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322B1 -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322B1
KR101468322B1 KR1020130088598A KR20130088598A KR101468322B1 KR 101468322 B1 KR101468322 B1 KR 101468322B1 KR 1020130088598 A KR1020130088598 A KR 1020130088598A KR 20130088598 A KR20130088598 A KR 20130088598A KR 101468322 B1 KR101468322 B1 KR 101468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bottom plate
stormwater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원
Original Assignee
전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찬원 filed Critical 전찬원
Priority to KR1020130088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2Partitioned to allow more than one medium to flow through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1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into a body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분리벽이 설치된 하수관거에 설치되는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 초기우수 및 우수를 하수로로 직접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 분리벽의 상부에 부분 복개되는 다수의 바닥판;과, 상기 각 바닥판의 양단 및 외측면에 일정높이로 구축되는 벽체판; 및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배출된 하수 및 초기우수에는 개방되어 하수로로 낙하시키고, 평소 수위의 3배 이상인 우수에는 수압에 의해 폐쇄되어 바닥판의 하류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의 일지점에 설치되는 개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벽체판에는 상기 바닥판의 하류측으로 유도되는 우수를 우수로로 낙하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RAINWATER SEPARATING APPARATUS FOR SEWERAGE BOX}
본 발명은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와 초기우수는 하수로로 배출시키고, 비점오염원이 포함되지 않은 우수는 선별시켜 우수로로 유도배출하기 위한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가 등과 같은 곳의 지하에 통형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된 하수관거는 생활하수나 오수 및 우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시켜 정화처리 한다. 이것을 다시 강이나 바다 등 각종 용수원으로 순환되게 함으로써, 물의 재활용이 날로 심각해지는 자연생태계의 파계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하수관거는 합류식과 분류식으로 구분되며, 통상 분류식에는 우수와 하수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벽이 설치된다.
종래에 분리벽이 설치된 하수관거는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공개번호:제10-2005-0094905)라는 명칭으로 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은 하수구의 내부에 분리벽을 고정시켜 우수와 오수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하수구용 오,우수 분리벽은 우천시 배수관을 통해 우수가 유입되면 하수구의 양측을 흐르는 오수에 우수가 합류되어 하수종말처리장의 하수처리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와 초기우수는 하수로로 배출시키고, 비점오염원이 포함되지 않은 우수는 선별하여 우수로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의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초기우수 및 하수 보다 상대적으로 수위가 높은 우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우수를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연결되는 배수관(300)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와 초기우수는 양측에 형성된 하수로(210)로 유도하고, 우수는 중심부에 형성된 우수로(220)로 유도할 수 있도록 2개의 분리벽(230)을 통해 우수로(220)와 하수로(210)가 구획되는 하수관거(200)에 있어서,
상기 각 배수관(300)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 초기우수 및 우수를 하수로(210)로 직접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 분리벽(230)의 상부에 부분 복개되는 다수의 바닥판(10);과, 상기 각 바닥판(10)의 양단 및 외측면에 일정높이로 구축되는 벽체판(30); 및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로 배출된 하수 및 초기우수에는 개방되어 하수로(210)로 낙하시키고, 평소 수위의 3배 이상인 우수에는 수압에 의해 폐쇄되어 바닥판(10)의 하류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10)의 일지점에 설치되는 개폐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벽체판(30)에는 상기 바닥판(10)의 하류측으로 유도되는 우수를 우수로(220)로 낙하시키기 위한 배출구(31)가 형성되고, 상기 각 분리벽(230)은 바닥판(10)의 길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분리벽(230)과 분리벽(230)의 사이의 하수로(210)는 연결관체(40)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100)는 각각의 배수관(300)이 연결된 위치에 개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에 따르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와 초기우수는 하수로로 배출시키고, 비점오염원이 포함되지 않은 우수는 선별하여 우수로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수와 초기우수를 정화처리하는 하수종말처리장의 하수처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초기우수 및 하수 보다 상대적으로 수위가 높은 우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우수를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무인 무동력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연결관체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평면구성도,
도 4는 도 1에서 개방형 하수관거에 설치된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연결관체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평면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개방형 하수관거에 설치된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수관(300)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와 초기우수는 하수로(210)로 배출시키고, 비점오염원이 포함되지 않은 우수는 선별시켜 우수로(220)로 유도배출하기 위한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바닥판(10)과, 벽체판(30) 및 개폐판(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수관거(200)는 분류식으로써,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연결되는 배수관(300)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와 초기우수는 양측으로 유도하고, 우수는 중심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2개의 분리벽(230)을 통해 우수로(220)와 하수로(210)가 구획되는 구조이다.
상기 바닥판(10)은 상기 각 배수관(300)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 초기우수 및 우수가 하수로(210)로 직접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 분리벽(230)의 상부에 부분 복개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벽체판(30)은 상기 각 바닥판(10)으로 유입된 하수, 초기우수 및 우수가 하수로(210)로 낙하하지 않도록 상기 각 바닥판(10)의 양단 및 외측면에 일정높이로 구축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개폐판(20)은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로 배출된 하수 및 초기우수는 하수로(210)로 낙하시키고, 평소 수위의 3배 이상인 우수에는 수압에 의해 폐쇄되어 바닥판(10)의 하류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10)의 일지점에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개폐판(20)은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 및 하수를 유입시켜 하수로(210)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항시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하수 및 초기우수 보다 상대적으로 수위가 높은 우수의 수압에 의해서만 폐쇄되도록 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벽체판(30)은 폐쇄된 개폐판(20)을 통해 상기 바닥판(10)의 하류측으로 유도되는 우수를 우수로(220)로 낙하시키기 위한 배출구(31)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수위가 낮고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와 하수는 개방된 개폐판(20)을 통해 하수로(210)로 낙하되고, 수위가 높고 비점오염원이 상대적으로 작게 포함된 우수는 폐쇄된 개폐판(20)을 거쳐 배출구(31)를 통해 우수로(220)로 낙하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100)는 각각의 배수관(300)이 연결된 위치에 개별 설치되며. 이를 통해 초기우수 및 하수가 우수와 합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분리벽(230)은 도 3과 같이, 바닥판(10)의 길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분리벽(230)과 분리벽(230)의 사이의 하수로(21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연결관체(40)로 연결하여 분류식 하수관거의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하수관거가 박스(BOX)형이 아닌 상부가 개방된 "U" 형일 경우, 상기 바닥판(10)에는 개폐판(20)의 전방으로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한 협잡물스크린(12)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개폐판(2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하수로(210)를 준설하거나 개폐판(20)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구(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에 작동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3과 같이, 평소 하수나 우천초기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우수는 배수관(300)을 통해 바닥판(10)으로 배출된다.
바닥판(10)으로 배출된 하수나 초기우수는 바닥판(10)의 일지점에 설치된 개폐판(20)을 통해 하수로(210)로 낙하되고, 결국 하수로(210)와 연설된 하수종말처리장(미도시)으로 배출되어 정화처리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우천이 계속되면 초기우수는 점차 수위가 높아지면서 비점오염원이 포함되지 않은 우수로 변환된다.
이러한 우수가 배수관(300)을 통해 바닥판(10)으로 배출되면, 바닥판(10)의 일지점에 설치된 개폐판(20)을 수압에 의해 폐쇄시킨다.
그러면 상기 우수는 바닥판(10)의 하류측으로 유도되고, 벽체판(30)의 끝단부에 형성된 배출구(31)를 통해 우수로(220)로 낙하된다.
우수로(220)로 낙하된 우수는 하천이나 강으로 방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에 따르면 개폐판의 저면에 부력통을 결합시켜 하수로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었을 경우, 개폐판이 부력에 의해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바닥판 11: 점검구 12: 협잡물스크린
20: 개폐판
30: 벽체판 31: 배출구
40: 연결관체
100: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
200: 하수관거 210: 하수로 220: 우수로
230: 분리벽
300: 배수관

Claims (3)

  1.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연결되는 배수관(300)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와 초기우수는 양측에 형성된 하수로(210)로 유도하고, 우수는 중심부에 형성된 우수로(220)로 유도할 수 있도록 2개의 분리벽(230)을 통해 우수로(220)와 하수로(210)가 구획되는 하수관거(200)에 있어서,
    상기 각 배수관(300)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 초기우수 및 우수를 하수로(210)로 직접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 분리벽(230)의 상부에 부분 복개되는 다수의 바닥판(10);
    상기 각 바닥판(10)의 양단 및 외측면에 일정높이로 구축되는 벽체판(30); 및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로 배출된 하수 및 초기우수에는 개방되어 하수로(210)로 낙하시키고, 평소 수위의 3배 이상인 우수에는 수압에 의해 폐쇄되어 바닥판(10)의 하류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10)의 일지점에 설치되는 개폐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벽체판(30)에는 상기 바닥판(10)의 하류측으로 유도되는 우수를 우수로(220)로 낙하시키기 위한 배출구(31)가 형성되고,
    상기 각 분리벽(230)은 바닥판(10)의 길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분리벽(230)과 분리벽(230)의 사이의 하수로(210)는 연결관체(40)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하수 및 우수 분리장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100)는 각각의 배수관(300)이 연결된 위치에 개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용 하수 및 우수 분리장치.
  3. 삭제
KR1020130088598A 2013-07-26 2013-07-26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 KR101468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598A KR101468322B1 (ko) 2013-07-26 2013-07-26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598A KR101468322B1 (ko) 2013-07-26 2013-07-26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322B1 true KR101468322B1 (ko) 2014-12-02

Family

ID=5267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598A KR101468322B1 (ko) 2013-07-26 2013-07-26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3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434A (ko) * 2011-06-15 2012-12-26 진두남 맨홀용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434A (ko) * 2011-06-15 2012-12-26 진두남 맨홀용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2425B2 (en) Stormwater plug flow separation system
WO2009157107A1 (ja) 流水分派装置、流水分派方法及び下水道システム
KR20090033663A (ko)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1838799B1 (ko) 유수분리 기능을 갖는 맨홀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CN105756180A (zh) 一种带水平格栅拦截装置的截流井
KR101887530B1 (ko) 우·오수 분리불가 가옥을 위한 우·오수 자동분리장치
KR20120126398A (ko) 교량용 배수장치
KR101215995B1 (ko) 오수 및 우수의 배수시스템
KR101313936B1 (ko)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
KR100956138B1 (ko) 와류형처리부와 경사진 섬유상필터를 갖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53995B1 (ko) 유수분리기
KR20130120052A (ko) 비점오염원 저감 기능을 갖는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시스템
KR100415788B1 (ko)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배관 연결구
KR101468322B1 (ko) 하수관거용 우수 분리장치
KR20110000827A (ko) 우수 암거 구조체
JP4039637B2 (ja) 下水道における雨水滞水設備
KR10098041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0799651B1 (ko)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JP4320758B2 (ja) 排水処理設備
JP2004314000A (ja) 油水分離槽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13526B1 (ko) 침사 및 부유물 제거용 수처리 장치
KR20160027786A (ko) 도로상의 각종 오염물과 초기우수를 분리수집하여 하천오염을 예방하는 다기능빗물받이
KR20160149029A (ko) 경사 연결형 교량 배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