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600B1 - 신속 조정가능한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 - Google Patents

신속 조정가능한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600B1
KR101466600B1 KR1020097023251A KR20097023251A KR101466600B1 KR 101466600 B1 KR101466600 B1 KR 101466600B1 KR 1020097023251 A KR1020097023251 A KR 1020097023251A KR 20097023251 A KR20097023251 A KR 20097023251A KR 101466600 B1 KR101466600 B1 KR 101466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s
tension rod
ring
positioning nut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6307A (ko
Inventor
윌리엄 디 맥글라슨
케네스 이 글라소
Original Assignee
더 글리슨 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글리슨 웍스 filed Critical 더 글리슨 웍스
Publication of KR2010001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FMAKING GEARS OR TOOTHED RACKS
    • B23F23/00Accessories or equip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designed to form part of, gear-cutting machines
    • B23F23/02Loading, unloading or chucking arrangements for workpieces
    • B23F23/06Chuck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6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through the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34Draw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06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62Clamped members
    • Y10T403/7064Clamped members by wedge or cam
    • Y10T403/7066Clamped members by wedge or cam having actuator
    • Y10T403/7067Threaded actuator
    • Y10T403/7069Axially orien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72Attach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72Attachment
    • Y10T82/2574Stop [e.g., carriage, tool, work, etc.]
    • Y10T82/2579Collet or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신속 조정가능한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2)는 베이스부(4)를 통하여 기계의 척 및/또는 디척 원동기(6)에 부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위치결정 너트는 링(18)의 존재 또는 링의 위치에 의존하여 세그먼트(14, 16)가 인장 로드(24)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수축 위치, 또는 세그먼트가 인장 로드(24)와 결합되어 있지 않은 확장 위치에 유지될 수 있는 적어도 두개의 세그먼트(14, 16)를 포함하고 있는 결합부(12)를 포함한다. 수축 위치에서, 결합부(12)는 결합부(12)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베이스(4)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기계에서 인장 로드의 적절한 위치 결정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장 로드(24)의 축선방향 운동을 실행한다. 결합부(12)는 인장 로드(24)의 축선방향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이격된 회전방향 위치(38)중의 하나에 로킹될 수 있다.
Figure 112009068326390-pct00001
공작 기계, 위치결정 너트, 인장 로드, 결합부, 링, 세그먼트, 수축 위치, 확장 위치

Description

신속 조정가능한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QUICK-ADJUST DRAW ROD POSITIONING NUT}
본 발명은 공작 기계, 바람직하게는 기어 제작 및 검사 기계의 인장 로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정 수단은 적어도 두개의 세그먼트를 갖고 있는 인장 로드를 포함하고 있다.
공작물이 가공되는 금속 가공 및/또는 검사 작업, 특히 기어 제작 및 검사에서, 가공 및 검사 과정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공작 기계에서 공작물을 제위치에 유지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런 종류의 장치는 "공작물 유지" 장치로서 알려져 있다. 기어와 같은 치형 물품의 제조에서, 일반적으로 공작물 유지 장치는 척 및 아버(arbor)의 두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척은 공작물 주위에 "콜릿"이라고 불리는 구성요소 또는 척의 구성요소를 수축시킴으로써 공작물을 유지한다. 예를 들면, 일체형 샤프트를 갖는 베벨 또는 하이포이드 피니언이 척에 위치될 때, 일반적으로 샤프트는 피니언을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샤프트를 파지(gripping)하도록 직경이 감소된 콜릿에 의해서 파지된다. 피니언 생크를 파지하기 위한 척의 예는 미국특허 제3,083,976호, 미국특허 제3,244,427호 또는 미국특허 제6,260,855호에 기재되어 있다.
아버는 공작물의 표면과 접촉하게 콜릿을 확장함으로써 공작물을 파지한다. 예로서, 베벨 링 기어가 아버에 위치되고 가공하는 동안 링 기어를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링 기어의 보어의 표면과 충분한 힘의 접촉이 이루어질 때까지 콜릿이 확장된다. 링 기어를 위한 아버의 예는 미국특허 제3,735,994호에 기재되어 있다. 피니언의 보어와 접촉하게 확장하는 아버는 미국특허 제3,517,939호에 기재되어 있다.
척 또는 아버에서, 콜릿 기구를 수축 또는 확장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은 공작 기계에서 인장 로드에 의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인장 로드는 공작물 유지 기구와 연통하는 단부 반대편의 인장 로드의 단부에 부착된 유압으로 작동되는 피스톤 또는 슬리브를 통하여 전진 및/또는 후퇴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공작물 또는 공작물의 구성요소 부분을 파지하거나 해제하는 것이 필요할 때, 척 또는 아버의 축선방향으로 인장 로드를 작동시키면 공작물 유지 장치내에 있는 구성요소의 대향하는 경사면이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을 야기하여 콜릿의 내향(수축) 운동 또는 외향(확장) 운동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경사면은 콜릿에 존재하며 다른 하나의 경사면은 인장 로드에 부착된 액추에이터 또는 인장 로드 자체에 존재한다.
때때로, 예를 들면 상이한 기하학적 형태의 공작물이 가공되거나, 상이한 모양 또는 치수의 공작물 유지 장치가 설치되거나, 또는 상이한 가공 공구가 사용되는 경우, 공작물 축선의 방향으로 인장 로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장 로드는 원하는 위치에 인장 로드를 축선방향으로 위치시키 기 위하여 인장 로드의 나사식 단부상에서 한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너트를 통하여 위치결정된다. 알려져 있는 해결방안에서는 일반적으로 이중 너트, 인장 로드 위치결정을 조절하는 제 1 너트부 및 너트가 느슨해지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너트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제 2 너트부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렌치가 필요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너트가 느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작물 유지 고정구의 적절한 작동을 위해 인장 로드 위치를 기계 공구를 사용하는 일없이 정밀하고 신속하게 조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검사기, 래핑기, 절단기 및 연마기와 같은 기계류 뿐만 아니라 인장 로드 작동식 공작물 유지 고정구를 사용하는 임의의 장치에 적용된다. 이러한 장치의 사용은 공구 변경을 위한 사이클 타임을 저감하고, 미세한 증가로 제어된 인장 로드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인장 로드의 전반적인 조정 및/또는 교체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이러한 장치는 작동중에 느슨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를 통하여 기계의 척 및/또는 디척 원동기(prime mover)에 부착할 수 있는 신속 조정가능한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위치결정 너트는 링의 존재 또는 링의 위치에 의존하여 세그먼트가 인장 로드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수축 위치, 또는 세그먼트가 인장 로드와 결합되어 있지 않은 확장 위치에 유지될 수 있는 적어도 두개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있는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수축 위치에서, 결합부는 결합부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베이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기계에서 인장 로드의 적절한 위치 결정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장 로드의 축선방향 운동을 실행한다. 결합부는 인장 로드의 축선방향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이격된 회전방향 위치중의 하나에 로킹될 수 있다.
도 1 은 수축 위치에서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 는 확장 위치에서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 은 너트 세그먼트가 수축 위치에 있는 상태의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너트 세그먼트가 확장 위치에 있는 상태의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수축 위치에서 하부 너트 세그먼트를 도시하는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의 분해도이다.
도 6 은 확장 위치에서 하부 너트 세그먼트를 도시하는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의 분해도이다.
도 7 은 너트 세그먼트가 수축 위치에 있고 로크 핀이 분리된 상태의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의 단면도이다.
단지 예시적인 방식에 의해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이 설명될 것이다.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신속 조정가능한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2)는 기계의 척 및/또는 디척 원동기(6)에 부착된다. 이것은 인장 로드를 통하여 공작물 또는 공구의 클램핑(척킹) 및/또는 언클램핑(디척킹)을 실행하도록 전후로 스트로크 하는 기계 부분이다. 원동기(6)는 기계적인 스프링 팩,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동력식 볼 스크루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공지된 수단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장 로드 너트는 오퍼레이터가 접근할 수 있는 스핀들의 후방에 배치된다.
기계에 설치된 공작물 유지 고정구(척, 아버)은 원동기(6)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원동기에 조정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매개체 기계 인장 로드(24)에 의해서 연결된다. 공작물 유지 고정구의 적절한 작동(클램핑 작동 및 해제 작동)은 인장 로드(24)의 스트로크 및 적절한 위치결정에 의존한다. 인장 로드 너트는 원동기와 인장 로드 사이의 조정가능한 링크를 제공하는 요소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위치결정 너트(2)는 원동기(6)(단지 일부만 도시되어 있음)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부(4)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베이스부(4)는, 베이스부(4)의 쇼울더(도 3 참조)가 원동기(6)의 쇼울더(10)에 안착될 때까지 원동기(6)에 삽입된다. 원동기의 상세한 구조 또는 작동은 본 발명의 대상이 아니며, 따라서 더 이상의 상세한 내용 및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본질적인 것은 위치결정 너트(2)의 베이스부(4)가 어떤 방식으로든지 원동기(6)에 연결가능하다는 것이다.
도 2 는 바람직하게 두개의 세그먼트(14, 16)(두개보다 많은 세그먼크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를 포함하는 결합부(12)를 더 포함하고 있는 위치결정 너트(2) 를 도시하고 있다. 세그먼트(14, 16)는 폐쇄 링(18)의 존재 또는 위치에 의존하여 수축 위치(세그먼트가 은폐되어 있는 도 1, 또는 도 3) 또는 확장 위치(도 2 또는 도 4)에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세그먼트(14, 16)는 링(18)의 후진 위치(도 3에서 오른쪽으로)에 의해서 수축(도 3)될 때 기계 인장 로드(24)의 수나사부(22)와 결합하는 암나사부(20)(도 4)를 가지고 있다. 링(18)의 전진 이동(도 3에서 왼쪽으로)시에, 세그먼트(14, 16)는 서로 분리되고 이에 의해 결합부(12)를 확장시키며, 따라서 나사부(20)는 인장 로드 나사부(22)와 분리되어 떨어진다. 스프링(26)은 링(18) 위치결정이 허용될 때마다 너트 세그먼트(14, 16)를 분리(확장)시키도록 구비된다.
너트 세그먼트(14, 16)는 베이스부(4)상의 플랜지와 결합하여 너트 세그먼트(14, 16)가 베이스부(4)의 표면(30, 32)에 의해서 구속(도 3)되고 원동기(6)로부터의 인장력 및 추진력 모두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결합부(12)는 베이스부(4)에 대하여 회전될 수는 있지만, 소정의 작은 클리어런스 값을 초과해서 축선방향으로 이동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세그먼트(14, 16)중의 하나에 수용된 로크 핀(34)(도 3 내지 7), 및 로크 핀(34)을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로크 핀(34)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베이스(4)에 구비된 복수의 포켓 또는 타겟(38) 중의 하나에 삽입시키는 스프링(36)을 더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부(4)상의 타겟(38)은 로크 핀(34)이 확장하여 들어가는 로킹 위치를 제공한다. 이들 타겟은 보어 또는 보어의 일부가 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이 베이스 원주 둘레에 분포된다. 타겟의 수(예를 들면, 12)는 인장 로드 결 합부(12)의 각각의 회전에 대해서 이용가능한 조정 위치의 수가 된다.
바람직하게, 타겟(38)은 베이스(4)와 일체로 위치되거나 일부로서 형성된 대체로 스프로킷 형상의 요소(40)로 배열되어 있다(도 5 및 6). 타겟(38)은 위치결정 너트(2)의 축선(A)(인장 로드(24)의 축선과 일치한다) 주위에 같은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2개의 타겟(38)은 축선(A) 주위에 30°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타겟(38)의 바람직한 형상은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이지만, 원형상 처럼 로크 핀(34)의 형상을 수용하는 다른 형상이 될 수 있다. 게다가, 로크 핀(34)의 단면 형상은 원형상 이외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타겟(38)의 형상은 원형상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타겟(38)은 너트 세그먼트(14, 16)의 확장시에 로크 핀(34)의 이동을 허용하는 크기로 되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타겟(38)의 바람직한 형태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반원형의 타겟(38) 처럼, 축선(A)에 대하여 반경 방향에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일단 로크 핀(34)이 타겟에 삽입되면(예를 들면 도 3), 결합부(12)(즉, 너트 세그먼트(14, 16))는 베이스(4)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한다. 오퍼레이터가 로크 핀(34)을 타겟(38) 밖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여 로크 핀(34)을 베이스(4)로부터 언로킹시키는 노브(40)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분리되었을 때, 결합부(12)는 다시 자유로이 회전한다.
너트 세그먼트(14, 16)가 수축(즉, 나사부(20, 22)가 결합된)된 상태에서 결합부(12)가 회전될 때, 인장 로드(24)는 나사부와 회전 방향에 따라 축선(A)을 따 라 안밖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원하는 인장 로드 위치가 얻어질 수 있다. 일단 인장 로드(24)가 제 위치에 존재하면, 로크 핀(34)은 가장 가까운 타겟(38)내에 로크되도록 허용되며 인장 로드 위치는 생산에 이용하기 위해 고정된 상태가 된다. 로크 핀(34)이 타겟(38)과 연이어 맞물리면서 인장 로드(24)가 이동하는 거리는 인장 로드(24)의 최소 조정 증가분이 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타겟(38)으로부터 연속적인 다음 타겟으로 30°의 회전 증가분은 인장 로드(24)의 0.005 인치(0.127 mm)의 개별적인 축선방향 이동 증가분을 실행할 수 있다. 로크 핀(34)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제어가능한 인장 로드 조정을 달성하는 정확하고 확실한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장 로드의 축선방향의 증가분 조정성이 유지되는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로크 핀 및 타겟 배열 이외의 로킹 기구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켓이 핀(34) 대신에 배치될 수 있고 핀이 타겟(38)을 대체할 수 있다. 로크 핀(34)과 같은 스프링 부하식 핀 요소는 베이스부(4)로부터 뻗은 이격된 돌출부 사이에 삽입가능한 것이 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요소(예를 들면, 플런저)가 베이스부(4)의 이격된 슬롯 사이에 들어갈 수 있다. 부가적으로, 핀(34) 및 타겟(38)의 외부 단부 표면은 핀이 타겟과 똑바로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더욱 용이하게 타겟내로 들어가도록 허용하기 위해서 챔버 가공 또는 테이퍼 가공된 것이 될 수 있다.
링(18)은 너트 세그먼트(14, 16)를 작동 위치(도 3)로 수축시키거나 또는 세그먼트를 클리어런스 또는 셋업 위치(도 4)를 위해 확장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축 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링은 확장을 허용하기 위하여 앞쪽으로 밀려지고, 너트 세그먼트(14, 16)를 수축시키도록 뒤로 당겨진다. 바람직하게, 버튼(44)이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눌려지지 않는 한, 스프링 플런저(42)는 생산 위치(너트 세크먼트가 수축된 위치)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링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너트 세그먼트 및 링의 원뿔 또는 경사진 특징부(46, 48)(도 3 및 4)는 각각 링(18)의 축선방향 이동이 수축 또는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너트 세그먼트(14, 16)에 대한 링(18)의 축선방향 이동을 허용하지만 링과 너트 세그먼트간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키(50)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오퍼레이터가 손으로 링(18)을 회전시킴으로써 결합부(12)의 회전 조정을 할 수 있도록 링(18)의 외부 표면은 널링 가공되어 있다. 확장 위치(도 4)에서, 링(18)은 너트 세그먼트(14, 16)가 적절하게 위치되어 인장 로드 나사부(22)와 분리되도록 너트 세그먼트(14, 16)의 배치를 도와준다. 너트 세그먼트(14, 16)의 암나사부(20)는 분리 거리를 증가시키지 않고 수나사부를 분리하는데 조력하도록 면적을 추가적으로 줄일 수 있다.
너트 세그먼트(14, 16)가 확장될 때, 인장 로드(24)는 너트 세그먼트와 접촉하지 않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완전히 자유로운 상태이다. 이 위치에서, 인장 로드의 제거 및 설치를 요구하는 툴 교체는 인장 로드 나사부의 긴 길이에서 종래의 너트를 풀어내는 전형적인 작업을 하지 않고 달성될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 세그먼트(52, 54)는 너트 세그먼트(14, 16)를 개별적으로 오염물로부터 보호하고, 스프링 로크 핀(34) 부품을 위한 유지 기능을 제공하며, 작동 지시 예컨대 결합부(2)의 회전 증가분에 대한 인장 로드의 축선방향 이동 거리 또는 결합부(2)의 소정의 회전 방향에 대한 인장 로드 이동 방향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툴 스타일(예를 들면, 인장 로드가 아버 위에 나사결합)을 위해서, 이하의 절차가 사용될 수 있다:
A. 아버를 제거하기 위하여:
1) 스핀들/아버를 디척 상태(dechuck state)에 놓는다;
2) 너트 세그먼트(14, 16)를 개방한다;
3) 후방으로부터, 아버 나사부에서 인장 로드(24)를 풀어낸다;
4) 스핀들 전방으로부터 아버를 제거한다;
5) 스핀들 전방으로부터 잡아당김으로써 (필요한 경우에는) 인장 로드를 제거한다.
B. 아버를 설치하기 위하여:
1) 스핀들을 디척 상태에 놓는다;
2) 너트 세그먼트(14, 16)를 개방한다;
3) 전방으로부터 기계 인장 로드를 삽입(만약 제거되었던 경우라면)하고 후방으로 밀어낸다;
4) 스핀들 전방으로부터 아버를 설치한다;
5) 인장 로드를 앞쪽으로 밀어 아버에 결합시킨다;
6) 너트 세그먼트(14, 16)를 수축시킨다;
7) 인장 로드(24)의 최종적인 축선방향 위치가 얻어질 때까지 링(18) 및 결합부(12)의 회전을 통해서 최종적인 조정(로크 핀(34)이 타겟(38)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을 한다;
8) 로크 핀(34)을 가장 가까운 타겟(38)내에 삽입한다.
일부 툴 스타일에 대해서 인장 로드는 공작물 유지 장치에 결합되지 않고, 베이어닛 또는 다른 유사한 연결 수단에 의해서 결합된다. 이 경우에, 공작물 유지 장치는 설치 또는 제거하는 동안 아버의 제한된 회전(예를 들면, 60도)으로 인장 로드에 결합/분리되며 너트 세그먼트(14, 16)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경우에 만약 인장 로드와 너트의 적절한 위치가 사용될 다수의 공작물 유지 장치에 대해 공통이라면, 인장 로드 및 너트는 툴 교체 동안 전혀 조정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청구범위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 될 수 있는 변경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Claims (17)

  1. 공작 기계에 부착가능한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너트는:
    축선을 가지고 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및
    가동 링;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두개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그먼트는 상기 세그먼트가 기계 인장 로드와 결합하는 수축 위치 및 상기 세그먼트가 기계 인장 로드와 결합하지 않는 확장 위치에서 서로에 대하여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링은 상기 세그먼트를 수축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세그먼트와 접촉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세그먼트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세그먼트가 확장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수축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는 결합부의 회전을 허용하여 기계에서 소정의 축선방향 위치에 인장 로드를 선택적으로 위치결정하기 위해서 인장 로드의 축선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해제가능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인장 로드를 상기 소정의 축선방향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이격된 회전방향 위치중의 하나에 회전방향으로 로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격된 회전방향 위치는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인 전체적으로 스프로킷 형상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프로킷 형상 요소는 스프로킷 형상 요소 주위에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타겟 요소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요소는 반원 형상이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너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겟 요소는 상기 스프로킷 형상 요소 주위에 같은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너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타겟 요소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이동가능한 로킹 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핀 및 상기 타겟 요소는 상보적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너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핀 및 상기 타겟 요소의 외부 표면은 챔퍼 가공 또는 테이퍼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너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그먼트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그먼트가 수축될 때 기계 인장 로드와 나사식으로 결합하도록 나사 가공된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너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배치된 플런저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링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세그먼트가 수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링의 오목부내에 삽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너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와 정렬된 상기 링에 버튼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버튼은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플런저를 가압하기 위하여 전진할 수 있어서 제 2 위치로 상기 링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너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및 상기 세그먼트에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링의 경사면 및 상기 세그먼트의 경사면은 상기 링이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너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복수의 스프링에 의해서 서로로부터 멀어져서 상기 확장 위치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너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격된 회전방향 위치는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축선 주위에 이격된 복수의 핀을 포함하고 있고, 결합부는 상기 인장 로드를 상기 소정의 축선방향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핀중의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너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격된 회전방향 위치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결합부의 스프링 부하식 핀 요소를 향하여 뻗은 복수의 이격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너트.
  15. 인장 로드 너트를 구비하고 있는 인장 로드를 가지고 있는 공작 기계에 있어서,
    상기 인장 로드 너트는:
    축선을 가지고 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및
    가동 링;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두개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그먼트는 상기 세그먼트가 기계 인장 로드와 결합하는 수축 위치 및 상기 세그먼트가 기계 인장 로드와 결합하지 않는 확장 위치에서 서로에 대하여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링은 상기 세그먼트를 수축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세그먼트와 접촉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세그먼트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세그먼트가 확장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수축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는 결합부의 회전을 허용하여 기계에서 소정의 축선방향 위치에 인장 로드를 선택적으로 위치결정하기 위해서 인장 로드의 축선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해제가능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인장 로드를 상기 소정의 축선방향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이격된 회전방향 위치중의 하나에 회전방향으로 로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 기계는 기어 제조 장치 또는 기어 검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로드는 척 또는 아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KR1020097023251A 2007-05-07 2008-04-14 신속 조정가능한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 KR101466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796907P 2007-05-07 2007-05-07
US60/927,969 2007-05-07
PCT/US2008/004823 WO2008136903A1 (en) 2007-05-07 2008-04-14 Quick-adjust draw rod positioning n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307A KR20100016307A (ko) 2010-02-12
KR101466600B1 true KR101466600B1 (ko) 2014-11-28

Family

ID=3953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251A KR101466600B1 (ko) 2007-05-07 2008-04-14 신속 조정가능한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36803B2 (ko)
EP (1) EP2142330B1 (ko)
JP (1) JP5272002B2 (ko)
KR (1) KR101466600B1 (ko)
CN (1) CN101678490B (ko)
AT (1) ATE509724T1 (ko)
BR (1) BRPI0810688A2 (ko)
MX (1) MX2009011371A (ko)
WO (1) WO2008136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48692B (zh) * 2009-09-17 2014-04-02 格里森工场 用于机床的工件保持设备
JP5538012B2 (ja) * 2010-03-18 2014-07-02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工作機械
DE102010016758B4 (de) 2010-05-03 2019-05-02 Jörg Hohmann Segmentierte Mutter für Verschraubungen
EP2548681B1 (de) * 2011-07-19 2017-04-05 Karl Hiestand Spanneinrichtung für Werkzeugmaschinen
CN103452994A (zh) * 2013-08-29 2013-12-18 江苏小太阳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拉幅定形机烘箱螺母
GB2517533B (en) * 2014-03-26 2016-05-25 Rolls Royce Plc A shaft clamp assembly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578237B2 (en) * 2015-08-31 2020-03-03 Temptronic Corp. Apparatus for attachment of accessories to processing equipment
CA3044632A1 (en) 2019-05-29 2020-11-29 Gordian Enterprises Inc. Split nut
CN112879518B (zh) * 2021-02-26 2022-06-10 深圳市三雅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移动并定位的滑动丝杆套
NL2027789B1 (nl) 2021-03-19 2022-09-29 Michael Antonius Van Esch Patrick Verstelinrichting voor het verstellen van de positie van een machineonderde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360A (ko) * 1998-09-08 2001-09-07 에드워드 제이.펠타 공작물지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4025A (en) * 1964-03-10 Bohnet
US2608253A (en) * 1947-11-24 1952-08-26 Diamond Machine Tool Company Machine tool press
US3032347A (en) * 1960-09-16 1962-05-01 Cambron John Chuck stop
US3025646A (en) * 1960-11-30 1962-03-20 Earl A Thompson Spindle
US3083976A (en) * 1962-01-25 1963-04-02 Gleason Works Chuck for shank-type pinions and the like
US3244427A (en) * 1964-10-23 1966-04-05 Gleason Works Chuck for shank pinions and the like
US3385607A (en) * 1966-02-11 1968-05-28 Charles R. Hughes Collet and workpiece stop device
US3517939A (en) * 1968-03-05 1970-06-30 Gleason Works Work holder and radially expansible collet therefor
US3718339A (en) * 1970-10-16 1973-02-27 Dunham Tool Co Inc Workpiece stop assembly for contracting collet chucks
US3735994A (en) * 1971-12-06 1973-05-29 Gleason Works Work holding chuck and arbor
US3874688A (en) * 1974-04-04 1975-04-01 Norman E Schiller Collet adapter
US3874588A (en) * 1974-05-28 1975-04-01 Anthony Mfg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water distribution from rotary sprinklers
JPS5667933U (ko) * 1979-10-31 1981-06-05
JPH01273734A (ja) * 1988-04-22 1989-11-01 Niles Parts Co Ltd クラツチ機構付アクチユエータ
US4989887A (en) * 1990-06-15 1991-02-05 Jacobs Chuck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center of a collet
US5342155A (en) * 1993-05-26 1994-08-30 Harroun Enterprises Spindle extension with self-contained pull-stud draw bar assembly
US5325931A (en) * 1993-08-27 1994-07-05 Kennametal Inc. Chuck assembly for a drill box of a mine drill
CN2673561Y (zh) * 2003-12-12 2005-01-26 萧如崧 改进的主轴拉爪机构
CN2717599Y (zh) * 2004-08-05 2005-08-17 天津第一机床总厂 弧齿锥齿轮加工机床工件主轴夹紧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360A (ko) * 1998-09-08 2001-09-07 에드워드 제이.펠타 공작물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36903A1 (en) 2008-11-13
MX2009011371A (es) 2009-11-09
US20080279623A1 (en) 2008-11-13
CN101678490B (zh) 2011-02-23
EP2142330B1 (en) 2011-05-18
ATE509724T1 (de) 2011-06-15
CN101678490A (zh) 2010-03-24
JP5272002B2 (ja) 2013-08-28
KR20100016307A (ko) 2010-02-12
JP2010526269A (ja) 2010-07-29
EP2142330A1 (en) 2010-01-13
BRPI0810688A2 (pt) 2014-10-21
US7836803B2 (en)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600B1 (ko) 신속 조정가능한 인장 로드 위치결정 너트
US6843484B2 (en) Quick change chuck
US9550237B2 (en) Chuck tool and bits
US8720874B2 (en) Ball actuated lock pin
KR102137562B1 (ko) 콜렛 어답터
GB1566855A (en) Drill chuck
CA3012879A1 (en) Chuck
EP3188869B1 (en) Machine spindle with ejecting means
US3219355A (en) Tool holder
JP2002524273A (ja) 被加工物保持装置
US20180229310A1 (en) Chuck device
JPH05200611A (ja) チャック
US6880831B2 (en) Power-actuated lathe chuck
US8262095B2 (en) Chuck
US5325749A (en) Machine tool having a quick release draw tube and jaw chuck adapter
CN211218739U (zh) 用于通用三爪卡盘的螺纹可调分离卡爪装置
KR101548192B1 (ko) 성형 연삭기용 상하이동 핸들장치
JP2004314274A (ja) 工作物保持装置
EP3153262B1 (en) Chuck for holding a work piece in a turning machine
US3168325A (en) Spring collet chuck with collet releasing means
JPWO2018207570A1 (ja) チャック機構
US4968194A (en) Tap chuck crank
JP2019084635A (ja) チャック装置
JP3163325U (ja) ラブチャック
JPH10230403A (ja) 工作機用チャックの爪着脱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