이트(31)가 결합되는 고정빔(30)과;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과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 조성물이 타설 및 양생되어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부(5)와;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고정플레이트(41)와;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면을 확보하고 전달되는 하중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85558583-pat00062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40); 및
    상기 지지대에 고정설치되는 바닥판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는 무게중심이 외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외측 끝단 상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절단하고,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는 절단된 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마감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의 내측면에서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의 내측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일측 고정편과, 상기 타측 거푸집패널의 내측면에서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의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타측 고정편 및 상기 일측 및 타측 고정편의 단부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배불림 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불림 방지부; 및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에 형성되는 관통구 사이에 설치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각각 내측방향으로 절곡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과 인접한 일측 거푸집패널 및 타측 거푸집패널을 상기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고정하여 결합함으로써 보행로를 연속적으로 시공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일측 거푸집패널(10) 및 타측 거푸집패널(20)은 용용도금시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배불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로 확장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93711A 2013-08-07 2013-08-07 보행로 확장 설치구조 KR101470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711A KR101470576B1 (ko) 2013-08-07 2013-08-07 보행로 확장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711A KR101470576B1 (ko) 2013-08-07 2013-08-07 보행로 확장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576B1 true KR101470576B1 (ko) 2014-12-10

Family

ID=5267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711A KR101470576B1 (ko) 2013-08-07 2013-08-07 보행로 확장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5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500B1 (ko) * 2009-07-29 2009-11-26 주식회사 남광이앤씨 보행로 확장설치구조
KR101005469B1 (ko) * 2010-07-29 2011-01-05 주식회사 남광이앤씨 보행로 확장방법
KR101073527B1 (ko) * 2011-03-22 2011-10-17 주식회사 누리플랜 인도 확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500B1 (ko) * 2009-07-29 2009-11-26 주식회사 남광이앤씨 보행로 확장설치구조
KR101005469B1 (ko) * 2010-07-29 2011-01-05 주식회사 남광이앤씨 보행로 확장방법
KR101073527B1 (ko) * 2011-03-22 2011-10-17 주식회사 누리플랜 인도 확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6563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086222B1 (ko) 세트화된 배근구조를 갖는 건축 구조물용 피씨 슬래브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24827B1 (ko) 상자형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자형 교량의 시공 방법
KR101344063B1 (ko) 강합성 지하차도 시공 공법
KR20100087858A (ko)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75124B1 (ko) 라멘식 지하차도의 횡방향 빔과 기둥벽체 강결 방법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1389285B1 (ko) 단부 격벽 일체형 교대 흉벽 pc블록을 이용한 거더교의 교대 단부 일체화 방법
KR101675910B1 (ko) 자전거용 도로의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1005469B1 (ko) 보행로 확장방법
KR101618746B1 (ko) 시공성이 개선되게 한 확장 인도교의 조립식 거더 구조
KR101747104B1 (ko) 장스팬 층고절감형 u형 합성보 및 그 시공방법
KR100650411B1 (ko) 하부 공동형 콘크리트 복공판
KR101137834B1 (ko) 중앙분리대용 방음벽
KR101470576B1 (ko) 보행로 확장 설치구조
KR100973236B1 (ko)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KR101824963B1 (ko) 하이브리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1814750B1 (ko) 상부 충전 플랜지 튜브를 갖는 하이브리드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 교량의 시공방법
KR101584738B1 (ko) 3점에서 지지되는 자연 편석을 이용한 옹벽구조
KR10139068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101878762B1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JP2018178643A (ja) スリップフォーム工法による構築物の構築方法
KR20150125834A (ko) 교량용 교대의 조립식 접속슬래브 브라켓 시공공법
KR100644971B1 (ko) 에스알씨 디딤판 적용 철골계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