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384B1 -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 - Google Patents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384B1
KR101470384B1 KR1020130066101A KR20130066101A KR101470384B1 KR 101470384 B1 KR101470384 B1 KR 101470384B1 KR 1020130066101 A KR1020130066101 A KR 1020130066101A KR 20130066101 A KR20130066101 A KR 20130066101A KR 101470384 B1 KR101470384 B1 KR 101470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unnel
reflector
unit
light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회민
정광현
주재영
옥진우
조홍현
송상빈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066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판의 교체와 방열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다양한 배광패턴의 구현과 터널 등기구 주변의 유체 흐름을 개선하여 방열 효율을 향상시킨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 몸체에 방열부를 형성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임의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반사홈을 형성한 반사부;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빛은 투과되도록 하고, 반사부는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홈은 반구 형상 또는 다각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부는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터널 등기구의 설치 위치에 따라 교체되어 임의의 배광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사판의 교체가 가능하여 다양한 배광 패턴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방열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터널 등기구 주변의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터널 등기구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TUNNEL LIGHTING DEVICE CONSIDERATION FOR AIR FLOWING}
본 발명은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사판의 교체와 방열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다양한 배광패턴의 구현과 터널 등기구 주변의 유체 흐름을 개선하여 방열 효율을 향상시킨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등기구는 주로 터널이나 지하차도 등의 천장이나 측벽에 설치되어 일반 도로와는 달리 국한되고 협소한 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특히 주간에 차량이 터널이나 지하차도로 진입시에 갑자기 앞이 보이지 않는 블랙아웃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주요인으로 이러한 교통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이러한 등기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의 터널등기구는 일반 할로겐램프 등을 사용하는데, 대부분 상당한 열이 발생할 뿐 아니라 수명 또한 짧은 관계로 램프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 지역을 환하면서도 골고루 조사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래에는 일반 할로겐램프 대신 LED램프를 사용하여 터널용 등기구를 제작하고 있으나, 거의 대부분이 단순히 LED 램프를 등기구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할로겐램프에 비해 수명이 향상되고, 밝게 조명할 수 있지만, 설치되는 터널이나 지하차도 등의 내부를 골고루 조명시키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17531호에는 도 1과 같이, 하부 양측에 체결볼트(11)가 구비된 한쌍의 브라켓(12)이 구비되고, 하부에 다수의 방열핀(13)이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수용부(15)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다단 형태의 테두리부(17)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측편에 한쌍의 힌지구(19)가 구비되고, 길이방향 타측편에 한쌍의 체결구(16)가 구비되는 하부 하우징(10)과, 다수의 방열공(21)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10)의 내측 테두리부(17)에 안착 고정되는 베이스판(20)과, 상기 하부 하우징(10)의 내측 테두리부(17)에 안착되는 실링부재(30)와, 다수의 LED램프(41)가 배열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20)에 고정 설치되며, 다수의 LED램프(41)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LED램프(41)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부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다수의 반사판(45)이 구비 설치되는 회로판(40)과, 상기 반사판(45)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어 하부 하우징(10)의 내측 테두리부(17)에 안착 고정되며, 반사판(45)의 상부측이 관통되게 다수의 통공(51)이 형성되는 보호판(50)과, 상기 보호판(50)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어 하부 하우징(10)의 내측 테두리부(17)에 안착 고정되고, 상기 반사판(45)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반사판(45)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외부로 투광시키는 투광판(60)과, 상기 투광판(6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10)의 테두리부(17)에 결합 가능하게 대응되는 형태로 테두리부(71)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70)을 포함한 터널용 LED 등기구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터널용 LED 등기구는 LED 램프의 빛을 외부로 조사시키는 반사판을 분산형 반사판과 응집형 반사판을 상호 교호적으로 구성하여 빛을 분산시켜 골고루 조사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터널용 LED 등기구는 하나의 배광 패턴만 형성되어 도 2와 같이 터널 등기구는 터널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집중 배광 패턴이 필요한 구간(R1, R3)이나 분산 배광 패턴이 필요한 구간(R2)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터널 구조의 특성상 여러 가지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다양한 터널 등기구가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터널용 LED 등기구는 터널을 따라 설치되어 터널 내부를 조명하지만, 상기 터널용 LED 등기구가 터널 내부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17531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사판의 교체와 방열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다양한 배광패턴의 구현과 터널 등기구 주변의 유체 흐름을 개선하여 방열 효율을 향상시킨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널 등기구로서, 하우징 몸체에 형성된 방열부와, 상기 방열부에 하우징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방열 홈부를 형성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임의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반사홈을 형성한 반사부;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여 상기 조명부에서 발광되는 빛은 투과되도록 하고, 반사부는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커버부; 및 상기 반사부와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고, 내측에 조명부에서 출력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가 하우징에 설치된 조명부와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홈은 반구 형상 또는 다각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부는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터널 등기구의 설치 위치에 따라 반구 형상 또는 다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반사홈을 갖는 반사부로 교체되어 임의의 배광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은 양측 단부가 좁아지는 유선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널 등기구는 하우징과 커버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반사판의 교체가 가능하여 다양한 배광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터널 등기구 주변의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터널 등기구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널용 LED 등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터널의 광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도 3에 따른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A-A 단면도.
도 5 는 도 3에 따른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B-B 단면도.
도 6 은 도 3에 따른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도 3에 따른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의 반사판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A-A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따른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B-B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따른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에 따른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의 반사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등기구(100)는 다양한 배광 패턴을 구현할 수 있고, 터널 등기구 주변의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터널 등기구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10)과, 조명부(120)와, 반사부(130)와, 커버부(140)와, 실링부(150)와, 브라켓(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하우징 몸체(111)의 일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타측에 방열부(112)를 형성한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110)은 양측 단부가 좁아지는 유선형상으로서, 하우징 몸체(111)의 선단부(111a)와, 방열부(112)의 선단부(112a)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선단부(111a)와 커버부(140)의 선단부(140a) 사이의 간격(d)이 좁아져 유체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수납공간에는 조명부(120)와, 반사부(130)와 커버부(14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10)과 커버부(140) 사이에는 실링부(150)가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유선형상으로 좁아지는 양측 단부에 조명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미도시)가 수납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전체적인 두께가 작아지는 박형의 터널 등기구(100)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열부(112)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하우징 몸체(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방열부(112)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조명부(120)에서 발생되는 열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방열부(112)의 몸체 중앙에는 일정 형상의 방열 홈부(113)가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한다.
즉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으로부터 유체(예를 들면, 바람)가 유입되면, 판 형상의 방열부(112)로 인해 유체의 이동 경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열 홈부(113)를 형성하여 유체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유체가 방열부(112)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방열부(112)의 열방출 효율이 개선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조명부(120)는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구성으로서, 인쇄 회로 기판(121)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1)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LED(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사부(130)는 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반사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홈(131)은 반구 형상 또는 다각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도 7(a)와 같이, 반사부(130)에 일정 간격으로 원 형상의 반사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홈(131)에는 LED가 설치되는 관통공(132)이 형성된다.
상기 원 형상의 반사홈(131)은 LED에서 발광된 빛이 일정 방향으로 출력되도록 반사하여 터널 등기구(100)의 하부에 빛이 집중되는 집중 배광 패턴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도 7(b)와 같이 반사부(130')가 다각 형상의 반사홈(131')을 형성한 경우 관통공(132')에 형성된 LED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상기 반사홈(131')의 경사각도에 따라 반사각이 결정되어 터널 등기구(100)의 하부에 빛이 분산되는 분산 배광 패턴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반사부(130, 130')는 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나의 터널 등기구(100)를 이용함으로써, 터널 등기구(1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필요한 배광을 형성할 있도록 원형상의 반사홈(131) 또는 다각형상의 반사홈(131')을 갖는 반사부(130, 130') 중 어느 하나로 교체하여 터널 내부에 적절한 배광 패턴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원 형상의 반사홈(131)을 형성한 반사부(130)는 터널의 입구 또는 출구(R1, R3, 도 2 참조)에 설치되어 높은 광량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다각 형상의 반사홈(131')을 형성한 반사부(130')는 터널의 중간(R2, 도 2 참조)에 설치되어 적절한 광량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140)는 하우징(110)과 결합하여 상기 조명부(120)에서 발광되는 빛은 투과되도록 하고, 반사부(130)는 하우징(110)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내측에 투명재질의 투광부(141)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10)과 억지끼움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실링부(150)는 하우징(110)과 커버부(1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브라켓(160)은 내측에 조명부(120)에서 출력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반사부(130)와 커버부(1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부(130)가 하우징(110)에 설치된 조명부(120)와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여 가압한다.
즉 상기 브라켓(160)은 임의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반사부(130)를 설치할 경우 조명부(120)의 전측에 상기 반사부(130)를 배치하고, 상기 반사부(130)의 전측에 브라켓(160)을 설치하여 하우징(110)과 커버부(140)를 억지끼움 결합하면, 상기 하우징(110)과 커버부(140) 사이의 체결력이 상기 브라켓(16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브라켓(160)의 탄성력이 반사부(130)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다른 반사부(130')를 설치할 경우 커버부(140)를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브라켓(160)을 제거하고, 새로운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반사부(130')를 설치하여 하우징(110)과 커버부(140)를 억지끼움 결합함으로써, 상기 브라켓(160)의 탄성력이 반사부(130')를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반사판의 교체가 가능하여 다양한 배광 패턴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방열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터널 등기구 주변의 유체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터널 등기구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터널 등기구
110 : 하우징
111 : 하우징 몸체
112 : 방열부
113 : 방열 홈부
114: 제어부 설치홈
120 : 조명부
121 : 인쇄 회로 기판
122 : LED
130 : 반사부
131 : 반사홈
140 : 커버부
141 : 투광부
150 : 실링부
160 : 브라켓

Claims (5)

  1.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로서,
    하우징 몸체(111)에 형성된 방열부(112)와, 상기 방열부(112)에 하우징 몸체(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방열 홈부(113)를 형성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조명부(120);
    상기 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120)에서 발광되는 빛이 임의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반사홈(131)을 형성한 반사부(130);
    상기 하우징(110)과 결합하여 상기 조명부(120)에서 발광되는 빛은 투과되도록 하고, 반사부(130)는 하우징(110)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커버부(140); 및
    상기 반사부(130)와 커버부(140) 사이에 설치되고, 내측에 조명부(120)에서 출력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부(130)가 하우징(110)에 설치된 조명부(120)와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브라켓(160)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홈(131)은 반구 형상 또는 다각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부(130)는 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터널 등기구(1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반구 형상 또는 다각 형상 중 어느 하나의 반사홈을 갖는 반사부(130)로 교체되어 임의의 배광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양측 단부가 좁아지는 유선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등기구는 하우징(110)과 커버부(1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
  5. 삭제
KR1020130066101A 2013-06-10 2013-06-10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 KR101470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101A KR101470384B1 (ko) 2013-06-10 2013-06-10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101A KR101470384B1 (ko) 2013-06-10 2013-06-10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384B1 true KR101470384B1 (ko) 2014-12-08

Family

ID=5267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101A KR101470384B1 (ko) 2013-06-10 2013-06-10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3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91Y1 (ko) * 2009-12-24 2010-10-22 주식회사 나파스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엘이디 등기구
KR101113292B1 (ko) * 2011-06-17 2012-02-24 베스비시스템(주) 엘이디 조명장치
KR20120006451U (ko) * 2011-03-10 2012-09-20 서원조명공업 주식회사 엘이디등기구용 엠보싱 반사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91Y1 (ko) * 2009-12-24 2010-10-22 주식회사 나파스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엘이디 등기구
KR20120006451U (ko) * 2011-03-10 2012-09-20 서원조명공업 주식회사 엘이디등기구용 엠보싱 반사갓
KR200464527Y1 (ko) * 2011-03-10 2013-01-22 서원조명공업 주식회사 엘이디등기구용 엠보싱 반사갓
KR101113292B1 (ko) * 2011-06-17 2012-02-24 베스비시스템(주) 엘이디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9142C1 (ru) Уличный фонарь на светодиодах
US8444297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emitting diode
JP5249412B2 (ja) Ledを用いた照明灯
KR101798494B1 (ko) 발광다이오드 터널등
JP5798070B2 (ja) 航空障害灯
JP2009026481A (ja) 照明器具
KR200473336Y1 (ko) 바닥매입형 led조명장치
KR20160000972A (ko) 엘이디를 이용한 간접조명장치
KR101386970B1 (ko) Led 반사모듈이 장착된 led 가로등
KR101117531B1 (ko) 터널용 led 등기구
KR101560206B1 (ko) 조명 장치
JP6919860B2 (ja) 壁面照射用のラン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1020623B1 (ko) 엘이디 등기구
JP3159217U (ja) トンネル用照明器具
KR101470384B1 (ko) 공기 유동을 고려한 터널 등기구
KR100657989B1 (ko) 등명기용 램프
KR20130028408A (ko) 엘이디 조명장치
KR20050046201A (ko) 엘이디 램프를 이용한 자동차용 조명수단
KR101327917B1 (ko) 형광등형 엘이디 조명기구
JP2013073762A (ja) 照明装置
JP6028412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1815132B1 (ko) 조명 장치
KR101282128B1 (ko) 리플렉터를 포함한 led 램프
KR101206648B1 (ko) 반사식 조명 장치
KR20110002187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