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495B1 -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절감 및 유해가스를 감소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절감 및 유해가스를 감소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495B1
KR101465495B1 KR1020120052747A KR20120052747A KR101465495B1 KR 101465495 B1 KR101465495 B1 KR 101465495B1 KR 1020120052747 A KR1020120052747 A KR 1020120052747A KR 20120052747 A KR20120052747 A KR 20120052747A KR 101465495 B1 KR101465495 B1 KR 101465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aw material
nipple
internal combustion
minera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757A (ko
Inventor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이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민 filed Critical 이재민
Priority to KR1020120052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49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3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inertial or centrifugal separators, e.g. of cyclone type, optionally combined or associated with agglom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10Carbon or carbon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12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14Nitrogen ox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절감 및 유해가스를 감소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배기가스를 감소시키므로 엔진의 출력을 올려 유해 가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바이오 광물질을 선별하여 분쇄하고 필터링하고 이를 원심 분리기로 단계별로 입도를 낮추는 공정을 거처 나노 콜로이드 광물질 액상물질을 제조하여 내연 기관에 사용함으로써 배기가스 및 오염물질을 감소시키고 출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절감 및 유해가스를 감소시키는 장치{Device to reduce harmful gas}
본 발명은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절감 및 유해가스를 감소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에 있어서 연비를 개선하기 위해 배기가스를 감소시키고 엔진의 출력을 올려 유해 가스를 감소시킬 수 있게 바이오 광물을 선별하여 분쇄하고, 필터링 하고, 이를 원심 분리기에서 단계별로 입도를 낮추는 공정을 거쳐 나노 콜로이드 상태로 만든 액상물질로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및 오염물질을 감소시키고 출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연소효율을 향상시키어 출력의 증대와 더불어 내연 기관의 매연을 감소시키므로 연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삭제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에 있어서 자동차의 경우 많은 연비 개선기가 알려져 왔다.
상기와 같은 개선기는 엔진 오일을 고 순도로 만들어 적용하는 방법과 배터리 전원을 안정화시켜 적용하는 방법, 그리고 연료탱크에 희석하여 옥탄가를 높이는 방법 기타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비 개선용 품이 나오고 있지만, 현격하게 개선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제품이 많지 않았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연비개선장치는 무화방식, 자성화방식, 스파크강화방식, 촉매작용의 방식을 이용하지만, 연비개선의 이론상 그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 방식은 대부분이 단순히 연료를 충분히 연소시키는데에 그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현대의 차량의 엔진의 연소율이 95%에 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높은 연소율에도 불구하고 연소효율이 낮은 이유로 인하여 연비를 개선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방카C유를 연소할 경우에 98%전후라는 높은 연소율로 연료를 사용하여도 연소효율을 높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다시 설명을 하자면 높은 발열량의 연료를 거의 완전연소에 가깝게 공급을 했는데도 발전량을 증대시키지 못하는 것은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탄화수소는 에너지의 저장고이지만 연소효율이 낮기 때문이다.
여기서 연소효율을 높인다는 것은 두 가지로 설명할 수가 있는데, 첫째는 최소의 연료로 먼 거리를 주행할 수가 있다는 의미이고, 둘째는 최소의 연료로 최대의 발전량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48621호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특개 2004-000867호
삭제
우주는 온갖 종류의 파동으로 가득 차 있으며 모든 생물체뿐만 아니라 무생물도 자체의 파동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파동은 순간순간 상념의 변화에 따라서 수시로 변화하며 특정한 파형을 가지고 있다.
사전적인 파동의 의미로는 "공간적으로 퍼져가는 진동"을 말한다. "파동"이라는 관념은 1974년에 세상을 떠난 헤럴드 색스톤바에 의하여 주장되어 졌는데 그가 말하기를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각각의 고유의 전기적인 파동의 움직임, 즉 '장'을 갖는다" 라고 했다.
그것을 시간적으로 연계하여 측정해가면 전기적 변화의 크기, 주기가 특유한 "파"가 기록되는 것이다. 기록상으로 보면 정확히 파의 단면을 보는듯한 형태가 되지만 입체적으로 이미지화하여 보면 수면의 파문처럼 파도치면서 방사선형태로 퍼져나가면서도 위와 아래 그리고 모든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모습을 이해할 수 있다.
전위의 연속적 변화는 "파동"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모든 물질은 분해하다 보면 원자라는 작은 입자가 있다. 또 이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나눌 수 있다. 그 원자핵의 주위를 몇 개의 전자가 마치 태양과 지구의 관계처럼 자전과 공전으로 하고 있다. 그것은 그들이 서로 언제나 고유한 자장을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 원자는 각각의 진동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간섭하고 물질마다 특유의 진동 파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지리에서는 수맥과 지맥의 흐름을 감지하고 그 맥들의 기운이 결집되어 있는 혈점을 찾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는 Y자형의 나뭇가지(dowsing Ro d )나 진동추 등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을 사용하거나 도구 없이 몸으로 파동을 느껴서 파동에너지의 흐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것은 우주 에너지와 인간 간에 에너지가 상호작용함을 나타내는 실예이다.
또한, 수질의 오염으로 건강에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는 물분자가 서로 엉켜서 분자적으로 하나의 덩어리(Cluster)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에 강한 파동에너지나 자장으로 걸어주면 물분자의 그 덩어리가 변화된다는 연구가 있다. 이렇게 하면 물분자의 덩어리가 작아져서 인체에 곧바로 흡수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바이오 광물을 선별하여 분쇄하고 필터링 하여 이를 원심 분리기에서 단계별로 입도를 낮추는 공정을 거쳐 만든 나노 콜로이드 광물질을 내연기관의 공기 흡입구 에어클리너 선단에 연결함으로써, 연료분자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하여 공기(산소)와 연료가 잘 혼합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연료가 잘 연소되게 하고 엔진 내부에서 연소시에 열량효율을 높여주게 됨으로써 일산화 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공기 과잉물 등을 줄이게 된다.
또한, 토르말린, 일라이트, 제오나이트의 전기석 맥반석 견운모 등을 나노 입도로 만들어 미네랄 용액에 혼합시켜서 나노 콜로이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미네랄 목초액 100 중량%에 대하여 바이오 세라믹 원료인 토르마린 0.5-2 중량%, 일라이트 0.2-0.5 중량%, 제오라이트 0.5-2 중량%, 맥반석 0.2-1 중량%, 견운모 0.5-2 중량%를 첨가하여 고르게 10-20일간 분산하고, 숙성조에서 20일간 분산을 반복 숙성시켜 얻어진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필터가 적층된 원심분리기에 넣고 회전하여 1차 정제하고, 상기 1차 정제된 원료를 다시 필터링하여 10-50나노 입도를 구현하여 얻어지는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또는 스틸 재료로 된 가로 75mm, 세로 65mm, 높이 220m의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뚜껑(11)에 니플(12)이 체결된 밀폐형 모체용기(10)의 측면에는 용기 속의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물질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름 5mm의 레벨측정용 튜빙호스관(30)을 형성하고, 이중 보온병으로 구성된 가로93mm, 세로49mm 높이 104mm의 사각형태의 밀폐형의 안정화 용기(20) 상부 뚜껑에 2mm-8mm 니플(21)(22) 2개를 체결하여 상기 모체용기(10)의 니플(12)과 안정화 용기(20)의 니플(21)을 튜빙호스관(40)으로 연결하고, 상기 안정화 용기(20)의 또 다른 니플(22)과 내연 기관(60)의 공기 흡입구 에어클리너 전단을 튜빙호스관(41)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바이오 광물을 선별하여 분쇄하고 필터링 하여 이를 원심 분리기에서 단계별로 입도를 낮추는 공정을 거쳐 만든 나노 콜로이드 광물질을 내연기관의 공기 흡입구 에어클리너 선단에 연결함으로써, 연료분자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하여 공기(산소)와 연료가 잘 혼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연료가 잘 연소되게 하고 엔진 내부에서 연소시에 열량효율을 높여주게 됨으로써 일산화 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의 배출을 감소시키고 연료절감이라는 효과를 가진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연료절감 및 유해가스를 감소시키는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내연기관 연료절감 및 유해가스 감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이용하여 내연기관 연료절감 및 유해가스 감소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가) 미네랄 목초액 100 중량%에 대하여 바이오 세라믹 원료인 토르마린 0.5-2 중량%, 일라이트 0.2-0.5 중량%, 제오라이트 0.5-2 중량%, 맥반석 0.2-1 중량%, 견운모 0.5-2 중량%를 첨가하여 고르게 10-20일간 분산한다.
나) 이를 약 20일간 숙성 조에 넣고 반복 숙성시킨다.
다) 원심 분리기에 원통형 종이 필터를 제작하여 넣고 그 속에 분산된 바이오 세라믹 액상 원료를 넣어 분리기를 회전하여 1차 정제한다.
라) 2차 원심분리기에 종이 필터를 더욱 적층하여 10-50나노 사이즈의 입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필터링하여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 제조된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내연기관(50)의 공기 흡입구 에어클리너 선단에 연결하여 공급하기 위해서는,
가) 가로 75mm, 세로 65mm, 높이 220m의 사각형태의 밀폐형 용기의 상부면을 덮는 뚜껑의 중심부분에 한개의 유출구를 만들고, 또한 유출구에 2mm-8mm 니플(12)을 체결하여 뚜껑(11)을 열고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60)을 주입하여 밀폐시킨 모체용기(10)와,
나) 또한, 가로 93mm, 세로 49mm 높이 104mm의 사각형태의 밀폐형 용기에 기화된 나노콜로이드 광물질이 유입되어 수장 및 배출할 수 있게 뚜껑(23)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 및 배출구에 2mm-8mm 사이즈의 니플(21)(22)을 체결하는 안정화 용기(20)와,
다) 그리고 모체용기(10)의 싸이드 측면에 용기 속의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물질의 레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름 5-8mm, 길이 110mm로 형성된 레벨측정용 투빙호스관(30)과,
라) 상기 모체 용기(10)의 상부 니플(12) 1곳과 상기 안정화 용기(20)의 니플(21)(22) 2곳 중 1개의 니플(21)에 연결된 500mm이내의 튜빙호스관(40)과,
마) 상기 안정화 용기(20)의 또 다른 니플(22) 1곳에 연결된 튜빙호스관(41)을 내연 기관(50)의 공기 흡입구를 거쳐 에어크리너 전 단계에 도달하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모체용기(10)와 안정화 용기(20)는 내연기관(50) 내의 온도변화와 극지방의 냉, 온도 변화에 견딜 수 있도록 적용하고 외부 환경에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60)가 온도 변화에 견딜 수 있도록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연기관(50)이 작동하게 되면 밀폐된 모체용기(10)에 수장된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60)는 기화되면서 니플(12)과 연결된 튜빙호스관(40)을 통해 안정화 용기(20)의 니플(21)로 유입되어 수장됨과 동시에 기화 물질은 가스화 되어 또 다른 니플(22)을 통해 튜빙호스관(41)으로 배출되어 내연기관(50)으로 유입되면서 매연저감 및 연료절감을 하게 되는 것은 하기 실험데이터에 의해 확인된다.
[실험데이터 1]
Figure 112012039701827-pat00001
[실험데이터 2]
Figure 112012039701827-pat00002
상기 실험데이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연기관 내의 매연 저감 향상, 연료절감, 배기가스 감소 등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일산화 탄소(CO) 탄화수소(HC)질소산화물(NOx) 공기 과잉 물 등을 줄일 수 있다.
삭제
10. 모체용기 11. 뚜껑
12. 니플 20. 안정화용기
21, 22. 니플 30. 레벨측정용 튜빙호스관
40. 41. 튜빙호스관 50. 내연기관
60.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

Claims (4)

  1. 삭제
  2. 미네랄 목초액 100 중량%에 대하여 바이오 세라믹 원료인 토르마린 0.5-2 중량%, 일라이트 0.2-0.5 중량%, 제오라이트 0.5-2 중량%, 맥반석 0.2-1 중량%, 견운모 0.5-2 중량%를 첨가하여 고르게 10-20일간 분산하고, 숙성조에서 20일간 분산을 반복 숙성시켜 얻어진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필터가 적층된 원심분리기에 넣고 회전하여 1차 정제하고, 상기 1차 정제된 원료를 다시 필터링하여 10-50나노 입도를 구현하여 얻어지는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또는 스틸 재료로 된 가로 75mm, 세로 65mm, 높이 220m의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뚜껑(11)에 니플(12)이 체결된 밀폐형 모체용기(10)의 측면에는 용기 속의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물질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름 5mm의 레벨측정용 튜빙호스관(30)을 형성하고, 이중 보온병으로 구성된 가로93mm, 세로49mm 높이 104mm의 사각형태의 밀폐형의 안정화 용기(20) 상부 뚜껑에 2mm-8mm 니플(21)(22) 2개를 체결하여 상기 모체용기(10)의 니플(12)과 안정화 용기(20)의 니플(21)을 튜빙호스관(40)으로 연결하고, 상기 안정화 용기(20)의 또 다른 니플(22)과 내연 기관(60)의 공기 흡입구 에어클리너 전단을 튜빙호스관(41)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절감 및 유해가스를 감소시키는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20052747A 2012-05-18 2012-05-18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절감 및 유해가스를 감소시키는 장치 KR101465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747A KR101465495B1 (ko) 2012-05-18 2012-05-18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절감 및 유해가스를 감소시키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747A KR101465495B1 (ko) 2012-05-18 2012-05-18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절감 및 유해가스를 감소시키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757A KR20130128757A (ko) 2013-11-27
KR101465495B1 true KR101465495B1 (ko) 2014-11-26

Family

ID=4985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747A KR101465495B1 (ko) 2012-05-18 2012-05-18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절감 및 유해가스를 감소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4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372B1 (ko) * 2017-12-04 2018-07-26 (주)에코시즌 부식방지 및 엔진과열방지를 위한 부동액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867A (ja) * 2002-03-29 2004-01-08 Babcock Hitachi Kk 排ガス脱硝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尿素気化器
KR200413137Y1 (ko) 2005-11-18 2006-04-05 최재욱 자동차 엔진의 공기 공급장치
KR20100048621A (ko) * 2008-10-31 2010-05-11 김인상 연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1058242B1 (ko) 2010-08-16 2011-08-22 양원동 연소기관의 연료 활성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867A (ja) * 2002-03-29 2004-01-08 Babcock Hitachi Kk 排ガス脱硝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尿素気化器
KR200413137Y1 (ko) 2005-11-18 2006-04-05 최재욱 자동차 엔진의 공기 공급장치
KR20100048621A (ko) * 2008-10-31 2010-05-11 김인상 연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1058242B1 (ko) 2010-08-16 2011-08-22 양원동 연소기관의 연료 활성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757A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i et al. Low temperature diesel particulate filter regeneration by atmospheric air non-thermal plasma injection system
Ji et al. Effects of nonthermal plasma on microstructure and oxidation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Zhang et al. Effects analysis on hydrocarbon light-off performance of a catalytic gasoline particulate filter during cold start
KR101465495B1 (ko) 나노콜로이드 광물질 액상원료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연료절감 및 유해가스를 감소시키는 장치
CN105473841A (zh) 相干结构燃料处理系统和方法
CN1839256A (zh) 降低排气及燃料消耗以改善内燃机内燃烧之方法及设备
Wu et al. Numerical study on effects of Key factors on performance of CeO 2-based catalyzed diesel particulate filter
Shi et al. Influence of PM size distribution and ingredients on DPF regeneration by non-thermal plasma technology
Q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DPF Cs-V-based non-precious metal catalysts and their coating forms on non-road diesel engine emission characteristics
CN202645781U (zh) 车载式燃油催化调质装置
CN102644529A (zh) 车载式燃油催化调质装置及其催化剂的烧制方法
CN104018959B (zh) 汽车节油减排器
CN201363177Y (zh) 一种车辆废气净化装置
CN104062154A (zh) 一种低温等离子体发生器协同颗粒物取样装置及取样方法
CN113797915A (zh) 基于金属氧化物纳米颗粒的柴油机氧化催化剂及制备方法和应用
CN207864030U (zh) 基于纳米流体燃料的高效低污染动力系统
CN203939595U (zh) 汽车节油减排器
CN203655477U (zh) 可完全燃烧具省油性增加进气含氢量的汽柴油车省油装置
JP6614563B2 (ja) ケイ酸塩混合物と、これを用いた燃焼促進材
CN1539925A (zh) 纳米颗粒燃料油及其制备方法
CN202100364U (zh) 旋装长纤维磁性双重深层过滤机油燃油滤清器
JPH0949462A (ja) 液体燃料活性化装置
CN203981454U (zh) 一种低温等离子体发生器协同颗粒物取样装置
CN203362270U (zh) 柴油机组尾气颗粒物处理装置
CN107956554A (zh) 基于纳米流体燃料的高效低污染动力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