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308B1 - 리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리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308B1
KR101470308B1 KR20130128946A KR20130128946A KR101470308B1 KR 101470308 B1 KR101470308 B1 KR 101470308B1 KR 20130128946 A KR20130128946 A KR 20130128946A KR 20130128946 A KR20130128946 A KR 20130128946A KR 101470308 B1 KR101470308 B1 KR 101470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leak sensing
controller
signal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홍근
Original Assignee
(주)유민에쓰티
유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민에쓰티, 유홍근 filed Critical (주)유민에쓰티
Priority to KR20130128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308B1/ko
Priority to US14/067,440 priority patent/US9212965B2/en
Priority to CN201410016692.9A priority patent/CN10456831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9Signalling of the alarm condition to a substation whose identity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relaying alarm signals in order to extend communication ran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리크 센싱 필름을 커넥터를 갖는 다수의 슬레이브 제어기에 의해 직렬로 연결하고, 슬레이브 제어기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리크를 감지하여 원격의 마스터 제어기로 전송함으로써 다중의 리크가 발생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리크 센싱 필름의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리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리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Leak sensing apparatus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크 감지를 센서 및 이를 원격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프 형태를 갖는 리크 감지 장치에서 다중의 리크가 감지된 경우 정확한 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이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리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누수 및 누유시에 누수 및 누유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리크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케이블형 리크센서, 밴드타입 리크센서, 그리고 모듈형 리크센서를 들 수 있다.
케이블형 리크센서는 각종 액체(물, 기름 등)의 노출을 감지하여 액체가 누출되는 지점까지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려주는 누수 및 누유감지센서이다.
누수 및 누유는 도선을 따라 흐르는 전류는 누출된 액체의 저항에 의하여 전압이 변경(전위차 발생)되는 것을 감지선으로 감지하여 누수 및 누유의 확인 및 정확한 지점의 확인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케이블형 리크센서는 설치비용이 고가이고, 센서 케이블 길이가 정해져 있어 고객의 선택폭이 적다(7M,15M,30M). 또한 센서 설치 시 별도 브라켓을 사용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렵고 및 추가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고, 리크감지후 리크를 제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외부기기와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밴드타입(BEND TYPE) 리크감지센서(LEAK DETECTION SENSOR)는 전선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동안 물이 전선에 닿게 되면 저항값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그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리크센서를 통해 조작이 가능한 저항치는 0Ω~50MΩ이고, 출력은 30V DC(최대)에서 100mA, 배선길이는 최대 50m이고, 밴드 센서길이는 최대 10m이다.
이와 같은 밴드타입 리크센서는 저가의 비용으로 넓은 면적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기는 하지만, 높은 습도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에러(ERROR) 발생률이 높고, 정확한 누수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설치의 연계성이 없어 제품설치 조잡성이 있으며, 네트워크(Network) 또는 피씨(PC) 사용을 위해서는 많은 투자비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크감지센서 케이블의 길이가 정해져 있어 고객선택폭이 적다(1M, 2M, 5M, 10M, 20M).
또한 성능에 비해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고, 설치시 바닥에 고정할 브라켓을 따로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렵고 및 추가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고, 외부기기 연결시 단순한 릴레이 접점방식 이외 연결 디바이스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모듈형 리크센서는 플라스틱케이스 내 포토 센서(수광부, 발광부)를 위치시켜, 액체를 감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발광부의 빔(BEAM)을 수광부에서 받아들이지만, 발광부 빔(BEAM)이 액체를 감지하게 되면 굴절률의 변화로 빔(BEAM)이 수광부로 가지 못하게 된다.
이때, 모듈센서(MODULE SENSOR)는 누수를 감지한다. 이 장치의 입력전압은 12V DC~24V DC이고 응답시간은 50ms이고, 사용온도는 -10℃ ~ 60℃이고, 센서케이스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다.
모듈형 리크센서는 저가의 비용으로 누수위험부분을 감지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고, 주변장치와 상관없이 자체적 알람(ALARM) 및 경보불빛 발생이 가능하고, 습도에 따른 에러(ERROR)가 없으나, 케이블 타입(CABLE TYPE)과는 달리 특정위치의 누수여부만 확인 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주변장치와 연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별도의 센서고정방안을 계획해야 하므로 제품설치 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누수 위험 지역의 특정부위만 검출가능 하므로 누수위치가 바뀌게 되면 감지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테이프 타입의 리크 감지 센서에 관한 특허를 다수개 출원한 바 있으며,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7385호를 들 수 있다.
도1 내지 도4까지는 이러한 등록특허 제10-0827385호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테이프 형태의 리크 센싱 필름(10)은 접착제층(20), 베이스 필름층(30), 전도성 라인층(40), 보호 필름층(50)이 저면에서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접착제층(20)은 리크가 발생되는 곳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 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베이스 필름층(30)은 전도성 라인층(40)이 상부에 형성되기 위한 층으로서, 절연과 전도성 라인층(40)의 패턴을 인쇄 방식에 형성하기 위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도성 라인층(40)은 베이스 필름층(30)의 상부 표면에 스트립 형태로 복수개의 저항라인(41,42)과 신호라인(43,44)이 형성되는 층으로서, 리크 센싱 필름(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한 쌍의 저항라인(41,42)이 형성되고, 상기 저항라인(41,42)의 외측으로 각각 신호라인(43,44)이 리크 센싱 필름(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크 센싱 필름(10)의 말단에서 별도의 커넥터에 의해 저항라인(41)과 신호라인(43)이 서로 연결되고, 저항라인(42)과 신호라인(44)이 서로 연결된다.
보호 필름층(50)은 전도성 라인층(40)의 상부에 적층되어 전도성 라인층(40)의 패턴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이다.
도2는 전도성 라인층(40)의 형성 상태를 보인 도로서, 크게 도전성 잉크로 인쇄된 저항라인(41,42), 은(SILVER) 화합물로 인쇄된 신호라인(43,44)로 구성된다.
이러한 저항라인(41,42)과 신호라인(43,44)이 리크 감지 회로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필름층(50)에 일정 구간마다 센싱 홀(51)을 형성하여 전도성 라인층(40)의 저항라인(41,42) 만을 상기 센싱 홀(5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도4는 복수개의 리크 센싱 필름(10)이 연장되어 연결된 상태와 제어기(2)와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로서, 리크 감지를 위한 거리가 비교적 긴 경우 다수의 리크 센싱 필름(10)을 커넥터(7)를 통하여 직렬로 연장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6)에 의해 저항라인(41,42)과 신호라인(43,44)을 연결하여 케이블(1)을 통해 제어기(2)와 접속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리크 센싱 필름(10)에 리크(L1)가 발생하면, 보호 필름층(50)의 센싱 홀(51)을 통해 리크(L1)가 유입되고, 유입된 리크(L1)에 의해 저항 라인(41,42)이 서로 통전된다.
따라서, 저항라인(41,42)의 저항값이 변동되고, 그 변동된 저항값은 신호라인(43,44)을 통해 제어기(2)로 전송되며, 제어기(2)는 이러한 저항값의 변동 상태에 따라 리크 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저항값의 크기에 따라 리크(L1)의 발생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즉, 저항값이 크면, 그 저항값만의 크기만큼 제어기(2)로부터 리크의 발생위치가 멀리 있는 것이며, 저항값이 작으면, 그만큼 제어기(2)로부터 가까이 있는 것이므로, 미리 제어기(2)에 저장된 저항값과 거리에 대한 테이블 값으로 정확한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경우 리크 감지 범위가 장거리 예를 들면 1키로미터 이상일 경우에는 직렬로 연결된 다수개의 리크 센싱 필름(10)이 설치되는데, 한곳 이상 다수의 리크(L1,L2)가 발생하게 되면, 제어기(2)는 리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지만 리크(L1,L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즉, 한 곳의 리크만 발생한 경우에는 저항값의 변동과 크기에 의해 위치를 판단할 수 있지만, 다수의 리크(L1,L2)가 발생한 경우에는 리크(l1,L2) 발생 위치의 저항값이 모두 합산되어 제어기(2)로 입력되므로, 전혀 다른 리크 위치에 대한 저항값이 확인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리크가 발생하면, 관리자가 장거리 구간을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므로 리크 발생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수의 리크 센싱 필름을 커넥터를 갖는 다수의 슬레이브 제어기에 의해 직렬로 연결하고, 슬레이브 제어기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리크를 감지하여 원격의 마스터 제어기로 전송함으로써 다중의 리크가 발생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리크 센싱 필름의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리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크 감지 장치는,
테이프 형태로 된 베이스 필름의 상부면에 리크를 감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저항라인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리크 센싱 필름;
상기 다수의 리크 센싱 필름을 직렬로 연결시켜 연장시키기 위한 다수의 슬레이브 제어기;로 구성되며,
상기 리크 센싱 필름에 리크가 감지되면, 리크 센싱 필름의 양단에 연결된 슬레이브 제어기들이 리크 센싱 신호에 자신의 ID를 부가하여 마스터 제어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리크 감지 장치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마스터 제어기에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로부터 전송되어진 리크 센싱 신호를 원격지의 통합알람모듈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통합알람모듈은 리크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로컬 PC로 전송하며, 상기 로컬 PC는 리크 센싱 신호를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리크발생여부에 따른 알람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위치에서 리크가 발생하여도 리크 발생 여부는 물론 그 위치까지 정확히 확인할 수 있어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며, 아울러 또한 마스터 제어기를 통해 원격지의 로컬 PC에 리크 센싱 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알람을 발생함과 아울러 저장 및 관리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리크 발생시에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크 감지 장치의 단면을 보인 도.
도 2는 도 1의 전도성 라인층의 구조를 보인 도.
도 3은 보호 필름층의 구조를 보인 도.
도 4는 리크 센싱 필름과 마스터 제어기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크 센싱 필름의 구조를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슬레이브 제어기의 구조를 보인 도.
도 7은 슬레이브 제어기의 회로 구성을 보인 도.
도 8은 리크 센싱 필름 상부에 물체가 놓였을 때의 감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9는 본 발명의 리크 감지 장치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 5 내지 도 9까지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된 리크 센싱 필름(100)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부착층(110), 하부 필름층(120), 상부 필름층(130), 보호 필름층(140)으로 구성된다.
부착층(110)은 바닥이나 벽면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필름층(120)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양면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하부 필름층(120)은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한 쌍의 전원공급라인(121,122)과 한 쌍의 통신라인(123,124)이 하부 필름층(12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스트립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라인(121,122)과 통신라인(123,124)는 도전성 잉크 또는 은(SILVER) 화합물에 의해 인쇄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필름층(120)의 상부에는 상부 필름층(130)이 적층되는데, 상부 필름층(130)의 상부면에는 한 쌍의 저항라인(131,132)이 상부 필름층(13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스트립 형태로 배치되며, 이 또한 도전성 잉크 또는 은(SILVER) 화합물에 의해 인쇄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필름층(130)의 상부에는 보호 필름층(140)이 적층되는데, 보호 필름층(140)에는 상부 필름층(130)의 저항 라인(131,132)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저항라인(131,132)과 대응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센싱 홀(141,14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리크 센싱 필름(10)을 장거리 연장하기 위하여 커넥터를 갖는 슬레이브 제어기(200)가 구비되는데, 이는 도6에서와 같이 슬레이브 제어기(200)의 하우징(201) 내부에는 PCB(220)이 내장되고, 상기 PCB(220)의 양측에는 커넥터(210,21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210,211)에 리크 센싱 필름(100)의 각 단부가 접속되어 하부 필름층(120)의 전원공급라인(121,122)과 통신라인(123,124), 그리고 상부 필름층(130)의 저항라인(131,132)이 슬레이브 제어기(200)의 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각 커넥터(210,211)는 상하 2단으로 구비되어 하측의 커넥터에는 하부 필름층(120)이 연결되고, 상측의 커넥터에는 상부 필름층(130)이 연결되며, 상부 필름층(120)은 슬레이브 제어기(200)의 내부에 구비된 PCB(220)의 상부면에, 하부 필름층(130)은 PCB(220)의 하부면에 각각 접속시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접속된다.
따라서, 이러한 슬레이브 제어기(200)를 통하여 리크 센싱 필름(100)을 연속적으로 직렬 연장이 가능하게 되며, 가장 처음 단에 위치한 슬레이브 제어기는 도11에서와 같이 마스터 제어기(300)에 연결된다.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200)는 전원공급라인(121,122)를 통하여 동작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일측의 커넥터(210)에 연결된 전원공급라인(121,122)과 신호라인(123,124)을 타측의 커넥터(211)로 연결하여 이웃하는 슬레이브 제어기에 마스터 제어기(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과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도 7은 슬레이브 제어기(200)의 PCB(220)에 실장된 회로부(221)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전원공급라인(121,122)를 통해 동작전원을 공급받으며, 마스터 제어기(300)로부터 RS485 통신라인(123,124)을 통해 제어 명령을 인가받으면서 리크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도8에서와 같이 리크(L1)가 발생하여 센싱 홀(141,142)을 통해 유입되면, 저항라인(131,132)이 서로 통전되고, 이러한 통전상태를 콘트롤러(221)가 인지하며, 통전이 발생한 경우에 리크 센싱 신호에 ID 저장부(222)에 저장된 자신의 ID를 부가하여 증폭부(223)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ID는 디지털 신호이거나 또는 슬레이브 제어기 자체의 아날로그 신호 레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트롤러(221)는 자체에 A/D 변환기를 구비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리크 센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어야 하며, 아날로그 신호일 경우에는 신호레벨을 변환하여 주어야 한다.
증폭부(223)는 전송되기에 적당한 크기로 증폭하여 통신라인(123,124)을 통해 마스터 제어기(300)로 전송하는 것이다.
한편, 도8에서와 같이 여러 리크 센싱 필름(100,100-1)에 걸쳐서 복수의 리크(L3,L4)가 발생할 수 있는데, 리크(L3)의 경우에는 제어기(200)와 이웃하는 제어기(200-1) 사이에서 발생한 것이므로, 양쪽의 제어기(200,200-1)는 각각의 ID가 부가된 리크 센싱 신호를 통신라인을 통해 마스터 제어기(30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마스터 제어기(300)는 제어기(200,200-1)사이에서 리크가 발생한 것임을 인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리크(L3)와 동시에 발생한 리크(L4)도 제어기(200-1)와 이웃하는 제어기(200-2) 사이의 리크 센싱 필름(100-1)에서 발생한 것이므로, 자신의 ID를 리크 센싱 신호에 부가하여 통신라인을 통해 마스터 제어기(300)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중의 리크가 발생하였다 할지라도, 리크가 발생한 위치의 양측에 위치한 제어기에 의해 리크 발생 여부는 물론 위치까지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8에서와 같이 리크 센싱 필름(100,100-1,...)의 상부면에 물체(M)가 놓여지면 리크가 발생하더라도 물체(M)에 의해 방해를 받아 리크 감지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물체(M)가 놓인 경우를 감지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제어기(200,200-1,200-2,...)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양측부에 각각 초음파 송신부(224)와 초음파 수신부(225)를 동시에 구비하는데, 콘트롤러(221)는 초음파 송신부(224)로 자신의 ID를 출력하고, 초음파 송신부(224)는 초음파 신호에 ID를 부가하여 이웃하는 슬레이브 제어기로 전송하게 된다.
초음파 수신부(225)는 이웃하는 슬레이브 제어기로부터 전송되어진 초음파 신호를 수신받아 그 수신된 신호를 콘트롤러(221)로 제공하는데, 이때 콘트롤러(221)는 초음파 신호로부터 ID를 추출하게 되며, 이웃하는 슬레이브 제어기의 ID인 경우에는 물체(M)에 의해 초음파 신호가 방해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로 판단한다.
반면에, 자신의 ID가 수신된 경우에는 물체(M)에 초음파 신호가 반사되어 수신된 것이므로, 물체(M)가 리크 센싱 필름(100)의 상부면에 놓인 것으로 판단하여 물체 감지 신호에 ID를 부가하여 증폭부(223)와 통신라인(123,124)을 통해 마스터 제어기(300)로 전송함으로써 경보 알람을 발생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초음파 송신부(224)와 초음파 수신부(225)가 각각 적외선 송신부와 적외선 수신부로 대체된 경우에도 이와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리크 감지 장치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보여 주는 도로서, 각 슬레이브 제어기(200)를 통해 감지된 리크 센싱 신호 및 물체 감지 신호는 마스터 제어기(300)로 전송되어지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구조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제어기(300)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슬레이브 제어기(200)로부터 전송되어진 리크 센싱 신호 및 물체 감지 신호를 통합 알람 모듈(400)로 무선 전송하게 되며, 상기 통합 알람 모듈(400)은 복수개의 마스터 제어기(300)로부터 전송되는 리크 센싱 신호를 인가받아 RS485 통신으로 로컬 PC(50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컬 PC(500)는 리크 센싱 신호 및 물체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리크 발생 여부 및 물체 감지 여부의 결과에 따른 알람을 발생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통신망과 연결하여 관리자에게 문자메시지를 통하여 알람을 발생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서 e-메일을 통하여 관리자에게 현재의 상태를 알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로컬 PC(500)는 이러한 상태 데이터를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로컬 PC(500)로부터 슬레이브 제어기(200)로 특정 제어명령 즉, 센싱 감도, 신호 레벨, 증폭률 등을 조절하는 명령을 인가하고자 한다면, 상기 로컬 PC(500)로부터의 제어명령이 RS485통신을 통해 통합 알람 모듈(400)로 인가되고, 마스터 제어기(300)는 무선으로 통합 알람 모듈(400)로부터 제어명령을 인가받아 리크 리크 감지 필름(100)의 RS485 통신라인(123,124)을 통해 슬레이브 제어기(20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200)의 콘트롤러(221)는 이의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리크 센싱 필름 110 : 부착층
120 : 하부 필름층 121,122 : 전원공급라인
123,124 : 통신라인 130 : 상부 필름층
131,132 : 저항라인 140 : 보호 필름층
141,142 : 센싱 홀 200 : 슬레이브 제어기
210,211 : 커넥터 220 : 피씨비
221 : 콘트롤러 222 : ID 저장부
223 : 증폭부 224 : 초음파 송신부
225 : 초음파 수신부 300 : 마스터 제어기
400 : 통합 알람 모듈 500 : 로컬 PC

Claims (6)

  1. 테이프 형태로 된 베이스 필름의 상부면에 리크를 감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저항라인이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리크 센싱 필름;
    상기 다수의 리크 센싱 필름을 직렬로 연결시켜 연장시키기 위한 다수의 슬레이브 제어기;로 구성되며,
    상기 리크 센싱 필름에 리크가 감지되면, 리크 센싱 필름의 양단에 연결된 슬레이브 제어기들이 리크 센싱 신호에 자신의 ID를 부가하여 마스터 제어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들은 이웃하는 슬레이브 제어기를 마주보는 위치에 초음파 또는 적외선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자신의 ID를 갖는 초음파 신호 또는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면 마스터 제어기로 자신의 ID를 포함한 센싱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크 센싱 필름은 2개의 층이 적층되어 구성되며,
    하부층에는 길이방향의 나란히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전원공급라인과 한 쌍의 통신라인이 형성되고,
    상부층에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저항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감지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는 리크 센싱 필름의 하부층에 형성된 통신라인을 통하여 마스터 제어기로 리크 센싱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감지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는
    상기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마스터 제어기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는 양단에 각각 리크 센싱 필름의 하부층 및 상부층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의 내측에는,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의 자체 ID를 저장하는 ID 저장부;
    상기 리크 센싱 필름의 신호라인으로부터 감지된 리크 센싱 신호를 인가받아 ID 저장부에 저장된 자체 ID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콘트롤러;
    상기 콘트롤러의 출력을 인가받아 증폭하여 통신라인을 통해 마스터 제어기로 전송하는 증폭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감지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기재된 리크 감지 장치의 마스터 제어기에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슬레이브 제어기로부터 전송되어진 리크 센싱 신호를 원격지의 통합알람모듈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통합알람모듈은 리크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로컬 PC로 전송하며, 상기 로컬 PC는 리크 센싱 신호를 전송받아 저장 및 관리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리크발생여부에 따른 알람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크 감지 장치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30128946A 2013-10-29 2013-10-29 리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70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8946A KR101470308B1 (ko) 2013-10-29 2013-10-29 리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US14/067,440 US9212965B2 (en) 2013-10-29 2013-10-30 Leak detection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having slave controllers with unique IDs
CN201410016692.9A CN104568316A (zh) 2013-10-29 2014-01-15 检漏装置及利用该装置的远程监控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8946A KR101470308B1 (ko) 2013-10-29 2013-10-29 리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308B1 true KR101470308B1 (ko) 2014-12-08

Family

ID=5267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8946A KR101470308B1 (ko) 2013-10-29 2013-10-29 리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12965B2 (ko)
KR (1) KR101470308B1 (ko)
CN (1) CN104568316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854B1 (ko) * 2015-12-03 2017-08-03 신주명 스마트 유류 누출감지 장치 및 시스템
KR20180116762A (ko) * 2017-04-17 2018-10-25 (주)드림팩토리 유체 유출 감지 장치
KR20180116764A (ko) * 2017-04-17 2018-10-25 (주)드림팩토리 유체 유출 감지 시스템
KR20180125725A (ko) 2017-05-16 2018-11-26 주식회사 피엠씨테크 자기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 및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 진단 모듈
KR101932892B1 (ko) 2018-08-10 2019-03-20 (주)유민에쓰티 다중 리크 및 화재 감지 장치
KR101988042B1 (ko) * 2018-02-21 2019-09-30 김동섭 스마트 누수 경보 시스템
KR20200030951A (ko) * 2018-09-13 2020-03-23 김동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리크센서
KR102397328B1 (ko) 2021-04-21 2022-05-13 (주)유민에쓰티 필름형 비접촉 정전용량형 누액 감지 장치
KR20220124319A (ko) 2021-03-02 2022-09-14 (주)유민에쓰티 누액 감지 시스템
KR102451647B1 (ko) * 2022-07-11 2022-10-07 주식회사 능인솔루션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KR102502000B1 (ko) * 2022-07-21 2023-02-23 주식회사 능인솔루션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를 구비한 누액검출필름 제조 방법 및 그 누액검출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8753B1 (fr) * 2012-11-28 2016-01-01 Ttk Module, circuit et procede de communication pour dispositif de detection et capteur comprenant un tel module.
WO2017074312A1 (en) 2015-10-27 2017-05-0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ensor detection architecture
WO2017115145A1 (en) 2015-12-31 2017-07-06 Delta Faucet Company Water sensor
CN106680322B (zh) * 2017-01-22 2023-11-14 上海柳智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液体漏液检测薄膜传感器
CN107560807A (zh) * 2017-09-18 2018-01-09 北京普莱德新能源电池科技有限公司 一种漏水感应装置、电池包及电动汽车
CN109969637A (zh) * 2017-12-27 2019-07-05 圣弗氏股份有限公司 附泄漏检测地下槽的双重壳构造
JP6998908B2 (ja) 2018-04-18 2022-01-18 タツタ電線株式会社 位置検知システム及び位置検知方法
CN108799840A (zh) * 2018-05-04 2018-11-13 中国人民解放军92942部队 基于红外成像和超声信号的蒸汽管路在线监测系统
CN109682539A (zh) * 2018-11-23 2019-04-26 国网天津市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多测量技术集成的阀门漏流测试仪
JP6998907B2 (ja) 2019-02-28 2022-01-18 タツタ電線株式会社 検知システム、検知器及び検知方法
CN112161751A (zh) * 2020-09-15 2021-01-01 合肥芯碁微电子装备股份有限公司 直写式光刻机及漏水检测方法
CN112483907B (zh) * 2020-11-10 2022-02-11 深圳市祥为测控技术有限公司 管道测漏系统及其测漏方法
CN113944889A (zh) * 2021-09-30 2022-01-18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一种水电厂防水淹厂房快速感应漏水的检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241B1 (ko) * 2008-07-21 2009-07-27 (주)유민에쓰티 물성감지 리크 센싱 테이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원격 모니터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9229B1 (en) * 1999-05-24 2001-05-08 Terry D. Sharp Liquid sensor for disabling an electrical device
KR100909242B1 (ko) * 2008-04-24 2009-07-27 (주)유민에쓰티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
DE102008026901B4 (de) * 2008-06-05 2010-06-02 Cellpack Gmbh Datenübertragungssystem mit Ortungs-, Identifikations- und Messfunktion sowie ein Verfahren hierzu
CN101337532A (zh) * 2008-08-15 2009-01-07 佛山市顺德区骏达电子有限公司 一种超声波感应式汽车防盗装置
CN102693050A (zh) * 2011-03-23 2012-09-26 上海优熠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触摸点形状识别功能的触摸屏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241B1 (ko) * 2008-07-21 2009-07-27 (주)유민에쓰티 물성감지 리크 센싱 테이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원격 모니터링 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854B1 (ko) * 2015-12-03 2017-08-03 신주명 스마트 유류 누출감지 장치 및 시스템
KR102105180B1 (ko) * 2017-04-17 2020-04-28 (주)드림팩토리 유체 유출 감지 장치
KR20180116762A (ko) * 2017-04-17 2018-10-25 (주)드림팩토리 유체 유출 감지 장치
KR20180116764A (ko) * 2017-04-17 2018-10-25 (주)드림팩토리 유체 유출 감지 시스템
KR102108007B1 (ko) * 2017-04-17 2020-05-11 (주)드림팩토리 유체 유출 감지 시스템
KR20180125725A (ko) 2017-05-16 2018-11-26 주식회사 피엠씨테크 자기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 및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 진단 모듈
KR101981144B1 (ko) * 2017-05-16 2019-05-22 주식회사 피엠씨테크 자기진단이 가능한 누수 감지 센서 및 누수 감지 센서의 이상 진단 모듈
KR101988042B1 (ko) * 2018-02-21 2019-09-30 김동섭 스마트 누수 경보 시스템
KR101932892B1 (ko) 2018-08-10 2019-03-20 (주)유민에쓰티 다중 리크 및 화재 감지 장치
KR20200030951A (ko) * 2018-09-13 2020-03-23 김동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리크센서
KR102116614B1 (ko) 2018-09-13 2020-05-28 김동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리크센서
KR20220124319A (ko) 2021-03-02 2022-09-14 (주)유민에쓰티 누액 감지 시스템
KR102397328B1 (ko) 2021-04-21 2022-05-13 (주)유민에쓰티 필름형 비접촉 정전용량형 누액 감지 장치
KR102451647B1 (ko) * 2022-07-11 2022-10-07 주식회사 능인솔루션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KR102502000B1 (ko) * 2022-07-21 2023-02-23 주식회사 능인솔루션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를 구비한 누액검출필름 제조 방법 및 그 누액검출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16118A1 (en) 2015-04-30
CN104568316A (zh) 2015-04-29
US9212965B2 (en) 201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308B1 (ko) 리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09242B1 (ko)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
KR100827385B1 (ko)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
JP4762235B2 (ja) 無線周波通信を備えるプロセスフィールド装置
CN205785702U (zh) 一种检测漏液的新型条带式传感器装置
KR100909241B1 (ko) 물성감지 리크 센싱 테이프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원격 모니터링 장치
KR20110007501A (ko) 누유 감지 장치
KR101662050B1 (ko) 누출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누출 감지 시스템
US20130300431A1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1932892B1 (ko) 다중 리크 및 화재 감지 장치
WO2015064807A1 (ko) 리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WO2014195756A1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US8786451B2 (en) Leak detection system having power and communication lines
KR101461520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울타리 침입감지시스템
KR101479177B1 (ko) 물성감지 리크센서
KR101562625B1 (ko) 지하매설관 특정위치 탐지시스템 및 방법
US8653971B2 (en) Sensor tape for security detection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1400886B1 (ko) 3차원 분포형 지하 온도 측정 시스템
KR101700870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초고속 통신망과 연계한 소방관리 시스템
JPH08249563A (ja) 光ファイバ式火災感知システム
KR101375811B1 (ko)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을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US20070157705A1 (en) Leak detection system with addressable sensors
KR102009968B1 (ko) 성상분리센서
KR102365352B1 (ko) 누액감지센서가 접속된 r형 화재 수신장치
KR102126902B1 (ko)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유해화학용액 누설 감지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