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647B1 -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 Google Patents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647B1
KR102451647B1 KR1020220084940A KR20220084940A KR102451647B1 KR 102451647 B1 KR102451647 B1 KR 102451647B1 KR 1020220084940 A KR1020220084940 A KR 1020220084940A KR 20220084940 A KR20220084940 A KR 20220084940A KR 102451647 B1 KR102451647 B1 KR 102451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ak
clock
detection
leak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능인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능인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능인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8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47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daisy chain b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누액검출필름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데이지체인(Daisy Chain) 통신방식으로 하나의 누액검출기가 바로 다음에 연결된 누액검출기에게로 누액검출제어기가 각각의 누액검출기의 동작아이디를 지정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연달아 전달하되, 하나의 누액검출기가 누액검출제어기의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와 누액검출제어기 사이에 형성되는 폐회로 구간에서 누액검출제어기에서 송출된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가 흐르게 함으로써 누액검출제어기로부터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한 누액검출기와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누액검출필름 상의 누액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누액검출제어기로부터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한 누액검출기와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누액검출필름 상의 누액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하면 누액검출제어기에서 송출된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검출신호의 노이즈 유무와 상관없이, 또한 해당 검출신호로부터 저항값 및 전압값의 변화에 따른 거리를 계산할 필요 없이, 해당 검출신호의 변화를 나타내는 누액검출기의 동작아이디를 확인하여 해당 누액검출필름의 정확한 누액 검출 위치를 쉽게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Liquid leak detector of daisy chain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누액검출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누액검출필름은 액체(예컨대, 물, 화학 용액, 기름 등) 누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곳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제작되며, 통상 특허문헌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층과 전도선층 및 보호층이 저면에서부터 상방으로 순차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전도선층은 복수의 전도선과 저항체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선이 정해진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누액검출필름은 일단이 누액검출제어기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통상 커넥터에 의해 복수개가 연결되어 필요한 길이(혹은 거리) 만큼 누액 검출을 위한 장소에 부착된다.
상기 누액검출필름은 누액검출제어기의 신호선과 연결되는 복수의 전도선을 통해 누액검출제어기에서 송출되는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보호층에 형성된 누액 검출 구멍을 통해 상기 저항선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누액 검출 구멍이 누출 액체에 의해 채워질 때 상기 전도선과 저항선 사이에 형성되는 폐회로 구간을 상기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가 흐르는 동안 저항값 및 전압값의 변화에 따른 거리를 계산하여 해당 누액검출필름의 누액 검출 위치를 검출한다.
한편, 특허문헌1에 예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누액검출필름을 커넥터로 연결하여 수백 미터 이상 장거리의 장소까지 사용하는 경우, 상기 누액검출제어기에서 수백 미터 떨어진 어느 지점에서 상기 전도선과 저항선 사이에 형성되는 폐회로 구간을 상기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가 흐르는 동안 저항값 및 전압값의 변화를 검출신호로 수신하더라도 해당 검출신호에 노이즈가 있는 경우 해당 검출신호로부터 저항값 및 전압값의 변화에 따른 거리를 계산하여 해당 누액검출필름의 정확한 누액 검출 위치를 검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실제, 상기 누액검출필름의 보호층에 형성된 누액 검출 구멍이 장시간 동안 대기중에 노출된 상태에서 대기와의 접촉부분에서 화학반응이 발생하거나 정전기 현상으로 먼지 등의 입자가 해당 누액 검출 구멍이나 그 주변에 부착되면 해당 누액 검출 구멍에 누출 액체가 채워지더라도 상기 검출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로 인한 누액 검출 성능이 저하되어 해당 누액검출필름의 정확한 누액 검출 위치를 검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10-0827385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액검출필름 위에 배치(예컨대, 등간격 혹은 비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된 상태에서 데이지체인(Daisy Chain) 통신방식으로 하나의 누액검출기가 바로 다음에 연결된 누액검출기에게로 누액검출제어기가 각각의 누액검출기의 동작아이디를 지정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연달아 전달하되, 하나의 누액검출기가 누액검출제어기의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와 누액검출제어기 사이에 형성되는 폐회로 구간에서 누액검출제어기에서 송출된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가 흐르게 함으로써 누액검출제어기로부터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한 누액검출기와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누액검출필름 상의 누액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하는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는,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가 흐르는 동안 누액검출신호를 누액검출제어기로 전송하는 누액검출필름 위에 배치(예컨대, 등간격 혹은 비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는 단일 기판으로 제작되고,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입력단을 통해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단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로 출력하는 제1전도선과;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 사이에 클럭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입력단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수신되면 누액 검출 시간 동안 상기 클럭 스위치가 오프되고, 상기 누액 검출 시간이 지나면 상기 클럭 스위치가 온되어 상기 출력단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전도선;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출력단과 상기 제1전도선의 입력단에 근접한 지점에 형성된 피드백 접점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피드백 접점을 통해 상기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를 상기 출력단과 바로 앞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누액검출필름의 저항선을 경유하여 상기 바로 앞에 위치한 누액검출기 쪽으로 피드백하는 피드백선;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출력단에 근접한 지점에 누액검출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누액검출 접점을 통해 인가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출력단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로 출력하는 제3전도선;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과 상기 제3전도선의 누액검출 접점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입력단과 상기 누액검출 접점 사이에 누액검출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가 온되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의 상기 피드백선의 출력단과 연결된 누액검출필름의 저항선을 통해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누액검출 접점으로 인가하는 검출선;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를 직결하여 접지하는 접지선; 상기 제2전도선의 입력단을 통해 자신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입력되면 누액검출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여 제어부로 공급하는 전원회로부; 및 상기 전원회로부의 전원을 공급받으면 데이지체인(Daisy Chain) 통신방식으로 하나의 누액검출기가 바로 다음에 연결된 누액검출기에게로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연달아 전달하게 하되 상기 제2전도선의 입력단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상기 검출선의 입력단을 경유하여 인가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제3전도선의 출력단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로 출력되게 한 후 상기 제2전도선의 출력단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출력되게 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검출선에는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가 온되어 상기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누액검출 접점으로 인가하는 동안 해당 누액검출신호를 증폭하는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회로부는 상기 제2전도선의 입력단을 통해 자신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누액검출 작동에 필요한 전원 발생 작동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전도선의 입력단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상기 클럭 스위치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검출선의 입력단을 경유하여 상기 누액검출 접점으로 인가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제3전도선의 출력단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로 출력되게 한 후 상기 클럭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제2전도선의 출력단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전도선의 입력단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첫 번째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클럭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직전 클럭 패키지 수신 이력을 클리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전도선의 입력단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상기 클럭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직전 클럭 패키지 수신 이력을 클리어한 상태에서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마지막 클럭 신호 직전의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예컨대,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두 번째 클럭 신호부터 마지막 클럭 신호 직전의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검출선의 입력단을 경유하여 상기 누액검출 접점으로 인가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제3전도선의 출력단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로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전도선의 입력단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마지막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상기 클럭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제2전도선의 출력단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전도선의 입력단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마지막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응답(ACK) 신호를 생성하여 누액검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예컨대, LED)을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선의 입력단과 상기 제2전도선의 입력단, 상기 피드백선의 출력단, 상기 제3전도선의 입력단 및 상기 접지선의 입력단은 상기 누액검출제어기 혹은 바로 앞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와 신호를 주고받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선의 출력단과 상기 제2전도선의 출력단, 상기 제3전도선의 출력단, 상기 검출선의 입력단 및 상기 접지선의 출력단은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와 신호를 주고받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선의 입력단과 출력단, 상기 제2전도선의 입력단과 출력단, 상기 제3전도선의 입력단과 출력단은 각각 상기 누액검출필름의 제1전도선, 상기 누액검출필름의 제2전도선, 상기 누액검출필름의 제3전도선과 연결되고, 상기 접지선의 입력단과 출력단은 상기 누액검출필름의 접지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선의 출력단과 상기 검출선의 입력단은 상기 누액검출필름의 저항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누액검출제어기로부터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한 누액검출기와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누액검출필름 상의 누액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하면 누액검출제어기에서 송출된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검출신호의 노이즈 유무와 상관없이, 또한 해당 검출신호로부터 저항값 및 전압값의 변화에 따른 거리를 계산할 필요 없이, 해당 검출신호의 변화를 나타내는 누액검출기의 동작아이디를 확인하여 해당 누액검출필름의 정확한 누액 검출 위치를 쉽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액검출기는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응답(ACK) 신호에 의해 누액검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예컨대, LED)을 점등하므로 누액검출필름이 설치된 현장에서 해당 표시등 점등 상태를 점검하여 해당 누액검출기의 고장을 쉽게 진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의 동작아이디를 지정한 클럭 패키지 신호를 나타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고, 누액검출제어기(200)와 연결된 누액검출필름(210) 위에 n개의 누액검출기(100)가 배치된 상태를 예신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100)는 누액검출제어기(200)와 연결되어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가 흐르는 동안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누액검출제어기(200)로 전송하는 누액검출필름(210) 위에 배치(예컨대, 등간격 혹은 비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는 단일 기판으로 제작된다.
도 1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누액검출필름(210)은 상기 누액검출제어기(200)와 연결되는 제1전도선(211)과 제2전도선(212), 저항선(213), 제3전도선(214) 및 접지선(215)을 포함한다.
상기 누액검출필름(210)은 상기 누액검출제어기(200)에서 송출되는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를 전달받는 제1전도선(211)과 저항선(213) 사이에 형성되는 폐회로 구간을 상기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가 흐르는 동안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누액검출제어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누액검출필름(210)은 베이스층과 전도선층 및 보호층이 저면에서부터 상방으로 순차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전도선층에 상기한 복수의 전도선(211,212,214)과 저항체에 의해 형성되는 저항선(213) 및 접지선(215)이 정해진 패턴을 형성한다.
도 1에서는 확대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5개의 도선 패턴으로 형성된 누액검출필름(210)을 예시한다.
상기 누액검출필름(210)은 일단이 상기 누액검출제어기(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커넥터 없이 필요한 길이(혹은 거리) 만큼 누액 검출을 위한 장소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 연장이 필요한 경우 커넥터에 의해 복수개가 연결되어 필요한 길이(혹은 거리) 만큼 누액 검출을 위한 장소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누액검출필름(210)은 상기 누액검출제어기(200)의 신호선과 신호(예컨대,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 누액검출신호)를 주고받도록 연결되며, 상기 보호층에 형성된 누액 검출 구멍(213a)(도 1의 확대도 참조)을 통해 상기 저항선(213)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누액 검출 구멍(213a)이 누출 액체에 의해 채워질 때 상기 제1전도선(211)과 저항선(213) 사이에 형성되는 폐회로 구간을 상기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가 흐르는 동안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누액검출제어기(200)로 전송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누액검출필름(210) 위에 연달아 배치된 2개의 누액검출기(100,100a)와 본 발명에 따른 누액검출기(100,100a)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100)는 제1전도선(110)과 제2전도선(120), 피드백선(130, 제3전도선(140), 검출선(150), 접지선(160), 전원회로부(170),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100)의 제1전도선(110)은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111)과 출력단(112)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입력단(111)을 통해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단(11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100)의 제2전도선(120)은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121)과 출력단(122)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입력단(121)과 상기 출력단(122) 사이에 클럭 스위치(12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수신되면 누액 검출 시간 동안 상기 클럭 스위치(123)가 오프되고, 상기 누액 검출 시간이 지나면 상기 클럭 스위치(123)가 온되어 상기 출력단(12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100)의 피드백선(130)은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출력단(131)과 상기 제1전도선(110)의 입력단에 근접한 지점에 형성된 피드백 접점(132)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피드백 접점(132)을 통해 상기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를 상기 출력단(131)과 바로 앞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누액검출필름(210)의 저항선(213)을 경유하여 상기 바로 앞에 위치한 누액검출기(100) 쪽으로 피드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100)의 제3전도선(140)은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141)과 출력단(142)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출력단(142)에 근접한 지점에 누액검출 접점(143)이 형성되고 상기 누액검출 접점(143)을 통해 인가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출력단(14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100)의 검출선(150)은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151)과 상기 제3전도선(140)의 누액검출 접점(143)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입력단(151)과 상기 누액검출 접점(143) 사이에 누액검출 스위치(152)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152)가 온되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의 상기 피드백선(130)의 출력단(131)과 연결된 누액검출필름(210)의 저항선을 통해 상기 입력단(151)으로 입력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누액검출 접점(143)으로 인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100)의 접지선(160)은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161)과 출력단(162) 사이를 직결하여 접지한다.
상기 전원회로부(17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신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입력되면 누액검출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여 제어부(180)로 공급한다.
상기 전원회로부(17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신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누액검출 작동에 필요한 전원 발생 작동을 중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원회로부(170)의 전원을 공급받으면 데이지체인(Daisy Chain) 통신방식으로 하나의 누액검출기(100)가 바로 다음에 연결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에게로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연달아 전달하게 하되,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상기 검출선(150)의 입력단(151)을 경유하여 인가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제3전도선(140)의 출력단(14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로 출력되게 한 후 상기 제2전도선(120)의 출력단(12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출력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상기 클럭 스위치(123)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152)를 온시켜 상기 검출선(150)의 입력단(151)을 경유하여 상기 누액검출 접점(143)으로 인가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제3전도선(140)의 출력단(14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로 출력되게 한 후 상기 클럭 스위치(123)를 온시켜 상기 제2전도선(120)의 출력단(12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출력되게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첫 번째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클럭 스위치(123)를 오프시키고 직전 클럭 패키지 수신 이력을 클리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상기 클럭 스위치(123)를 오프시키고 직전 클럭 패키지 수신 이력을 클리어한 상태에서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마지막 클럭 신호 직전의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두 번째 클럭 신호부터 마지막 클럭 신호 직전의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152)를 온시켜 상기 검출선(150)의 입력단(151)을 경유하여 상기 누액검출 접점(143)으로 인가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제3전도선(140)의 출력단(14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로 출력되게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마지막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152)는 오프시키고 상기 클럭 스위치(123)를 온시켜 상기 제2전도선(120)의 출력단(12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출력되게 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마지막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응답(ACK) 신호를 생성하여 누액검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190)(예컨대, LED)을 점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100)는 단일 기판으로 제작되며, 상기한 누액검출제어기(200)와 연결되어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가 흐르는 동안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누액검출제어기(200)로 전송하는 누액검출필름(210) 위에 등간격 혹은 비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2에서는 상기 누액검출기(100)가 상기 제1전도선(110)의 입력단(111)과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 상기 피드백선(130)의 출력단(131), 상기 제3전도선(140)의 입력단(141) 및 상기 접지선(160)의 입력단(161)이 상기 누액검출제어기(200) 혹은 바로 앞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와 신호를 주고받도록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는 상기 누액검출기(100)가 상기 제1전도선(110)의 출력단(112)과 상기 제2전도선(120)의 출력단(122), 상기 제3전도선(140)의 출력단(142), 상기 검출선(150)의 입력단(151) 및 상기 접지선(160)의 출력단(162)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와 신호를 주고받도록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상기 누액검출기(100)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선(110)의 입력단(111)과 출력단(112),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과 출력단(122), 상기 제3전도선(140)의 입력단(141)과 출력단(142)은 각각 상기 누액검출필름(210)의 제1전도선(211), 상기 누액검출필름(210)의 제2전도선(212), 상기 누액검출필름(210)의 제3전도선(214)과 연결되고, 상기 접지선(160)의 입력단(161)과 출력단(162)은 상기 누액검출필름(210)의 접지선(215)과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상기 누액검출기(100)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선(130)의 출력단(131)과 상기 검출선(150)의 입력단(151)은 상기 누액검출필름(210)의 저항선(213)과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일 기판으로 제작된 상기 누액검출기(100)가 누액검출필름(210) 위에 등간격 혹은 비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누액검출제어기(200)는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와 상기 누액검출기(100)를 대상으로 동작아이디를 지정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송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100)의 동작아이디를 지정한 클럭 패키지 신호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상기 누액검출기(100)의 동작아이디를 지정한 클럭 패키지 신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n개의 누액검출기(100)가 누액검출필름(210) 위에 등간격 혹은 비등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누액검출기(100)를 식별하는 동작아이디가 지정된다.
도 3에서는 0V에서 정해진 값만큼 디씨 오프셋(DC offset) 되어 상기 누액검출제어기(200)로부터 송출되는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Signal)(예컨대, 사인파)와 1주기 동안 펄스 주기 40ms인 4개의 클럭 신호를 포함하고 n개의 누액검출기(100) 마다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Clock)를 예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Signal)와 1주기 동안 펄스 주기 40ms인 4개의 클럭 신호를 포함하고 누액검출기(100)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누액검출기(100)의 누액검출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누액검출필름(210) 위에 앞뒤로 연달아 배치되어 있는 2개의 누액검출기(100,100a)를 참고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n개의 누액검출기(100)를 사용하는 누액검출 작동 시간은 4×40ms×n개의 시간으로 구해지는 1 사이클(cycle)로 정해지고, 이 1 사이클의 누액검출 작동 시간 동안 n개의 누액검출기(100)가 등간격 혹은 비등간격으로 배치된 누액검출필름(210)의 누액 검출 위치를 검출하는 누액검출 작동 후, 상기 누액검출제어기(200)에서 클럭 패키지 신호 송출을 리셋(All Reset)하고 누액검출 작동을 다시 시작(Re-Start)하는 과정이 반복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100)의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신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첫 번째 클럭 신호가 입력되면서부터 상기 전원회로부(170)가 누액검출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80)로 공급한다.
참고로, 상기 전원회로부(17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신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누액검출 작동에 필요한 전원 발생 작동을 중단한다.
상기 전원회로부(170)가 누액검출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할 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첫 번째 클럭 신호(1st Clock)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클럭 스위치(123)를 오프시키고 직전 클럭 패키지 수신 이력을 클리어(CLR)한다.
상기와 같이 클럭 스위치(123)가 오프되고 상기 제어부(180)의 직전 클럭 패키지 수신 이력이 클리어된 상태가 되면, 연이어서 상기 제어부(180)는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마지막 클럭 신호 직전의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예컨대 도 4에 나타낸 4개 클럭 신호를 포함하는 클럭 패키지 신호의 두 번째 클럭 신호(2nd Clock)부터 마지막 4번째 클럭 신호(4th Clock) 직전의 3번째 클럭 신호(3rd Clock)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152)를 온시켜 상기 검출선(150)의 입력단(151)을 경유하여 상기 누액검출 접점(143)으로 인가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제3전도선(140)의 출력단(14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로 출력되게 한다.
이와 같이 출력된 누액검출신호는 상기 누액검출필름(210) 위에 배치된 해당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와 그 다음에 연달아 연결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 및 그 다음에 연달아 연결된 나머지 누액검출기 모두(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n개)를 경유하여 상기 누액검출제어기(200)로 전송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마지막 4번째 클럭 신호(4th Clock)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152)는 다시 오프시키고 상기 클럭 스위치(123)를 온시켜, 상기한 마지막 4번째 클럭 신호(4th Clock)의 입력이 끝나는 시점부터 상기 제2전도선(120)의 출력단(12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예컨대, 도 2의 100, 100a 중 100a)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출력되게 한다.
이때, 상기 클럭 스위치(123)가 온됨에 따라 상기 제2전도선(120)은 클럭 라인 온(Clock Line ON)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의 마지막 4번째 클럭 신호(4th Clock)가 입력되는 동안, 응답(ACK) 신호를 생성하여 누액검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190)(예컨대, LED)을 점등한다.
상기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누액검출제어기(200)로부터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한 누액검출기(100)와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100a)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누액검출필름(210) 상의 누액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하면 누액검출제어기(200)에서 송출된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검출신호의 노이즈 유무와 상관없이, 또한 해당 검출신호로부터 저항값 및 전압값의 변화에 따른 거리를 계산할 필요 없이, 해당 검출신호의 변화를 나타내는 누액검출기(100)의 동작아이디를 확인하여 해당 누액검출필름(210)의 정확한 누액 검출 위치(예컨대, 서로 연달아 연결된 누액검출기 100과 100a 사이)를 쉽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액검출기(100)는 상기 제어부(180)에 의해 생성되는 응답(ACK) 신호에 의해 누액검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예컨대, LED)(190)이 점등되므로 누액검출필름(210)이 설치된 현장에서 해당 표시등(190) 점등 상태를 점검하여 해당 누액검출기(100)의 고장을 쉽게 진단할 수 있다.
100: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110: 제1전도선 111: 입력단
112: 출력단 120: 제2전도선
121: 입력단 122: 출력단
123: 클럭 스위치 130: 피드백선
131: 출력단 140: 제3전도선
141: 입력단 142: 출력단
150: 검출선 151: 입력단
152: 누액검출 스위치 153: 버퍼
160: 접지선 161: 입력단
162: 출력단 170: 전원회로부
180: 제어부 190: 표시등
200: 누액검출제어기 210: 누액검출필름
211: 제1전도선 212: 제2전도선
213: 저항선 213a: 구멍
214: 제3전도선 215: 접지선

Claims (10)

  1.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가 흐르는 동안 누액검출신호를 누액검출제어기(200)로 전송하는 누액검출필름(210) 위에 배치되는 단일 기판으로 제작되고,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111)과 출력단(112)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입력단(111)을 통해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단(11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로 출력하는 제1전도선(110)과;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121)과 출력단(122)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입력단(121)과 상기 출력단(122) 사이에 클럭 스위치(12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수신되면 누액 검출 시간 동안 상기 클럭 스위치(123)가 오프되고, 상기 누액 검출 시간이 지나면 상기 클럭 스위치(123)가 온되어 상기 출력단(12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전도선(120);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출력단(131)과 상기 제1전도선(110)의 입력단에 근접한 지점에 형성된 피드백 접점(132)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피드백 접점(132)을 통해 상기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누액 검출용 전기신호를 상기 출력단(131)과 바로 앞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의 사이를 연결하는 누액검출필름(210)의 저항선(213)을 경유하여 상기 바로 앞에 위치한 누액검출기 쪽으로 피드백하는 피드백선(130);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141)과 출력단(142)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출력단(142)에 근접한 지점에 누액검출 접점(143)이 형성되고 상기 누액검출 접점(143)을 통해 인가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출력단(14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로 출력하는 제3전도선(140);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151)과 상기 제3전도선(140)의 누액검출 접점(143) 사이를 직결하되 상기 입력단(151)과 상기 누액검출 접점(143) 사이에 누액검출 스위치(152)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152)가 온되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의 상기 피드백선(130)의 출력단(131)과 연결된 누액검출필름(210)의 저항선(213)을 통해 상기 입력단(151)으로 입력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누액검출 접점(143)으로 인가하는 검출선(150);
    상기 단일 기판에 형성된 입력단(161)과 출력단(162) 사이를 직결하여 접지하는 접지선(160);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신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입력되면 누액검출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여 제어부(180)로 공급하는 전원회로부(170); 및
    상기 전원회로부(170)의 전원을 공급받으면 데이지체인(Daisy Chain) 통신방식으로 하나의 누액검출기(100)가 바로 다음에 연결된 누액검출기에게로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연달아 전달하게 하되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상기 검출선(150)의 입력단(151)을 경유하여 인가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제3전도선(140)의 출력단(14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로 출력되게 한 후 상기 제2전도선(120)의 출력단(12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출력되게 하는 제어부(18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선(150)에는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152)가 온되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의 상기 피드백선(130)의 출력단(131)과 연결된 누액검출필름(210)의 저항선(213)을 통해 상기 입력단(151)으로 입력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누액검출 접점(143)으로 인가하는 동안 해당 누액검출신호를 증폭하는 버퍼(1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회로부(17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신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누액검출 작동에 필요한 전원 발생 작동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상기 클럭 스위치(123)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152)를 온시켜 상기 검출선(150)의 입력단(151)을 경유하여 상기 누액검출 접점(143)으로 인가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제3전도선(140)의 출력단(14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로 출력되게 한 후 상기 클럭 스위치(123)를 온시켜 상기 제2전도선(120)의 출력단(12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첫 번째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클럭 스위치(123)를 오프시키고 직전 클럭 패키지 수신 이력을 클리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상기 클럭 스위치(123)를 오프시키고 직전 클럭 패키지 수신 이력을 클리어한 상태에서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마지막 클럭 신호 직전의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152)를 온시켜 상기 검출선(150)의 입력단(151)을 경유하여 상기 누액검출 접점(143)으로 인가하는 누액검출신호를 상기 제3전도선(140)의 출력단(14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로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마지막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누액검출 스위치(152)는 오프시키고 상기 클럭 스위치(123)를 온시켜 상기 제2전도선(120)의 출력단(122)을 통해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가 출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을 통해 자기의 동작아이디가 지정된 클럭 패키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액 검출 시간 동안 해당 클럭 패키지 신호의 마지막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응답(ACK) 신호를 생성하여 누액검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190)을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선(110)의 입력단(111)과 상기 제2전도선(120)의 입력단(121), 상기 피드백선(130)의 출력단(131), 상기 제3전도선(140)의 입력단(141) 및 상기 접지선(160)의 입력단(161)은 상기 누액검출제어기(200) 혹은 바로 앞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와 신호를 주고받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선(110)의 출력단(112)과 상기 제2전도선(120)의 출력단(122), 상기 제3전도선(140)의 출력단(142), 상기 검출선(150)의 입력단(151) 및 상기 접지선(160)의 출력단(162)은 바로 다음에 위치한 누액검출기와 신호를 주고받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KR1020220084940A 2022-07-11 2022-07-11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KR102451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940A KR102451647B1 (ko) 2022-07-11 2022-07-11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940A KR102451647B1 (ko) 2022-07-11 2022-07-11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647B1 true KR102451647B1 (ko) 2022-10-07

Family

ID=8359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940A KR102451647B1 (ko) 2022-07-11 2022-07-11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6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385B1 (ko) 2008-01-09 2008-05-06 (주)유민에쓰티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
KR101470308B1 (ko) * 2013-10-29 2014-12-08 (주)유민에쓰티 리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385B1 (ko) 2008-01-09 2008-05-06 (주)유민에쓰티 물성감지 리크센서 장치
KR101470308B1 (ko) * 2013-10-29 2014-12-08 (주)유민에쓰티 리크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725699U (zh) 用于非接地供电系统中的扩展的绝缘故障定位的装置以及用于供电系统的状态监控的装置
US91343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nd fault detection and fault type evaluation
KR101379170B1 (ko) 전기 장치 및 전기 장치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테스트 및 모니터하는 방법 및 시스템
RU261879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линии управляющих линий в системах аварий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и управления
US20160274182A1 (en) Electrical interconnect status monitoring system
TWI621867B (zh) 測試裝置及其交流電源偵測方法
KR102451647B1 (ko)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
JP2011130346A (ja) 端末システム異常検出装置、端末システム異常検出方法、端末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502000B1 (ko) 데이지체인 통신방식 누액검출기를 구비한 누액검출필름 제조 방법 및 그 누액검출필름
CN88210103U (zh) 复合保温管泄漏检测装置
JP2004048724A (ja) 検査中のケーブルを検査するための検査器、イーサネット(r)ネットワークケーブルを検査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ケーブルを検査するための方法
JP7048224B2 (ja) フィールド保守ツールにおける接続確認
CN105676109A (zh) 一种主板测试方法及设备
US20140114590A1 (en) Leak detection and location system and method
CN101008574B (zh) 传感器测试装置与传感器运行教学装置
US4879739A (en) Wiring test device and method
KR20080043430A (ko) 케이블 오류 검사 장치 및 방법
US6542082B1 (en) Remote and non-visual detection of illumination device operation
WO2013039397A1 (en) System for detecting leaks in a fluid conduit wall, fluid conduit including the same, method and use
JP2010190574A (ja) 漏液検出装置
WO2018210147A1 (zh) 基于测温元件的温度传感线及相应的测温装置及方法
CN217787183U (zh) 一种编码器旋钮检测装置
CN109633349A (zh) 一种快速检测异常电压位置的装置
RU2805455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адресности и фазности сигналов управления рулевыми приводами управляемых авиационных бомб и ракет воздушного, наземного и морского базирования,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1786041U (zh) 线材连接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