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778B1 -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778B1
KR101465778B1 KR1020140056295A KR20140056295A KR101465778B1 KR 101465778 B1 KR101465778 B1 KR 101465778B1 KR 1020140056295 A KR1020140056295 A KR 1020140056295A KR 20140056295 A KR20140056295 A KR 20140056295A KR 101465778 B1 KR101465778 B1 KR 101465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cable
portions
prese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화
Original Assignee
대운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운이앤씨(주) filed Critical 대운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40056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07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0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12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6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006Means for guiding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07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1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and longitudinal cu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지렛대 원리에 의한 보다 간편하고 신속 정확한 방식으로 피복 제거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련 구조의 최소화로 인해 제조단가를 현저히 저하시켜 생산 및 가격 측면에서 경쟁력이 극대화되고, 특히 원하는 길이만큼 임의 피복 절단이 가능한 특성에 기인하여 대상 케이블의 끝단은 물론 케이블의 어느 부위에서도 피복 제거를 쉽게 실시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복 제거를 위하여 대상 케이블(1)의 상하 영역과 각각 면 접촉 유도되는 한 쌍의 커터부(40);와, 한 쌍의 커터부 중 어느 하나를 위치 고정시키는 지지하부(20);와, 지지하부에 체결된 커터부의 대응되는 영역으로 다른 커터부를 위치 고정시키는 가압상부(10);와, 가압상부와 지지하부의 일단을 상호 연계 형성하여 지지하부를 기점으로 가압상부의 선회가 실시되게 하는 힌지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Remove Tool for the Cable cover}
본 발명은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지렛대 원리에 의한 보다 간편하고 신속 정확한 방식으로 피복 제거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련 구조의 최소화로 인해 제조단가를 현저히 저하시켜 생산 및 가격 측면에서 경쟁력이 극대화되고, 특히 원하는 길이만큼 임의 피복 절단이 가능한 특성에 기인하여 대상 케이블의 끝단은 물론 케이블의 어느 부위에서도 피복 제거를 쉽게 실시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공사 내지 전기공사시 포설된 각종 전선 케이블은 최종 단계에서 케이블의 단부 피복을 제거한 다음 각종 기기에 접속하고 있으며, 이 밖에도 케이블과 케이블의 상호 연결을 실시하거나 또는 대상 케이블로부터 인위적인 분기를 실시할 경우 해당 피복의 제거는 필수적이다.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고 결선하는 작업에 있어서 전체 작업시간의 50% 이상을 피복의 제거 시간으로 소요하고 있는 실정인바, 이는 생산성 저하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예컨대, 고압 전선을 비롯한 선박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케이블은 그 두께가 두꺼워 피복 제거시 상당한 어려움이 초래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꼬임 방지를 위해 내부 심선이 스트랜드 형태로 꼬아져 있기 때문에 심선으로부터 피복의 외표면까지의 거리차, 즉 깊이가 일정하지 않아 무작정 칼날 혹은 전용칼 등을 이용하여 스트리핑(Stripping)하게 되면 심선이 손상되는 문제도 야기된다. 더욱이, 작업 결함으로 인해 내부 심선의 절연층이 손상될 경우에는 이를 보수하기 위한 시간 및 비용이 더욱 증가할 수밖에 없으므로 상당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겨울철과 같이 외기온도가 영하권에 머무를 때에는 케이블의 피복이 굳어 피복 제거시 더욱 어려운 작업환경에 놓이게 되고, 이러한 경우 칼날이나 전용칼 등을 이용한 피복 제거 작업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나아가, 칼날 혹은 전용칼을 사용할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도 높아 고도의 주의가 요구되므로 작업 효율성 측면에서도 매우 비합리적인 것이 현실이다.
한편,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실용신안등록번호 제463506호 "케이블의 피복 제거용 공구"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공구는 서로 간격을 둔 두개의 회전날과, 선단부가 날카로운 가이드용 받침대를 구비하여 이 받침대가 케이블의 피복에 삽입되게 한 다음 회전날을 회전시킴으로써 피복이 일정 깊이로 절단 및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등록 실용신안은 절단에 앞서 받침대의 끝부분이 피복 아래에 충분히 파고들어야 하는데, 피복의 아래에 부직포가 감겨 있고 피복 재료의 탄성이 적어 받침대가 침투하기 어려우며, 특히 받침대가 침투한 후에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받침대의 끝이 피복이나 내부 소재와 충돌하여 소재가 파손되지 않을 경우 진행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피복의 두께가 두꺼운 케이블의 경우나 트위스트 형태의 심선을 가진 케이블의 경우 해당 심선의 손상으로부터 완전하게 보호될 수 없음은 물론, 회전날에 의한 피복이라는 점에서 별도의 전원 공급과 함께 케이블 단부에 국한된 활용이라는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원 공급의 필요성 없이 지렛대 작용에 기인한 가압력만으로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제반 구성요소의 최소화로 보다 쉽고 빠르면서 간편하게 작업의 실시를 가능하게 하며, 케이블의 특정 단부에 국한되지 않고 원하는 지점에서 원하는 길이만큼 즉각적인 피복의 제거가 가능한 일련의 장치 제공을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100)는 피복 제거를 위하여 대상 케이블(1)의 상하 영역과 각각 면 접촉 유도되는 한 쌍의 커터부(40);와, 한 쌍의 커터부 중 어느 하나를 위치 고정시키는 지지하부(20);와, 지지하부에 체결된 커터부의 대응되는 영역으로 다른 커터부를 위치 고정시키는 가압상부(10);와, 가압상부와 지지하부의 일단을 상호 연계 형성하여 지지하부를 기점으로 가압상부의 선회가 실시되게 하는 힌지부(30);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가압상부(10)와 지지하부(20)는 각각의 커터부(40)를 수용하기 위한 인입홀(11,2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커터부(40)는 각기 다른 규격을 갖도록 다수 형성하여 인입홀을 수단으로 한 교체가 이루어짐에 따라 각 사이즈별 케이블의 견고한 안착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커터부(40)는 인입홀(11,21) 상으로 삽입 개재되고 케이블(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반원 형상의 함몰부(41)가 형성되는 고정블록(42);과, 고정블록의 함몰부 저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고정 입설되는 직선커터(43);와, 직선커터의 양단과 인접되는 고정블록의 양 측면 상에 각각 위치 고정되는 환형커터(44);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커터부(40)는 케이블(1)의 상하 영역으로 서로 중첩 배치됨에 따라 대상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피복 절개가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1)은 직선커터(43) 및 환형커터(44)와의 상호 맞물림에 기인하여 목적하는 길이로 상하면에 대해 동시 절단이 실시됨으로써 케이블의 끝단에 국한되지 않은 전 범위에 대해 피복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인입홀(21)과 인입홀에 위치되는 해당 커터부(40)는 슬라이드 끼움 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서로 접하는 대응 면에 대해 각각 레일유도부(22)와 안내돌부(45)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공급의 필요성 없이 지렛대 작용에 기인한 작업자의 가압만으로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 간편성 내지 작업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지렛대 운용 방식에 기초한 제반 구성요소의 최소화로 인해 보다 쉽고 간편하게 피복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의 단부만이 아닌 원하는 지점 어디에서도 목적하는 길이만큼의 피복 제거가 즉각적으로 실시되는바,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커터부를 발췌하여 상세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피복 제거가 실시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보인 사용 상태도.
도 8과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의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커터부를 발췌하여 상세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피복 제거가 실시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지렛대 원리에 의한 보다 간편하고 신속 정확한 방식으로 피복 제거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련 구조의 최소화로 인해 제조단가를 현저히 저하시켜 생산 및 가격 측면에서 경쟁력이 극대화되고, 원하는 길이만큼 임의 피복 절단이 가능한 특성에 기인하여 대상 케이블의 끝단은 물론 케이블의 어느 부위에서도 피복 제거를 쉽게 실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주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100)는 그 기능 및 작동 개요에 따라 가압상부(10);와, 지지하부(20);와, 힌지부(30);와, 커터부(40);로 대별되고, 이의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해당 전제로 한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상기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100)는 피복 제거를 위하여 대상 케이블(1)의 상하 영역과 각각 면 접촉 유도되는 한 쌍의 커터부(40);와, 한 쌍의 커터부 중 어느 하나를 위치 고정시키는 지지하부(20);와, 지지하부에 체결된 커터부의 대응되는 영역으로 다른 커터부를 위치 고정시키는 가압상부(10);와, 가압상부와 지지하부의 일단을 상호 연계 형성하여 지지하부를 기점으로 가압상부의 선회가 실시되게 하는 힌지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커터부(40)는 케이블(1)의 피복을 제거하기 위한 실질적인 절단수단으로, 피복과의 접촉시 해당 면 내부로 침투할 수 있을 정도의 날카로움이 있는 통상의 칼날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커터부(40)를 복수 개 구비하여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배치하였는바, 이는 케이블(1)의 전면에 대해 한 쌍의 커터부가 상하 영역을 구분하여 전면 커버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커터부(40)의 상하 배열 후 적정 수준의 가압력이 행사되면 상측 커터부와 하측 커터부가 서로 완벽하게 맞물려 치합되면서 해당 케이블의 피복 절개가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상부(10)와 지지하부(20)는 전술한 커터부(40)를 일대일 대응 배치하여 케이블 피복 절단시 커터부 상호 간의 중첩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요소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피복을 절단함에 있어 지렛대 원리를 채용하였는바, 이러한 지렛대 원리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도면에서와 같은 형상 및 구조의 가압상부(10)와 지지하부(20)가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별도로 식별번호를 부여하진 않았으나 작업자가 쉽게 손으로 파지하여 일정 수준의 가압력(상하 구동)을 행사할 수 있도록 각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길이는 사용의 편의상 가변될 수 있는 구조면 충분하다.
상기 힌지부(30)는 가압상부(10)와 지지하부(20)의 지렛대 운용을 위한 통상적인 방식으로,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종래와 유사 내지 동일한 개념이어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가압상부(10)와 지지하부(20)의 구성은 보다 안정적인 커터부(40)의 수용을 위해 또는 해당 커터부의 탈부착 가능성을 위해 소정의 인입홀(11,21)을 각 대응되는 영역에 부가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상부(10)와 지지하부(20)에는 각각의 커터부(40)를 수용하기 위한 인입홀(11,21)이 형성되는바, 각기 다른 규격을 가진 다수의 커터부(40)가 별도 구비될 경우 작업자에 의해 가압상부 또는 지지하부로부터 손쉽게 교체될 수 있으므로, 결국 본 발명의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를 운용함에 있어 보다 다양한 사이즈의 케이블 모두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주된 요부인 커터부(4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인입홀(11,21) 상으로 삽입 개재되고 케이블(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반원 형상의 함몰부(41)가 형성되는 고정블록(42);과, 고정블록의 함몰부 저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고정 입설되는 직선커터(43);와, 직선커터의 양단과 인접되는 고정블록의 양 측면 상에 각각 위치 고정되는 환형커터(44);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커터부(40)는 케이블(1)의 상하 영역으로 서로 중첩 배치됨에 따라 대상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피복 절개가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1)은 직선커터(43) 및 환형커터(44)와의 상호 맞물림에 기인하여 목적하는 길이로 상하면에 대해 동시 절단이 실시됨으로써 케이블의 끝단에 국한되지 않은 전 범위에 대해 피복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즉, 커터부(40)와 커터부의 상호 중첩에 의하여 해당 직선커터(43) 상호 간의 가압 및 환형커터(44) 상호 간의 가압이 유도되면서 커터부에 내입된 대상 피복의 절개가 실시되는데, 도 5 및 7과 같이 케이블 피복의 양쪽 단부 둘레면을 따라 환형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직선 형태의 또 다른 절개 형상이 초래되면서 케이블(1)의 상하좌우 모든 영역에 대한 일괄적인 절개면을 구축하여 완벽한 피복 제거를 유도한다.
그리고, 도 6과 7은 종래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 케이블(1) 끝단이 아닌 케이블의 어느 부위에서도 피복 제거가 실시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으로, 전원 공급의 필요성 없이 지렛대 작용에 기인한 가압력만으로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의 특정 단부에 국한되지 않고 원하는 지점에서 원하는 길이만큼 즉각적인 피복의 제거가 가능하게 되므로 더욱 효율적이다.
한편, 도 8과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압상부(10) 및/또는 지지하부(20)로부터 해당 커터부(40)의 교체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소정의 슬라이드 운용 타입이 채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인입홀(21)과 인입홀에 위치되는 해당 커터부(40)는 슬라이드 끼움 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서로 접하는 대응 면에 대해 각각 레일유도부(22)와 안내돌부(45)를 더 구성하고, 이러한 구성에 기인하여 피복을 제거하고자 하는 해당 규격의 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는 또 다른 사이즈의 커터부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100)는, 전원 공급의 필요성 없이 지렛대 작용에 기인한 작업자의 가압만으로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 간편성 내지 작업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지렛대 운용 방식에 기초한 제반 구성요소의 최소화로 인해 보다 쉽고 간편하게 피복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의 단부만이 아닌 원하는 지점 어디에서도 목적하는 길이만큼의 피복 제거가 즉각적으로 실시되는바,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케이블 10. 가압상부
11. 인입홀 20. 지지하부
21. 인입홀 22. 레일유도부
30. 힌지부 40. 커터부
41. 함몰부 42. 고정블록
43. 직선커터 44. 환형커터
45. 안내돌부
100.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Claims (5)

  1. 삭제
  2. 피복 제거를 위하여 대상 케이블(1)의 상하 영역과 각각 면 접촉 유도되는 한 쌍의 커터부(40);와, 한 쌍의 커터부 중 어느 하나를 위치 고정시키는 지지하부(20);와, 지지하부에 체결된 커터부의 대응되는 영역으로 다른 커터부를 위치 고정시키는 가압상부(10);와, 가압상부와 지지하부의 일단을 상호 연계 형성하여 지지하부를 기점으로 가압상부의 선회가 실시되게 하는 힌지부(30);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상부(10)와 지지하부(20)는 각각의 커터부(40)를 수용하기 위한 인입홀(11,2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커터부(40)는 각기 다른 규격을 갖도록 다수 형성하여 인입홀을 수단으로 한 교체가 이루어짐에 따라 각 사이즈별 케이블의 견고한 안착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40)는 인입홀(11,21) 상으로 삽입 개재되고 케이블(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반원 형상의 함몰부(41)가 형성되는 고정블록(42);과, 고정블록의 함몰부 저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고정 입설되는 직선커터(43);와, 직선커터의 양단과 인접되는 고정블록의 양 측면 상에 각각 위치 고정되는 환형커터(44);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40)는 케이블(1)의 상하 영역으로 서로 중첩 배치됨에 따라 대상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피복 절개가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블(1)은 직선커터(43) 및 환형커터(44)와의 상호 맞물림에 기인하여 목적하는 길이로 상하면에 대해 동시 절단이 실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홀(21)과 인입홀에 위치되는 해당 커터부(40)는 슬라이드 끼움 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서로 접하는 대응 면에 대해 각각 레일유도부(22)와 안내돌부(45)를 부가 구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KR1020140056295A 2014-05-12 2014-05-12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KR101465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295A KR101465778B1 (ko) 2014-05-12 2014-05-12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295A KR101465778B1 (ko) 2014-05-12 2014-05-12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778B1 true KR101465778B1 (ko) 2014-12-01

Family

ID=5267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295A KR101465778B1 (ko) 2014-05-12 2014-05-12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77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6833A (zh) * 2017-03-15 2017-06-09 曹孝培 一种多功能电缆二合一剥剪钳
CN106816832A (zh) * 2017-03-15 2017-06-09 曹孝培 一种多功能快速剥线钳
CN106848940A (zh) * 2017-03-15 2017-06-13 曹孝培 一种多功能快速剥线钳
CN106992472A (zh) * 2017-03-15 2017-07-28 曹孝培 一种多功能快速电缆剥皮剪线钳
KR20210015189A (ko) * 2019-08-01 2021-02-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선 피복 제거 장치
CN112436448A (zh) * 2020-12-01 2021-03-0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t型剥线刀片及剥线钳
CN112571462A (zh) * 2020-11-26 2021-03-30 陕西时盛科邦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线缆绝缘层环切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728A (ja) * 1999-04-08 2000-10-20 Nichifu Co Ltd 大径被覆電線の被覆剥離具。
JP3095690U (ja) * 2003-02-03 2003-08-15 船井電機株式会社 リード線被覆膜剥ぎ用切断工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728A (ja) * 1999-04-08 2000-10-20 Nichifu Co Ltd 大径被覆電線の被覆剥離具。
JP3095690U (ja) * 2003-02-03 2003-08-15 船井電機株式会社 リード線被覆膜剥ぎ用切断工具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6833A (zh) * 2017-03-15 2017-06-09 曹孝培 一种多功能电缆二合一剥剪钳
CN106816832A (zh) * 2017-03-15 2017-06-09 曹孝培 一种多功能快速剥线钳
CN106848940A (zh) * 2017-03-15 2017-06-13 曹孝培 一种多功能快速剥线钳
CN106992472A (zh) * 2017-03-15 2017-07-28 曹孝培 一种多功能快速电缆剥皮剪线钳
CN106992472B (zh) * 2017-03-15 2019-09-10 韶关市方晟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多功能快速电缆剥皮剪线钳
KR20210015189A (ko) * 2019-08-01 2021-02-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선 피복 제거 장치
KR102369130B1 (ko) 2019-08-01 2022-0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선 피복 제거 장치
CN112571462A (zh) * 2020-11-26 2021-03-30 陕西时盛科邦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线缆绝缘层环切装置
CN112571462B (zh) * 2020-11-26 2024-01-02 陕西时盛科邦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线缆绝缘层环切装置
CN112436448A (zh) * 2020-12-01 2021-03-0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t型剥线刀片及剥线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778B1 (ko)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KR101533804B1 (ko) 복합케이블 외피탈피기
EP2871737A3 (de) Abisoliervorrichtung und -Verfahren
CN102623934A (zh) 导线剥皮器
CN103795008A (zh) 一种多层线缆剥离装置
US3237300A (en) Insulation cutting pliers having parallel longitudinal and transverse cutting edges
CN103594907A (zh) 一种电缆线绝缘层剥离装置
US9168666B2 (en) Device and method for ripping gum of conveyor belt
JP2016123156A (ja) 電線被覆剥ぎ取り工具
CN102751670A (zh) 电缆芯线剥皮装置
CN103618263A (zh) 一种电缆剥切工具
CN103618264A (zh) 一种电缆剥切工具
CN104934902A (zh) 一种热水炉用电线的剥线机
KR20190109689A (ko)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CN203760942U (zh) 一种电缆剥切工具
CN104749700B (zh) 自承式蝶形引入光缆用开剥钳
KR20160001154U (ko) 전선 피복을 탈피하는 칼 및 그 방법
KR200463506Y1 (ko) 케이블의 피복 제거용 공구
CN205720761U (zh) 自承式蝶形引入光缆用开剥钳
CN107490826B (zh) 一种自承式蝶形引入光缆用开剥钳
CN104051987A (zh) 一种电缆剥线钳
CN203707677U (zh) 控制电缆护套快速分离器
CN104749695B (zh) 一种蝶形引入光缆用开剥钳
CN104749702B (zh) 自承式蝶形引入光缆用开剥钳
CN210669309U (zh) 一种电力施工用电缆剥皮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