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068B1 - 휴대용 컴퓨터 장치에 사용되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 장치에 사용되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068B1
KR101467068B1 KR1020127014466A KR20127014466A KR101467068B1 KR 101467068 B1 KR101467068 B1 KR 101467068B1 KR 1020127014466 A KR1020127014466 A KR 1020127014466A KR 20127014466 A KR20127014466 A KR 20127014466A KR 101467068 B1 KR101467068 B1 KR 101467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housing
rail
rail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1287A (ko
Inventor
이반 베셀리
Original Assignee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09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60N3/0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of foldable trays mounted on the back-re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노트북 컴퓨터 또는 기타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해 기술된다. 소정의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이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의 후방 엣지에 힌지 로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노트북 컴퓨터의 사용자가 베이스 유닛의 상부면 상에 위치된 키보드에 접근할 수 있게 공간을 남기면서 해당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노트북 컴퓨터 사용자 측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활주되거나 및/또는 해당 스크린 레일 상에서 피봇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 장치에 사용되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ADJUSTABLE DISPLAY SCREEN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2010년 3월 8일자 출원되고 대리인 사건 번호 MTCW002001로 식별되는 "휴대용 컴퓨터 장치에 사용되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란 제하의 미국 특허 출원 제12/719,651호에 대한 우선권이 주장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휴대용 컴퓨터 장치에 사용되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자료는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개재되는 것에 의해 종래 기술로 용인되지 않는다.
노트북 컴퓨터는 더욱 휴대가 쉬워지고 내구적이고 보편화됨에 따라, 자동차, 버스, 비행기 및 기차로 여행하는 동안 좁은 영역을 포함하는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사용자 전방의 시트백이 눕혀지는 경우와 같이) 보다 조밀한 영역에 적합하게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해당 스크린을 보는 것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하게 하는 그러한 각도로 접어내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a는 일례의 눕혀진 민간 항공기 시트(102) 뒤의 접이식 시트백 트레이 테이블(106) 위에 놓여진 일례의 종래 기술의 노트북 컴퓨터(116)의 측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눕혀진 시트(102)에 의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이 방지됨에 유의하라. 결국, 베이스 유닛(110)과 디스플레이 스크린(108) 사이의 각도는 눕혀진 시트(102) 뒤의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보는 것을 곤란하게 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휴대용 컴퓨터 장치에 대해 보다 좁은 영역 내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쉽게 볼 수 있게 하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장치를 기술한다. 소정례의 장치는 힌지 로드를 포함하는 후방 엣지를 갖는 베이스 유닛과; 상기 힌지 로드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단부와 그리고 제2 단부를 갖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의 상기 제2 단부에 가동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을 포함한다.
일례의 장치는 상기 힌지 로드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이 가동적으로 결합되는 제2 단부를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동작을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동작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커플러가 제공될 수 있다. 커플러는 힌지 로드의 제1 단부에 결합되는 제1 기어와; 힌지 로드의 제2 단부에 결합되는 제2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과 관련된 제1 슬롯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 톱니형 벨트와;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과 관련된 제2 슬롯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톱니형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톱니형 벨트 모두가 상기 힌지 로드와 함께 회전되도록 작동된다. 제1 및 제2 톱니형 벨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중 각각의 레일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은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부면 상에 위치되는 사용자 입력 기기에 액세스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해당 레일 상에서 피봇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의 장치는 힌지 로드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과 베이스 유닛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실질적으로 하방인 위치로 이동시 실질적으로 은폐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실질적으로 상방인 위치로 이동시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 뒤로부터 접힘 상태가 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은 리본형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내의 슬롯을 통해 베이스 유닛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사이에 결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코일 케이블이 제공되며, 해당 디스플레이 스크린 코일 케이블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상향 이동시 상기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내에서 팽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하향 이동시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내에서 수축되도록 구성된다.
일례의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바닥부와 베이스 유닛의 후방 엣지 사이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각각 이동시 개방 또는 수축되도록 구성된 가위형 조인트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위형 조인트 기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바닥부에 결합되고 해당 요소의 각각의 단부에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활주 가능한 제1 가위형 조인트 수평 레일과; 해당 가위형 조인트 수평 레일 아래에 위치되는 고정형의 제2 가위형 조인트 수평 레일과; 및/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하향 활주시 해당 가위식 조인트 아암 세트가 실질적으로 접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활주 가능한 제1의 가위형 조인트 수평 레일과 상기 고정형의 제2 가위형 조인트 수평 레일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게 접힘이 수행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위형 조인트 레일에 단부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러한 가위형 조인트 아암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의 장치는 해당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외부 측면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측벽과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전방 단부가 상기 베이스 유닛의 전방 엣지와 실질적으로 평평하도록 된 크기의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힌지 로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과 일체로 형성되는 힌지 로드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소정례의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과;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에 활주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동작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동작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동작 전달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전달 기구는 힌지 로드와; 해당 힌지 로드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기어와; 상기 힌지 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의 제1 슬롯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 톱니형 벨트와;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의 제2 슬롯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톱니형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활주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톱니형 벨트와 상기 힌지 로드가 실질적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가위형 조인트 기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 아래에 위치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위치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각각 활주시 개방 또는 수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례의 장치는 내벽을 따라 위치되는 슬롯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톱니형 벨트와; 상기 톱니형 벨트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힌지 로드에 결합되는 기어와; 상기 톱니형 벨트에 결합되는 캐리지와; 상기 슬롯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에 부착되도록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는 힌지 핀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과, 상기 톱니형 벨트와, 상기 캐리지와, 상기 힌지 핀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이 상기 슬롯을 따라 활주시, 상기 톱니형 벨트가 이동되면서 상기 힌지 로드에 부착된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서로 협력되게 배열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 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슬롯을 따라 활주될 때 상기 톱니형 벨트의 회전 중심이 되도록 상기 톱니형 벨트와 협력되게 배치되는 휠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 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슬롯을 따라 활주될 때 상기 톱니형 벨트의 회전 중심이 되도록 상기 톱니형 벨트와 협력되게 배치되는 기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 내의 슬롯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코일 케이블이 결합될 수 있고, 해당 디스플레이 스크린 코일 케이블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슬롯을 따라 일 방향으로 활주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 내에서 팽창되고 상기 디스 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슬롯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활주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수축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발명의 개요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어떤 방식으로든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전술한 예시적인 측면, 실시예 및 특징들 이외에도, 추가의 측면, 실시예 및 특징들이 도면과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는 것으로 분명해질 것이다.
전술한 본 개시의 특징과 기타의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함께 참조시 다음의 설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들 도면은 본 개시에 따른 단지 몇 개의 실시예를 표현하는 것이므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음을 이해할 때,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추가의 특정 사항과 상세 내용이 함께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a는 일례의 눕혀진 민간 항공기 시트 뒤의 접이식 시트백 트레이 테이블 위에 놓여진 종래예의 노트북 컴퓨터의 측면도이고;
도 1b는 일례의 눕혀진 민간 항공기 시트 뒤의 접이식 시트백 트레이 테이블 위에 놓여진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에 따른 일례의 노트북 컴퓨터의 측면도이고;
도 1c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개방되어 2개의 레일 상에서 상향으로 활주되고 사용자를 마주하도록 피봇된 상태의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1d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부분적으로 닫혀지고 2개의 레일 상에서 하향으로 활주된 상태의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닫혀진 상태의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닫혀진 상태이고 레일 중 하나의 내부 기구가 보이는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의 확대된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개방된 상태이고 레일 중 하나의 내부 기구가 보이는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의 확대된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레일 중 하나의 전방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고정 힌지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의 후방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a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개방된 상태이고 접혀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 구성이 보이는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7b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닫혀지고 2개의 레일 상에서 부분적으로 전방으로 활주된 상태이고 접혀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 구성이 보이는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의 상부 평면도이고;
도 8a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개방된 상태이고 감겨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 구성이 보이는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8b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닫혀지고 2개의 레일 상에서 부분적으로 전방으로 활주되어 레일 중 하나의 레일 내에 감겨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을 보여주는 도 8a의 노트북 컴퓨터의 상부 평면도이고;
도 9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개방되어 가위형 조인트 안정화 요소 위의 2개의 레일 상에서 상향으로 활주된 상태인 노트북 컴퓨터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10a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180°개방되고 2개의 레일 상에서 완전히 상향으로 활주되어 가위형 조인트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9의 노트북 컴퓨터의 상부 평면도이고;
도 10b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180°개방되고 2개의 레일 상에서 부분적으로 하향으로 활주되어 가위형 조인트가 부분적으로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9의 노트북 컴퓨터의 상부 평면도이고;
도 10c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180°개방되고 2개의 레일 상에서 완전히 하향으로 활주되어 가위형 조인트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9의 노트북 컴퓨터의 상부 평면도이고;
도 11은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개방되고 하나의 레일 상에서 상향으로 활주되어 사용자를 마주하도록 피봇된 상태의 노트북 컴퓨터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b 내지 도 11은 모두 여기서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에 따라 배열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면에서 문맥상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유사한 부호는 통상적으로 유사한 성분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술되는 예시적 실시예들은 한정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여기에 제시되는 주제의 취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으며 다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 총괄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도시되는 발명의 개시의 측면들은 해당 모든 구성이 여기에 명시적으로 고려되고 있는 다양한 상이한 구성으로 배열, 치환, 결합, 분리 및 설계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는 특히 노트북 컴퓨터 또는 랩톱 컴퓨터 등의 휴대용 컴퓨터에 사용되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관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디바이스에 대해 도출된 것이다.
요약하면,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의 후방 엣지에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노트북 컴퓨터의 사용자가 베이스 유닛의 상부면 상에 위치된 키보드에 접근할 수 있게 공간을 남기면서 해당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노트북 컴퓨터 사용자 측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들)을 따라 활주되고 해당 스크린 레일 상에서 피봇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b에는 일례의 눕혀진 민간 항공기 시트(102) 뒤의 접이식 시트백 트레이 테이블(106) 위에 놓여진 여기서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에 따른 일례의 노트북 컴퓨터(100)의 측면도가 도시된다. 노트북 컴퓨터(100)는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의 후방 엣지에서 힌지(112)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은 눕혀진 시트(102)의 후방으로부터 떨어지게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을 따라 전방 위치로 활주된 상태임에 유의하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은 사용자가 베이스 유닛(101) 위의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 등의 입력 기구에 접근할 수 있게 베이스 유닛(101) 위로 여전히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면서 시야각을 개선하도록 상향으로 피봇된 상태이기도 하다.
2-레일 구성의 경우, 노트북 컴퓨터(100)은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을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동작을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도 1c 참조)을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동작으로 전달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활주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커플러와 같은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에 따라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개방되어 2개의 레일(107, 109) 상에서 상향으로 활주되고 사용자를 마주하도록 피봇된 상태의 휴대용 컴퓨터 장치(예, 노트북 컴퓨터(100))의 전방 사시도가 예시된다. 도 1c에 도시된 일례의 노트북 컴퓨터(100)는 베이스 유닛(101), 디스플레이 스크린(103),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 고정 힌지(111, 112), 힌지 로드(113), 힌지 로드 하우징(115), 컴퓨터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 및 키보드 영역(121)을 포함한다. 고정 힌지(111, 112)는 타단측에 키보드 영역(121)을 가지는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의 일단에 결합되거나 또는 소정의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힌지(111, 112)는 힌지 로드 하우징(115)의 내부를 통과하는 힌지 로드(113)를 포함한다. 힌지 로드 하우징(115)은 고정 힌지(111, 112)에서 힌지 로드(1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해당 힌지 로드(113)를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2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은 힌지 로드 하우징(115)에 결합되거나, 대안적으로 힌지 로드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은 힌지 로드 하우징(115)에 거의 수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며, 힌지 로드(113)를 중심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 및/또는 힌지 로드 하우징(115)은 고강도를 위해 예컨대, 폴리머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과 같은 고강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 사이에는 노트북 컴퓨터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의 내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슬롯(119)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에 활주 가능하게 및/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트북 컴퓨터(100)를 손으로 개방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을 레일(107, 109)을 따라 활주 이동시켜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 위로 스크린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레일(107, 109)과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을 독립적으로 앞뒤로 손으로 피봇 이동시켜 노트북 컴퓨터(100)의 전방에 착석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거리 및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슬롯(119)의 길이와 위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레일(107, 109)을 따라 아래로 활주 이동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상부 엣지가 레일(107, 109)의 상부 단부와 평평하게 닫혀지도록 피봇될 수 있게 선택될 수 있다(도 2 참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노트북 컴퓨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예, LCD)과 같이 휴대용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적당히 얇은 평판 패널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종류를 가질 수 있다. 컴퓨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을 통해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에 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은 예컨대, 베이스 유닛(101) 하우징 내의 구멍(123)을 통해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 내의 그래픽 성분에 결합될 수 있는, 탄성적이지만 플레시블한 리본형 케이블일 수 있다. 힌지 로드 하우징(115)은 입구 구멍(125)과 출구 구멍(127)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구멍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이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103)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d를 참조하면, 일례의 실시예에 따라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부분적으로 닫혀지고 2개의 레일(107, 109) 상에서 하향으로 활주된 상태의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100)의 전방 사시도가 예시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과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이 힌지 로드(113)에 대해 피봇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아래로 피봇되는 것에 기인하여, 도 1c에 예시된 경우보다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에 대한 각도가 작은 것으로 나타낸다. 소정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피봇 및 활주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에 대해 아래로 그리고 고정 힌지(111, 112) 측으로 압력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을 상향으로 그리고 노트북 컴퓨터(100)의 전방에 착석하고 있는 사용자 측으로 당겨주는 것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조정 및 피봇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키보드 영역(121)에 접근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 스크린(103) 아래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에 대한 적절한 시야각을 제공하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03)과 사용자 간의 거리가 단축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예가 도 1b와 도 1c에 예시되는데, 해당 예는 예컨대, 사용자의 전방에 있는 사람의 시트백이 눕혀진 위치에 있을 때 자동차, 비행기, 버스 또는 기차로 이동 중에 비좁은 영역 내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용이하게 보는 것에도 유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소정의 실시예에 따라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닫혀진 상태의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100)의 사시도가 예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은 노트북 컴퓨터가 닫혀질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의 전방 단부와 측면이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의 전방 단부와 측면과 평평하도록 하는 폭과 길이를 가진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면, 도 1b의 컴퓨터(100)와 같은 일례의 노트북 컴퓨터의 확대된 부분 사시도가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은 닫혀진 위치에 있고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의 내부 커플링 기구가 보인다. 도 3에는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슬롯(119), 고정 힌지(112), 힌지 로드(113), 힌지 로드 하우징(115), 톱니형 벨트(301), 활주 가능한 힌지 캐리지(303), 활주 가능한 힌지 핀(305), 제1 기어(307), 제2 기어(309), 및 기어 핀(311)이 도시되어 있다.
제1 기어(207)는 고정 힌지(112) 내의 힌지 로드(113)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거나 해당 단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어서 제1 기어(307)의 회전에 의해 힌지 로드(113)가 힌지 로드 하우징(115)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기어(307)는 힌지 로드(307)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어(309)는 기어 핀(31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암(109) 내부에서 기어 핀(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기어 핀(311)은 힌지 로드(113)에 반대인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암(109)의 전방 근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암(109)의 내부 측벽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기어(309)를 제1 기어(307)와 일치하도록 배치한다. 제1 및 제2 기어(307, 309)와 기어 핀(311)은 높은 내구성을 위해 내구성 폴리머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등의 고강도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톱니형 벨트(301)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암(109)의 내부의 양단부에서 제1 기어(307)와 제2 기어(309) 모두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톱니형 벨트(301)가 이동됨에 따라 기어(307, 309)와 힌지 로드(307)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제2 기어(309) 대신에, 외부 엣지 둘레에 홈이 형성된 평탄한 휠이 기어 핀(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톱니형 벨트(301)는 회전시 휠 내의 홈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힌지 로드(113), 제1 기어(307), 제2 기어(309), 톱니형 벨트(301) 및 기어 핀(311)의 크기와 구성은 이들 요소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과 고정 힌지(112) 내에 맞춰져서 원활히 동작되도록 하는 크기와 구성이다.
활주 가능한 힌지 캐리지(303)는 톱니형 벨트(301)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활주 가능한 힌지 핀(305)의 일단에도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활주 가능한 힌지 핀(305)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의 내부면에 있는 슬롯(119)을 통해 활주 가능한 힌지 캐리지(303)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의 슬롯(119)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가능한 힌지 핀(305)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을 따라 하우징(105) 내로 활주될 때 톱니형 벨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활주 가능한 힌지 캐리지(303)를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에 결합시킬 수 있다.
특정의 실시에 2개 이상의 레일이 사용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 내의 도 3에 도시된 유사한 기구가 반대측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도 3에는 도시안됨)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톱니형 벨트(301)의 이동은 힌지 로드(113)의 회전을 야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반대측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에 있는 톱니형 벨트도 함께 이동됨으로써 반대측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을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이 당겨진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 내에서 양측 내부 기구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을 따라 활주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양측면 상에 거의 동일한 비율로 힘이 분배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것이므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을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동작을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을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동작으로(반대로도 마찬가지로) 전달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을 따라 활주 이동시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구속력을 감소시킨다. 활주 가능한 힌지 캐리지(303)와 활주 가능한 힌지 핀(305)의 크기는 이들 요소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 내에 맞춰져서 원활하게 동작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레일을 채용하는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을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동작을 다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을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동작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도 마찬가지로, 전달하는 것에 의해 슬라이딩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의 구속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기어, 풀리, 와이어, 트랙, 휠, 구동 샤프트, 벨트 등의 다른 구성의 기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소정례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개방된 상태이고 레일 중 하나(109)의 내부 기구가 보이는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100)의 확대된 부분 사시도가 예시된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활주되면서 활주 가능한 힌지 핀(305) 상에서 피봇되는 것을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은 힌지 로드(113)가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활주되는 것에 따라 회전할 때 힌지 로드(113)에서 피봇될 수 있음에 유의하라.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소정례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레일 중 하나의 전방 단면도가 예시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힌지 로드(113)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의 후방 단부에서 힌지 로드 하우징(115)을 통과한다. 또한, 톱니형 벨트(301)는 힌지 로드(113)를 둘러싸는 제1 기어(307)와 맞물린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소정례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고정 힌지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100)의 후방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가 예시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과 내부 톱니형 벨트(301)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과 내부 톱니형 벨트(301')가 개방된 수직 위치에 있는 상태가 도시된다. 이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이 힌지 로드(113) 상에서 어떻게 피봇되는지를 나타내는데, 제1 기어(307)와 톱니형 벨트(307)와 같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의 내부 기구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9) 자체의 피봇에 무관하게 동작될 수 있다.
다음에 도 7a를 참조하면, 소정례의 실시예에 따라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위로 활주되어 접혀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 구성이 보이는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100)의 후방 사시도가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은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의 후방벽으로부터 힌지 로드 하우징(115)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 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까지 연장된다.
다음에 도 7b를 참조하면, 소정례의 실시예에 따라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접혀지고 2개의 레일(107, 109) 상에서 부분적으로 전방으로 활주된 상태이고 접혀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 구성이 보이는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100)의 상부 평면도가 예시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리본형 케이블을 포함)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 뒤에 접혀진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레일(107, 109)을 따라 아래로 활주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이 접혀진 방식으로 감춰질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 내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뒤로 충분한 폭의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신축적인 리본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은 힌지 로드 하우징(115)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 내부의 디스플레이 스크린까지 이동시 케이블(117)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충분한 폭과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힌지 로드 하우징(115) 내의 출구 구멍은 리본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이 통과될 수 있게 충분히 크지만,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 내의 디스플레이 스크린까지 연장시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데 더 도움이 되도록 작은 크기를 갖는 슬릿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레일(107, 109)을 따라 아래로 완전히 활주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바닥과 힌지 로드 하우징(115)의 측면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의 꼬임과 가능한 끼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레일(107, 109)을 따라 아래로 완전히 활주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 내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뒤로 접히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 내에 보호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레일(107, 109)을 따라 위로 활주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 상에 생기는 장력으로 인해 접힌 상태가 풀려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바닥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도 7a 참조).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이 리본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인 경우,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노트북 컴퓨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과 힌지 로드 하우징(115) 사이의 케이블의 섹션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의 피봇시 적절히 굽혀지는 위치에 있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레일(107, 109)을 따라 아래로 활주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 뒤로 적절히 접혀질 수 있도록 힌지 로드 하우징(115)을 통과하면서 꼬여질 수 있다(또한 도 1c 참조). 힌지 로드 하우징(115)을 통과하는 동안 리본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이 꼬이는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리본형 케이블(117)이 힌지 로드 하우징(115) 내의 입구 슬릿에 대해 약 90°각도인 힌지 로드 하우징(115) 내의 출구 슬릿 구멍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다음에 도 8a를 참조하면, 소정례의 실시예에 따라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상부로 활주된 상태이고 코일형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 구성이 보이는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100)의 후방 사시도가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80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과 힌지 로드 하우징(115) 내에 배치된다. 코일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80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801)의 일단부가 당겨지거나 해제될 때 스프링형으로 팽창 및 회수될 수 있도록 전화 핸드셋 코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감겨질 수 있다. 또한, 감겨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80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 중 임의의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소정례의 실시예에 따라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접혀지고 2개의 레일(107, 109) 상에서 부분적으로 전방으로 활주되어 레일 중 하나의 레일(107) 내에 코일 형태로 감겨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801)을 보여주는 도 8a의 노트북 컴퓨터의 상부 평면도가 예시된다. 코일 형태로 감겨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은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도 8a)의 후방측 벽으로부터 힌지 로드 하우징(115)의 후방측 벽에 있는 구멍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15)의 내부(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15)과 고정 힌지 하우징(115) 내의 임의의 기구를 배제함)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코일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80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의 내부벽 상의 슬롯(119)을 통해 나와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측벽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을 따라 전후로 활주될 때, 코일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80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내에서 팽창 및/또는 회수될 수 있다. 코일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117)의 소정 부분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의 내부벽에 및/또는 힌지 로드 하우징(115)의 내부벽에 부착되어 코일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801)의 미끄러짐 및/또는 코일형 디스플레이 케이블(801)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또는 힌지 로드 하우징(115)의 다른 내부 기구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안적인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 구성은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으로 이어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의 내부를 따라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의 내부를 따른 하나 이상의 전도성 재료의 스트립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중 하나 이상의 레일(107 및/또는 109) 내의 슬롯(119)을 통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및/또는 109) 내로 연장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커넥터 상의 전기 전도성 재료와의 접촉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및/또는 109)을 따라 활주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베이스 유닛(101) 사이에 계속적인(또는 거의 계속적인) 전기적 전도가 이루어지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 소정례의 실시예에 따라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이 개방되어 가위형 조인트 안정화 요소(905) 위로 2개의 레일(107, 109) 상에서 상향으로 활주된 상태인 노트북 컴퓨터(100)의 전방 사시도가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b의 노트북 컴퓨터의 성분은 추가로 상부 및 하부의 가위형 조인트 레일(901, 902)과 교차된 가위형 조인트 아암의 세트(905)를 포함한다. 상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1)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 아래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 사이에서 좌우로 그리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바닥 엣지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상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1)은 해당 조인트 레일(901)의 각 단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1)은 해당 조인트 레일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과 함께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을 따라 활주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바닥 엣지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 상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피봇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바닥과 상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1)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존재한다.
하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3)은 상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1) 아래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 사이에서 좌우로 상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1)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하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3)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이동이 하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3)의 이동을 야기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소정례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코드(117)는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0)으로부터 하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을 통해 가위형 조인트 아암의 세트(905) 뒤로 연장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 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03)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대안적인 예에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일형으로 감겨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상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1)을 따라 수평으로 정렬된 가위형 조인트 레일 슬롯(907)과 하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3)을 따라 수평으로 정렬된 가위형 조인트 레일 슬롯(911)도 제공된다. 가위형 조인트 아암의 세트(905)의 단부는 상기 가위형 조인트 레일 슬롯(907, 911)에서 상부 및 하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 아암(901, 903)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가위형 조인트 레일 아암의 세트(905)의 단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을 따라 활주될 때 가위형 조인트 레일 슬롯(907, 911)을 따라 수평으로 활주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도 10a, 10b, 10c를 참조하면,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180°개방되고 2개의 레일(107, 109) 상에서 완전히 위로, 부분적으로 아래로, 완전히 아래로 활주된 상태의 도 9와 유사한 노트북 컴퓨터의 3개의 상부 평면도가 예시된다. 상부 및 하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7, 911)과 가위형 조인트 아암의 세트(905)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을 따라 활주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에 추가적인 안정성과 교차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가위형 조인트 아암의 세트(905)는 교차점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해당 부재의 단부는 상부 및 하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7, 91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가위형 조인트 아암의 세트(508)의 각도가 상부 및 하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7, 911)과 관련하여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하는 2개의 교차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에 유의하라. 일례의 가위형 조인트 부재(913)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 상에서 완전히 위로 활주될 때 상부 및 하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7, 911)에 수직한 것에 가까울 수 있다(도 10a). 이에 비해, 일례의 가위형 조인트 부재(913)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07, 109) 상에서 완전히 아래로 활주될 때 상부 및 하부 가위형 조인트 레일(907, 911)에 평행한 것에 가까울 수 있다(도 10c). 상부 및 하우 가위형 조인트 레일(907, 911) 및/또는 가위형 조인트 아암의 세트(905)는 예컨대, 고강도를 위해 폴리머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고강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개방되고 하나의 레일 상에서 상향으로 활주되고 사용자를 마주하도록 피봇된 상태의 노트북 컴퓨터의 전방 사시도가 예시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103)의 일단부는 노트북 컴퓨터(100)의 후방에서 힌지(1101)에 의해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103)의 일단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캐리지(1105)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측면을 따라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통해 신축식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103) 또는 아암에 활주 가능하게 및/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트북 컴퓨터(100)를 손으로 개방한 후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을 위로 및/또는 외측으로 당김으로써 신축식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103)이 신장되어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높이를 노트북 컴퓨터 베이스 유닛(101)과 키보드 영역(121) 위로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손으로 레일(1103)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을 독립적으로 전후로 피봇함으로써 노트북 컴퓨터 전방에 착석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105)의 거리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을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103) 상에서 베이스 유닛(101)에 마주하면서 평행하게 피봇시킨 후 신축식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1103) 상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을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노트북 컴퓨터를 닫을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양태에 대한 설명으로서 의도되는, 본 출원에 설명된 특정 실시형태들에 의해 한정되지않는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그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행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열거된 방법들과 장치들 외에도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기능적으로 등가의 방법들과 장치들은 상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범위가 부여한 등가물들의 전체 범위와 함께 이러한 청구범위의 용어들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 형태들만을 기술할 목적으로 그리고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복수 용어 및/또는 단수 용어의 사용에 대해서, 당업자는 문맥 및/또는 명세서에 적당하도록 복수에서 단수로 및/또는 단수에서 복수로 해석할 수도 있다. 다양한 단수/복수의 치환은 간결함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그리고 특히 첨부된 청구항(예를 들어, 첨부된 청구항의 본문)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개방적인" 용어들(예를 들어, "포함하는" 이라는 용어는 "포함하지만 한정되지 않는"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갖는" 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갖는"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라는 용어는 "포함하지만 한정되지 않는다"로 해석되어야 한다)로서 의도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의 특정한 수가 의도되는 경우, 이러한 의도는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될 것이며, 이러한 기재의 부재 시에 그러한 의도가 없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음의 첨부된 청구항은 청구항 기재를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 의 서두 어구의 사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구의 사용은, 동일 청구항이 서두 어구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 및 "a" 또는 "an" 과 같은 부정관사(예를 들어, "a" 및/또는 "an" 은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을 의미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를 포함할 때에도, 부정관사 "a" 또는 "an" 에 의한 청구항 기재의 도입이 이렇게 도입된 청구항 기재를 포함하는 임의의 특정 청구항을 하나의 이러한 기재만을 포함하는 실시형태들로 한정한다는 것을 내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청구항 기재를 도입하는 데 사용되는 정관사의 사용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유효하다. 또한, 도입되는 청구항 기재의 구체적 수가 명시적으로 기재되는 경우에도, 당업자는 이러한 기재가 적어도 기재된 수 (예를 들어, 다른 수식어 없이, "2 개의 기재" 에 대한 그대로의 기재는, 적어도 2 개의 기재들 또는 2 개 이상의 기재들을 의미한다) 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등" 과 유사한 관례가 사용되는 경우에서,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그 관례를 이해할 것이라는 의미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 은 A 만을, B 만을, C 만을, A 및 B 를 함께, A 및 C 를 함께, B 및 C 를 함께, 및/또는 A, B 및 C 를 함께 등을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 과 유사한 관례가 사용되는 경우에서,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그 관례를 이해할 것이라는 의미로 의도된다(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 은 A 만을, B 만을, C 만을, A 및 B 를 함께, A 및 C를 함께, B 및 C 를 함께, 및/또는 A, B 및 C 를 함께 등을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또는 도면에서, 2 개 이상의 택일적 용어를 나타내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이접 단어 및/또는 어구가 용어들 중 하나, 용어들 중 어느 한쪽 또는 양 용어 모두를 포함할 가능성들을 예상하도록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어구 "A 또는 B" 는 "A" 또는 "B" 또는 "A 및 B" 의 가능성을 포함하도록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특성 또는 양태들이 마커쉬(Markush) 군들에 의해 기술되는 곳에서, 당업자는 본 개시가 또한 이에 따라 마커쉬 군의 임의의 개별 요소 또는 요소들의 하위군에 의해 기술됨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그리고 모든 목적을 위해, 특히 서면 기재를 제공하는 관점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범위는 또한 임의의 그리고 모든 가능한 하위범위 (subrange) 및 그 하위범위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임의의 열거된 범위는 충분히 기술하고 동일 범위가 적어도 2 등분, 3 등분, 4 등분, 5 등분, 10 등분 등으로 분할되게 하는 것으로서 용이하게 인식될 수도 있다. 비제한적 실시예로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각각의 범위는 용이하게 하위 3 분의 1, 중위 3 분의 1 및 상위 3 분의 1 등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까지", "적어도", "보다 큰", "미만" 등과 같은 모든 용어는 인용된 수를 포함하고 계속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하위범위들로 분할될 수도 있는 범위를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범위는 각각의 개별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1 내지 3 개의 셀들을 갖는 군은 1 개의 셀, 2 개의 셀 또는 3 개의 셀을 갖는 군들을 언급한다. 유사하게, 1 내지 5개의 셀들을 갖는 군은 1 개의 셀, 2 개의 셀, 3 개의 셀, 4 개의 셀 또는 5 개의 셀 등을 갖는 군들을 언급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이 개시되었으나, 당업자들에게는 다른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이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고 한정적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이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다.

Claims (20)

  1. 힌지 로드를 포함하는 후방 엣지를 갖는 베이스 유닛;
    상기 힌지 로드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의 후방 엣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상기 힌지 로드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의 후방 엣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의 내측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외측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위아래로 활주 이동하도록 구성된 활주 가능한 힌지 핀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은 상기 활주 가능한 힌지 핀으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사이에 가동적으로 결합되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활주 이동하고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사이에서 피봇하도록 구성된, 상기 활주 가능한 힌지 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동작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동작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내부 커플링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커플링 기구는,
    상기 힌지 로드의 제1 단부에 결합된 제1 기어;
    상기 힌지 로드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내의 슬롯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가능한 힌지 핀과 결합된 캐리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에 결합된 제1 벨트;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이동이 상기 제1 및 제2 벨트 양자 모두를 상기 힌지 로드와 함께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내의 슬롯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가능한 힌지 핀과 결합된 캐리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에 결합된 상기 제2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벨트는 톱니형 벨트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톱니형 벨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각각의 레일 내에 배치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은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부면 상에 위치되는 사용자 입력 기기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활주 이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상에서 피봇되도록 구성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로드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유닛 사이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하방인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 뒤에 은폐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상방인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 뒤로부터 접힘 상태가 펴지도록 구성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블은 리본형 케이블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내의 슬롯을 통해 상기 베이스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사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코일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코일 케이블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상향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내에서 팽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코일 케이블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해 하향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내에서 수축되도록 구성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바닥부와 상기 베이스 유닛의 후방 엣지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각각 이동시 개방 또는 수축되도록 구성된 가위형 조인트 기구를 더 포함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형 조인트 기구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바닥부에 결합되는 활주 가능한 제1 가위형 조인트 수평 레일로서, 이 제1 가위형 조인트 수평 레일의 각각의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제1 가위형 조인트 수평 레일;
    상기 제1 가위형 조인트 수평 레일 아래에 위치되는 고정형의 제2 가위형 조인트 수평 레일;
    단부를 가진 가위형 조인트 아암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하향 활주가 상기 가위형 조인트 아암 세트를 접히게 함으로써, 상기 가위형 조인트 아암 세트가 접힘 위치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활주 가능한 제1 가위형 조인트 수평 레일과 상기 고정형의 제2 가위형 조인트 수평 레일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도록 상기 가위형 조인트 아암 세트의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가위형 조인트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은, 상기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의 외부 측면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측벽과 평평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의 전방 단부가 상기 베이스 유닛의 전방 엣지와 평평하도록 된 크기를 가지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로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과 일체로 형성되는 힌지 로드 하우징에 결합되는, 장치.
  13.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의 내측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외측 사이에서 연장하는 활주 가능한 힌지 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에 활주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동작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동작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동작 전달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전달 기구는,
    힌지 로드;
    상기 힌지 로드의 일단부에 결합된 제1 기어;
    상기 힌지 로드의 타단부에 결합된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의 제1 슬롯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가능한 힌지 핀과 결합된 캐리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에 결합된 제1 벨트;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활주 동작이 상기 제1 및 제2 벨트와 상기 힌지 로드를 함께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의 제2 슬롯을 통해 연장되는 활주 가능한 힌지 핀과 결합된 캐리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에 결합된 제2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벨트는 톱니형 벨트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각각 활주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하우징의 위치에 응답하여 개방 또는 수축되도록 구성된 가위형 조인트 기구를 더 포함하는 장치.
  16. 내벽을 따라 위치되는 슬롯을 가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톱니형 벨트;
    상기 톱니형 벨트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힌지 로드에 결합되는 제1 기어;
    상기 톱니형 벨트에 결합되는 캐리지;
    상기 슬롯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에 부착되도록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는 힌지 핀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과, 상기 톱니형 벨트와, 상기 캐리지와, 상기 힌지 핀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이 상기 슬롯을 따라 활주시 상기 톱니형 벨트가 이동하여 상기 힌지 로드에 결합된 제1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서로 협력되게 배치된 것인,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 내에 휠을 더 포함하며, 상기 휠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이 상기 슬롯을 따라 활주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톱니형 벨트가 상기 휠의 둘레로 회전하도록 상기 톱니형 벨트와 협력되게 배치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제2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이 상기 슬롯을 따라 활주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톱니형 벨트가 제2 기어의 둘레로 회전하도록 상기 톱니형 벨트와 협력되게 배치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 내의 슬롯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코일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코일 케이블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이 상기 슬롯을 따라 일 방향으로 활주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 내에서 팽창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이 상기 슬롯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활주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일 하우징 내에서 수축되도록 구성된, 장치.
  20. 삭제
KR1020127014466A 2010-03-08 2011-03-07 휴대용 컴퓨터 장치에 사용되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KR101467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19,651 2010-03-08
US12/719,651 US8259437B2 (en) 2010-03-08 2010-03-08 Adjustable display screen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PCT/US2011/027384 WO2011112505A2 (en) 2010-03-08 2011-03-07 Adjustable display screen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287A KR20120091287A (ko) 2012-08-17
KR101467068B1 true KR101467068B1 (ko) 2014-12-01

Family

ID=4453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466A KR101467068B1 (ko) 2010-03-08 2011-03-07 휴대용 컴퓨터 장치에 사용되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59437B2 (ko)
JP (1) JP5465789B2 (ko)
KR (1) KR101467068B1 (ko)
CN (1) CN102652466B (ko)
WO (1) WO20111125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70012A (zh) * 2010-06-01 2011-12-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开合角度的自动调整方法
TWI450667B (zh) * 2010-06-09 2014-08-21 Wistron Corp 電子裝置
US20120099254A1 (en) * 2010-07-22 2012-04-26 David Rogers Ergonomic Portable Computer
US9501097B2 (en) * 2010-12-02 2016-11-22 George Moser Multitasking portable computer
US20120140125A1 (en) * 2010-12-03 2012-06-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ircraft cockpit visor display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612874B2 (en)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8347461B2 (en) * 2011-01-07 2013-01-08 Lianhong Art Co., Ltd. Slide cover mounting structure
FR2970790B1 (fr) * 2011-01-24 2013-08-09 Schneider Electric Ind Sas Systeme de dialogue homme-machine
US8878746B2 (en) * 2011-02-23 2014-11-04 Corning Incorporated Multi-screen electronic device with mechanism for transitioning between compact and expanded forms
US8272104B2 (en) * 2011-02-25 2012-09-25 Lianhong Art Co., Ltd. Hinge-slide cover mounting structure using a sheet metal bracket mechanism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JP5808001B2 (ja) * 2011-07-22 2015-11-10 株式会社ワコム 表示装置用スタンド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KR101895427B1 (ko) * 2011-09-07 201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틸트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US9146670B2 (en) 2011-09-10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908364B2 (en) * 2011-11-18 2014-12-09 Wistron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EP2784161B1 (en) 2011-11-25 2018-06-20 Mitsui Chemicals, Inc. Mutant xylanase, manufacturing method and use theref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ccharified lignocellulose
KR101888154B1 (ko) * 2012-02-06 2018-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JP2014035507A (ja) * 2012-08-10 2014-02-24 Sony Corp 表示装置
US9047045B2 (en) * 2013-03-27 2015-06-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directional display console for an electronic equipment cabinet
TWM470482U (zh) * 2013-05-16 2014-01-11 Acer Inc 電子裝置
KR101481289B1 (ko) 2013-07-05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이브이엔 모니터 작동장치
WO2015016839A1 (en) * 2013-07-30 2015-02-05 Intel Corporation Hinge assembly
CN104615199A (zh) * 2013-11-03 2015-05-13 陈静宜 智能电子产品
CN104635840A (zh) * 2013-11-06 2015-05-20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
EP3069207B1 (en) 2013-11-15 2020-08-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king assemblies for computing devices
EP3126969A4 (en) 2014-04-04 2017-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pandable application representation
CN105378582B (zh) 2014-04-10 2019-07-23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计算设备的可折叠壳盖
EP3129847A4 (en) 2014-04-10 2017-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lider cover for computing device
US9785187B2 (en) * 2014-08-07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dular computing device
TWI562478B (en) * 2014-09-24 2016-12-11 Hon Hai Prec Ind Co Ltd Connector device
CN106662891B (zh) 2014-10-30 2019-10-11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多配置输入设备
US9430001B2 (en) 2015-01-05 2016-08-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dular computing device
US9404298B1 (en) * 2015-11-18 2016-08-02 Lianhong Art Co., Ltd. Hinge structure
US9518414B1 (en) * 2015-11-03 2016-12-13 Lianhong Art Co., Ltd. Hinge device capable of extending rotational angle
WO2017082911A1 (en) * 2015-11-12 2017-05-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ell crank linked hinge mechanism for a computing device
US20170145724A1 (en) * 2015-11-20 2017-05-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US10172248B1 (en) * 2016-04-14 2019-01-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10345851B2 (en) 2016-04-14 2019-07-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10159158B2 (en) 2016-04-14 2018-1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10996710B2 (en) 2016-04-14 2021-05-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9936593B2 (en) 2016-04-14 2018-04-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US10999944B2 (en) 2016-04-26 2021-05-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tructural device cover
US9946309B2 (en) 2016-06-10 2018-04-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ring
US10221898B2 (en) 2016-07-01 2019-03-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clutch
CN106155206A (zh) * 2016-07-26 2016-11-23 中国人民解放军第306医院 一种具有无线触摸板的三叠式笔记本电脑
TWM537244U (zh) * 2016-09-26 2017-02-21 Jarllytec Co Ltd 省力型轉軸裝置
US11498682B2 (en) * 2017-03-31 2022-11-15 Safran Seats Arrangement of individual seats for passengers of an aeroplane equipped with screen supports forming a separating wall
TWI690791B (zh) * 2017-09-11 2020-04-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USD912657S1 (en) * 2017-11-26 2021-03-09 George Gerhard Moser Multi-screen portable computer
USD873816S1 (en) * 2017-12-20 2020-01-28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CN110413046B (zh) * 2018-04-30 2023-09-08 云创科技有限公司 辅助监视器及辅助显示系统
USD920975S1 (en) 2018-05-17 2021-06-01 Mobile Pixels Inc. Monitor
CN108468706A (zh) * 2018-06-06 2018-08-31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调节装置及电子设备
TWI704445B (zh) * 2018-08-24 2020-09-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功能機體的筆記型電腦
US11352142B2 (en) * 2018-08-24 2022-06-07 Safran Seats Usa Llc Secondary personal item support
KR102228094B1 (ko) * 2019-02-28 2021-03-16 주식회사 ??스 접이식 멀티미디어 단말기
US10466749B1 (en) * 2018-09-26 2019-11-05 Apple Inc. Peripheral housing for a computing device
USD914677S1 (en) * 2019-02-05 2021-03-30 Luca GERARDI Modular transformable computer
US11531374B2 (en) * 2019-02-28 2022-12-20 Stand Steady Company, Llc Attachable display screen for electronic devices
US11209869B2 (en) * 2019-02-28 2021-12-28 Stand Steady Company, Llc Attachable displays screen for electronic devices
TWD204677S (zh) * 2019-10-16 2020-05-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筆記型電腦
CN211118419U (zh) * 2019-12-04 2020-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支撑结构
US11365008B2 (en) 2019-12-12 2022-06-21 B/E Aerospace, Inc. Stowage mechanisms for display devices of aircraft passenger compartment suites
CN113056125A (zh) * 2019-12-26 2021-06-29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转动机构和电子设备
TWI726565B (zh) * 2020-01-02 2021-05-0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支撐座及顯示裝置
US11332249B2 (en) 2020-01-14 2022-05-17 B/E Aerospace, Inc. Actuatable display devices for aircraft passenger compartment suites
TWI717997B (zh) * 2020-02-12 2021-02-01 宏碁股份有限公司 顯示組件與可攜式電子裝置
CN111402718A (zh) * 2020-04-03 2020-07-10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基于计算机的可调式宣传装置及其使用方法
US11952124B2 (en) * 2020-04-30 2024-04-09 B/E Aerospace, Inc. Aircraft tray table with magnification lens
US11709527B2 (en) 2020-07-30 2023-07-25 Apple Inc. Modularized computing and input devices
USD973054S1 (en) 2021-02-08 2022-12-20 Mobile Pixels Inc. Monitor
US11774037B2 (en) 2021-03-05 2023-10-03 Mobile Pixels Inc. Auxiliary display kickstand
CN113163033B (zh) * 2021-04-14 2024-02-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DE202021102811U1 (de) * 2021-05-21 2022-08-25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Fernsteuereinheit
US11681333B2 (en) 2021-06-10 2023-06-20 Mobile Pixels Inc. Foldable auxiliary monitor
CN113472930B (zh) * 2021-08-04 2024-04-12 盐城易快来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显示屏外屏和内屏的安装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3650A (ja) * 2000-06-14 2002-01-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携帯型コンピュータ装置
US20020044411A1 (en) * 2000-06-05 2002-04-18 Iredale Richard J. Laptop computer display mounting
JP2007122194A (ja) * 2005-10-25 2007-05-17 Shizue Fukuda 折りたたみ可能なコンピュータ
JP2009110186A (ja) * 2007-10-29 2009-05-21 Hitachi Ltd 携帯型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852A (ja) * 1993-01-28 1994-08-19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US5513579A (en) * 1993-07-16 1996-05-07 Waterloo Furniture Components, Ltd. Adjustable computer keyboard support mechanism
US6006243A (en) 1997-05-30 1999-1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ldable personal computer with detachable cover section
US6392875B1 (en) * 2000-12-28 2002-05-21 Gateway, Inc. Hinged mounting for multiple storage drives
US20040228077A1 (en) * 2003-04-16 2004-11-18 Hall Rick S. Height adjustable computer monitor and document holder
US7630193B2 (en) 2005-09-09 2009-12-08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e position computer display arm
TWI273377B (en) 2005-09-16 2007-02-11 Asustek Comp Inc Notebook computer capable of adjusting a screen via a telescopic element
CN2859613Y (zh) * 2005-09-29 2007-01-17 上海甲秀工业设计有限公司 二翻式笔记本电脑
US7724511B2 (en) 2006-03-03 2010-05-25 Jacobs Matthew B Adjustable display screen for a laptop computer
CN101135761B (zh) * 2006-09-01 2011-08-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内置相机模组的便携式电子装置
TWM314873U (en) * 2006-12-08 2007-07-01 Wistron Corp Adjustment device of display and portable computer and display having the same
JP2008191960A (ja) * 2007-02-06 2008-08-21 Casio Comput Co Ltd 情報機器
US7646593B2 (en) 2007-02-25 2010-01-12 Vladislava Smejkalova Adjustable laptop monitor apparatus
US8115877B2 (en) 2008-01-04 2012-0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viewing angle for display based on viewer positions and lighting conditions
TWI382733B (zh) * 2008-08-25 2013-01-11 Htc Corp 滑蓋式電子裝置
TWI362209B (en) * 2008-10-08 2012-04-1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4411A1 (en) * 2000-06-05 2002-04-18 Iredale Richard J. Laptop computer display mounting
JP2002023650A (ja) * 2000-06-14 2002-01-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携帯型コンピュータ装置
JP2007122194A (ja) * 2005-10-25 2007-05-17 Shizue Fukuda 折りたたみ可能なコンピュータ
JP2009110186A (ja) * 2007-10-29 2009-05-21 Hitachi Ltd 携帯型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52466A (zh) 2012-08-29
US20110216483A1 (en) 2011-09-08
CN102652466B (zh) 2015-03-25
KR20120091287A (ko) 2012-08-17
JP2013513192A (ja) 2013-04-18
WO2011112505A3 (en) 2011-11-17
JP5465789B2 (ja) 2014-04-09
WO2011112505A2 (en) 2011-09-15
US8259437B2 (en) 201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068B1 (ko) 휴대용 컴퓨터 장치에 사용되는 조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CN108776508B (zh) 显示系统
US9072376B2 (en) Teaching station with an adjustable lectern section
US10640054B2 (en) Stowable computer workstation
US11457728B2 (en) Foldable table bench
EP2155554B1 (en) Table apparatus for a vehicle seat
CN100592430C (zh) 双屏显示器
US10301028B2 (en) Sliding tray table with storage compartment
CN104512349B (zh) 用于遮阳板的显示设备固定装置
CN102405139A (zh) 可调节的人体工程学键盘
US923959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1684509A (zh) 延展式显示屏幕之结构
EP3230162A1 (en) Retractable device holder for an aircraft seat
US20040151527A1 (en) Foldable keyboard
CN112061399A (zh) 紧凑型可缩回分隔件
US11577662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a display screen arrangement for a vehicle roof, and vehicle roof for a motor vehicle
CN109436287B (zh) 一种舷梯门收放装置以及便捷型飞机
CN218777688U (zh) 一种飞行器座椅以及一种飞行器
JP2009010869A (ja) 携帯電子機器
CN206920985U (zh) 一种三屏笔记本的收线装置和三屏笔记本
CN216356796U (zh) 折叠部驱动保护机构及电子设备
CN111817065B (zh) 一种信息插座
CN116176275A (zh) 一种显示屏的伸缩折叠机构
TW200826010A (en) Monitor having two display units
CN109455288A (zh) 卸扣结构和浮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