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537B1 -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537B1
KR101464537B1 KR1020080096708A KR20080096708A KR101464537B1 KR 101464537 B1 KR101464537 B1 KR 101464537B1 KR 1020080096708 A KR1020080096708 A KR 1020080096708A KR 20080096708 A KR20080096708 A KR 20080096708A KR 101464537 B1 KR101464537 B1 KR 101464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front cover
window
touch panel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396A (ko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6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537B1/ko
Priority to US12/501,563 priority patent/US8368805B2/en
Publication of KR20100037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3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interchangeable camera parts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가 개시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일체화된 단위 모듈을 구성하여 카메라 본체에 조립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영상이 출사되는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윈도우를 통하여 영상을 출력해주는 한편으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프론트 커버와 함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패턴을 포함하고, 버튼 패턴의 조작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주는 버튼 조립체 및 터치 패널에서 생성된 터치 신호와 상기 버튼 조립체에서 생성된 조작 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카메라 본체로 전달해주는 제1 배선 케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표시부와 사용자 조작부를 하나의 부품 단위로 모듈화시킴으로써, 조립 생산성이 향상되고 모듈 단위의 교체와 수리를 통하여 보수 작업성이 향상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User interface module for digital camera and digital camera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표시부와 사용자 조작부를 하나의 부품 단위로 모듈화시킴으로써, 조립 생산성이 향상되고, 모듈 단위의 교체와 수리를 통하여 보수 작업성이 향상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는 다수의 개별 부품들이 서로에 대한 인터커녁션을 구성하며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 본체를 덮어 제품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의 본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들은 각 개별 부품 단위로 조립된다. 그리고, 조립 이후 제품의 양/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신뢰성 테스트에서 작동 이상이 발견되면 개별적인 부품 단위로 교체되거나 또는 보수작업이 진행된다.
예를 들어, 영상을 구현하는 LCD 패널이나 사용자의 조작 버튼에 작동 이상이 발견되면, LCD 패널 등을 본체로부터 분리하고 난 이후에 이를 교체하거나 보수 해야 하는데,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있는 구조의 특성상, 분리작업 중에 부품이 손상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해지거나 주변 장치와의 인터커넥션에 손상이 가해지거나 주변 부품에 충격이나 손상을 입힐 개연성이 크다. 또한, 개별 부품 단위로 인터커넥션을 구성하게 되므로, 신호전달체계가 복잡화되고 그만큼 구동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를 구성하는 영상 표시부와 사용자 조작부를 하나의 부품 단위로 모듈화시킴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의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모듈 단위의 교체와 수리를 통하여 보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듈화된 부품과 카메라 본체 간의 신호전달체계를 단순화시킴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의 구동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일체화된 단위 모듈을 구성하여 카메라 본체에 조립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영상이 출사되는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영상을 출력해주는 한편으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상기 프론트 커버와 함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패턴의 조작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주는 버튼 조립체; 및
상기 터치 패널에서 생성된 터치 신호와 상기 버튼 조립체에서 생성된 조작 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카메라 본체로 전달해주는 제1 배선 케이블;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론트 커버와 터치 패널 사이에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윈 도우를 덮어주는 투명기재의 윈도우 패널이 개재된다. 이때, 상기 버튼 조립체는 접착필름을 재개하여 상기 윈도우 패널의 일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튼 조립체는 상기 버튼 패턴의 물리적인 조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주는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성 회로기판과 카메라 본체 사이에는 상기 제1 배선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기판과 상기 터치 패널 사이에는 터치 신호의 중계를 위한 제2 배선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상기 터치 패널에서 생성된 터치 신호를 변환 또는 처리하기 위한 회로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 조립체는 상기 버튼 패턴을 사용자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러버 몰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 조립체는 상기 버튼 패턴 및 러버 몰드를 사이에 개재하여 서로에 대해 결합되는 한 쌍의 전방 홀더 플레이트 및 후방 홀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의 영상을 포착하여 영상 데이터화 하기 위한 구성을 갖춘 카메라 본체; 및
일체화된 단위 모듈을 구성하여 상기 카메라 본체에 조립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로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을 구성하며 영상이 출사되는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영상을 출력해주는 한편으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상기 프론트 커버와 함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패턴의 조작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주는 버튼 조립체; 및
상기 터치 패널에서 생성된 터치 신호와 상기 버튼 조립체에서 생성된 조작 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카메라 본체로 전달해주는 제1 배선 케이블;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버튼 조립체는,
상기 버튼 패턴을 사용자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러버 몰드;
상기 버튼 패턴의 물리적인 조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주는 연성 회로기판; 및
상기 버튼 패턴, 러버 몰드 및 연성 회로기판을 개재하여 전후방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전방 홀더 플레이트 및 후방 홀더 플레이트;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성 회로기판과 카메라 본체 사이에는 상기 제1 배선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성 회로기판과 상기 터치 패널 사이에는 터치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제2 배선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와 터치 패널 사이에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윈도우를 덮어주는 투명기재의 윈도우 패널이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 조립체는 접착필름을 개재하여 상기 윈도우 패널의 일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영상 표시부와 사용자 조작부를 카메라 본체와 분리된 별개의 단위 부품으로 모듈화시킴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의 조립 생산성이 향상되고, 부품 이상이 발견될 경우에는 카메라 본체와 결부됨이 없이 모듈 단위의 교체 또는 보수가 가능하게 되므로, 신뢰성 테스트 및 후행하는 보수 작업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과 카메라 본체 사이의 모든 입출력 신호를 하나의 배선 케이블로 취합하여 전달함으로써 신호중계체계가 단순화되고, 그만큼 구동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적인 구성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의 영상을 포착하고 이를 영상 데이터화하여 기록하는 카메라 본체(100)와, 신호중계수단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 본체(100)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0)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본체(100)는 다수의 광학 렌즈들을 포함하여 피사체 영상을 촬상면에 대해 결상시키기 위한 광학 유닛(110), 상기 광학 유닛(110)을 경유한 피사체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소자(120), 상기 촬상소자(120)의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양자화된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 프론트엔드(Analog Front End;AFE) 회로(130), 신호처리를 위한 작업영역을 제공하도록 영상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DRAM(14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되는 기록매체(170), 그리고, 전반적인 데이터 흐름과 각 구성부분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유닛(110)은 광축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하며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줌 렌즈(112), 촬상소자(120)로의 노광시간 및 입사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셔터(114)와 조리개(116), 그리고, 촬상소자(120)에 결상되는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 렌즈(118)를 포함한다. 상기 줌 렌즈(112), 셔터(114), 조리개(116), 그리고 포커스 렌즈(118)는 드라이버(111)로 제어되는 액츄에이팅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촬상소자(120)는 예를 들어,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로서, 광학 유닛(110)을 경유하여 입사된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인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촬상소자(120)의 동작은 타이밍 생성기(121;Timing Generator;TG)를 개재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130;AFE 회로)는 촬상소자의 출력 신호에 대해, 높은 신호-잡음 비율 (Signal to Noise ratio)이 유지되도록 상호 연관된 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 CDS) 방식으로 샘플 홀드를 행하고, AGC(Auto Gain Control)에 의해 화상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고, ADC(Analog Digital Conversion)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촬상소자(12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화상 신 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이렇게, 아날로그 프론트엔드 회로(130;AFE 회로)에서 양자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는 선택적으로 화질보정처리 및 휘도(Y)/색도(C) 변환 처리 등을 거친 다음, 인코더/디코더(160)로 전달되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등의 규정된 압축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 데이터로 변환된 후 기록매체(17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상기 인코더/디코더(160)는 기록매체(170)에 저장된 영상파일을 호출하여 신장 복호화함으로써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재생화면을 구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DRAM(140, 또는 SDRAM)은 영상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인코더/디코더(160)의 압축처리,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의 각종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작업영역을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는 EEPROM(155;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촬상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게 되며, 각종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0)은 카메라 본체(100)와 분리된 별개의 단위 부품으로 모듈화되어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80)과 카메라 본체(100) 사이에는 배선 케이블 등의 신호중계수단(190)이 개재되어 양자(100,180) 사이의 신호전달을 매개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80)은 주로 영상 표시부(181)와 사용자 조작부(182) 위주로 편성되어 있다. 상기 영상 표시부(181)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송받아 화면상에 표시해줌으로써, 기록매체(170)에 저장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재생 화면을 구성하거나 또는 각종의 메뉴 화면 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표시부(181)는 디스플레이 기능과 함께 터치 신호의 형태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작부(182)는 사용자의 조작에 제공되는 다수의 버튼들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적정의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150)로 전달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에 관한 도면으로, 전후방으로 전개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전방이란 라이브 뷰 화면이나 재생화면 또는 각종의 메뉴 화면들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촬영 중에는 촬영자를 향하는 방향이 전방이 되고,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이 후방이 된다.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을 구성하는 프론트 커버(210)와, 상기 프론트 커버(210)의 후방에 결합되는 윈도우 패널(220)과, 상기 윈도우 패널(220)의 후방에 결합되는 터치 패널(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의 일 가장자리에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버튼 조립체(25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210)는 디지털 카메라의 전방 측 외관을 구성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장변부(210a)들과 상기 장변부(210a)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부(210b)들을 갖고 대략 장방형의 윈도우(W)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론트 커버(210)는 알루미늄 소재 또는 고분자 수지 소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210)의 후방에 부착되는 윈도우 패널(220)은 프론트 커 버(210)의 중앙에 형성된 윈도우(W)를 덮어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윈도우 패널(220)은 테두리를 따라 부착되는 접착 테이프(215)를 개재하여 상기 프론트 커버(2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 테이프(215)는 프론트 커버(210)와 윈도우 패널(220) 사이에서 양면으로 접착성을 갖고 이들의 결합을 매개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패널(220)은 시트 형상의 광 투명한 글라스 또는 PET 등의 광학 고분자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 패널(220)의 일 가장자리에는 후방에서 조립되는 버튼 패턴(255)을 전방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제1 개구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구부(220`)를 관통한 버튼 패턴(255)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제공된다.
상기 윈도우 패널(220)의 후방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230)은 카메라 본체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의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 표시부가 되며,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정지 영상이나 동 영상 등의 재생 화면과 각종의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터치 패널(230)은 디스플레이 기능과 함께, 터치 스크린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230) 상에 표시된 메뉴 화면 내에서 각 선택 항목의 위치를 터치 조작하는 것에 따라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230)은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을 갖고, 터치 위치에 관한 신호를 카메라 본체로 전달함으로써 적정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모드 설정 등이 가능하다. 터치 패널(230)의 구체적인 형태에 관하여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터치 패널(230)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LCD 패널의 표면 측에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부착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의 일 가장자리에 구성되어 있는 버튼 조립체(250)는 사용자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버튼 패턴(255)과, 상기 버튼 패턴(255)을 전방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러버 몰드(256)와, 상기 버튼 패턴(255)과 러버 몰드(256)를 함께 개재하여 전후방으로 서로에 대해 결합되는 전방 홀더 플레이트(252)와 후방 홀더 플레이트(259)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홀더 플레이트(252)에는 후방에서 조립되는 버튼 패턴(255)을 전방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버튼 패턴과 정합되는 형상의 제2 개구부(2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홀더 플레이트(252)와 윈도우 패널(220) 사이에는 접착필름(251)이 개재되어, 전체 버튼 조립체(250)를 윈도우 패널(220)에 대해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필름(251)에는 전방 홀더 플레이트(252)를 관통한 버튼 패턴(255)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제3 개구부(25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방 홀더 플레이트(259)는 사용자의 조작압력에 대항하여 버튼 패턴(255)을 구조적으로 지지하고, 버튼 조립체(25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며 주변환경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후방 홀더 플레이트(259)의 전방에는 버튼 조작을 통한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을 적정의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주는 연성 회로기판(258,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회로기판(258)의 버튼 패턴(25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접점식 스위치(258a)가 마련될 수 있고, 연성 회로기판(258)상에는 접점식 스위치(258a)에서 발생된 전기적인 신호를 외부로 중계하기 위한 배선패턴(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성 회로기판(258)에는 카메라 본체로의 신호중계를 위한 제1 배선 케이블(261)이 접속될 수 있으며, 제1 배선 케이블(261)은 연성 회로기판(258)에 접속된 일단과 미도시된 카메라 본체에 접속되는 타단을 갖고, 연성 회로기판(258)에서 발생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카메라 본체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 케이블(261)은 전방 홀더 플레이트(252)와 후방 홀더 플레이트(259) 간의 조립시, 이들 사이에 확보된 미세한 슬릿을 통하여 카메라 본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 케이블(261)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기신호가 소통되는 다수의 도전 패턴들과, 상기 도전 패턴들을 외부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한 보호필름이 적층된 적층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연성 회로기판(258)과 터치 패널(230)은 그 사이에 개재된 제2 배선 케이블(262)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터치 패널(23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터치 신호는 제2 배선 케이블(262)을 통하여 연성 회로기판(258)으로 전달되고, 연성 회로기판(258)상에 마련된 배선패턴을 경유하고 제1 배선 케이블(261)을 통하여 카메라 본체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성 회로기판(258)에는 터치 패널(230)에서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변환 또는 처리하기 위한 회로구성이 마련될 수 있으며, 변환된 전기 신호가 제1 배선 케이블(261)을 통하여 카메라 본체로 전달될 수 있다. 터치 패널(230)에서 생성된 터치 신호와 버튼 조립체(250)에서 생성된 조작 신호를 동일한 신호중계수단(제1 배선 케이블 261)을 통하여 카메라 본체로 전달함으로써 신호전달체계를 단순화시키고 구조 단순화를 통한 신호전달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연성 회로기판(258)에 마련된 회로 구성을 통하여 터치 패널(230)에서 생성된 터치 신호와 버튼 조립체(250)에서 생성된 조작 신호를 함께 처리함으로써 전체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본체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배선 케이블(261)과 제2 배선 케이블(262)을 경유하여 터치 패널(230)로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된 영상 신호에 따라 터치 패널(230) 상에 적정의 화면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모듈을 후방에서 도시한 조립 상태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프론트 커버(210)에는 그 중앙에 마련된 윈도우를 덮도록 터치 패널(230)이 결합되어 있고, 터치 패널(230)과 이웃한 프론트 커버(210)의 일 가장자리에는 버튼 조립체(25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버튼 조립체(250)에서 연장된 제1 배선 케이블(261)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된 단부는 미도시된 카메라 본체(카메라 본체에 마련된 회로기판)에 접속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카메라 본체에 조립되어 완성된 카메라를 구성하게 되고, 카메라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기능적으로 협력한다. 영상 표시부와 사용자 조작부 위주로 편성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모듈(200)이 카메라 본체와 연결됨으로써 화면 표시를 위한 적정의 영상 신호를 카메라 본체로부터 입수하여 화면을 구성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200)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카메라 본체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적정의 동작 수행 또는 모드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인터페이스 모듈(200)과 카메라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커넥션으로서 제1 배선 케이블(261)이 마련되며, 하나의 케이블 형태로 모든 입출력 신호의 중계가 이루어짐으로써 인터커넥션 구조가 단순화되고, 그만큼 구동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카메라 본체와 조립되기에 앞서, 전기적인 특성을 평가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엄선하기 위한 신뢰성 테스트를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230) 상에 지정된 터치 신호를 입력하고, 제1 배선 케이블(261)의 미 접속 단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오류 없이 전달되는지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버튼(버튼 패턴 255) 조작을 통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제1 배선 케이블(261)의 단부에서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신호가 정확히 전달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선 케이블(261)의 미 접속 단부에 지정된 영상 신호를 인가하고 터치 패널(230) 상에 표시되는 화면상태를 점검함으로써 터치 패널(230)의 결함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련의 테스트 과정은 인터페이스 모듈(200)이 카메라 본체에 조립되기 이전에 수행됨으로써, 테스트 과정에서 불량품으로 판정된 제품은 그대로 폐기되거나 보수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사용자 조작부 및 디스플레이 패널이 카메라 본체와 밀접하게 결합된 상태로 테스트가 진행될 경우에는 불량품으로 판정된 사용자 조작부 등을 카메라 본체로부터 분리한 뒤, 폐기나 보수 등이 진행되어야 하므로, 보수작업에 상당한 불편이 초래되는 것은 물론이고, 분리과정에서 카메라 본체의 커녁션 부분에 손상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과 대비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 다.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는 프론트 케이스(310)와 카메라 본체(350)로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310)의 중앙에는 화면이 표시되는 윈도우(W)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윈도우(W) 주변의 케이스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버튼 패턴(315)들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 본체(350)에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재생화면을 구성하거나 또는 각종의 메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LCD 패널(351)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프론트 케이스(310)에 마련된 버튼 패턴(315)에 연동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적인 구성들이 카메라 본체(35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버튼 패턴(315)으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을 적정의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스위치 구성(355)과 이들로부터 생성된 전기적인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다수의 배선패턴들을 갖춘 회로 구성(358)이 카메라 본체(35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LCD 패널(351)이나 조작 버튼의 기능적인 구성들(355,358)이 카메라 본체(350)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의 특성상, 신뢰성 테스트에서 불량품으로 판정된 부품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LCD 패널(351) 등을 카메라 본체(35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LCD 패널(351) 등과 주변 부품들과의 전기적인 인터커넥션을 해제하는 과정에서 주변 부품이 손상될 개연성이 크다. 또한, LCD 패널(351)과 조작 버튼의 기능적인 구성들(355,358)이 서로 다른 배선 구조를 이용하여 메인 회로기판(미도시)으로 전달되는 신호전달체계를 구성하게 되므로, 배선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구동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영상 표시부와 사용자 조작부 를 모듈화하고, 카메라 본체와 별개의 단위 부품으로 제작함으로써 제품 이상이 발견될 경우에는 본체와 결부됨이 없이 단위 부품에 대한 보수 또는 폐기가 가능하고 작업상의 편이가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과 카메라 본체 사이에서 하나의 케이블 형태로 모든 입출력 신호의 중계가 이루어짐으로써 배선 구조가 단순화되고 구동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형태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대비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카메라 본체 110 : 광학 유닛
112 : 줌 렌즈 114 : 셔터
116 : 조리개 118 : 포커스 렌즈
120 : 촬상소자 121 : 타이밍 생성기
130 : 아날로그 프론트엔드(AFE) 회로
140 : DRAM 150 : 디지털 신호 처리기
155 : EEPROM 160 : 인코더/디코더
170 : 기록매체 180,2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181 : 영상 표시부 182 : 사용자 조작부
190 : 신호중계수단 210 : 프론트 커버
220 : 윈도우 패널 220` : 제1 개구부
230 : 터치 패널 250 : 버튼 조립체
251 : 접착필름 251` : 제3 개구부
252 : 전방 홀더 플레이트 252` : 제2 개구부
255 : 버튼 패턴 256 : 러버 몰드
258 : 연성 회로기판 259 : 후방 홀더 플레이트
261 : 제1 배선 케이블 262 : 제2 배선 케이블

Claims (14)

  1. 일체화된 단위 모듈을 구성하여 카메라 본체에 조립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영상이 출사되는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영상을 출력해주는 한편으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상기 프론트 커버와 함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패턴의 조작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주는 버튼 조립체; 및
    상기 터치 패널에서 생성된 터치 신호와 상기 버튼 조립체에서 생성된 조작 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카메라 본체로 전달해주는 제1 배선 케이블;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와 터치 패널 사이에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윈도우를 덮어주는 투명기재의 윈도우 패널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립체는 접착필름을 재개하여 상기 윈도우 패널의 일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립체는 상기 버튼 패턴의 물리적인 조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주는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기판과 카메라 본체 사이에는 상기 제1 배선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기판과 상기 터치 패널 사이에는 터치 신호의 중계를 위한 제2 배선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기판은 상기 터치 패널에서 생성된 터치 신호를 변환 또는 처리하기 위한 회로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립체는 상기 버튼 패턴을 사용자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러버 몰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립체는 상기 버튼 패턴 및 러버 몰드를 사이에 개재하여 서로에 대해 결합되는 한 쌍의 전방 홀더 플레이트 및 후방 홀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10. 피사체의 영상을 포착하여 영상 데이터화 하기 위한 구성을 갖춘 카메라 본체; 및
    일체화된 단위 모듈을 구성하여 상기 카메라 본체에 조립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로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을 구성하며 영상이 출사되는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영상을 출력해주는 한편으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
    상기 프론트 커버와 함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패턴의 조작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주는 버튼 조립체; 및
    상기 터치 패널에서 생성된 터치 신호와 상기 버튼 조립체에서 생성된 조작 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카메라 본체로 전달해주는 제1 배선 케이블;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립체는,
    상기 버튼 패턴을 사용자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러버 몰드;
    상기 버튼 패턴의 물리적인 조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주는 연성 회로기판; 및
    상기 버튼 패턴, 러버 몰드 및 연성 회로기판을 개재하여 전후방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전방 홀더 플레이트 및 후방 홀더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기판과 카메라 본체 사이에는 상기 제1 배선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성 회로기판과 상기 터치 패널 사이에는 터치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제2 배선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와 터치 패널 사이에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윈도우를 덮어주는 투명기재의 윈도우 패널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립체는 접착필름을 개재하여 상기 윈도우 패널의 일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KR1020080096708A 2008-10-01 2008-10-01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KR101464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708A KR101464537B1 (ko) 2008-10-01 2008-10-01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US12/501,563 US8368805B2 (en) 2008-10-01 2009-07-13 User interface module for digital camera and digital camera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708A KR101464537B1 (ko) 2008-10-01 2008-10-01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396A KR20100037396A (ko) 2010-04-09
KR101464537B1 true KR101464537B1 (ko) 2014-11-24

Family

ID=4205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708A KR101464537B1 (ko) 2008-10-01 2008-10-01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68805B2 (ko)
KR (1) KR101464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864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531075B2 (en) 2014-08-01 2016-12-27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Antenna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118295B2 (en) 2017-11-16 2021-09-14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user interface within a door assembly
USD866887S1 (en) 2017-12-21 2019-11-12 Whirlpool Corporation Pedestal
USD899720S1 (en) 2017-12-21 2020-10-2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D874764S1 (en) 2017-12-21 2020-02-04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USD865306S1 (en) 2017-12-21 2019-10-2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USD848692S1 (en) 2017-12-21 2019-05-14 Whirlpool Corporation Bulk dispensing drawer
USD877431S1 (en) 2017-12-21 2020-03-03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942A (ja) 2004-05-07 2005-11-17 Sony Corp 携帯型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2290B2 (ja) * 1999-02-26 2009-06-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型電子計算機
US7194512B1 (en) * 2001-06-26 2007-03-20 Pal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networked distributed resource usage for data gathering
US6842333B2 (en) * 2001-09-13 2005-01-11 Lg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LCD and touch screen
US7492602B2 (en) * 2006-07-14 2009-02-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TWI406551B (zh) * 2007-11-06 2013-08-21 Lg Electronics Inc 行動式終端機
US8223130B2 (en) * 2007-11-28 2012-07-17 Sony Corporation Touch-sensitive sheet member,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00091178A1 (en) * 2008-10-14 2010-04-15 Marko Eromaki Imaging device hou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1942A (ja) 2004-05-07 2005-11-17 Sony Corp 携帯型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79663A1 (en) 2010-04-01
KR20100037396A (ko) 2010-04-09
US8368805B2 (en)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537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US9432580B2 (en) Camera module having anti-shake mechanism
US7414664B2 (en) Image taking apparatus and lens apparatus
JPWO2006068129A1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80079846A1 (en) Digital camera of collapsible type
JPWO2005081020A1 (ja) 光学機器およびビームスプリッター
US7532815B2 (en) Lens unit, method of identifying characteristics thereof and method of judging deterioration thereof, and digital camera
US7891890B2 (en) Shutter device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60078330A1 (en) Image capture apparatus
CN104813227A (zh) 摄像装置、摄像方法和程序
US8712231B2 (en) Camera body, and camera system
JP2006217473A (ja) 固体撮像素子の取付構造とこれを用いた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4429183B2 (ja) アクセサリ装置
CN101373254A (zh) 摄影装置及摄影装置的控制方法
CN101359085A (zh) 摄影装置和摄影装置的控制方法
JP5757906B2 (ja) 撮像装置,電子内視鏡装置及びその結露除去方法
JP2008089995A (ja) 像ぶれ補正撮影レンズと、これを具備する光学機器
JP2009038741A (ja) デジタル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撮像素子ユニット
JP2010226395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28808B2 (ja) 撮像装置
JP4455305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5423024B2 (ja) 電子カメラ、および、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2007124006A (ja) 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6700728B2 (ja)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JP4430642B2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