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728B1 -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728B1
KR101465728B1 KR1020130113253A KR20130113253A KR101465728B1 KR 101465728 B1 KR101465728 B1 KR 101465728B1 KR 1020130113253 A KR1020130113253 A KR 1020130113253A KR 20130113253 A KR20130113253 A KR 20130113253A KR 101465728 B1 KR101465728 B1 KR 101465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fuel
trim
ship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문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3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및 방법은 선박의 연료소모량에 상응하는 해수 보충을 통해 최적화된 트림을 유지하는 구성을 갖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출항을 개시한 이후 출항을 종료할 때까지 최적의 선박 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박의 운항에 대한 연비 효율을 극대화하여 운항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KEEPING TRIM OF A SHIP, AND METHOD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연료소모량에 상응하는 해수 보충을 통해 최적화된 트림을 유지하기 위한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출항 전의 선박 상태에 맞춰서 선박의 트림을 조절한다.
하지만, 선박의 운항이 개시되면 연료의 소모량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연료 소모량이 지속되는 경우, 출항 전에 최적의 상태로 맞춰진 선박의 트림이 최적의 상태가 아닌 다른 상태로 변경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운항 이후 선박의 트림이 최적의 상태가 아님에 따라, 연료 소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 큰 문제점은, 선박의 운항이 추후 지속 됨에 따른 연료 소모량이 더욱 커지고, 이로 인한 선박의 트림 상태 악화로 인해 연비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에 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184378(2009.08.2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연료소모량에 상응하는 해수 보충을 통해 최적화된 트림을 유지하기 위한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부, 연료량을 측정하는 연료게이지부, 상기 연료저장부의 위치 영역 내에서 상기 연료와 구분하여 해수를 저장하는 해수저장부, 상기 해수저장부로 해수 공급을 실행하는 해수공급부, 상기 연료게이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기초로 연료소모량을 판정하고, 상기 연료소모량과 상응하는 해수량을 상기 해수저장부에 보충하기 위한 트림 조정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트림 조정 신호를 상기 해수공급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수공급부는 상기 트림 조정 신호가 해수 공급을 개시하는 신호인 경우 해수 공급 벨브를 개방하여 상기 해수저장부로 해수 공급을 실행하고, 상기 트림 조정 신호가 해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해수 공급 벨브를 폐쇄하여 상기 해수저장부에 대한 해수 공급을 차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는 상기 해수저장부의 해수를 비우기 위한 해수배출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수저장부는 상기 연료저장부의 각 연료탱크와 대응하여 다수의 해수탱크들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소모량에 대응하는 비율로 각 연료탱크에 구비된 각 해수탱크로의 해수 보충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해수탱크의 위치는 개별적으로 보충되는 해수 보충에 따라 해당 연료탱크 내부로 하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수저장부는 상기 연료저장부의 하측에서 단일의 해수탱크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일의 해수탱크는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소모량에 대응하는 비율로 상기 단일의 해수탱크로 해수 보충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선박의 트림 유지 방법은 선박의 연료소모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연료소모량을 기초로 하여 상기 선박에 대한 트림 조정이 요구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 결과에서 트림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연료소모량과 상응하는 해수량을 연료 저장 공간의 무게 중심 축에 위치한 해수 저장 공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트림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림 조정 신호의 전송을 통해 상기 해수 저장 공간에 대한 해수 공급을 실행하여 트림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박의 트림 유지 방법은 상기 연료소모량이 이전 연료소모량에 비해 연료증가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트림 조정 모드에서 연료 보충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선박의 연료소모량에 상응하는 해수 보충을 통해 최적화된 트림을 유지함으로써, 출항을 개시한 이후 출항을 종료할 때까지 최적의 선박 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박의 운항에 대한 연비 효율을 극대화하여 운항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림 유지 장치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트림 유지 장치의 다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트림 유지 장치의 동작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트림 유지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트림 유지 장치의 동작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트림 유지 장치의 동작 과정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100)는 출항 이후 선박의 연료소모량에 상응하는 해수 보충을 통해 최적화된 트림을 출항 이후부터 출항을 종료할 때까지 지속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다.
또한, 출항 전의 선박의 상태에 따른 트림 조정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출항 전의 선박의 상태에 따른 트림 조정에서 연료 저장 영역이 위치한 부분에 대한 트림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 종래의 출항 전의 선박의 상태에 따른 트림 조정 장치는 본 발명의 트림 유지 장치(100)와 연동하여 특정 지점의 해수 보충을 통해 트림 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트림 유지 장치(100)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부(110), 연료량을 측정하는 연료게이지부(120), 연료저장부(110) 내에 연료와 구분하여 해수를 저장하기 위한 해수저장부(140), 항해 중에 해수저장부(140)로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공급부(130), 연료게이지부(120)로부터 제공된 측정값을 기초로 연료소모량을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른 연료소모량에 상응하는 양만큼 해수를 해수저장부(140)에 보충하여 최적화된 트림을 유지하기 위한 트림 조정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한 트림 조정 신호를 해수공급부(130)로 전달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해수공급부(130)는 제어부(150)로부터 제공된 트림 조정 신호가 해수 공급을 개시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해수 공급 벨브를 개방하여 해수저장부(140)로 해수 공급을 실행한다.
반면에, 해수공급부(130)는 제어부(150)로부터 제공된 트림 조정 신호가 해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해수 공급 벨브를 폐쇄하여 해수저장부(140)로의 추가 해수 공급을 차단한다.
출항 이후, 선박 운행이 지속되면 연료저장부(110)의 연료 또한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이나, 어느 한 경유지에 정박하여 연료 보충을 하거나 목적지에 도달하여 연료 보충할 경우에는 연료저장부(110)에 연료가 보충된다.
이때, 해수저장부(140)에 이미 채워져 있는 해수로 인해 연료저장부(110)로의 연료 보충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림 유지 장치(100)는 해수저장부(140)의 해수를 비우기 위한 해수배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150)는 연료게이지부(120)로부터 제공된 측정값을 기초로 이전 연료소모량에 비해 연료증가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트림 조정 모드에서 연료 보충 모드로 전환한다.
연료 보충 모드로 전환한 제어부(150)는 연료게이지부(120)로부터 제공된 측정값을 기초로 이전 연료소모량에 비해 연료 증가된 레벨만큼 해수저장부(140)로부터 해수를 비우기 위한 연료공간 조정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한 연료공간 조정신호를 해수배출부(미도시)로 전달한다.
이에, 해수배출부(미도시)는 제어부(150)로부터 제공된 연료공간 조정신호가 해수 배출을 개시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해수저장부(140)의 하단 측에 위치한 해수배출홀을 여닫기 위한 해수 배출 벨브를 개방하여 해수저장부(140)의 해수를 연료 증가된 레벨만큼 외부로 배출하거나, 해수저장부(140)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펌프를 동작시켜 해수저장부(140)의 해수를 연료 증가된 레벨만큼 외부로 배출한다.
반면에, 해수배출부(미도시)는 제어부(150)로부터 제공된 연료공간 조정신호가 해수 배출을 차단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해수저장부(140)의 하단 측에 위치한 해수배출홀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해수 배출 벨브를 조작하여 해수저장부(140)에 저장 중인 해수의 추가 배출을 차단하거나, 해수저장부(140)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펌프의 동작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해수저장부(140)의 해수를 외부로 추가 배출하는 것을 차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림 유지 장치(100)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림 유지 장치(100)는 연료저장부(110), 연료게이지부(120), 해수공급부(130), 해수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고, 해수저장부(140)는 연료저장부(110)의 각 연료탱크에 대응하는 다수의 해수탱크들로 구비 가능하다.
즉, 연료저장부(110)의 각 연료탱크에 연료가 꽉 차있는 상태인 경우, 각 연료탱크마다 대응하여 구비되는 각 해수탱크는 해당 연료탱크의 상단에 해수를 전혀 채우지 않는 상태로 떠 있는 구조이다.
또한, 선박의 출항 이후 각 연료탱크의 연료량이 감소할 경우, 제어부(150)는 연료소모량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비율로 각 연료탱크에 구비된 각 해수탱크로의 해수 보충을 제어한다.
예컨대, 선박의 출항 이후 각 연료탱크의 연료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게이지가 감소할 경우, 제어부(150)는 연료소모량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비율로 각 연료탱크에 구비된 각 해수탱크에 대한 해수 보충을 실시함에 따라, 각 해수탱크의 위치가 해당 연료탱크 내부로 하강한다.
이를 통해, 연료소모량만큼 해수 보충이 연료저장부(110) 내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연료소모량이 발생하여도 선박의 최적화된 트림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트림 유지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트림 유지 방법은 선박의 출항 이후 실시간으로 연료게이지부(120)에 의해 각 연료탱크의 연료소모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
이후, 제어부(150)는 연료게이지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기초로 유발된 연료소모량으로 인해 트림 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한다(S102).
S102 단계의 판정에서, 연료소모량이 최적화된 트림을 유지하기 위한 임계 연료 레벨 미만인 경우, 트림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 가능하다.
S102 단계의 판정 결과, 트림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각 연료탱크의 연료소모량만큼에 대한 비율로 해수저장부(140)에 대한 해수 공급을 실시하는 트림 조정 신호를 생성한다(S104).
이후, 제어부(150)는 생성한 트림 조정 신호를 해수공급부(130)로 전달하고, 이에 응답하는 해수공급부(130)의 동작을 통해 각 해수탱크에 대한 해수 공급이 실행된다(S106).
여기서, 각 해수탱크로 해수 공급을 하게 되면 각 연료탱크의 무게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연료게이지부(120)에서 측정하는 측정값은 연료소모량을 보상한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연료게이지부(120)로부터 추가 제공받는 측정값을 기초로 최적화된 트림 상태로 복귀한 것으로 판정할 경우, 해수저장부(140)에 대한 해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트림 조정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트림 조정 신호를 해수공급부(130)로 전달한다(S108).
이후, 해수공급부(130)는 해수저장부(140)에 대한 해수 공급을 차단한다.
이후, 최적화된 트림 유지를 위한 제어가 지속되는 경우 위에서 설명된 각 단계들이 반복 수행된다(S110).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트림 유지 장치(10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림 유지 장치(100)는 연료저장부(110), 연료게이지부(120), 해수공급부(130), 해수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고, 해수저장부(140)는 연료저장부(110)의 하측에서 단일의 해수탱크로 구비 가능하다.
즉, 연료저장부(110)의 각 연료탱크에 연료가 꽉 차있는 상태인 경우, 연료저장부(110)의 하측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단일의 해수탱크는 내부에 해수를 전혀 채우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선박의 출항 이후 각 연료탱크의 연료량이 감소할 경우, 제어부(150)는 연료소모량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비율로 연료저장부(110) 하측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 단일의 해수탱크로의 해수 보충을 제어한다.
예컨대, 선박의 출항 이후 각 연료탱크의 연료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연료게이지가 감소할 경우, 제어부(150)는 연료소모량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비율로 연료저장부(110) 하측에 위치한 단일의 해수탱크에 대한 해수 보충을 실시하는 제어를 한다.
이때, 해수탱크는 내부에 해수 보충을 할 뿐이며, 해수 보충으로 인하여 해수탱크의 위치 변경이 유발되지는 않는다.
이를 통해, 연료소모량만큼 해수 보충이 연료저장부(110) 내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연료소모량이 발생하여도 선박의 최적화된 트림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트림 유지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트림 유지 방법은 선박의 출항 이후 실시간으로 연료게이지부(120)에 의해 각 연료탱크의 연료소모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200).
이후, 제어부(150)는 연료게이지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기초로 유발된 연료소모량으로 인해 트림 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한다(S202).
S202 단계의 판정에서, 연료소모량이 최적화된 트림을 유지하기 위한 임계 연료 레벨 미만인 경우, 트림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 가능하다.
S202 단계의 판정 결과, 트림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각 연료탱크의 연료소모량만큼에 대한 비율로 해수저장부(140)에 대한 해수 공급을 실시하는 트림 조정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생성한 트림 조정 신호를 해수공급부(130)로 전달하고, 이에 응답하는 해수공급부(130)의 동작을 통해 단일의 해수탱크에 대한 해수 공급이 실행된다(S204).
여기서, 연료게이지부(120)에서 측정하는 측정값은 각 연료탱크의 순수 연료소모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료게이지부(120)에서 측정하는 측정값이 연료소모량을 보상한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후, 제어부(150)는 연료게이지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과 해수저장부(140)로 공급된 해수량을 포함하는 측정 파라미터를 기초로 최적화된 트림 상태로 복귀한 것으로 판정할 경우 해수저장부(140)에 대한 해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트림 조정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트림 조정 신호를 해수공급부(130)로 전달한다(S206 및 S208).
또한, S202 단계의 판정 결과에서 트림 조정이 요구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S206 및 S208 단계에서 트림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수행하지 않은 채로 기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최적화된 트림 상태가 된 것인지에 대한 판정은 S202 단계에서 수행하는 것인 바, 전술된 각 단계의 수행을 반복하면서 S202 단계의 판정 결과에 따라 단일의 해수탱크에 대한 해수 공급 차단을 결정할 수 있다(S210).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트림 유지 장치(100)의 동작 과정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트림 유지 방법은 선박의 출항 이후 실시간으로 연료게이지부(120)에 의해 각 연료탱크의 연료소모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300).
이후, 제어부(150)는 연료게이지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기초로 유발된 연료소모량으로 인해 트림 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한다(S302).
S302 단계의 판정에서, 연료소모량이 최적화된 트림을 유지하기 위한 임계 연료 레벨 미만인 경우, 트림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 가능하다.
S302 단계의 판정 결과, 트림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각 연료탱크의 연료소모량만큼에 대한 비율로 해수저장부(140)에 공급하기 위한 해수공급량을 연산한다(S304).
이후, 제어부(150)는 S304 단계에서 연산한 해수공급량을 기준으로 단일의 해수탱크로 해수 공급을 하기 위한 트림 조정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생성한 트림 조정 신호를 해수공급부(130)로 전달하고, 이에 응답하는 해수공급부(130)의 동작을 통해 단일의 해수탱크에 대한 해수 공급이 실행된다(S306).
이후, 제어부(150)는 S304 단계에서 연산한 해수공급량만큼 해수 공급이 실시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S308), 연료게이지부(120)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과 해수저장부(140)로 공급된 해수량을 포함하는 측정 파라미터를 기초로 최적화된 트림 상태로 복귀한 것으로 판정하여 해수저장부(140)에 대한 해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트림 조정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트림 조정 신호를 해수공급부(130)로 전달한다(S310).
또한, S302 단계의 판정 결과에서 트림 조정이 요구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S304 내지 S310 단계에서 트림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수행하지 않은 채로 기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최적화된 트림이 유지되면서 이를 지속하기 위한 제어를 하는 경우, 위에서 설명된 단계들을 반복 수행한다(S312 및 S314).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의 연료소모량에 상응하는 해수 보충을 통해 최적화된 트림을 유지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트림 유지 장치 110: 연료저장부
120: 연료게이지부 130: 해수공급부
140: 해수저장부 150: 제어부

Claims (10)

  1.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저장부;
    연료량을 측정하는 연료게이지부;
    상기 연료저장부의 위치 영역 내에서 상기 연료와 구분하여 해수를 저장하는 해수저장부;
    상기 해수저장부로 해수 공급을 실행하는 해수공급부;
    상기 연료게이지부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값을 기초로 연료소모량을 판정하고, 상기 연료소모량과 상응하는 해수량을 상기 해수저장부에 보충하기 위한 트림 조정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트림 조정 신호를 상기 해수공급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공급부는 상기 트림 조정 신호가 해수 공급을 개시하는 신호인 경우 해수 공급 벨브를 개방하여 상기 해수저장부로 해수 공급을 실행하고, 상기 트림 조정 신호가 해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신호인 경우 해수 공급 벨브를 폐쇄하여 상기 해수저장부에 대한 해수 공급을 차단하는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는 상기 해수저장부의 해수를 비우기 위한 해수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4.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저장부는 상기 연료저장부의 각 연료탱크와 대응하여 다수의 해수탱크들로 구비되는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소모량에 대응하는 비율로 각 연료탱크에 구비된 각 해수탱크로의 해수 보충을 제어하는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해수탱크의 위치는 개별적으로 보충되는 해수 보충에 따라 해당 연료탱크 내부로 하강하는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7.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저장부는 상기 연료저장부의 하측에서 단일의 해수탱크로 구비되는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해수탱크는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소모량에 대응하는 비율로 상기 단일의 해수탱크로 해수 보충을 제어하는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9. 선박의 트림 유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연료소모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연료소모량을 기초로 하여 상기 선박에 대한 트림 조정이 요구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 결과에서 트림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연료소모량과 상응하는 해수량을 연료 저장 공간의 무게 중심 축에 위치한 해수 저장 공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트림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림 조정 신호의 전송을 통해 상기 해수 저장 공간에 대한 해수 공급을 실행하여 트림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트림 유지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트림 유지 방법은,
    상기 연료소모량이 이전 연료소모량에 비해 연료증가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트림 조정 모드에서 연료 보충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트림 유지 방법.
KR1020130113253A 2013-09-24 2013-09-24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및 방법 KR101465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253A KR101465728B1 (ko) 2013-09-24 2013-09-24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253A KR101465728B1 (ko) 2013-09-24 2013-09-24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728B1 true KR101465728B1 (ko) 2014-11-28

Family

ID=5229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253A KR101465728B1 (ko) 2013-09-24 2013-09-24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508B1 (ko) * 2015-10-21 2017-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CN111319727A (zh) * 2020-03-30 2020-06-23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体压载结构、船及船体尾倾角度调节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836A (ko) * 2003-05-27 2004-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최적트림 제어방법
JP2008105449A (ja) * 2006-10-23 2008-05-0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燃料コンテナ
KR100980674B1 (ko) * 2008-03-14 2010-09-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덴세이트 연료화 시스템을 가지는 lng fpso
KR101175235B1 (ko) * 2012-06-15 2012-08-21 한국해양연구원 압력 평형 장치를 가지는 부력 조절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중 글라이더 및 압력 평형을 이용한 부력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836A (ko) * 2003-05-27 2004-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최적트림 제어방법
JP2008105449A (ja) * 2006-10-23 2008-05-0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燃料コンテナ
KR100980674B1 (ko) * 2008-03-14 2010-09-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덴세이트 연료화 시스템을 가지는 lng fpso
KR101175235B1 (ko) * 2012-06-15 2012-08-21 한국해양연구원 압력 평형 장치를 가지는 부력 조절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중 글라이더 및 압력 평형을 이용한 부력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508B1 (ko) * 2015-10-21 2017-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CN111319727A (zh) * 2020-03-30 2020-06-23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体压载结构、船及船体尾倾角度调节方法
CN111319727B (zh) * 2020-03-30 2022-02-08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体压载结构、船及船体尾倾角度调节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728B1 (ko) 선박의 트림 유지 장치 및 방법
KR101546996B1 (ko) 분수장치
US11060266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ter reservoir supply pump arrangement and water reservoir supply pump arrangement
JP2010144771A (ja) 燃料充填装置および燃料充填システム
JP5387846B2 (ja) ガスステーション及びガス充填システム
JP2007197062A (ja) 加圧充填機
WO2008090430A1 (en) Drainage apparatus for fuel cell system generation water
JP2013108446A (ja) ポンプ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JP6718011B1 (ja) ケーソンの注水制御方法および注水制御システム
KR20220093214A (ko) 선박, 선박에 있어서의 액화 이산화 탄소의 적재 방법
JP2009115195A (ja) 液化ガス充填装置
JP2011099468A (ja) ガス充填装置及びガス充填方法
KR101558296B1 (ko) 자동 평형수 제어방법 및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40046878A (ko) 선박
KR101715061B1 (ko) 선택 부유형 레그드 플랫폼 설비와 이의 건조방법 및 운용방법
KR101848963B1 (ko) 해양 부유식 설비 및 그 운용 방법
KR101924224B1 (ko) 선박
KR101902633B1 (ko) 쇄빙선박
JP2016109175A (ja) 高圧ガス蓄圧システム及び高圧ガス蓄圧方法
JP2005280550A (ja) パラメトリック横揺れ防止装置
KR101544811B1 (ko) 선박의 안정화 장치
GB2169570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vessels
KR20120084385A (ko) 에어 캐비티 선박의 압력센서를 이용한 공기방 공기 공급 제어방법
JP4533699B2 (ja) 液圧制御装置
KR101690929B1 (ko) 액체 화물 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