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546B1 -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 - Google Patents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546B1
KR101465546B1 KR1020140111132A KR20140111132A KR101465546B1 KR 101465546 B1 KR101465546 B1 KR 101465546B1 KR 1020140111132 A KR1020140111132 A KR 1020140111132A KR 20140111132 A KR20140111132 A KR 20140111132A KR 101465546 B1 KR101465546 B1 KR 101465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sensing means
vehicle
black box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626A (ko
Inventor
김혜성
Original Assignee
김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성 filed Critical 김혜성
Priority to KR102014011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546B1/ko
Publication of KR2014010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내외부의 영상정보 뿐만이 아니라 운전자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저장할 수 있는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차량의 주행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차량의 페달 부위에 배치되어 운전자에 의한 페달의 작동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주행영상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페달의 동작을 시간순으로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페달의 조작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BLACK BOX APPARATUS HAVING DETECTING MEANS OF OPERATING PEDAL}
본 발명은 차량용 정보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내외부의 영상정보 뿐만이 아니라 운전자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고 저장할 수 있는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랙박스와 같은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는 자동차의 내외부의 상황을 영상으로 저장하거나 음성으로 저장하여둠으로써 사고 등의 발생시 중요한 기록자료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자치를 말한다.
최근의 블랙박스들은 다양한 자동차의 운행 기록을 저장하는데, GPS와 같은 위치 확인장치를 이용하여 속도, 시간 또는 장소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블랙박스는 차량의 운행정보 특히 차량의 외부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운전자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는 저장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불의의 사고의 발생시 운전자의 차량 조작 실수와 자동차의 결함의 원인을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차량의 급발진의 문제가 제기되는데, 제조물 책임법상 운전자가 운전에 필요한 최소한의 주의 즉, 가속 페달을 밟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사실을 증명하게 되면 운전자의 과실을 면할 수 있지만, 현재의 블랙박스장치로서는 이러한 운전자의 과실을 증명할 수 없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 자체의 이벤트 기록인 EDR을 분석하여 운전자의 과실 또는 차량의 결함 유무를 증명하고자 하나, 최근의 차량들은 대부분의 장치들이 전자장비화됨에 따라 이러한 EDR에 기록되는 데이터들은 소정의 가공을 거쳐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기록하기 때문에 실제 운전자의 조작과는 괴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운전석의 하방을 지향하는 카메라를 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도 운전자의 조작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조명이 없는 특성상 명확한 판별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페달 부위에 직접적으로 운전자의 가속 또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블랙박스와 연동하여 페달 조작과 관련된 직접적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차량의 주행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차량의 페달 부위에 배치되어 운전자에 의한 페달의 작동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주행영상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페달의 동작을 시간순으로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페달의 조작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감지수단은, 페달의 상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압전소자가 행과 열을 지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페달의 일부면만이 접촉되더라도 정확한 답력의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본체부는, 각각의 압전소자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합을 페달에 적용되는 답력으로 시간순으로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다. 따라서, 상황에 유연하게 적응이 가능하고 정확한 답력의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감지수단은, 차량의 운전석 바닥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페달에 광을 방출하는 광발생수단 및 상기 페달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발생수단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광반사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광발생수단으로부터 방출되어 광반사수단에서 반사되어 광발생수단으로 도달되는 광의 경로에 따른 시간을 통하여 차량의 운전석의 바닥부위와 페달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페달의 동작을 시간순으로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페달의 작동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본체부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주행영상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페달의 동작을 시간순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가속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그래프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주행정보의 정확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함께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의 조작과 주행 상태의 일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본체부는, 차량의 감속 또는 가속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페달의 동작과 함께 시간순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본체부는, 가속 페달의 동작과 차량의 가속정보의 관계를 분석하여, 가속 페달의 동작과 차량의 가속 사이의 시간지연이 길어지는 경우 출력의 저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과 차량의 감속정보의 관계를 분석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과 차량의 감속 사이의 시간지연이 길어지는 경우 브레이크 성능의 저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블랙박스장치가 운전자의 운전패턴과 차량의 실제 정보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차량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는,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하여 운전자의 운전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시각적으로 재현할 수 있도록 하므로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차량의 구조적 및 전기적인 영향을 제거할 수 있으며 증거로서의 신빙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블랙박스장치의 페달 작동 감지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념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블랙박스장치의 페달 작동 감지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개념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블랙박스장치에서 감지되는 페달의 답력과 엔진의 회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블랙박스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영상확인부(미도시)가 구비되는 본체부(110)와, 페달에 구비되어 페달의 작동을 감지하며 상기 본체부(110)와 연결되는 감지수단(200)을 구비한다.
상기 영상확인부는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카메라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카메라모듈은 기본적으로 운전방향인 전방을 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후방 및 측방을 지향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카메라모듈이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감지수단(200)은 페달의 작동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페달(10)은 기본적으로 브레이크 페달(11)과 가속 페달(12)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나 클러치에 의한 기어조작이 이루어지는 차량의 경우 클러치 페달(미도시)가 더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기 페달(10)은 차량의 운전석 측의 전방 바닥측에 배치되어 운전자가 답력을 제공하여 소정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조작되면서 악셀과 브레이크 신호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가속 페달(12)과 브레이크 페달(11)은 소정의 와이어 등을 동작하여 직접적으로 카뷰레이터나 실린더를 동작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고,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에 연결되어 소정의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랙박스장치의 제1실시예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수단(200)이 압력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설명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감지수단(200)은 브레이크 페달(11)측에 배치되는 제1감지수단(210)과 가속 페달(12)측에 배치되는 제2감지수단(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감지수단(210)과 제2감지수단(220)은 압력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200)들은 각각 브레이크 페달(11)과 가속 페달(12)의 상면 즉, 운전자의 발바닥이 접촉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수단(200)은 압전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수단(200)은 페달(10)과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축에 배치되어 소정의 축압을 감지하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감지수단(200)은 전체적으로 복수의 압전소자들이 행과 열을 지어 배치되어 대략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운전자는 발의 뒤꿈치를 차량의 바닥면에 지지한 상태에서 발목을 움직이면서 페달에 답력을 제공함으로써 브레이크나 악셀을 조작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발바닥의 전체의 면적이 접촉되는 경우보다는 페달(10)의 하측 모서리 부위를 중심으로 소정의 면적에 답력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발바닥이 접촉되는 면적과 부위는 운전자마다 개인차가 있게 되는데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상기 감지수단(200)이 복수의 압력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개념을 제시한다.
따라서, 하나의 감지수단(200)은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가압될 때의 소정의 면적에 대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복수의 압력감지유닛들의 배열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페달(10)에 제공되는 답력은 각각의 압력감지유닛들에서 감지되는 압력과 유닛들의 개수의 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4080837702-pat00001
여기서 P는 페달에 작용되는 전체의 답력을 의미하고, pk는 각각의 압전소자에서 감지되는 압력을 의미하며, 전체적인 답력은 각각의 압전소자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합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감지수단(200)은 페달(10)의 상면 전체를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측 모서리 부위를 중심으로 소정의 면적에만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운전자의 발의 배치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감지수단(200)은 페달(10)의 운전자측 모서리 부위 즉, 페달(10)의 운전자가 바라보는 부위의 측면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감지수단(200)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을 통하여 본체부(110)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110)는 실시간으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11)과 가속 페달(12)에 적용되는 답력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후술할 바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장치의 감지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감지수단(200)은 광측정수단을 통한 거리의 측정을 통하여 페달에 적용되는 답력에 의한 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정확하게는 제1실시예에서는 압력의 감지를 통하여 페달에 적용되는 압력을 측정하게 되는데, 제2실시예에서는 페달(10)과 차량의 고정부위 사이의 거리를 통하여 페달의 동적 변화량을 측정하는 개념을 제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수단(200)은 운전석의 바닥측에 결합되고 거리의 측정을 위한 광을 방출하고 감지하는 광발생수단(230)과, 상기 페달(10)의 바닥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발생수단(230)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광반사수단(2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200)은 복수의 페달이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페달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광발생수단(23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적외선이나 레이저 등의 다양한 빛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광반사수단(240)에서 반사되어 회귀되는 시간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차량의 고정된 소정의 부위와 페달(10)의 하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페달(1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예에서는 차량에 대한 페달의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 사후적으로 배치되는 감지수단(200)을 예로 들어 설명이 되는데, 차량의 급발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과실의 유무는 페달의 조작유무가 확인됨으로써 판정될 수 있다.
따라서, 블랙박스장치(100)에 있어서 차량의 구조와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도에서 운전자의 페달의 작동을 측정할 필요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종래의 차량의 운전석측을 지향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블랙박스의 경우는 페달의 작동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예를 들어 미세한 동작만으로도 페달에 답력이 제공될 수 있어 브레이크는 동작되나 영상으로는 구분이 매우 어려운 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이러한 미세한 변화들을 정확한 감지수단에 의하여 측정함으로써 운전자의 페달 조작유무와 운전상의 과실의 유무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의 제어장치들이 전자장비화됨에 따라 차량의 통제 신호가 ECU로부터 출력되는데, 블랙박스장치(100)가 악셀과 브레이크를 동작하는 전기신호의 계통에 연결되어 이러한 전기신호를 측정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경우 차량의 구조 자체에 손상을 가할 우려가 있고, 전기신호의 왜곡이나 불측의 오작동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계적, 전기적으로 차량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는 상기한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페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의 경우는 감속과 가속을 하나의 그래프에 함께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데, a의 경우는 가속 페달(12)에 답력을 제공한 상태를 나타내고 b의 경우는 브레이크 페달(11)에 답력을 제공한 상태를 나타낸다.
소정의 시간동안 가속 페달(12)에 답력을 제공하는 경우는 압력감지를 하는 제1감지수단(210)이나, 페달의 동작거리를 측정하는 광발생수단(230) 및 광반사수단(240)이 운전자의 페달의 동작을 감지하여 이를 수치화하게 된다.
이러한 감지신호는 본체부(110)에서 데이터화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답력 또는 페달의 동작 감지는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할 수도 있고, 소정의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가속과 감속 사이의 휴지기가 존재하는데, 이 경우는 가속 페달(12)에서 압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탄성주행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런데, 운전자가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가속 페달(12)과 브레이크 페달(11)을 함께 밟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도 3의 예에서는 정확하게 도시될 수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도 4에서는 답력의 제공 또는 페달의 동작을 음과 양의 방향으로 구분하여 도시한다.
즉, 양의 방향의 양적변화에 대해서는 가속의 상태를 표시하고, 음의 방향의 양적 변화에 대해서는 감속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페달의 작동상태를 음과 양의 상태로 변화시켜 도시한 예인 바, 가속 페달(12)에 압력을 제공하여 가속하여가다가 일시적으로 탄성주행이 이루어지고 브레이크 페달(11)에 답력을 제공하여 감속하는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가속 페달(12)과 브레이크 페달(11)의 작동상태는 본체부(110)에서 데이터화되어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운전상태의 영상과 함께 그래프로서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페달의 작동과 엔진의 동작을 함께 도시한 그래프이다.
감지수단을 통하여 감지한 페달의 작동 라인(p)과 엔진의 회전수의 작동 라인(r)이 함께 도시되는데, 이렇게 페달과 엔진의 회전수의 표현이 함께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차량의 상태 및 페달의 작동과 회전수의 관계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블랙박스장치(100)를 정리하면, 각각의 페달에 구비되는 감지수단(200)들은 소정의 답력 또는 페달의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본체부(110)로 전송하고, 상기 본체부(110)는 시간별로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주행영상정보와 페달의 조작정보를 함께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주행과 관련된 영상 및 페달 조작의 정보는 본체부(110) 또는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메모리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서 영상으로 구현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주행 영상정보와 함께 도 3 또는 도 4에서 도시된 예와 같은 가속 페달(12)과 브레이크 페달(11)의 조작상태를 시간순으로 그래프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여기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엔진의 회전수 정보가 함께 표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블랙박스장치(100)와 별도의 티비나 모니터와 같은 장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블랙박스장치(100)가 소정의 신호라인을 통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블랙박스장치(100)는 본체부(110)에서 차량의 가속 및 감속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데, 차량의 가속정보는 상기 엔진의 회전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페달의 조작에 따른 운전자의 조작상태와, 실제 차량의 운행상태를 대비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조작과 차량의 상태의 일치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개념에서 나아가 상기 감지수단(200)을 통하여 페달의 조작과 엔진의 동작 및 브레이크의 동작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차량의 주행과 시간에 따른 컨티션의 저하를 측정할 수도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시간에 따른 출력의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 가속 페달의 조작에 따른 엔진회전수 변화의 딜레이(delay) 시간이 증가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110)에서 이러한 시간의 지연을 축적하고 분석함으로써 차량의 성능의 저하를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부(110)에서 감속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상기 감속정보는 G센서와 같은 장비로서도 측정될 수 있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11)의 동작에 따른 감속의 상관관계를 축적하여 저장하고, 패드나 디스크의 마모에 따른 브레이크 성능의 저하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나 디스크의 교환에 대한 경고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감/가속 정보를 함께 수집하여 페달의 동작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패턴화함으로써, 시간지연이나 감가속능력의 저하가 발생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블랙박스장치(100)는 페달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하여 운전자의 운전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시각적으로 재현할 수 있도록 하므로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차량의 구조적 및 전기적인 영향을 제거할 수 있으며 증거로서의 신빙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페달 11...브레이크 페달
12...가속 페달 100...블랙박스장치
110...본체부 200...감지수단
210...제1감지수단 220...제2감지수단
230...광발생 및 검출수단 240...광반사수단

Claims (3)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차량의 주행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및
    감속페달에 적용되는 답력의 정도를 감지하는 제1감지수단; 및
    가속페달에 적용되는 답력의 정도를 감지하는 제2감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은,
    페달의 상면에 행과 열을 지어 배열되는 복수의 압전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주행영상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페달의 동작을 시간순으로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제1감지수단 및 제2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감속페달 및 가속페달에의 답력의 정보를 시간순으로 저장하여 사용자에 의한 감속페달 및 가속페달의 조작상태와 실제 감속 및 가속상태의 일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주행영상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페달의 동작을 시간순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엔진의 회전수를 함께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차량의 감속 또는 가속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페달의 동작과 함께 시간순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
KR1020140111132A 2014-08-25 2014-08-25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 KR101465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132A KR101465546B1 (ko) 2014-08-25 2014-08-25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132A KR101465546B1 (ko) 2014-08-25 2014-08-25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596A Division KR20120113204A (ko) 2012-09-24 2012-09-24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626A KR20140108626A (ko) 2014-09-12
KR101465546B1 true KR101465546B1 (ko) 2014-12-01

Family

ID=5175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132A KR101465546B1 (ko) 2014-08-25 2014-08-25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5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626A (ko) 201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62731A1 (en) Distance image obtaining system for track
JP5320956B2 (ja) 音源探査装置および音源探査方法
KR101696540B1 (ko) 급발진 사고 관련 운전 주행 기록 시스템
US8483904B2 (en) Drivability evaluation target levels
KR101465546B1 (ko)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
KR20180044008A (ko) 차량 급발진 대응을 위한 통합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3204A (ko) 페달 작동 감지수단을 구비하는 블랙박스 장치
US10266181B2 (en) Tire blowout control
KR20190080302A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이벤트 판정방법
JP5743580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装置
JP6346042B2 (ja) 運転記録装置
JP3948721B2 (ja) 車両用液圧ブレーキのエア入り検知装置
JP4222872B2 (ja) タイヤ接地踏面観察装置
KR20130120330A (ko) 자동차 고장 진단 시스템
US10989262B2 (en) Motor vehicle brake pad thickness detection system
KR20140089022A (ko) 자동차 급발진 및 주행 상태 통합 관리 블랙박스 시스템
US20210129822A1 (en) System to monitor and predict vehicle brake wear and related methods
JPH06199118A (ja) タイヤ空気圧異常検出装置
KR101450797B1 (ko) 차량 정보 기록장치
EP1616109B1 (fr) Dispositif de diagnostic de l'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d'un embrayage
JP2021189941A (ja) 運転能力低下検知装置、運転能力低下検知システム及び運転能力低下検知プログラム
KR20200070847A (ko) 변속기의 속도센서 고장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변속기 제어기
KR20140101145A (ko) 가속 상태 값을 저장하는 블랙박스
JP3919442B2 (ja) 車両用液圧ブレーキのエア入り検知装置
KR20170100246A (ko) 급발진 감지를 위한 페달 움직임 측정 센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