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518B1 -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518B1
KR101464518B1 KR1020120137294A KR20120137294A KR101464518B1 KR 101464518 B1 KR101464518 B1 KR 101464518B1 KR 1020120137294 A KR1020120137294 A KR 1020120137294A KR 20120137294 A KR20120137294 A KR 20120137294A KR 101464518 B1 KR101464518 B1 KR 101464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hydraulic pressure
pressure
release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692A (ko
Inventor
이용범
이근호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7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5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사용 중 고장이 발생되어 견인을 해야할 시, 굴삭기의 주행코터에 설치되어 굴삭기를 위치고정시키는 파킹브레이크에 해제압력을 제공하지 못해 제동력을 풀 수 없게 된 경우, 해제압력을 제공하는 배제압력 제공라인에 유압의 방향절환이 가능한 해제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외부의 보조유압을 해제압력 공급라인을 통해 브레이크 작동실린더에 제공하여 손쉽게 파킹브레이크의 가압이 해제되도록 한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Release device of a Parking Brake for the Track Motor of an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 주행모터에 장착된 파킹브레이크에 있어서, 파킹브레이크의 해제압력을 제공할 수 있어 제동력을 풀지 못하게 되는 경우, 브레이크를 간단히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행모터는 무한궤도 형 유압굴삭기의 차체에 장착되어서 굴삭기의 전진 및 후진을 하는 핵심부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유압카운터 밸런스밸브, 양방향작동 릴리프밸브, 파킹브레이크(parking brake, 주차 브레이크), 2속 제어장치 및 유압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중 마찰 판형식의 파킹브레이크는 굴삭기가 주차되었을 때 굴삭기의 고정뿐만 아니라, 전진 및 후진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 굴삭 작업할 때에도 차체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파킹브레이크의 경우, 다판식 마찰판(multi friction disc)을 굴삭기 주행모터 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 힘으로 작동되어 굴삭기의 주행모터를 고정 정지시키고, 유압실린더로 이러한 고정정지를 해제시켜 주행모터의 출력축을 고정하거나 풀어주는 작동을 하는 것이다.
굴삭기 주행모터에서 사용되는 파킹브레이크는, 유압모터의 실린더 배럴과 모터 하우징 사이에 다판식 마찰판과 고정판을 설치하고, 이판을 실린더(유압실린더)와 여러 개의 스프링(강철스프링, 탄성체)을 사용하여 결합과 해제 작동을 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파킹브레이크의 경우, 굴삭기가 사용 중 고장이 발생하여, 굴삭기 자체가 자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경우, 수리를 위하여 견인을 하여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파킹브레이크의 경우, 다양한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된 경우, 작업을 위해 굴삭기를 고정하기 위함으로써 작동시킨 파킹브레이크의 작동 해제압력(또는 해제유압)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면, 제동력을 풀 수 가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했을 시, 현재에는 도 1과 같이, 주행모터 구동감속기의 케이싱에 조립되어 있는 다수의 볼트(11)를 모두 풀고, 주행모터 내부에 설치된 유성기어 감속기의 선 기어(12)를 추출함으로써 굴삭기의 견인이 가능하도록 하였지만, 이러한 작업은 매우 불편하고 소요시간 또한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킹브레이크의 해제를 위한 해제압력 공급라인에 방향절환용 장치를 설치하여, 굴삭기의 이상발생으로 인한 견인작업시, 브레이크가 작동된 파킹브레이크에 해제압력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해제압력 공급라인에 설치된 밸브의 방향을 절환하여 유압(유량)을 공급함으로써, 파킹브레이크의 브레이크가 간단하게 해제될 수 있도록 한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굴삭기의 전, 후진을 위한 주행모터(10)에 내장되어, 굴삭기가 구동되지 못하여 견인을 해야하는 경우, 주행모터(10) 내 다수의 탄성체(30)에 의해 밀리는 브레이크 작동실린더(40)에 의해, 다판식 마찰판(42)을 가압하여 주행모터(10)를 고정시키는 파킹브레이크(20)에 설치되되, 상기 파킹브레이크(20) 작동해제를 위한 유압을 제공하는 해제압력 공급라인(50)에 설치되며, 상기 해제압력 공급라인(50)에서 파킹브레이크(20) 해제유압을 공급할 수 없는 고장발생 경우, 보조유압을 파킹브레이크(20)의 브레이크 작동실린더(40)에 공급함으로써, 파킹브레이크(20)의 작동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6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굴삭기의 파킹브레이크의 해제압력을 제공하지 못하여, 견인 및 제동력을 풀 수 없는 경우, 보조유압을 통해 적은 량의 유량을 제공하여 간단하게 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굴삭기에 문제가 발생되어 파킹브레이크의 해제압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 주행모터의 일단을 분해해야 했던 작업이 필요 없어지므로, 파킹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해제를 위한 작업이 편리하고 간단하며, 작업시간 또한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적용이 간단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굴삭기 주행모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파킹브레이크 내부구성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파킹브레이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굴삭기 주행모터의 유압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모터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가 설치된 굴삭기 파킹브레이크의 회로도.
도 6은 도 5 'A'부분에서의 굴삭기 파킹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파킹브레이크 내 방향절환 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행모터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가 설치된 주행모터에서, 파킹브레이크가 작동된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해제압력 공급라인을 통해 파킹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하는 경우와,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를 통해 파킹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하는 경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단면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굴삭기의 전, 후진을 위한 주행모터(10)에 내장되어, 굴삭기가 구동되지 못하여 견인을 해야하는 경우, 주행모터(10) 내 다수의 탄성체(30)에 의해 밀리는 브레이크 작동실린더(40)에 의해, 다판식 마찰판(42)을 가압하여 주행모터(10)를 고정시키는 파킹브레이크(20)에 설치되되, 상기 파킹브레이크(20) 작동해제를 위한 유압을 제공하는 해제압력 공급라인(50)에 설치되며, 상기 해제압력 공급라인(50)에서 파킹브레이크(20) 해제유압을 공급할 수 없는 고장발생 경우, 보조유압을 파킹브레이크(20)의 브레이크 작동실린더(40)에 공급함으로써, 파킹브레이크(20)의 작동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6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60)는 보조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비상 모터펌프(61); 상기 비상 모터펌프(61)와 연통되는 부가압력 제공라인(62); 상기 해제압력 공급라인(50)에 부가압력 제공라인(62)을 연결시키되, 유압의 제공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절환부(6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절환부(63)는 3방향 밸브(3-way valve)가 사용되며, 상기 해제압력 공급라인(50)으로부터 파킹브레이크(20) 해제를 위한 유압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 해제압력 공급라인(50)의 유로를 차단하고, 부가압력 제공라인(62)의 보조유압이 파킹브레이크(20)의 브레이크 작동실린더(40)에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장발생 경우는 상기 해제압력 공급라인(50)으로 해제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동되는, 엔진, 펌프, 밸브, 배관, 신호장치 중 하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절환부(63)는 상기 해제압력 공급라인(50)의 절곡부(51)에서, 상기 보조유압에 의해 전, 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해제압력 공급라인 유입측(50a)을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몸체부(64); 상기 몸체부(64) 내에서 해제압력 공급라인 공급측(50b)과 연통가능토록 천공형성되어, 상기 몸체부(64)가 전진 시, 보조유압이 브레이크 작동실린더(40)로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유압 공급공(6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주행모터(10)에 설치되어 있는 파킹브레이크(20)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유압회로와 같이, A-Port 또는 B-Port에 고압의 유압유를 공급받게 되면, 카운터 밸런스 밸브 스풀에 파이로트(pilot) 압력이 공급되어, 카운터 밸런스 밸브 스풀을 전환하게 되는데, 이때 중앙부분에 있는 해제압력 공급라인(관로, 50)를 통해서, 브레이크 작동실린더(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린더'라 칭함, 40)에 압력을 공급하면, 실린더(40)가 탄성체(ex: 스프링, 30)을 누르고(후퇴) 후진하면서, 다수개로 이루어진 다판식 마찰판(42) 상호간을 이격시켜며, 상호간에 간격을 생성해줌으로써, 다판식 마찰판(42)의 가압이 해제(release)되면서 브레이크가 해제되는 형태가 된다.
A-Port와 B-Port에는 압력이 전달되지 않아서 주행모터(10)가 전진이나 후진을 하지 않을 경우, 다수개로 구성된 파킹브레이크(20)에 탄성체(30)의 힘에 의해서 실린더(40)의 유압유를 배출시키고, 유압모터의 실린더 배럴(41)에 장착된 다판식 마찰판(multi friction disc, 42)을 모터 하우징에 장착된 고정판이 밀게 된다. 그 마찰력으로 실린더 배럴(41)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잡아주어 브레이크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유압모터를 회전시키려는 압력이 존재할 때는 마찰없이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또다시 유압모터를 정지할 때는 탄성체(30) 힘에 의해 자동적으로 브레이크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파킹브레이크(20)의 경우, 굴삭기가 사용 중 고장이 발생하여 자력으로 움직이지 못함으로 인해, 견인을 해야 하는 경우, 굴삭기의 엔진, 펌프, 밸브, 배관 및 신호장치 중 어느 하나에 문제(고장)가 발생되었다면, 파킹브레이크(20)의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압력을, 해제압력 공급라인(50)을 통해 공급할 수 없어, 제동력을 풀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될 시, 이러한 파킹브레이크(20)에 걸려있는 제동력을 손쉽게 풀 수 있도록 굴삭기의 주행모터(10)에 설치된,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며, 비상 모터펌프(61), 부가압력 제공라인(62), 방향절환부(63)로 이루어지는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상 모터펌프(61)는 전술된 굴삭기 주행모터(10)의 외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파킹브레이크(20)의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한 유압(유량)을 공급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다. 즉, 전술된 바와 같이, 파킹브레이크(20)가 다수의 탄성체(30)를 이용해 탄성체(30) 전단에 위치된 실린더(40)를 밀게 되고, 실린더(40)는 밀리면서 실린더(40) 전단에 위치한 다판식 마찰판(42)을 가압하면서 주행모터(10)를 고정시켜, 파킹브레이크(20)가 브레이크 작동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제동력을 풀고자 함에도 풀지 못하는 경우(파킹브레이크(20) 해제압력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시, 비상 모터펌프(61)에서 파킹브레이크(20)의 제동력을 풀기 위한 별도의 보조유압(유량)을 실린더(40)에 공급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비상 모터펌프(61)에 의해 보조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보조유압에 의해 다판식 마찰판(42)을 가압하고 있던 실린더(40)를 후진시킴으로써(상기 실린더(40)의 후진에 의해 다수의 탄성체(30)는 압축되는 형태가 된다.), 상호간 압착되어 가압되었던 다수의 다판식 마찰판(42)이 상호간 이격되며 벌어질 수 있도록 하여, 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부가압력 제공라인(62)은 전술된 비상 모터펌프(61)에서 제공되는 보조유압을 실린더(40)에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호스 등의 관체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부가압력 제공라인(62)은 일단이 전술된 비상 모터펌프(61)에 연결되고, 타단은 굴삭기의 주행모터(10)에 내장되어 있는 파킹브레이크(20) 내 해제압력 공급라인(50)에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방향절환부(63)는 굴삭기의 주행모터(10) 내에서, 전술된 부가압력 제공라인(62)과 해제압력 공급라인(5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방향절환부(63)로 삼방향 밸브(3-way valve)가 사용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부가압력 제공라인(62)과 해제압력 공급라인(50)의 연결부위는, 유압이 3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으로, 부가압력 제공라인(62)이 공급되는 측, 해제압력이 제공되는 해제압력 공급라인 유입측(50a), 제공된 해제압력이 실린더(40)에 공급되는 해제압력 공급라인 공급측(50b)이 존재하게 된다.
다시 말해, 굴삭기에 문제가 없어 정상적으로 해제압력 공급라인(50)을 통해 해제유압이 제공될 수 있는 경우, 상기 방향절환부(63)는 해제압력 공급라인(50)에서 실린더(40)로 제공되는 해제유압이 부가압력 제공라인(62)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가압력 제공라인(62)측은 유로가 닫히도록(close)하되, 굴삭기에 문제가 발생되어 해제압력 공급라인(50)을 통해 해제유압이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향절환부(63)의 방향을 절환하여, 방향절환부(63) 부분에서, 기존 해제유압을 공급하던 해제압력 공급라인 유입측(50a)의 유로는 닫히고(close), 닫혀있던 부가압력 제공라인(62)이 방향절환부(63) 부분에서 해제압력 공급라인 공급측(50b)과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비상 모터펌프(61)를 통한 보조유압으로 파킹브레이크(20)의 가압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상기 방향절환부(63)의 경우, 굴삭기의 외부로 사용자가 식별 및 조작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방향절환부(63)의 밸브 방향을 손쉽게 절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방향절환부(63)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방향절환부(63)는 몸체부(64)와 보조유압 공급공(65)으로 이루어지는데, 전술된 해제압력 공급라인(50)은 중단이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절곡부(51)에 몸체부(64)에 방향절환부(63)(몸체부(64))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64)는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일단이 해제압력 공급라인 유입측(50a)에 대응되어, 상기 해제압력 공급라인 유입측(50a)을 향해 전, 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몸체부(64)의 내부에는 일단이 해제압력 공급라인 공급측(50b)측에 연통가능한 보조유압 공급공(65)이 천공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굴삭기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 경우, 파킹브레이크(20)가 주행모터(10)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파킹브레이크(20)의 브레이크를 해제하고자 하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방향절환부(63)의 몸체부(64)가 후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해제압력 공급라인(50)(더욱 자세히는 해제압력 공급라인 유입측(50a)과 공급측(50b)이 상호간 연통되는 형태)이 파킹브레이크(20)의 실린더(40)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되, 굴삭기에 아무런 이상이 발생되어, 파킹브레이크(20)가 주행모터(10)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해제압력 공급라인(50)으로부터 해제유압이 제공되지 않아 파킹브레이크(20)의 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없는 경우라면, 사용자에 의해 방향절환부(63)는 전진하게 되고, 몸체부(64)가 전진함에 따라 몸체부(64)에 의해 해제압력 공급라인 유입측(50a)은 밀폐되되, 몸체부(64) 내에 천공된 보조유압 공급공(65)의 위치는 해제압력 공급라인 공급측(50b)을 부가압력 제공라인(62)과 연통시켜, 보조유압이 실린더(40)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보조유압에 의해 실린더(40)가 후진하면서 파킹브레이크(20)의 브레이크가 풀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주행모터 20: 파킹브레이크
30: 탄성체 40: 실린더
41: 실린더 배럴 42: 다판식 마찰판
50: 해제압력 공급라인 50a: 해제압력 공급라인 유입측
50b: 해제압력 공급라인 공급측 51: 절곡부
60: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 61: 비상 모터펌프
62: 부가압력 제공라인 63: 방향절환부
64: 몸체부 65: 보조유압 공급공

Claims (5)

  1. 굴삭기의 전, 후진을 위한 주행모터(10)에 내장되어, 굴삭기가 구동되지 못하여 견인을 해야하는 경우, 주행모터(10) 내 다수의 탄성체(30)에 의해 밀리는 브레이크 작동실린더(40)에 의해, 다판식 마찰판(42)을 가압하여 주행모터(10)를 고정시키는 파킹브레이크(20)에 설치되되,
    상기 파킹브레이크(20) 작동해제를 위한 유압을 제공하는 해제압력 공급라인(50)에 설치되며,
    상기 해제압력 공급라인(50)에서 파킹브레이크(20) 해제유압을 공급할 수 없는 고장발생 경우, 보조유압을 파킹브레이크(20)의 브레이크 작동실린더(40)에 공급함으로써, 파킹브레이크(20)의 작동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60);이되,
    상기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60)는 보조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비상 모터펌프(61)와, 상기 비상 모터펌프(61)와 연통되는 부가압력 제공라인(62)과, 상기 해제압력 공급라인(50)에 부가압력 제공라인(62)을 연결시키되, 유압의 제공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절환부(63)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향절환부(63)는 해제압력 공급라인(50)의 절곡부(51)에서, 상기 보조유압에 의해 전, 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해제압력 공급라인 유입측(50a)을 밀폐 또는 개방시키는 몸체부(64)와, 상기 몸체부(64) 내에서 해제압력 공급라인 공급측(50b)과 연통가능토록 천공형성되어, 상기 몸체부(64)가 전진 시, 보조유압이 브레이크 작동실린더(40)로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유압 공급공(6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절환부(63)는
    3방향 밸브(3-way valve)가 사용되며, 상기 해제압력 공급라인(50)으로부터 파킹브레이크(20) 해제를 위한 유압공급이 되지 않는 경우,
    해제압력 공급라인(50)의 유로를 차단하고, 부가압력 제공라인(62)의 보조유압이 파킹브레이크(20)의 브레이크 작동실린더(40)에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발생 경우는
    상기 해제압력 공급라인(50)으로 해제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동되는,
    엔진, 펌프, 밸브, 배관, 신호장치 중 하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20137294A 2012-11-29 2012-11-29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 KR101464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294A KR101464518B1 (ko) 2012-11-29 2012-11-29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294A KR101464518B1 (ko) 2012-11-29 2012-11-29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692A KR20140069692A (ko) 2014-06-10
KR101464518B1 true KR101464518B1 (ko) 2014-11-24

Family

ID=5112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294A KR101464518B1 (ko) 2012-11-29 2012-11-29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8434B (zh) * 2020-05-29 2022-04-15 山重建机有限公司 一种液电组合控制的挖掘机回转制动解除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034U (ko) * 1997-07-11 1999-02-05 추호석 휠로다의 보조유압시스템
JPH11304023A (ja) * 1998-04-17 1999-11-05 Komatsu Ltd 三方弁
KR20000046400A (ko) * 1998-12-31 2000-07-25 추호석 건설중장비의 압유분배장치
KR20100071836A (ko) * 2008-12-19 2010-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파킹브레이크 비상해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034U (ko) * 1997-07-11 1999-02-05 추호석 휠로다의 보조유압시스템
JPH11304023A (ja) * 1998-04-17 1999-11-05 Komatsu Ltd 三方弁
KR20000046400A (ko) * 1998-12-31 2000-07-25 추호석 건설중장비의 압유분배장치
KR20100071836A (ko) * 2008-12-19 2010-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파킹브레이크 비상해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692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25361B (zh) 变速器的停车锁止装置
US8491434B2 (en) Transmission assembly having variable force clutch
US20170108066A1 (en) Hydraulic anti-lock brake wheel cylinder and axle braking system
CN106090083B (zh) 用于作业车辆的停车制动装置系统的制动装置调节器
CN106062436A (zh) 车辆用驻车锁定装置
KR20160117495A (ko) 차량용 유압 시스템
CN102829107B (zh) 一种盘式制动器与一种制动系统以及一种摩托车
BR102021025495A2 (pt) Conjunto de acionamento para um veículo de trabalho
CN101922524A (zh) 全封闭多盘湿式制动装置
CN103104699A (zh) 具有自动发动机停止-起动蓄能器的变速器液压控制系统
KR101464518B1 (ko) 굴삭기 주행모터의 파킹브레이크 해제장치
KR101089207B1 (ko) 지게차 및 건설장비 차량용 주차제동장치
US20170036656A1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parking brake
US9328822B2 (en) Parking brake system for a work vehicle
JP5735469B2 (ja) 作業車両の油圧式制動装置
CN106104103A (zh) 车辆用驻车锁定装置
CN105715704A (zh) 液体阻尼式制动系统
CN101287915A (zh) 用于助力踏板操作的伺服阀
KR102028100B1 (ko) 비상시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시스템
KR200384488Y1 (ko) 휠타입 중장비의 비상 주차 해제가 가능한 유압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CN108266419B (zh) 用于电动静液作动器集动力控制油路为一体的装置
CN102039886B (zh) 液压助力器
RU100982U1 (ru) Гидроклапан двухконтурный тормозной системы
CN218325590U (zh) 停车制动系统和行走机械
KR102028099B1 (ko) 비상시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