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383B1 -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383B1
KR101466383B1 KR20140068111A KR20140068111A KR101466383B1 KR 101466383 B1 KR101466383 B1 KR 101466383B1 KR 20140068111 A KR20140068111 A KR 20140068111A KR 20140068111 A KR20140068111 A KR 20140068111A KR 101466383 B1 KR101466383 B1 KR 101466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radiator
antenna
bypass pip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박세훈
권보성
조재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Priority to KR20140068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56Antennas, e.g. rado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방사체(110)에는 캐리어(120)와 방사체(110) 간의 방향인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역구배관(112)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역구배관(112)은 하방으로 돌출되어서 원형관 형상으로 방사체(1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고, 입구(112a)로부터 캐리어(120)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방사체(110)가 사출금형(1)에 인서트되고 캐리어 성형용 수지가 사출금형(1)의 캐비티(1a) 내부로 주입되어서 캐리어(120)를 성형할 때 캐리어 성형용 수지가 역구배관(112)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어서 역구배관(112) 내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안테나의 인서트 몰딩시에 캐리어 성형을 위한 수지가 역구배관 내부에 유입 충진되어서 캐리어의 일부가 역구배관 내부에 몰딩되도록 하여 방사체가 캐리어로부터 분리되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역구배관 내부로 들어오는 수지의 흐름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역구배관 내부에 보이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그리고 보강부를 역구배관의 입구 주변으로 보강부를 형성함으로써 방사체의 절단을 예방할 수 있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INSERT MOLDING ANTENNA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사체에 역구배관을 형성하고 상기 역구배관을 바닥면이 있는 원통형 형상이 아닌 관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안테나의 인서트 몰딩시에 캐리어 성형을 위한 수지가 역구배관 내부에 유입 충진되어서 캐리어의 일부가 역구배관 내부에 몰딩되도록 하여 방사체가 캐리어로부터 분리되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역구배관 내부로 들어오는 수지의 흐름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역구배관 내부에 보이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그리고 보강부를 역구배관의 입구 주변으로 보강부를 형성함으로써 방사체의 절단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PCS폰, 셀룰러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나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이하에서는 통신단말기로 총칭함.)의 제조사들이 초슬림 디자인 및 휴대의 편리성을 강조하면서 통신단말기 안테나가 통신단말기 케이스 내측으로 들어가고 있다.
현재 통신단말기뿐만 아니라 차량용 내비게이션 단말기도 내장형 안테나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안테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단말기의 부피를 줄이는데 많은 관심이 모여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통신단말기 내부에 실장되는 플레이트 타입의 내장형 안테나가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내장형 안테나로 최근에는 금속성 재질의 안테나의 패턴 프레임(방사체)를 사출금형에 인서트하고 이후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캐리어를 성형함과 동시에 캐리어의 상면에 안테나의 패턴 프레임(방사체)를 몰딩 접합하는 몰딩 안테나가 개발되고 있다.
몰딩 안테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본원발명의 출원인이 등록번호 제 10-0910161 호로 특허 등록 받은 "내장형 안테나 일체형 휴대달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다.
위 등록특허 제 10-0910161 호에 의한 기술은 내장형 안테나를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직접(directly) 접합하는 구성에 의해서 내장형 안테나가 케이스에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최소화하여서 케이스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피딩부와 방사패턴 간에는 물론 내장형 안테나와 휴대단말기 메인보드(main circuit board) 간에도 솔더링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제조 공수 및 공정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방사패턴을 종래와 같이 증착, 도금, LDS, MID 등에 의해서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서 내장형 안테나의 제조 공수, 공정 시간 및 제품 코스트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위 등록특허 제 10-0910161 호에 의한 기술은 방사체와 캐리어(캐리어)을 인서트하는 제조공정에 있어서, 두께가 얇은 방사체가 PC재질의 캐리어에 고정이 되지 않으므로 대량의 인서트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방사체와 캐리어의 수축율 차이로 인서트시 이탈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기술이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어서 등록특허 제 10-1032769 호(공고일: 2011년 05월 06일)로 등록된 "내장형 안테나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위 등록특허 제 10-1032769 호에 의한 내장형 안테나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제조방법은 방사체의 내측에 캐리어와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형성하여 인서트시 수지가 유입되면서 캐리어와 방사체를 고정시켜 완벽하게 인서트될 수 있는 뿐 아니라 인서트된 안테나 캐리어를 금형에 완벽하게 고정시켜 인서트 작업시 발생되는 대량의 인서트 불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에는 위 등록특허 제10-1032769 호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몰딩 안테나에서 그 등록특허공보의 도면의 도 3에 개시된 실시예의 구성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a)에는 위 등록특허 제10-1032769 호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몰딩 안테나에서 방사체(12)의 평면도 및 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의 (b)에는 도 1의 (a)의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의 (c)에는
위 등록특허 제10-1032769 호의 등록특허공보의 도면의 도 3에 개시된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몰딩 안테나(1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체(12)에는 측면부(13a)와 바닥부(13b)로 이루어지는 요입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요입홈(13)의 바닥부(13b)에 통과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방사체(12)를 사출금형에 인서트 한 후에 수지를 주입하면 통과공(14)을 통해서 요입홈(13)으로 수지가 유입되어서 요입홈(13)이 수지로 채워지며, 그 결과 방사체(12)가 캐리어(11)로부터 들뜨거나 캐리어(11)로부터 떨어지거나 또는 양자의 재질이 틀려서 서로 붙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등록특허 제10-1032769 호의 등록특허공보의 도면의 도 3에 개시된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몰딩 안테나(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원하는 안테나 스펙을 얻기 위해서는 방사체(12)의 폭(w1)이 통상적으로 0.8 ~1.0 mm가 바람직하다.
그런데, 사출수지가 들어갈 정도의 반경을 갖는 통과공(14)이 형성된 요입홈(13)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방사체(12)의 폭(w1)이 1.0 mm 이상으로 가공해야 하는데 이는 폭(w1)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고, 이와 같이 폭(w1)이 커지면 안테나 특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만약 통과공(14)이 형성된 요입홈(13)을 그대로 형성하면서 폭(w1)을 1.0 mm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요입홈(13)이 형성된 방사체의 주변부(12a)가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요입홈(13)과 방사체(12)의 가장자리 간의 간격(d1)이 매우 좁아서 요입홈(13)을 형성하거나 또는 방사체(12)의 패턴을 프레스 펀칭하는 과정에서 방사체의 주변부(12a)가 절단되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방사체(110)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한 후에는 수작업으로 세척하는 공정이 수행되는데 이 세척 공정에서 프레스물인 방사체(12)의 주변부(12a)가 변형되거나 절단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그리고, 방사체(12)를 사출금형에 인서트할 때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므로 이때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방사체(12)의 주변부(12a)가 절단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하였다.
다음으로 위 등록특허의 요입홈(13)의 구조 즉, 측면부(13a)와 바닥부(13b)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13a)에 통과공(14)이 형성된 구조는 수지가 요입홈(13) 내부로 들어가는 흐름을 방해하고 있고 또한 보이드(void)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측면부(13a)와 바닥부(13b)로 구성되는 요입홈(13)을 만든 후에 통과공(14)을 형성하므로, 요입홈(13) 내부로 유입하고자 하는 수지는 바닥부(13b)에 막혀서 잘 들어갈 수 없어서 수지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고 또한 원통형 구조의 요입홈(13)의 속성상 바닥부(13b)의 가장자리 쪽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 보이드는 안테나 특성을 악화시키는 문제의 원인이 되었다.
또 다음으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측면부(13a)와 바닥부(13b)로 구성되는 요입홈(13)을 프레스 가공 후에 바닥부(13b)에 통과공(14)을 형성하여야 했으므로 부가 공정이 필요하였고, 이는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의 목적은,
첫째, 방사체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됨과 동시에 방사체로부터 연장되어서 캐리어가 있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관형상으로 구성되는 역구배관을 채택함으로써, 안테나의 인서트 몰딩시에 캐리어 성형을 위한 수지가 역구배관 내부에 유입 충진되어서 캐리어의 일부가 역구배관 내부에 몰딩되도록 하여 방사체가 캐리어로부터 분리되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방사체가 수지 재질의 캐리어에 간극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역구배관을 바닥면이 있는 원통형 형상이 아닌 관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역구배관 내부로 유입되는 수지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예컨대 종래 기술의 원통형의 바닥부)가 없어서 역구배관 내부로 들어오는 수지의 흐름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역구배관은 캐리어로부터 입구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역구배관의 내주면이 입구 쪽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 형성)함으로써 수지의 흐름이 더욱더 원활해질 뿐만 아니라 수지가 테이퍼진 내주면을 타고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어서 역구배관 내부에 보이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넷째, 캐리어 쪽으로 돌출된 역구배관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함으로써 안테나 전체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한번의 프레스 펀칭 작업으로 역구배관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결국 제품의 생산 코스트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역구배관의 입구 주변으로 보강부를 형성함으로써 역구배관이 형성된 방사체 부분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는, 수지 재질의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인서트 몰딩 접합되는 방사체로 이루어지는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에는 캐리어와 방사체 간의 방향인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역구배관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역구배관은 캐리어가 있는 하방으로 돌출되어서 원형관 형상으로 상기 방사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고, 입구로부터 캐리어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사체가 사출금형에 인서트되고 캐리어 성형용 수지가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주입되어서 상기 캐리어를 성형할 때 캐리어 성형용 수지가 상기 역구배관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어서 상기 역구배관 내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는, 상기 역구배관의 입구 쪽의 방사체 부분이 절단되지 않도록 상기 역구배관의 입구 주변으로 역구배관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보강부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는, 상기 역구배관은 내주면이 내향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되어서 역구배관의 입구로부터 캐리어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는, 상기 역구배관은 내주면이 내향으로 오목하게 만곡형성되어서 역구배관의 입구로부터 캐리어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방사체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됨과 동시에 방사체로부터 연장되어서 캐리어가 있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관형상으로 구성되는 역구배관을 채택함으로써, 안테나의 인서트 몰딩시에 캐리어 성형을 위한 수지가 역구배관 내부에 유입 충진되어서 캐리어의 일부가 역구배관 내부에 몰딩되도록 하여 방사체가 캐리어로부터 분리되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방사체가 수지 재질의 캐리어에 간극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역구배관을 바닥면이 있는 원통형 형상이 아닌 관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역구배관 내부로 유입되는 수지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예컨대 종래 기술의 원통형의 바닥부)가 없어서 역구배관 내부로 들어오는 수지의 흐름이 원활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역구배관은 캐리어로부터 입구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역구배관의 내주면이 입구 쪽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 형성)함으로써 수지의 흐름이 더욱더 원활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역구배관은 입구로부터 캐리어로부터 입구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수지가 테이퍼진 내주면을 타고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어서 역구배관 내부에 보이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넷째, 캐리어 쪽으로 돌출된 역구배관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함으로써 안테나 전체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한번의 프레스 펀칭 작업으로 역구배관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결국 제품의 생산 코스트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역구배관의 입구 주변으로 보강부를 형성함으로써 역구배관이 형성된 방사체 부분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에 있어서 방사체(110)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에 있어서 방사체(110)의 변형된 실시예의 구성 단면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의 제조 공정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에 있어서 방사체(110)의 구성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의 (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에 있어서 방사체(1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의 (b)에는 도 2의 (a)의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의 (c)에는 도 2의 (b)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의 (b)에는 도 3의 (a)의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100)는, 수지 재질의 캐리어(120)와 상기 캐리어(120)의 상면에 인서트 몰딩 접합되는 방사체(110)로 이루어지는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100)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110)에는 캐리어(120)와 방사체(110) 간의 방향인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역구배관(112)이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역구배관(112)은 캐리어(120)가 있는 하방으로 돌출되어서 원형관 형상으로 상기 방사체(1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고, 방사체(110)의 하면에서 상면 방향 즉, 입구(112a)로부터 캐리어(120)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사체(110)가 사출금형(1)에 인서트되고 캐리어 성형용 수지가 사출금형(1)의 캐비티(1a) 내부로 주입되어서 상기 캐리어(120)를 성형할 때 캐리어 성형용 수지가 상기 역구배관(112)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어서 상기 역구배관(112) 내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수지가 역구배관(112) 내부에 충진되므로 방사체(110)가 캐리어(120)로부터 분리되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방사체(110)가 수지 재질의 캐리어(120)에 간극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역구배관을 바닥면이 있는 원통형 형상이 아닌 관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역구배관 내부로 유입되는 수지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예컨대 종래 기술의 원통형의 바닥부)가 없어서 역구배관 내부로 들어오는 수지의 흐름이 원활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역구배관(112)은 캐리어로부터 입구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역구배관의 내주면이 입구 쪽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 형성)함으로써 수지의 흐름이 더욱더 원활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역구배관(112)의 내주면(112b)이 위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지가 테이퍼 형성된 내주면(112b)을 타고 원활하게 유입되므로 내부에 보이드가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캐리어(120) 쪽으로 돌출된 역구배관(112)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안테나 전체의 두께가 얇아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한 번의 프레스 펀칭 작업으로 역구배관(112)을 가공할 수 있으므로 제품 가공상의 이점 즉 생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고 이는 제품의 생산 코스트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역구배관(112)의 구성에서 "역구배"는 아래가 좁고 위로 갈수록 넓어지게 경사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100)에 있어서, 상기 역구배관(112)의 입구(112a) 쪽의 방사체 부분(110a)이 절단되지 않도록 상기 역구배관(112)의 입구(112a) 주변으로 역구배관(112)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보강부(11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보강부(114)의 구성에 의하면, 역구배관(112)이 형성된 방사체 부분(110a)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의 (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에 있어서 방사체(110)의 변형된 실시예의 구성 단면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100)에 있어서, 상기 역구배관(112)은 내주면이 내향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되어서 역구배관(112)의 입구(112a)로부터 캐리어(120)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의 (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에 있어서 방사체(110)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의 구성 단면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100)에 있어서, 상기 역구배관(112)은 내주면이 내향으로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어서 역구배관(112)의 입구(112a)로부터 캐리어(120)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의 (a)와 (b)에 개시된 실시예에 의한 역구배관(112)은 기본적으로 도 2의 (a) 내지 도 3의 (b)에 개시된 역구배관(11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다만 상기 도 4의 (a), (b)에 개시된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그 만곡진 형상에 의해서 역구배관(112)의 내부로 수지를 더욱더 부드럽게 안내할 수 있고 그 결과 수지의 유입을 더욱더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100)의 제조 방법 및 작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방사체(110)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서 기술한다.
박판의 도전성 방사체 모재를 준비하고, 소정의 위치에 펀칭프레스로 펀칭하여서 역구배관(112)을 형성하고, 방사체 패턴의 형태로 프레스로 절단하여서 방사체를 형성한다.
이때 방사체(110)에 구비되는 보강부(114)는 방사체 패턴을 프레스로 절단할 때 같이 하므로 보강부(114)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은 필요치 않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방사체(110)를 인서트 몰딩하여서 인서트 몰딩 안테나(100)를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5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의 제조 공정도가 도시되어 있다.
방사체(110)를 금형(1)의 캐비티(1a)에 인서트한다[도 5의 (a)].
금형(1)의 게이트(미도시)를 통해서 수지를 주입하면 주입된 수지의 일부는 역구배관(112)의 내부로 주입되어서 역구배관(112)의 입구까지 충진된다[도 5의 (b)]
이때 역구배관(112)의 고유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서 보이드는 발생하지 않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수지의 주입이 완료되면 수지가 역구배관(112)에 충진되면서 캐리어(120)가 성형됨과 동시에 캐리어(120)의 상면에 방사체(110)가 몰딩 접합되어서 안테나(100)가 완성된다[도 5의 (c)].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
110 : 방사체
110a : 역구배관(112)의 입구(112a) 쪽의 방사체 부분
112 : 역구배관
112a : 역구배관의 입구
112b : 역구배관의 내주면
114 : 보강부
120 : 캐리어
1 : 사출금형
1a : 사출금형의 캐비티

Claims (4)

  1. 수지 재질의 캐리어(120)와 상기 캐리어(120)의 상면에 인서트 몰딩 접합되는 방사체(110)로 이루어지는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100)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110)에는 캐리어(120)와 방사체(110) 간의 방향인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역구배관(112)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역구배관(112)은 캐리어(120)가 있는 하방으로 돌출되어서 원형관 형상으로 상기 방사체(1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고, 입구(112a)로부터 캐리어(120)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사체(110)가 사출금형(1)에 인서트되고 캐리어 성형용 수지가 사출금형(1)의 캐비티(1a) 내부로 주입되어서 상기 캐리어(120)를 성형할 때 캐리어 성형용 수지가 상기 역구배관(112)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어서 상기 역구배관(112) 내에 충진되며,
    상기 역구배관(112)의 입구(112a) 쪽의 방사체 부분(110a)이 절단되지 않도록 상기 역구배관(112)의 입구(112a) 주변으로 역구배관(112)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보강부(11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며,
    상기 역구배관(112)은 내주면이 내향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되어서 역구배관(112)의 입구(112a)로부터 캐리어(120)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
  2. 수지 재질의 캐리어(120)와 상기 캐리어(120)의 상면에 인서트 몰딩 접합되는 방사체(110)로 이루어지는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100)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110)에는 캐리어(120)와 방사체(110) 간의 방향인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역구배관(112)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역구배관(112)은 캐리어(120)가 있는 하방으로 돌출되어서 원형관 형상으로 상기 방사체(1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고, 입구(112a)로부터 캐리어(120)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사체(110)가 사출금형(1)에 인서트되고 캐리어 성형용 수지가 사출금형(1)의 캐비티(1a) 내부로 주입되어서 상기 캐리어(120)를 성형할 때 캐리어 성형용 수지가 상기 역구배관(112)으로 원활하게 유입되어서 상기 역구배관(112) 내에 충진되며,
    상기 역구배관(112)의 입구(112a) 쪽의 방사체 부분(110a)이 절단되지 않도록 상기 역구배관(112)의 입구(112a) 주변으로 역구배관(112)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보강부(11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며,
    상기 역구배관(112)은 내주면이 내향으로 오목하게 만곡형성되어서 역구배관(112)의 입구(112a)로부터 캐리어(120)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
  3. 삭제
  4. 삭제
KR20140068111A 2014-06-05 2014-06-05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 KR101466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8111A KR101466383B1 (ko) 2014-06-05 2014-06-05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8111A KR101466383B1 (ko) 2014-06-05 2014-06-05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383B1 true KR101466383B1 (ko) 2014-12-01

Family

ID=5267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8111A KR101466383B1 (ko) 2014-06-05 2014-06-05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3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795B1 (ko) * 2016-12-26 2018-01-31 주식회사 호연이엔지 휴대 통신기용 안테나 방사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240B1 (ko) 2013-01-08 2013-04-16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통신단말기용 안테나 모듈 제조방법
KR101258445B1 (ko) * 2012-01-31 2013-04-26 주식회사 모비텍 내장형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97824B1 (ko) 2012-12-14 2014-05-20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방사체 프레임의 제조금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445B1 (ko) * 2012-01-31 2013-04-26 주식회사 모비텍 내장형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97824B1 (ko) 2012-12-14 2014-05-20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방사체 프레임의 제조금형
KR101255240B1 (ko) 2013-01-08 2013-04-16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통신단말기용 안테나 모듈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795B1 (ko) * 2016-12-26 2018-01-31 주식회사 호연이엔지 휴대 통신기용 안테나 방사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2341B2 (en) Casing of electronic device
KR101534535B1 (ko) 내장형 안테나를 가지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CN108419400B (zh) 一种壳体的净空区域的加工方法、壳体和移动终端
KR101101622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제조금형
JP2016086400A (ja) ケース、このケースを備える電子装置並びにこのケースの製造方法
CN102170041A (zh) 天线图案框架、电子设备外壳和制造电子设备外壳的模具
US20140230237A1 (en) Insert type antenna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115726B2 (en) Housing of cooling fan and method manufacturing of the same
KR101466383B1 (ko) 통신단말기용 인서트 몰딩 안테나
KR20150051975A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일체형 케이스
KR101609375B1 (ko) 안테나 일체형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1258445B1 (ko) 내장형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6848569B (zh) 用于制造具有缝隙天线壳体的方法及其基材
US9912056B2 (en) Multiband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421699B2 (en) Fixture for mold cores
KR101713805B1 (ko) 안테나 모듈과 무선 통신 기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기기
KR20160145949A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일체형 케이스
KR101370498B1 (ko) 전자기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제조방법
KR101460960B1 (ko) 안테나 모듈 및 무선 통신 기기 케이스
KR101370499B1 (ko) 전자기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제조방법
KR200466541Y1 (ko) 휴대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의 안테나 모듈
CN110249716B (zh) 壳体制造方法、具有u型天线的壳体及终端
KR1009419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서스 기판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N107592770A (zh) 电子设备的框架及其制造方法
KR101477586B1 (ko) 무선 통신 기기 케이스 금형 및 안테나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