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315B1 - 도계용 간분리기 - Google Patents

도계용 간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315B1
KR101465315B1 KR1020130017763A KR20130017763A KR101465315B1 KR 101465315 B1 KR101465315 B1 KR 101465315B1 KR 1020130017763 A KR1020130017763 A KR 1020130017763A KR 20130017763 A KR20130017763 A KR 20130017763A KR 101465315 B1 KR101465315 B1 KR 101465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groove
clamping device
plate
bearing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4593A (ko
Inventor
김선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진
Priority to KR1020130017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315B1/ko
Publication of KR20140104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6Eviscerating device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38Trussing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계용 간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가 모두 상승 또는 하강하지만 플레이트장치(50)가 집게장치(40) 보다 약간 더 빨리 상승 또는 하강되어 플레이트장치(50)의 핀(52)이 집게장치(40)의 장공(46)에서 이동가능하여, 집게장치(40)의 상부면(47)이 열렸다 닫혔다하게 되며, 내장꾸러미(80)는 팩셔클(12)의 내장꾸러미파지부(13)에 상하 이동없이 매달려 있고, 닭의 간(82)은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가 모두 하강할 때 상부면(47)의 오목부(48)들에 의해 내장꾸러미(80)로부터 완전히 뜯겨져서 낙하하게 된다.

Description

도계용 간분리기{LIVER SEPARATOR FOR CHICKEN}
본 발명은 도계용 간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닭의 간을 닭의 내장꾸러미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시키는 도계용 자동 간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도계자동장치에서는 닭의 내장을 적출시킨 후, 내장꾸러미로부터 간을 떼어내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하고 있으므로, 도계자동장치에서는 불합리한 것이 된다. 즉, 공정 중에 작업자가 배치되어야 하므로 인력 낭비와 제조비 증가의 결과가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계자동장치에서 닭의 내장을 적출시킨 후, 적출된 내장꾸러미로부터 간을 떼어내는 작업을 자동으로 하기 위한 도계용 간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계용 간분리기의 일예로서, 플레이트장치와 집게장치가 모두 상승 또는 하강하지만 플레이트장치가 집게장치 보다 약간 더 빨리 상승 또는 하강되어 플레이트장치의 핀이 집게장치의 장공에서 이동가능하여, 집게장치의 상부면이 열렸다 닫혔다하게 되며, 내장꾸러미는 팩셔클의 내장꾸러미파지부에 상하 이동없이 매달려 있고, 닭의 간은 플레이트장치와 집게장치가 모두 하강할 때 상부면의 오목부들에 의해 내장꾸러미로부터 완전히 뜯겨져서 낙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계용 간분리기의 다른예로서,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메인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며, 서로 다른 2가지 경로를 가진 캠홈이 형성된 캠드럼과, 상기 캠홈의 상부에서 메인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원판과, 상기 캠홈의 하부에서 메인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하부원판과, 상기 상부원판가 하부원판 사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며 한쌍으로 구성되어 원 전체로 배치되는 슬라이딩바아와, 상기 슬라이딩바아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가능하며, 상기 캠홈의 상부측 캠홈에 삽입되도록 후면에 장착된 베어링과, 전면에 돌출된 한 쌍의 핀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장치와, 상기 슬라이딩바아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가능하며, 상기 플레이트 장치의 하부 및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캠홈의 하부측 캠홈에 삽입되도록 후면에 장착된 베어링과, 전면에 돌출된 한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한 쌍의 상부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형성된 오목부 및 바탕면에서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대칭적인 장공을 포함하는 집게장치를 포함하여, 팩셔클에 매달린 내장꾸러미가 진입해 오면, 플레이트 장치와 집게장치가 함께 상승하고 하강하지만, 플레이트 장치가 집게장치 보다 약간 더 빨리 상승하고 하강하여, 상기 상부면이 좁혀졌다 벌어졌다 하는 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내장꾸러미의 닭의 간을 내장꾸러미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집게장치는 슬라이딩바아를 통하여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와, 이동부의 전면에 돌출된 2개의 지지부와, 이동부의 후면에 고정된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이동장치와, 지지부에 하면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탕면과, 바탕면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장공과, 바탕면에서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면과, 수직면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상부면과, 상부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에서 파인 오목부로 이루어진 집게로 구성된다.
2개의 지지부상에 스프링이 장착되거나, 각각의 지지부상에 와셔가 장착된다.
플레이트 장치는 전면에 받침판을 포함한다.
캠드럼에는 3개의 캠홈이 형성되며, 상부캠홈과 중간캠홈은 동일한 경로를 가지며, 하부캠홈은 다른 경로를 가지며, 상부캠홈과 중간캠홈에는 플레이트장치의 상부베어링과 하부베어링이 각각 삽입되고, 하부캠홈에는 집게장치의 베어링이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계용 간분리기는 플레이트장치와 집게장치가 모두 상승 또는 하강하지만 플레이트장치가 집게장치 보다 약간 더 빨리 상승 또는 하강되어 플레이트장치의 핀이 집게장치의 장공에서 이동가능하여, 집게장치의 상부면이 열렸다 닫혔다하게 되며, 내장꾸러미는 팩셔클의 내장꾸러미파지부에 상하 이동없이 매달려 있고, 닭의 간은 플레이트장치와 집게장치가 모두 하강할 때 상부면의 오목부들에 의해 내장꾸러미로부터 완전히 뜯겨져서 낙하하게 되므로, 내장 적출 공정 후에 내장꾸러미의 간 적출 작업을 자동으로 할 수 있으므로, 도계 공정 중에 작업자가 없어도 되므로 인건비가 절감되고, 내장꾸러미로부터 간을 신속하게 적출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계용 간분리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계용 간분리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계용 간분리기의 캠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계용 간분리기의 플레이트 및 집게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계용 간분리기의 플레이트 및 집게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계용 간분리기의 플레이트 및 집게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계용 간분리기의 작동 흐름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3)의 상부에는 연결부(7)가 있고, 연결부 상에는 구동부(5)가 있다. 구동부(5)는 메인샤프트(8)를 회전시킨다.
팩셔클 가이드(10)는 연결부(7) 의해 고정된다. 팩셔클 가이드(10)는 팩셔클(12)이 이동하는 경로이며, 팩셔클(12)과 함께 공지의 기술이다.
팩셔클(12)에는 닭의 내장을 적출시킨 후, 적출된 내장꾸러미가 내장꾸러미파지부(13)에서 파지되어 매달려 오며, 내장꾸러미에는 닭의 간이 붙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샤프트(8)에는 캠드럼(20)이 연결되어 회전시킨다. 캠드럼(20)의 상부에는 상부원판(28)이 하부에는 하부원판(29)이 구비되어 역시 메인샤프트(8)에 의해서 회전된다.
상부원판(28)과 하부원판(29) 사이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바아(32)가 원형으로 연속적으로 고정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딩바아(32)의 상부측에는 플레이트 장치(50)가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플레이트 장치(50)는 전면에 두개의 핀(52)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하부에는 받침대(54)가 구비되며, 후면에는 두개의 상부베어링(56)과 하부베어링(58)이 고정된다.
플레이트장치(50)의 하부에는 집게장치(40)가 슬라이딩바아(32)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집게장치(40)는 슬라이딩바아(32)를 통하여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42)와, 이동부(42)의 전면에 돌출된 2개의 지지부(43)와, 이동부(42)의 후면에 고정된 베어링(44)으로 구성되는 이동장치와, 지지부(43)에 하면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탕면(45)과, 바탕면(45)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장공(46)과, 바탕면(45)에서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면(49)과, 수직면(49)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상부면(47)과, 상부면(47)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에서 파인 오목부(48)로 이루어진 집게로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바탕면(45)이 지지부(43)상에 안착되지만 전방으로 이탈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61)이 장착되고, 스프링(61)의 양단은 지지부(43)에 결합된다. 대안적으로는 와셔와 같은 재료를 지지부(43)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캠드럼(20)에는 3개의 캠홈(23, 25, 27)이 형성되며, 상부캠홈(23)과 중간캠홈(25)은 동일한 경로를 가지며, 하부캠홈(27)은 다른 경로를 가진다. 상부캠홈(23)과 중간캠홈(25)에는 플레이트장치(50)의 상부베어링(56)과 하부베어링(58)이 각각 삽입된다. 하부캠홈(27)에는 집게장치(40)의 베어링(44)이 삽입된다. 그러므로,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는 슬라이딩바아(32)에서 서로 다른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가 같이 상승하고 같이 하강하지만 항상 플레이트장치(50)가 집게장치(40) 보다 더 빨리 상승하고 하강하도록 캠홈(23, 25, 27)이 설계된다.
상부캠홈(23)과 중간캠홈(25)은 동일한 경로를 가지므로, 플레이트장치(50)의 상부베어링(56)과 하부베어링(58)이 하나의 베어링만 사용한다면 하나의 캠홈이 있어도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도계용 간분리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프레임(3)의 상부에는 연결부(7)가 있고, 연결부 상에는 구동부(5)가 있다. 구동부(5)는 메인샤프트(8)를 회전시킨다.
팩셔클 가이드(10)를 따라 이동되는 팩셔클(12)의 내장꾸러미파지부(13)에는 이전 공정에서 닭의 내장을 적출시킨 후, 적출된 내장꾸러미(80)가 매달리며, 내장꾸러미(80)에는 닭의 간(82)이 붙어 있다.
구동부(5)의 구동으로 메인샤트프(8)가 회전하면, 상부원판(28), 하부원판(29)이 캠드럼(20)과 함께 같은 속도로 일정하게 회전하게 되므로,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도 같은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도 7(가)를 참조하면, 내장꾸러미가 진입해 오면,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가 모두 하강한 상태로서 플레이트장치(50)의 핀(52)이 집게장치(40)의 장공(46)의 제일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부면(47)은 서로 가장 멀리 벌어져 있다.또한,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가 가장 가깝게 위치한다.
도 7(나) 및 도 7(다)를 참조하면, 내장꾸러미가 더 진입해 오면,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가 모두 승강하지만 플레이트장치(50)가 집게장치(40) 보다 약간 더 빨리 상승되어 플레이트장치(50)의 핀(52)이 집게장치(40)의 장공(46)의 중간 및 윗쪽으로 위치하게 되고, 상부면(47)은 점점 가까이 다가가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는 다소 멀어지게 된다.
도 7(라)를 참조하면, 내장꾸러미가 더 진입해 오면,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가 모두 승강하지만 플레이트장치(50)가 집게장치(40) 보다 약간 더 빨리 상승되어 플레이트장치(50)의 핀(52)이 집게장치(40)의 장공(46)의 제일 윗쪽에 위치하게 되고, 상부면(47)은 완전히 다가가게 되고, 이로써 한쌍의 오목부(48)가 구멍을 형성하게 되고, 구멍 밑에는 닭의 간(82)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는 가장 멀어지게 된다.
도 7(마) 및 도 7(바)를 참조하면, 이제 하강하는 국면으로 접어들게 되며, 내장꾸러미가 더 진입해 오면,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가 모두 하강하지만 플레이트장치(50)가 집게장치(40) 보다 약간 더 빨리 하강되어 플레이트장치(50)의 핀(52)이 집게장치(40)의 장공(46)의 중간 및 밑쪽으로 위치하게 되고, 상부면(47)은 점점 멀어지게 된다. 내장꾸러미(80)는 팩셔클(12)의 내장꾸러미파지부(13)에 여전히 매달려 있고, 닭의 간(82)은 상부면(47)의 오목부(48)들에 의해 내장꾸러미(80)로부터 뜯어지는 과정이 된다. 또한,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는 이제 가깝게 된다.
도 7(사)를 참조하면, 마지막 단계로서, 내장꾸러미가 더 진입해 오면,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가 모두 하강하지만 플레이트장치(50)가 집게장치(40) 보다 약간 더 빨리 하강되어 플레이트장치(50)의 핀(52)이 집게장치(40)의 장공(46)의 제일 밑쪽으로 위치하게 되고, 상부면(47)은 완전히 멀어지게 된다. 내장꾸러미(80)는 팩셔클(12)의 내장꾸러미파지부(13)에 여전히 매달려 있고, 닭의 간(82)은 상부면(47)의 오목부(48)들에 의해 내장꾸러미(80)로부터 완전히 뜯겨져서 낙하하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장치(50)와 집게장치(40)는 이제 가장 가깝게 된다.
낙하된 간(82)은 받침판(54)에 안착되어 수거하게 된다.
여기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계용 간분리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3 : 프레임 5 : 구동부 7 : 연결부
8 : 메인샤프트 10 : 팩셔클 가이드
12 : 팩셔클 13 : 내장꾸러미파지부 20 : 캠드럼
23 : 상부캠홈 25 : 중간캠홈 27 : 하부캠홈
28 : 상부원판 29 : 하부원판 32 : 슬라이딩바아
40 ; 집게장치 42 : 이동부 43 : 지지부
44 : 베어링 45 : 바탕면 46 : 장공
47 : 상부면 48 : 오목부 공 49 : 수직면
50 : 플레이트 장치 52 : 핀
54 : 받침대 56 : 상부베어링 58 : 하부베어링
61 : 스프링 80 : 내장꾸러미 82 : 간

Claims (5)

  1. 구동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메인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며, 서로 다른 2가지 경로를 가진 캠홈이 형성된 캠드럼과,
    상기 캠홈의 상부에서 메인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원판과,
    상기 캠홈의 하부에서 메인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하부원판과,
    상기 상부원판가 하부원판 사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며 한쌍으로 구성되어 원 전체로 배치되는 슬라이딩바아와,
    상기 슬라이딩바아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가능하며, 상기 캠홈의 상부측 캠홈에 삽입되도록 후면에 장착된 베어링과, 전면에 돌출된 한 쌍의 핀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장치와,
    상기 슬라이딩바아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가능하며, 상기 플레이트 장치의 하부 및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캠홈의 하부측 캠홈에 삽입되도록 후면에 장착된 베어링과, 전면에 돌출된 한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한 쌍의 상부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형성된 오목부 및 바탕면에서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대칭적인 장공을 포함하는 집게장치를 포함하여,
    팩셔클에 매달린 내장꾸러미가 진입해 오면, 플레이트 장치와 집게장치가 함께 상승하고 하강하지만, 플레이트 장치가 집게장치 보다 약간 더 빨리 상승하고 하강하여, 상기 상부면이 좁혀졌다 벌어졌다 하는 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내장꾸러미의 닭의 간을 내장꾸러미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집게장치(40)는 슬라이딩바아(32)를 통하여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42)와, 이동부(42)의 전면에 돌출된 2개의 지지부(43)와, 이동부(42)의 후면에 고정된 베어링(44)으로 구성되는 이동장치와, 지지부(43)에 하면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탕면(45)과, 바탕면(45)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장공(46)과, 바탕면(45)에서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면(49)과, 수직면(49)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상부면(47)과, 상부면(47)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에서 파인 오목부(48)로 이루어진 집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계용 간분리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부상에 스프링이 장착되거나, 각각의 지지부상에 와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계용 간분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장치는 전면에 받침판(5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계용 간분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드럼(20)에는 3개의 캠홈(23, 25, 27)이 형성되며, 상부캠홈(23)과 중간캠홈(25)은 동일한 경로를 가지며, 하부캠홈(27)은 다른 경로를 가지며, 상부캠홈(23)과 중간캠홈(25)에는 플레이트장치(50)의 상부베어링(56)과 하부베어링(58)이 각각 삽입되고, 하부캠홈(27)에는 집게장치(40)의 베어링(44)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계용 간분리기.




KR1020130017763A 2013-02-20 2013-02-20 도계용 간분리기 KR101465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763A KR101465315B1 (ko) 2013-02-20 2013-02-20 도계용 간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763A KR101465315B1 (ko) 2013-02-20 2013-02-20 도계용 간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593A KR20140104593A (ko) 2014-08-29
KR101465315B1 true KR101465315B1 (ko) 2014-12-04

Family

ID=5174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763A KR101465315B1 (ko) 2013-02-20 2013-02-20 도계용 간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3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217B1 (ko) 2017-01-04 2017-06-22 김종찬 황태 연육기
WO2023217386A1 (de) * 2022-05-13 2023-11-16 Baader Food Systems Denmark A/S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ernten von essbaren bestandteilen eines innereien-pakets eines geschlachteten geflügelti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7014A1 (en) * 1991-01-30 1992-08-05 Machinefabriek Meyn B.V. Apparatus for eviscerating slaughtered poultry
US5549521A (en) * 1992-09-10 1996-08-27 Stork Pmt B.V.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cluster of organs from a slaughtered animal
US20090042497A1 (en) * 2007-08-06 2009-02-12 Sorensen William R Device and method for clamping and cutting
US20110183592A1 (en) * 2010-01-26 2011-07-28 Dirk Cornelis Stooker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Sleeve of Meat from an Animal Part Having Bone with Knuckles on Each of its Opposite En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7014A1 (en) * 1991-01-30 1992-08-05 Machinefabriek Meyn B.V. Apparatus for eviscerating slaughtered poultry
US5549521A (en) * 1992-09-10 1996-08-27 Stork Pmt B.V.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cluster of organs from a slaughtered animal
US20090042497A1 (en) * 2007-08-06 2009-02-12 Sorensen William R Device and method for clamping and cutting
US20110183592A1 (en) * 2010-01-26 2011-07-28 Dirk Cornelis Stooker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Sleeve of Meat from an Animal Part Having Bone with Knuckles on Each of its Opposite En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0217B1 (ko) 2017-01-04 2017-06-22 김종찬 황태 연육기
WO2023217386A1 (de) * 2022-05-13 2023-11-16 Baader Food Systems Denmark A/S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ernten von essbaren bestandteilen eines innereien-pakets eines geschlachteten geflügelt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593A (ko) 2014-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315B1 (ko) 도계용 간분리기
CN105931882B (zh) 行程开关底部组装机的底座上料机构
CN106035982A (zh) 一种农业蛋黄蛋清智能分离设备
CN106604642A (zh) 用于从家禽腿采集膝肉连同大腿肉的方法和系统
CN105499068A (zh) 自动点胶组装设备
CN102355094B (zh) 定子线圈拆除设备
KR101923111B1 (ko) 발장분리장치
JP6316365B2 (ja) 屠殺されて脚により吊り下げられた鳥類の腹部の皮膚から腹部の脂肪を取り除くための装置と方法
JP2016097441A (ja) ノロ取り装置及び方法
CN104720200B (zh) 一种用于全自动化制鞋生产线的鞋楦输送单元
RU2009122942A (ru) Способ выемки из формы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способа
KR101170539B1 (ko) 해태 건조기용 발장 분리기
JP2008068541A (ja) 射出成形用金型分離装置
CN208679466U (zh) 一种便于取放的采血管适配器
KR20180056457A (ko) 탈봉기
KR100699097B1 (ko) 자동 가금 다기능 내장제거기
CN215472258U (zh) 厚片切割装置
KR200430830Y1 (ko) 생선 절단기용 커터의 승강장치
CN109253939A (zh) 一种钢锯生产用锋利度检测装置
KR20150058700A (ko) 도계의 근위 커팅기
ITBO20130105A1 (it) Apparato per la sostituzione meccanizzata dei moduli di saldatura e taglio nelle macchine per la sigillatura di prodotti in vassoi
RU2016136679A (ru) Устройство визуального контроля топливных таблеток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ядерного топливного стержня
CN105665291A (zh) 羽毛球羽毛检测专用夹具
CN205466285U (zh) 自动取放夹爪
CN205284573U (zh) 一种兽医用畜类耳标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