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618B1 -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 Google Patents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618B1
KR101466618B1 KR1020130035124A KR20130035124A KR101466618B1 KR 101466618 B1 KR101466618 B1 KR 101466618B1 KR 1020130035124 A KR1020130035124 A KR 1020130035124A KR 20130035124 A KR20130035124 A KR 20130035124A KR 101466618 B1 KR101466618 B1 KR 10146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golf
variable partition
variabl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9458A (ko
Inventor
엄광진
장미영
Original Assignee
엄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광진 filed Critical 엄광진
Priority to KR1020130035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618B1/ko
Publication of KR20140119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연습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에 있어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는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은, 양측으로 열지어 배열되는 복수의 타격부, 상기 타격부에 대응되는 전방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크린부 및 상기 스크린부와 타격부 사이의 양측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인출 및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가변칸막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칸막이부가 상측으로 수납되면 양측의 공간이 개방된 연타석 골프 연습장으로 기능하고, 하측으로 인출되면 각각의 스크린부와 타격부를 포함하는 분할공간으로 분할되어 룸 형식의 스크린 골프 연습장으로 기능하는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을 제공한다. 따라서, 하나의 공간에서 이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목적의 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GOLF PRACTICE FIELD HAVING VARIABLE PARTITION WALL}
본 발명은 골프 연습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에 있어서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는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을 이용하는 실내스포츠의 하나로 실내 골프 연습장은 물론,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한 스크린골프 연습장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스크린골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인 스크린골프 시스템의 경우 소정의 영사장치(10)가 스크린(20)의 전면측에서 영상을 투사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타격자는 소정의 위치에 골프공을 고정하여 놓고 스크린에 투영된 가상의 공간으로 타격을 진행함으로써 게임이 진행된다.
이러한 스크린골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각각 스크린을 구비하는 공간이 구획된 룸 형식으로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 각 벽체 및 대략 밀폐된 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공간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연타석 방식의 골프 시스템이 운영되기도 하는데, 실내에서 다수의 이용자가 동시에 골프의 레슨을 받거나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열을 지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타석대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연타석 방식의 골프 시스템의 경우는 양측의 공간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 또는 운동간의 간섭이나 공의 다른 타석으로의 이탈의 가능성이 존재하고, 경우에 따라 안전사고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연타석 골프시스템의 경우 개방된 공간에 복수의 타석대가 구비되기 때문에 공간적인 활용성에 대한 이점은 있으나 소수의 인원이 게임을 즐기는 룸 형식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대해 불리함이 존재하고, 룸 형식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경우는 이용자의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으나 공간적인 한계와 과도한 시공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타석 방식의 골프 연습장과 룸 형식의 스크린골프 시스템의 장점을 결합한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간의 개폐가 가능하면서 용이하게 좌우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고 시공성이 우수한 구조를 가지는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은, 양측으로 열지어 배열되는 복수의 타격부, 상기 타격부에 대응되는 전방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크린부 및 상기 스크린부와 타격부 사이의 양측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인출 및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가변칸막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칸막이부가 상측으로 수납되면 양측의 공간이 개방된 연타석 골프 연습장으로 기능하고, 하측으로 인출되면 각각의 스크린부와 타격부를 포함하는 분할공간으로 분할되어 룸 형식의 스크린 골프 연습장으로 기능하는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을 제공한다. 따라서, 하나의 공간에서 이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목적의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은, 상기 스크린부의 사이에서 전방 벽체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스크린부에서 충격된 공의 인접된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된 분할공간 상호간에 간섭 없이 연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변칸막이부는, 전방측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인접되고, 후방측에서 상기 타격부가 배치되는 부위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간적인 분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변칸막이부는, 복수의 스크린이 전후방으로 상호 인접되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칸막이부가 하방으로 인출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상단측을 고정하는 브라켓부와, 상기 스크린이 인출 및 인입되도록 전후방으로 슬릿부가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스크린을 인출 및 수납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미관적으로 우수하면서도 자동적인 공간의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이 하측의 면에 형성되는 광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로서의 노출 효과가 극대화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하단부측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바닥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와 연결되어 스크린의 하단부측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측의 인접된 분할공간으로의 간섭의 방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유동부에 대해 걸이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롤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타격되는 골프공의 충격이 흡수되고 내구성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칸막이부가 스크린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인출시 바닥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중량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미관적인 향상의 이점이 있으면서도 스크린의 바람직하지 않은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에 따라, 개방이 바람직한 경우 각각의 가변칸막이부가 상측으로 수납되어 양측의 공간을 개방하고 이에 따라 연타석 골프 연습장으로 기능하고, 공간의 분할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가변칸막이부가 하측으로 인출되어 양측의 공간을 분할하게 되고, 각각의 분할공간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전방, 상하방 및 양측이 밀폐된 소정의 룸 형식의 밀폐감을 느끼게 되므로 주변의 환경에 제약을 받지 않고 게임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일의 연습장을 통하여 연타석 골프 연습장 및 룸 형식의 스크린 골프 연습장으로서 다용도로 이용이 가능하며,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종래의 룸 형식의 스크린 골프 연습장에 비하여 벽체 등의 시공에 따른 불필요한 공간의 낭비가 방지될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의 스크린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스크린부를 고정하는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는 스크린부를 고정하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스크린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에서 고정하는 구조가 더 배치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따른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은 기본적으로, 전방의 벽체를 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타격부(120)가 열지어 배열되고, 상기 타격부(120)의 전방의 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양측을 구획하도록 양측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변칸막이부(200)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체적인 공간을 기준으로 타격되는 골프공이 진행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해 타격부(120)가 배치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타격부(120)가 배열되는 방향을 횡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전방 벽체는 소정의 타겟이 배치되는 그물이나 벽체일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골프장을 영상화하는 스크린부(1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부(110)에 영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나 이를 제어하는 소정의 제어부는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타격부(120)는 이용자가 타격시에 자리하는 부위로서, 골프공이 배치되고 이용자가 배치되는 소정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타격부(120)는 양측으로 열지어 배열되며, 복수의 이용자가 각각의 스크린부(110)에 대해 개별적으로 게임이나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상기 타격부(120)와 스크린부(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각의 분할공간(140)을 분할할 수 있는 복수의 가변칸막이부(200)를 구비하는데, 상기 가변칸막이부(200)는 연습장의 천정부위 또는 상측의 공간에 고정되어 가변 칸막이를 인출하거나 인입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변칸막이부(200)는 상하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방식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시공의 용이성 및 유지보수성을 고려하여 후술될 바와 같이 롤스크린이나 복수의 바 형태의 부재가 회동되어 시각적으로 공간을 구별할 수 있는 블라인드장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가변칸막이부(200)는 반드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공간을 분할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전후방측으로 이송되어 공간을 개폐하는 소정의 벽체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타격부(12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가변칸막이부(200)가 배치되나, 공간의 양측벽에 인접된 타격부(120)는 어느 일측에만 가변칸막이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된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타격부(120)와 전방의 벽체 또는 가변칸막이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시각적으로 구획할 수 있는 가변칸막이부(200)가 양측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변칸막이부(200)에 의하여 인접되는 양측에 형성되는 분할공간(140)들에서는 각각의 이용자들이 서로 간에 물리적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시각적으로 폐쇄된 공간에서 경기에 집중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인접된 타격부(120)에서 잘못 타격된 공이 다른 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은 가변칸막이부(200)에 의하여 저지될 수 있으며, 공간이 가변칸막이부(200)에 의하여 분할됨으로써 종래의 룸 형식의 스크린 골프 연습장에서 느낄 수 있는 밀폐된 공간의 시각적 만족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가변칸막이부(200)는 주로 타격의 연습이 많은 주간에는 개방된 상태로 종래의 연타석 골프 연습장으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린 게임을 즐기는 이용자들이 많은 야간의 경우는 인출되어 공간을 구획하여 룸 형식의 골프 연습장으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적인 이점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경우 각각의 타격부(120)에 대응되어 스크린부(110) 역시 양측으로 열을 지어 배열되는데, 최종적으로 스크린부(110)에 충격된 공이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로 튀는 현상을 방지하고 낙하하는 공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스크린부(110)의 양측으로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소정의 격벽인 구획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30)는 후방측으로 선택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크린부(110)에 대응되는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될 바와 같이 가변칸막이부(200)가 롤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가변칸막이부(200)는 스크린부(110)에 비하여 비교적 골프공이 직접 충격되는 경우는 적고, 주로 시각적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기 가변칸막이부(200)는 구획부(130)에 비하여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칸막이부(200)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출되는 롤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전방의 스크린부(110) 또는 구획부(130)의 단부측에서 인접된 부위로부터 타격부(120)측까지 각각 단일의 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시공의 용이성과 유지보수성을 고려하여 상기 가변칸막이부(200)는 복수의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변칸막이부(200)는 전방측에 인접되는 전방스크린(201)과, 타격부(120)에 인접되는 후방스크린(203)과, 상기 전방스크린(201) 및 후방스크린(203) 사이에 배치된는 하나 이상의 중계스크린(20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가변칸막이부(200)를 이루는 스크린들은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양산되는 스크린의 규격 및 골프 연습장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크린들은 각각 하나의 구동부(도 4의 240)에 의하여 동기화되어 동작될 수 있는데,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높이로 인출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사항은 가변칸막이부(200)를 이루는 스크린들이 서로 다른 높이로 인출되어 공간의 개방감을 다르게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러한 경우 타격부(120)에 인접하여 각각의 분할공간(140)에 해당되는 가변칸막이부(200)를 조정할 수 있는 컨트롤러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전체적인 연타석 골프 연습장(100)에 배치되는 가변칸막이부(200)는 통합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가변칸막이부(200)를 이루는 각각의 스크린들은 소정의 광고가 프린팅되거나 부착된 광고부(20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연습이나 게임을 즐기는 가운데 광고의 노출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가변칸막이부(200)는 양측 뿐만이 아니라 후방측에도 구비되어 전후좌우의 면이 대략 밀폐된 상태에서의 운영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칸막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에 구비되는 가변칸막이부(200)는 블라인드와 같은 가변형의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가변칸막이부(200)가 롤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가변칸막이부(200)는 상하방향으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스크린(204)과, 상기 스크린(204)인 권취되거나 절첩되는 방식으로 수납이 이루어지는 브라켓부(211)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부(211)는 하측에 커버부(210)와 상기 커버부(210)에서 스크린(204)이 인출 가능한 슬릿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크린(204)은 분할공간(140)의 양측의 천정 부위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미관을 고려하여 브라켓부(211)의 하측에 커버부(210)가 배치되고 이러한 커버부(210)에 형성되는 개구인 슬릿부(220)를 통하여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크린(204)의 인출 및 수납은 종래의 블라인드와 같이 수동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4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204)이 롤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204)을 권취하는 샤프트(230)가 브라켓부(211)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30)는 구동부(240)에 의하여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분할공간(140)의 양측에 가변칸막이부(200)가 복수의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구동부(240)는 각각의 스크린을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도 있고, 하나의 라인에 형성되는 스크린들이 상호 연결되어 함께 구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브라켓부(211)는 소정의 연습장의 천정에 바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슬릿부(220)만이 노출된 상태로 매립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칸막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의 예에서는 상기 스크린(204)이 절첩되는 구조를 도시하며, 도 6의 예에서는 소정의 바형상의 부재들이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블라인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의 예에서는 스크린(204)이 상하방향으로 절첩되면서 공간을 개폐하는 구성이 도시되는데, 이러한 스크린(204)은 조절와이어(240)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의 인출 및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측에 커버부(210)를 구비하는 브라켓부(211)가 공간의 상측에서 스크린(204)을 고정하고, 상기 스크린(204)은 슬릿부(220)를 통하여 인출 및 인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슬릿부(220)가 생략되고, 절첩된 스크린(204)이 바로 천정부 또는 커버부(210)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공간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종래의 슬릿형 블라인드의 예가 설명되는데, 복수의 플레이트 바 형상의 부재들이 상하 회동 및 상하 이송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공간을 개폐하거나 빛을 투과 또는 폐쇄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의 예와 마찬가지로, 조절와이어(240)는 이러한 플레이트 바 부재들을 이동시키며, 브라켓부(211)가 천정부에 장치를 고정하여 상호 면이 밀착된 방식으로 이동되어 천정부측에 밀착됨으로써 공간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상기된 스크린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크린(204)은 분할공간(140)의 양측에 배치되어 시각적인 만족감을 주기 위하여 어느 정도 빛의 투과율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되는 다른 분할공간(140)으로의 바람직하지 않은 골프공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충격의 흡수가 가능한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어느 정도의 유동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런데, 스크린(204)의 하단부측의 경우 바람직하지 않게 유동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경우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된 골프공이 충격하여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이동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유동성을 보장하면서도 바닥부에 대해 유동의 제한을 위한 구성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스크린(204)의 하단측에는 소정의 고정부(250)가 배치되고, 이에 대응되는 분할공간(140)의 바닥부에는 지지부(300)가 배치되어 상호 연결되는 방식으로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이란 반드시 기계적으로 견고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충격의 흡수 및 내구성의 보장을 위하여 어느 정도의 유동이 가능하면서도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정도면 족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300)와 고정부(250)의 사이에는 소정의 유동부(320)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추가적으로 상기 유동부(320)의 단부측에는 걸이부(310)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250)와의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동부(320)는 소정의 바 또는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걸이부(310)는 소정의 후크(hook)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고정부(250)에 유동부(320)가 연결되고, 지지부(300)에 대해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광고부(205)는 소정의 문구나 도안을 포함하여 광고의 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데, 인출 및 수납의 상태를 고려하면 스크린(204)의 하단측에 광고부(205)가 배치되는 것이 노출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시적인 광고의 노출을 위하여 상기 광고부(205)는 브라켓부(211)에 수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에 적용되는 스크린의 하단측 부위의 고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스크린(204)의 하단측에 고정부가 바닥부의 지지부에 대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도 8의 실시예의 경우 정확하게는 바닥부에 고정되는 경우가 아닌 미관적인 만족감을 극대화하면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스크린(204)의 하단부에는 양측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소정의 중량체부(26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중량체부(260)는 상기 스크린(204)보다 비중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재질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량체부(260)는 비교적 유동성이 큰 스크린(204)를 하단측에서 자중에 의하여 어느 정도 고정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데, 특히 스크린(204)이 구동부(24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인출 및 수납이 이루어지는 경우 좌우 폭방향으로의 접힘이나 부자연스러운 동작을 억제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부(260)에 대응되는 연습장의 바닥부위에는 내부의 공간에 상기 중량체부(260)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270)이 형성될 수 있고, 스크린(204)이 하측으로 인출되어 최종적으로 인출이 완료되면 상기 중량체부(260)의 대부분은 상기 삽입홈(270)에 수용되어 외관상 실질적으로 스크린(204)만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스크린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크린(204)의 하단부측에는 중량체부(260)가 양측으로 길게 결합되고, 이러한 중량체부(260)는 바닥부에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삽입홈(27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배치가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홈(270)이 중량체부(260)의 외주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는 경우 삽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홈(270)은 측단면상 상기 중량체부(26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스크린(204)의 인출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중량체부(260)와 삽입홈(270)의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격은 삽입홈(270)으로부터 중량체부(260)의 인입 및 인출을 자연스럽게 하도록 하면서도, 골프공의 충격시에 어느 정도 유동을 보장하는 공간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즉, 상기 삽입홈(270)의 내벽은 스크린(204)의 하단부측의 과도한 유동을 억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의 분할공간을 전방측으로 바라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정면에 스크린부(110)가 구비되어 소정의 영상을 이미지화하고, 상기 스크린부(110)로부터 타격부(120)의 양측으로 이어지는 공간으로 양측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가변칸막이부(200)가 배치된다.
상기 가변칸막이부(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라직한데, 이러한 경우 전방측으로부터 전방스크린(201), 중계스크린(202) 및 후방스크린(203)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스크린은 천정부측에 고정되어 인출 및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천정부 또는 브라켓부(211)의 커버부(210)에는 슬릿부(220)가 구비되어 미관을 향상하도록 하며 내구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의 면에는 광고부(205)가 구비될 수 있고, 스크린의 하단측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250)가 스크린에 결합되고, 이에 연결되는 지지부(300)가 바닥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에 따라, 개방이 바람직한 경우 각각의 가변칸막이부(200)가 상측으로 수납되어 양측의 공간을 개방하고 이에 따라 연타석 골프 연습장으로 기능하게 된다.
또한, 공간의 분할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가변칸막이부(200)가 하측으로 인출되어 양측의 공간을 분할하게 되고, 각각의 분할공간(140)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전방, 상하방 및 양측이 밀폐된 소정의 룸 형식의 밀폐감을 느끼게 되므로 주변의 환경에 제약을 받지 않고 게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에 의하여, 단일의 연습장을 통하여 연타석 골프 연습장 및 룸 형식의 스크린 골프 연습장으로서 다용도로 이용이 가능하며,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종래의 룸 형식의 스크린 골프 연습장에 비하여 벽체 등의 시공에 따른 불필요한 공간의 낭비가 방지될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연타석 골프 연습장 110...스크린부
120...타격부 130...구획부
140...분할공간 150...컨트롤러부
200...가변칸막이부 201...전방스크린
202...중계스크린 203...후방스크린
204...스크린 205...광고부
210...커버부 211...브라켓부
220...슬릿부 230...샤프트
240...구동부 250...고정부
300...지지부 310...걸이부
320...유동부

Claims (10)

  1. 양측으로 열지어 배열되는 복수의 타격부;
    상기 타격부에 대응되는 전방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크린부; 및
    상기 스크린부와 타격부 사이의 양측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인출 및 수납되는 하나 이상의 가변칸막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칸막이부는, 복수의 스크린이 전후방으로 상호 인접되어 배열되고,
    상기 스크린은, 하측의 면에 형성되는 광고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칸막이부가 상측으로 수납되면 양측의 공간이 개방된 연타석 골프 연습장으로 기능하고, 하측으로 인출되면 각각의 스크린부와 타격부를 포함하는 분할공간으로 분할되어 룸 형식의 스크린 골프 연습장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칸막이부는,
    전방측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인접되고, 후방측에서 상기 타격부가 배치되는 부위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칸막이부는,
    하방으로 인출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상단측을 고정하는 브라켓부와, 상기 스크린이 인출 및 인입되도록 전후방으로 슬릿부가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스크린을 인출 및 수납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하단부측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바닥부에 배치되는 지지부와 연결되어 스크린의 하단부측의 유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유동부에 대해 걸이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롤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칸막이부는,
    스크린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인출시 바닥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중량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KR1020130035124A 2013-04-01 2013-04-01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KR10146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124A KR101466618B1 (ko) 2013-04-01 2013-04-01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124A KR101466618B1 (ko) 2013-04-01 2013-04-01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458A KR20140119458A (ko) 2014-10-10
KR101466618B1 true KR101466618B1 (ko) 2014-11-28

Family

ID=5199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124A KR101466618B1 (ko) 2013-04-01 2013-04-01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45B1 (ko) * 2018-06-29 2019-04-04 김진우 교육용 터치스크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2065B2 (ja) 2016-08-01 2020-05-2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板製造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315U (ja) * 1992-12-21 1994-07-12 松下電工株式会社 仕切装置
KR20080002858U (ko) * 2008-07-07 2008-07-25 김재용 레슨 전용 연타석 스크린골프 연습장
KR20090007216U (ko) * 2008-01-14 2009-07-17 (주) 골프존 모의 골프시스템의 구조물
KR20110007904U (ko) * 2010-02-03 2011-08-10 서동학 이동식 칸막이의 실링부재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315U (ja) * 1992-12-21 1994-07-12 松下電工株式会社 仕切装置
KR20090007216U (ko) * 2008-01-14 2009-07-17 (주) 골프존 모의 골프시스템의 구조물
KR20080002858U (ko) * 2008-07-07 2008-07-25 김재용 레슨 전용 연타석 스크린골프 연습장
KR20110007904U (ko) * 2010-02-03 2011-08-10 서동학 이동식 칸막이의 실링부재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45B1 (ko) * 2018-06-29 2019-04-04 김진우 교육용 터치스크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458A (ko) 2014-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1527B2 (ja) 遊技機
KR101466618B1 (ko)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KR200446059Y1 (ko) 모의 골프시스템의 구조물
KR101325463B1 (ko)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AU2012278443B2 (en) Penetration type screen for screen golf
KR101111897B1 (ko) 실내용 수평그린 골프연습장
KR101264004B1 (ko) 스크린 골프 연습장치
JP2006305113A (ja) 遊技機
KR200366324Y1 (ko) 골프 연습용 스크린 부스
KR20130006624U (ko)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및 고정장치
KR102650665B1 (ko) 스크린 골프장용 부스
JP6272651B2 (ja) ティーショット可能な建造物
JP2005080845A (ja) 雀球遊技機
JP4257873B2 (ja) 弾球遊技機
JP2011172891A (ja) 卓球ゲーム装置
KR20170083806A (ko) 골프 플레이 시스템
JP2008173353A (ja) 遊技機
KR100719601B1 (ko) 실내외 골프연습장
JP5093564B2 (ja) 遊技機
KR101708750B1 (ko) 스크린 골프 시스템
JP3162119U (ja) 遊技盤及び該遊技盤を備えた遊技機
JP6480608B2 (ja) ティーショット可能な建造物及びエアカーテン装置
KR20110011483U (ko) 골프 연습용 스크린 부스
JP5120415B2 (ja) 遊技機
JP2006304911A (ja) パチンコ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