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676B1 - 화물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화물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676B1
KR101463676B1 KR1020127032380A KR20127032380A KR101463676B1 KR 101463676 B1 KR101463676 B1 KR 101463676B1 KR 1020127032380 A KR1020127032380 A KR 1020127032380A KR 20127032380 A KR20127032380 A KR 20127032380A KR 101463676 B1 KR101463676 B1 KR 101463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lange
quot
pair
plate thickness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754A (ko
Inventor
게이이치 사토
노부타카 시미즈
다케히로 호시노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8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6Contents retaining means fixed on the floor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allets (AREA)

Abstract

이 화물용 컨테이너는, 상기 한 쌍의 측면 패널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한 쌍의 보텀 사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 팔레트가, 상기 한 쌍의 보텀 사이드 레일 사이에 걸쳐 설치된 복수개의 마룻귀틀재와, 이들 마룻귀틀재 위에 설치된 바닥면재를 갖고, 상기 마룻귀틀재를 평단면에서 본 경우에, 상기 코너 포스트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웹과, 이 웹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보텀 사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측 플랜지와, 이 상측 플랜지에 대향하여 상기 웹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보텀 사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측 플랜지와, 상기 코너 포스트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상기 상측 플랜지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립을 갖는다.

Description

화물용 컨테이너{CARGO CONTAINER}
본 발명은, 화물을 싣고, 해상 및 육상에 있어서 수송하는 화물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량을 경감시키면서, 부재 내력을 향상시킬 때 적합한 화물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0년 05월 14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112491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화물을 수송하는 화물용 컨테이너는, 주로 강,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화물용 컨테이너는, 내부에 화물을 싣고, 예를 들어 선박, 트랙, 철도 등의 수송 수단을 통하여 수송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지구 환경 보호 관점에서, 물류 분야에 있어서도 온실 효과 가스의 배출량 삭감의 움직임이 높아지고 있고,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 트랙, 철도 등의 이동 수단에 대하여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다. 화물용 컨테이너는, 이들 이동 수단에 의해 수송되므로, 컨테이너 자체의 경량화를 도모함으로써, 이동 수단을 포함한 전체의 경량화로 이어져, 지구 환경 보호를 도모하는 데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화물용 컨테이너에 있어서도 경량화의 요청이 고조되고 있지만, 세계 각국간의 글로벌적인 규격으로서, 예를 들어 ISO에 규정되는 특히 내하 성능을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또한, 화물용 컨테이너의 형태로서는, 직사각 형상의 바닥 팔레트와, 이 바닥 팔레트의 4변에 세워 설치된 한 쌍의 측면 패널 및 한 쌍의 전후 패널과, 상기 바닥 팔레트의 코너부에 세워 설치되고, 상기 측면 패널의 측부 테두리부와 상기 전후 패널의 측부 테두리부 사이를 접속하는 복수개의 코너 포스트와, 이들 코너 포스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설치된 코너 피팅과, 상기 측면 패널 및 상기 전후 패널 상측 테두리부에 접속하여 설치된 천장면 패널을 구비한 구조가 일반적이다. 그리고, 바닥 팔레트는, 컨테이너의 짧은 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면 패널 하단부 테두리에 연속하는 보텀 사이드 레일 사이에 가설되는 복수의 마룻귀틀재와, 이들 마룻귀틀재의 상측에 지지되는 바닥면재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마룻귀틀재(가로 마루귀틀)는, 상하로 연장되는 웹(주 벽부)과, 웹의 상단부로부터 한쪽으로 연장되는 상측 플랜지(상벽부)와, 웹의 하단부로부터 한쪽으로 연장되는 하측 플랜지(하벽부)를 갖고 있다. 마룻귀틀재는, 단면이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고, 상측 플랜지에 바닥면재가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화물용 컨테이너의 마룻귀틀재는, 적하물을 반송하여 컨테이너 내를 주행하는 포크리프트 등의 차륜 하중을 고려하여, 그것에 의해 작용하는 굽힘 응력에 대하여 부재 내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화물용 컨테이너용으로서가 아니고 건축물에 이용되는 박형 경량형 강으로서, 립을 구비한 홈 형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립을 구비한 홈 형강은, 웹과, 이 웹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연속하는 한 쌍의 플랜지와, 이들 플랜지 선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웹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립을 갖고 단면이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립을 구비한 홈 형강은, 빔 등의 굽힘 저항재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이 홈 형강의 중립축은 웹의 중간에 위치하고, 한쪽 플랜지 및 립이 인장측으로 되고, 다른 쪽 플랜지 및 립이 압축측으로 되는 굽힘 응력 상태에 따라, 홈 형강이 하중에 저항하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7693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05557호 공보
그런데, 컨테이너의 경량화 관점에서, 각 부재의 재료 강도(항복 강도)를 높이고 부재 단면(판 두께)을 작게 하는(얇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룻귀틀재와 같이 상측 플랜지가 압축측으로 되는 경우에는, 판 두께를 얇게 해 버리면 상측 플랜지가 조기에 좌굴되어 버려, 상정한 강도에 기초하는 굽힘 내력을 얻을 수 없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2의 립을 구비한 홈 형강을 마룻귀틀재로서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그 경우에는 하측 플랜지에도 립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측 플랜지 상면에 물, 먼지, 염분이 저류되어 녹의 원인이 되어, 컨테이너의 제품 수명이 단기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렇게 종래의 구조에서는, 굽힘 하중에 대한 부재 내력을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내용연수의 장기화도 실현한다는 요구에 따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굽힘 하중에 대한 마룻귀틀재의 내력을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내용연수를 장기화할 수 있는 화물용 컨테이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화물용 컨테이너는, 직사각 형상의 바닥 팔레트와, 이 바닥 팔레트의 4변으로부터 상승되는 한 쌍의 측면 패널 및 한 쌍의 전후 패널과, 상기 바닥 팔레트의 코너부에 세워 설치되고, 상기 측면 패널 및 전후 패널의 각 측부 테두리부에 접속되는 코너 포스트와, 상기 측면 패널 및 전후 패널 상측 테두리부에 접속하여 설치된 천장면 패널을 구비한 화물용 컨테이너이며, 상기 한 쌍의 측면 패널의 각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한 쌍의 보텀 사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 팔레트가, 상기 한 쌍의 보텀 사이드 레일 사이에 걸쳐 설치된 복수개의 마룻귀틀재와, 이들 마룻귀틀재 위에 설치된 바닥면재를 갖고, 상기 마룻귀틀재를 평단면에서 본 경우에, 상기 코너 포스트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웹과, 이 웹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보텀 사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측 플랜지와, 이 상측 플랜지에 대향하여 상기 웹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보텀 사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측 플랜지와, 상기 코너 포스트의 연장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상기 상측 플랜지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립을 갖는다.
(2) 상기 (1)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상기 마룻귀틀재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플랜지의 평탄부의 폭 치수 a가, 판 두께 치수 t와 재료의 항복 강도 F에 의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1]
Figure 112012102773164-pct00001
여기서, 폭 치수 a의 단위는 mm이며, 판 두께 치수 t의 단위는 mm이며, 항복 강도 F의 단위는 MPa이다.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상기 마룻귀틀재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플랜지의 폭 치수가, 상기 상측 플랜지의 폭 치수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서는, 상기 마룻귀틀재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웹과 직교하는 중립축과 상기 상측 플랜지의 판 두께 중심의 거리 d와, 상기 웹의 평탄부의 높이 치수 h의 관계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2]
Figure 112012102773164-pct00002
또한, 상측 플랜지의 판 두께 중심과 중립축의 거리 d가 0.475h≤d≤0.55h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5)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서는, 상기 마룻귀틀재에 있어서, 판 두께 치수 t와 재료의 항복 강도 F와 상측 플랜지의 폭 치수 A에 의해 상수 M을 하기 수학식 3을 사용하여 산출한 경우, 상기 마룻귀틀재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상측 립의 길이 치수 C가, 상기 상수 M과 상기 판 두께 치수 t와 상기 재료의 항복 강도 F에 의해, 하기 수학식 4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3]
Figure 112012102773164-pct00003
[수학식 4]
Figure 112012102773164-pct00004
여기서, 판 두께 치수 t의 단위는 mm이며, 항복 강도 F의 단위는 MPa이며, 상측 플랜지의 폭 치수 A의 단위는 mm이다.
상기 (1)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상측 플랜지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립을 갖고 마룻귀틀재를 형성함으로써, 이 마룻귀틀재의 재료 강도를 높이고 얇게 한 경우라도, 굽힘 하중 시에 압축측으로 되는 상측 플랜지의 좌굴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측 플랜지의 조기의 좌굴을 방지하여 굽힘 하중에 대한 부재 내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굽힘 하중 시에는 하측 플랜지는, 인장측으로 되어 좌굴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하측 플랜지의 형상을 평탄 또한 선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하측 플랜지의 상면에 물이 저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녹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여 내용연수를 장기화할 수 있다. 따라서, 부재의 내력 및 내용연수를 확보하면서, 마룻귀틀재의 재료 강도를 높이고, 또한, 부재 단면을 얇게 함으로써 마룻귀틀재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화물용 컨테이너 전체의 경량화로도 이어져, 온실 효과 가스의 배출량 삭감, 나아가서는 지구 환경 보호 관점에서도 적합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2)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상측 플랜지의 평탄부의 폭 치수 a를 240t/(√F)보다 크게 설정, 즉 판 두께 치수 t에 대한 폭 두께비(a/t)를 크게 설정함으로써, 마룻귀틀재를 얇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구조에서는, 폭 치수 a가 240t/(√F)보다 커지면, 좌굴되기 쉬워지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립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플랜지의 조기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측 플랜지의 평탄부의 폭 치수 a를 740t/(√F) 이하로 설정, 즉 상측 립과 웹에 의해 상측 플랜지의 양단이 구속된 상태에서도 좌굴될 가능성이 있는 한계 폭 이하로 상측 플랜지의 평탄부의 폭 치수 a를 설정함으로써, 상측 플랜지의 좌굴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굽힘 하중 시에 압축측으로 되는 상측 플랜지의 좌굴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좌굴에 수반하는 부재 단면의 무효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전단면이 유효 단면으로 되어, 효율적으로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3)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하측 플랜지의 폭 치수를 상측 플랜지의 폭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함으로써, 굽힘 하중 시에 인장측으로 되는 하측 플랜지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굽힘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측 플랜지의 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상측 립과 상측 플랜지의 총 단면적과, 하측 플랜지의 단면적을 근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마룻귀틀재의 상측과 하측에 의해 밸런스를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상측 플랜지측에의 중립축의 편심을 억제하여 웹 중간 근방에 중립축을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전단면이 유효 단면으로 될 때의, 압축 테두리에 있어서의 단면 계수와 인장 테두리에 있어서의 단면 계수를 동일 정도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 테두리 혹은 인장 테두리 중 어느 한쪽의 조기 항복을 억제함으로써, 굽힘 내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4)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웹의 높이 방향의 중간 근방에 중립축을 위치시킴으로써, 전체 단면이 유효 단면으로 될 때의, 압축 테두리에 있어서의 단면 계수와 인장 테두리에 있어서의 단면 계수를 동일 정도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 테두리 혹은 인장 테두리 중 어느 한쪽의 조기 항복을 억제함으로써, 마룻귀틀재의 굽힘 내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5)에 기재된 화물용 컨테이너에 의하면, 상측 립의 길이 치수 C를 상수 M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상측 플랜지의 좌굴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길이 치수 C를 240t/(√F)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상측 립 자체의 좌굴도 방지할 수 있어, 소정의 굽힘 내력을 발휘할 때까지 마룻귀틀재의 각 부를 좌굴시키지 않고 유효 단면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화물용 컨테이너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물용 컨테이너에 있어서의 바닥 팔레트의 마룻귀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화물 컨테이너의 실시예 1의 마룻귀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화물 컨테이너의 실시예 2의 마룻귀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비교예의 마룻귀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다른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다른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다른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화물용 컨테이너(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체로 구성되고, 화물을 싣는 것이 가능하다. 화물용 컨테이너(1)는, 강,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로 구성된다. 화물용 컨테이너(1)는, 예를 들어 선박, 트랙, 철도 등의 수송 수단을 통하여 수송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수송 시의 호환성이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ISO 등의 규격에 기초한 사양으로 되어 있다.
화물용 컨테이너(1)는, 직사각 형상의 바닥 팔레트(2)와, 이 바닥 팔레트(2)의 4변으로부터 상승되는 한 쌍의 측면 패널(3) 및 한 쌍의 전후 패널(4)과, 상기 바닥 팔레트(2)의 코너부에 세워 설치되고, 측면 패널(3) 및 전후 패널(4)의 각 측부 테두리부에 접속되는 코너 포스트(5)와, 상기 측면 패널(3) 및 전후 패널(4)의 상부 테두리부에 접속하여 설치된 천장면 패널(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물용 컨테이너(1)는, 이들 코너 포스트(5)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접합되는 코너 피팅(6)과, 한 쌍의 측면 패널(3)의 각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보텀 사이드 레일(10)을 구비하고 있다.
측면 패널(3) 및 전후 패널(4)은, 각각이 바닥 팔레트(2) 위에 설치되는 동시에, 인접하는 패널(3, 4)끼리 코너 포스트(5)를 통하여 서로 접속된다. 인접하는 측면 패널(3)과 전후 패널(4)은, 서로 대략 직교하는 관계에 있다. 또한, 측면 패널(3), 전후 패널(4) 및 천장면 패널(7)은, 예를 들어 두께가 1.5mm 내지 2mm 정도인 비교적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파형 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물용 컨테이너(1)의 측면, 전후면, 천장면의 어느 한쪽 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폐 도어가 설치되고, 여기로부터 컨테이너 내에 화물이 실린다. 예를 들어, 전후면 중 어느 하나에 개폐 도어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이 도어로부터 포크리프트 등이 화물용 컨테이너(1) 내부에 출입하며 적하물을 반입 또는 반출한다.
바닥 팔레트(2)는, 보텀 사이드 레일(10) 사이에 걸쳐 배치된 복수개의 마룻귀틀재(8)와, 이들 복수의 마룻귀틀재(8)의 상측에 설치되는 바닥면재(9)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마룻귀틀재(8)는, 측면 패널(3) 하단부 테두리의 보텀 사이드 레일(10)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바닥면재(9)는, 합판 등의 판재에 의해 구성되고, 마룻귀틀재(8)의 상면에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바닥 팔레트(2)는, 적재물의 하중이나, 화물용 컨테이너(1) 내를 주행하는 포크리프트 등의 차륜 하중을 지지하여, 마룻귀틀재(8)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하향의 집중 하중을 받는다. 이에 의해, 아래로 볼록한 양의 굽힘 모멘트가 마룻귀틀재(8)에 작용한다. 여기서, 마룻귀틀재(8)가 굽힘을 받았을 때, 양단의 보텀 사이드 레일(10)이 변형되어, 마룻귀틀재(8)의 양단은, 핀 지지된 단순 빔과 같이 저항하기 때문에, 마룻귀틀재(8)의 양단에서 위로 볼록한 음의 굽힘 모멘트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어서, 도 2에 기초하여 마룻귀틀재(8)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전후 패널(4)의 면 방향을 X 방향(폭 방향)으로 하고, 측면 패널(3)의 면 방향을 Y 방향(길이 방향)으로 하고, 코너 포스트(5)의 연장 방향을 Z 방향으로 한다. 또한, 마룻귀틀재(8)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단면에서 본 경우에, 내후성 강 등의 강판을 굽힘 가공이나 롤 성형하여 사이드 레일(10) 사이에 연장되는 긴 형상 또한 단면이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룻귀틀재(8)는, 코너 포스트(5)의 연장 방향(상하 방향: Z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웹(11)과, 이 웹(11)의 상단부로부터 보텀 사이드 레일(10)의 연장 방향(측방: Y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측 플랜지(12)와, 상측 플랜지(12)에 대향하고, 웹(11)의 하단부로부터 보텀 사이드 레일(10)의 연장 방향(측방)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측 플랜지(13)와, 코너 포스트(5)의 연장 방향(상하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상측 플랜지(12)의 선단으로부터 하측 플랜지(13)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측 립(1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웹(11)과 상측 플랜지(12)의 접속 부분에는 절곡부(15)가 형성되고, 상측 플랜지(12)와 상측 립(14)의 접속 부분에는 절곡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부(15, 16) 사이에 상측 플랜지(12)의 평탄부(17)가 형성되는 동시에, 절곡부(16)보다도 하단부측에 상측 립(14)의 평탄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웹(11)과 하측 플랜지(13)의 접속 부분에는, 절곡부(19)가 형성되고, 절곡부(15, 19) 사이에 웹(11)의 평탄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곡부(19)보다도 선단측에 하측 플랜지(13)의 평탄부(21)가 형성되고, 이 평탄부(21)의 선단 테두리는, 보텀 사이드 레일(10)의 연장 방향(측방)으로 개방된 개방단부 테두리(22)로 되어 있다.
이러한 마룻귀틀재(8)에 있어서 각 부 치수를 도 2에 도시한 바대로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A: 상측 플랜지(12)의 폭 치수[mm]
a: 상측 플랜지(12)의 평탄부(17)의 폭 치수[mm]
B: 하측 플랜지(13)의 폭 치수[mm]
b: 하측 플랜지(13)의 평탄부(21)의 폭 치수[mm]
H: 웹(11)의 높이 치수[mm]
h1: 상하측 플랜지(12, 13)의 판 두께의 중심간 거리[mm]
h: 웹(11)의 평탄부(20)의 높이 치수[mm]
C: 상측 립(14)의 립 길이[mm]
c: 상측 립(14)의 평탄부(18)의 길이 치수[mm]
t: 판 두께 치수[mm]
R: 절곡부(15, 16, 19)의 판 두께의 중심 반경[mm]
u: 절곡부(15, 16, 19)의 판 두께의 중심축 길이(=πR/2)[mm]
d: 상측 플랜지(12)의 판 두께 중심과 중립축 X의 거리[mm]
또한, 마룻귀틀재(8)에 사용하는 재료의 항복 강도를 F[Mpa]라고 정의한다.
이상의 마룻귀틀재(8)에 있어서, 각 부 치수는, 이하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으로 규정되어 있다.
우선, 상측 플랜지(12)의 평탄부(17)의 폭 치수 a는, 판 두께 치수 t 및 항복 강도 F를 사용하면, 다음 수학식 1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2102773164-pct00005
여기서, 예를 들어 항복 강도 F가 550MPa인 경우, 판 두께 치수 t가 2.1mm이면, 평탄부(17)의 폭 치수 a는, 21.5mm<a≤66.3mm로 된다. 판 두께 치수 t가 2.5mm이면, 평탄부(17)의 폭 치수 a는, 25.6mm<a≤78.9mm로 된다. 또한, 항복 강도 F가 700MPa인 경우, 판 두께 치수 t가 2.1mm이면, 평탄부(17)의 폭 치수 a는, 19.0mm<a≤58.7mm로 된다. 판 두께 치수 t가 2.5mm이면, 평탄부(17)의 폭 치수 a는, 22.7mm<a≤69.9mm로 된다.
즉, 종래의 마룻귀틀재는 상측 립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측 플랜지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학식 1의 좌변 이하로 폭 치수 a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항복 강도 F를 355MPa로 하고 판 두께 치수 t를 4.0mm로 한 경우에, 폭 치수 a가 50mm 정도 이하로 실용적인 치수로 된다. 그러나, 항복 강도 F를 550MPa로 높이고 판 두께 치수 t를 2.5mm로 얇게 하면, 폭 치수 a가 25.6mm 정도 이하로 제한되어, 실용적인 부재 치수를 구성할 수 없기 때문에, 판 두께 치수 t를 얇게 하는 것이 곤란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마룻귀틀재(8)에서는, 상측 립(14)을 형성함으로써, 상측 플랜지(12)의 평탄부(17)의 폭 치수 a를, 수학식 1의 좌변보다도 크고, 또한 우변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항복 강도 F를 550MPa나 700MPa로 높인 경우에도 상측 플랜지(12)의 좌굴을 방지하면서, 판 두께 치수 t를 2.0mm 정도 내지 3.0mm 정도로 얇게 해도, 실용적인 폭 치수 a의 범위에서 마룻귀틀재(8)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하측 플랜지(13)의 폭 치수 B는, 상측 플랜지(12)의 폭 치수 A와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또는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상측 플랜지(12)의 폭 치수 A보다도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2]
Figure 112012102773164-pct00006
또한, 마룻귀틀재(8)의 단면에 있어서의 웹과 직교하는 중립축 X와 상측 플랜지(12)의 판 두께 중심의 거리 d와, 웹(11)의 평탄부(20)의 높이 치수 h의 관계가, 다음 수학식 3을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3]
Figure 112012102773164-pct00007
또한, 거리 d는, 수학식 3을 만족하면 되지만, 다음 수학식 4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수학식 4]
Figure 112012102773164-pct00008
이와 같이 상하측 플랜지(12, 13)의 폭 치수 A, B나 중립축 X와 상측 플랜지(12)의 판 두께 중심의 거리 d를 설정함으로써, 굽힘 하중 시에 있어서 상측 플랜지(12) 및 하측 플랜지(13)의 양쪽을 유효하게 기능시켜 굽힘 내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마룻귀틀재(8)에 있어서의 상측 립(14)의 립 길이(길이 치수) C는, 판 두께 치수 t, 항복 강도 F에 의해, 다음 수학식 5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5]
Figure 112012102773164-pct00009
여기서, 상수 M은, 판 두께 치수 t와 항복 강도 F와 상측 플랜지(12)의 폭 치수 A에 의해, 하기 수학식 6을 사용하여 산출된다.
[수학식 6]
Figure 112012102773164-pct00010
이와 같이 상측 립(14)의 립 길이 C를 설정함으로써, 상측 플랜지(12)의 좌굴을 유효하게 방지함과 함께, 상측 립(14) 자체의 좌굴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소정의 굽힘 내력을 발휘할 때까지 마룻귀틀재(8)의 각 부를 좌굴시키지 않고 유효 단면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마룻귀틀재(8)가 상측 립(14)을 갖고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마룻귀틀재(8)의 항복 강도 F를 높이고, 또한, 판 두께 치수 t를 얇게 한 경우에도, 굽힘 하중 시에 압축측으로 되는 상측 플랜지(12)의 조기의 좌굴을 방지하여 굽힘 하중에 대한 부재 내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측 플랜지(13)는, 굽힘 하중 시에는 인장측으로 되어 좌굴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하측 플랜지(13)가 평탄하게 형성되고 또한 선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하측 플랜지(13) 상면에 물, 먼지, 염분이 저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녹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여 내용연수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부재 내력 및 내용연수를 확보하면서, 마룻귀틀재(8)의 재료 강도를 높이고 부재 단면을 얇게 함으로써 마룻귀틀재(8)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화물용 컨테이너(1) 전체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화물용 컨테이너(1)에 대해, 마룻귀틀재(8)의 부재 내력을 검토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관한 실시예(실시예 1)의 마룻귀틀재(18)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예 2)의 마룻귀틀재(28)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종래예(비교예 1, 2)의 마룻귀틀재(800)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절곡부의 판 두께 중심 반경 R(통상은 R=1.5t 내지 3t 정도)을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재료의 성형성에 따라 적절히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와 비교예의 설명에서는, 절곡부의 판 두께 중심 반경 R을 생략하고 있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폭 치수 a[상측 플랜지(12)의 평탄부(17)의 폭 치수]를 폭 치수 A[상측 플랜지(12)의 폭 치수]로서 설명한다. 절곡부의 판 두께 중심 반경 R을 설정한 경우는, 적절히 폭 치수 A(상측 플랜지 폭 치수)를 폭 치수 a(상측 플랜지의 평탄부의 폭 치수)로 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마룻귀틀재(18, 28, 800)의 내력비 및 단위 중량당 내력비를 비교했다.
〔실시예〕
실시예 1의 마룻귀틀재(18)의 항복 강도 F가 550MPa이며, 판 두께 치수 t가 2.5mm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룻귀틀재(18)의 웹(11)의 높이 치수 H가 122mm이며, 상측 플랜지(12)의 폭 치수 A가 45mm이며, 하측 플랜지(13)의 폭 치수 B가 45mm이며, 상측 립(14)의 립 길이 C가 23mm인 단면을 갖고 있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마룻귀틀재(18)의 상측 플랜지(12)의 폭 치수 A와 하측 플랜지(13)의 폭 치수 B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실시예 2의 마룻귀틀재(28)의 항복 강도 F가 550MPa이며, 판 두께 치수 t가 2.5mm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룻귀틀재(28)의 웹(11)의 높이 치수 H가 122mm이며, 상측 플랜지(12)의 폭 치수 A가 45mm이며, 하측 플랜지(13)의 폭 치수 B가 60mm이며, 상측 립(14)의 립 길이 C가 23mm인 단면을 갖고 있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마룻귀틀재(28)의 상측 플랜지(12)의 폭 치수 A보다도 하측 플랜지(13)의 폭 치수 B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때, 실시예 1에서는, 상측 플랜지(12)의 폭 치수 A와 하측 플랜지(13)의 폭 치수 B가 동일하기 때문에, 마룻귀틀재(18)의 중립축 X가 웹(11)의 중간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실시예 2에서는, 상측 플랜지(12)의 폭 치수 A보다도 하측 플랜지(13)의 폭 치수 B가 크기 때문에, 마룻귀틀재(28)의 중립축 X가 웹의 중간 위치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비교예〕
비교예 1, 2의 마룻귀틀재(8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웹(811)의 높이 치수 H가 122mm이며, 상측 플랜지(812)의 폭 치수 A가 45mm이며, 하측 플랜지(813)의 폭 치수 B가 45mm이며, 상측 립을 구비하지 않고, 단면이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비교예 1로서, 항복 강도 F가 355MPa이며, 판 두께 치수 t가 4.0mm이다. 비교예 2로서, 항복 강도 F가 550MPa이며, 판 두께 치수 t가 2.5mm이다. 비교예로서, 이 비교예 1, 2를 사용했다. 여기서, 비교예의 마룻귀틀재(800)에 있어서, 상측 플랜지(812)의 폭 치수 A(=45mm)는, 비교예 1에서는, 수학식 1의 좌변(240t/(√F)=51mm) 미만이기 때문에, 수학식 1을 만족하지 않는다. 비교예 2에서는, 상측 플랜지(812)의 폭 치수 A(=45mm)는, 수학식 1의 좌변(240t/(√F)=25.6mm)을 초과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예 1의 마룻귀틀재(800)는, 상측 플랜지(812)가 항복 강도 F에 도달하는 것보다도 먼저 좌굴되지 않고, 비교예 2의 마룻귀틀재(800)는, 상측 플랜지(812)가 항복 강도 F보다도 작은 응력으로 좌굴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도 6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내력비 및 단위 중량당 내력비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비교예 1의 굽힘 내력과 단위 중량당 내력을 1로 하여, 내력비와 단위 중량당 내력비를 나타낸다.
비교예 2의 마룻귀틀재(800)는, 항복 강도 F가 550MPa로 고강도화되고, 또한 판 두께 치수 t가 2.5mm로 얇은 점에서, 단위 중량당 내력비로서는 비교예 1의 마룻귀틀재(800)를 상회하고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플랜지(812)가 좌굴된다. 이에 의해, 비교예 1의 마룻귀틀재(800)보다도 내력이 80% 이하 정도로 저하된다.
실시예 1의 마룻귀틀재(18)는, 비교예 2의 마룻귀틀재(800)와 마찬가지로, 항복 강도 F가 550MPa로 고강도화되고, 또한 판 두께 치수 t가 2.5mm로 얇지만, 상측 립(14)을 형성한 상측 플랜지(12)가 좌굴되지 않아, 비교예 2와 같은 내력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다. 즉, 비교예 1의 마룻귀틀재(800)와 동등 이상의 내력을 발휘하고, 또한 단위 중량당 내력이 상승하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실시예 2의 마룻귀틀재(28)는, 하측 플랜지(13)의 폭 치수 B를 크게 하여 단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웹과 직교하는 중립축 X의 위치가 웹(11)의 중간에 접근하여, 굽힘 하중 시에 압축측으로 되는 상측 플랜지의 강도와, 굽힘 하중 시에 인장측으로 되는 하측 플랜지의 강도의 밸런스를 잡을 수 있어, 실시예 1보다도 내력이 상승하고, 또한 단위 중량당 내력도 상승하는 것을 알았다.
이어서, 표 1-1 내지 표 4-2에 나타내는 형상의 마룻귀틀재(18, 28)에 있어서, 중립축 X의 위치[상측 플랜지(12)의 판 두께 중심과 중립축 X의 거리 d]에 의한 내력의 변화를 검토했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9는, 마룻귀틀재(18, 28)에 관한 검토 결과의 그래프이며, 도 7은 표 1-1 내지 표 2-2를 그래프로 하고, 도 8은 표 3-1, 3-2를 그래프로 하고, 도 9는 표 4-1, 4-2를 그래프로 했다. 각각 대응한 마룻귀틀재(18, 28)에 관한 검토 결과의 그래프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의 각그래프에서는, 중립축 X의 위치가 웹(11)의 높이 방향의 중앙, 즉 상측 플랜지(12)의 판 두께 중심과 중립축 X의 거리 d가 상하 플랜지(12, 13)의 판 두께 중심간 거리 h1의 1/2로 되는 경우의 내력으로 기준화하고 있다.
[표 1-1]
Figure 112012102773164-pct00011
[표 1-2]
Figure 112012102773164-pct00012
[표 2-1]
Figure 112012102773164-pct00013
[표 2-2]
Figure 112012102773164-pct00014
[표 3-1]
Figure 112012102773164-pct00015
[표 3-2]
Figure 112012102773164-pct00016
[표 4-1]
Figure 112012102773164-pct00017
[표 4-2]
Figure 112012102773164-pct00018
도 7 내지 도 9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웹(11)의 높이 방향의 중앙에 중립축 X가 위치하는 경우(d/h1=0.5)에 내력이 극대가 되고, d/h1이 0.5보다 크거나, 혹은 작아지면 내력이 저하되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극대 내력의 90% 정도 이상의 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중립축 X 위치의 범위는, 상기 수학식 3으로 되고, 극대 내력의 95% 정도 이상의 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중립축 X 위치의 범위는, 상기 수학식 4로 되는 것을 알았다.
또한, 반대로, 하측 플랜지(13)의 폭 치수 B를 조절하여 수학식 3이나 수학식 4의 중립축 X 위치로 하기 위해서는, 평탄부(21)의 폭 치수 b가 이하의 수학식 3' 또는 수학식 4'를 만족하면 된다. 또한, 식 중의 g(d)는, 수학식 7로 표현되는 d의 함수이다.
[수학식 3']
Figure 112012102773164-pct00019
[수학식 4']
Figure 112012102773164-pct00020
[수학식 7]
Figure 112012102773164-pct00021
이상과 같이, 수학식 3 또는 수학식 3'를 만족함으로써, 극대 내력의 90% 정도 이상의 내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4 또는 수학식 4'를 만족함으로써, 극대 내력의 95% 정도 이상의 내력을 확보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판 두께를 얇게 해도 굽힘 내력을 유지하고, 마룻귀틀재(18,28)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구성 등을 포함하고, 이하에 기재한 바와 같은 변형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마룻귀틀재(8, 18, 28)에 사용하는 재료의 항복 강도 F로서 550MPa나 700MPa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항복 강도 F로서는, 550MPa 내지 700MPa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항복 강도 F는 규격 강도에 한하지 않고, 실상의 강도에 따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마룻귀틀재(8, 18, 28)의 판 두께 치수 t를 전체 단면 일정한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마룻귀틀재의 부위에 따라 판 두께 치수가 변화하는 단면을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굽힘 가공이나 롤 성형에 의해 마룻귀틀재(8, 18, 28)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복수의 판재를 조립하여 용접 접합함으로써 마룻귀틀재를 형성해도 좋다.
그 외,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구성, 방법 등은, 이상의 기재에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특정한 실시 형태에 관하여 특별히 도시되고, 또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원하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형상, 재질, 수량, 그 밖의 상세한 구성에 있어서, 당업자가 여러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한 형상, 재질 등을 한정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기재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러한 형상, 재질 등의 한정의 일부 혹은 전부의 한정을 제외한 부재의 명칭에 의한 기재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1: 화물용 컨테이너
2: 바닥 팔레트
3: 측면 패널
4: 전후 패널
5: 코너 포스트
6: 코너 피팅
7: 천장면 패널
8, 18, 28: 마룻귀틀재
9: 바닥면재
10: 보텀 사이드 레일
11: 웹
12: 상측 플랜지
13: 하측 플랜지
14: 상측 립
17, 21: 평탄부
X: 중립축

Claims (9)

  1. 직사각 형상의 바닥 팔레트와,
    이 바닥 팔레트의 4변으로부터 상승되는 한 쌍의 측면 패널 및 한 쌍의 전후 패널과,
    상기 바닥 팔레트의 코너부에 세워 설치되고, 상기 측면 패널 및 전후 패널의 각 측부 테두리부에 접속되는 코너 포스트와,
    상기 측면 패널 및 전후 패널 상측 테두리부에 접속하여 설치된 천장면 패널을 구비한 화물용 컨테이너이며,
    상기 한 쌍의 측면 패널의 각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한 쌍의 보텀 사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 팔레트가, 상기 한 쌍의 보텀 사이드 레일 사이에 걸쳐 설치된 복수개의 마룻귀틀재와, 이들 마룻귀틀재 위에 설치된 바닥면재를 갖고,
    상기 마룻귀틀재를 평단면에서 본 경우에,
    상기 코너 포스트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웹과, 이 웹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보텀 사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측 플랜지와, 이 상측 플랜지에 대향하여 상기 웹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보텀 사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측 플랜지와, 상기 코너 포스트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상측 플랜지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립을 갖고,
    또한, 상기 마룻귀틀재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플랜지의 평탄부의 폭 치수 a가, 판 두께 치수 t와 재료의 항복 강도 F에 의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수학식 1]
    Figure 112014030134886-pct00035

    여기서, 폭 치수 a의 단위는 mm이며, 판 두께 치수 t의 단위는 mm이며, 항복 강도 F의 단위는 MPa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룻귀틀재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플랜지의 폭 치수가, 상기 상측 플랜지의 폭 치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룻귀틀재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웹과 직교하는 중립축과 상기 상측 플랜지의 판 두께 중심의 거리 d와, 상기 웹의 평탄부의 높이 치수 h의 관계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수학식 2]
    Figure 112014030134886-pct00036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룻귀틀재에 있어서, 판 두께 치수 t와 재료의 항복 강도 F와 상측 플랜지의 폭 치수 A에 의해 상수 M을 하기 수학식 3을 사용하여 산출한 경우,
    상기 마룻귀틀재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상측 립의 길이 치수 C가, 상기 상수 M과 상기 판 두께 치수 t와 상기 재료의 항복 강도 F에 의해, 하기 수학식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수학식 3]
    Figure 112014030134886-pct00024

    [수학식 4]
    Figure 112014030134886-pct00025

    여기서, 판 두께 치수 t의 단위는 mm이며, 항복 강도 F의 단위는 MPa이며, 상측 플랜지의 폭 치수 A의 단위는 mm이다.
  5. 직사각 형상의 바닥 팔레트와,
    이 바닥 팔레트의 4변으로부터 상승되는 한 쌍의 측면 패널 및 한 쌍의 전후 패널과,
    상기 바닥 팔레트의 코너부에 세워 설치되고, 상기 측면 패널 및 전후 패널의 각 측부 테두리부에 접속되는 코너 포스트와,
    상기 측면 패널 및 전후 패널 상측 테두리부에 접속하여 설치된 천장면 패널을 구비한 화물용 컨테이너이며,
    상기 한 쌍의 측면 패널의 각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한 쌍의 보텀 사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 팔레트가, 상기 한 쌍의 보텀 사이드 레일 사이에 걸쳐 설치된 복수개의 마룻귀틀재와, 이들 마룻귀틀재 위에 설치된 바닥면재를 갖고,
    상기 마룻귀틀재를 평단면에서 본 경우에,
    상기 코너 포스트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웹과, 이 웹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보텀 사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측 플랜지와, 이 상측 플랜지에 대향하여 상기 웹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보텀 사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측 플랜지와, 상기 코너 포스트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상측 플랜지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립을 갖고,
    또한, 상기 마룻귀틀재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웹과 직교하는 중립축과 상기 상측 플랜지의 판 두께 중심의 거리 d와, 상기 웹의 평탄부의 높이 치수 h의 관계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수학식 2]
    Figure 112014030134886-pct00037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룻귀틀재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플랜지의 폭 치수가, 상기 상측 플랜지의 폭 치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룻귀틀재에 있어서, 판 두께 치수 t와 재료의 항복 강도 F와 상측 플랜지의 폭 치수 A에 의해 상수 M을 하기 수학식 3을 사용하여 산출한 경우,
    상기 마룻귀틀재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상측 립의 길이 치수 C가, 상기 상수 M과 상기 판 두께 치수 t와 상기 재료의 항복 강도 F에 의해, 하기 수학식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수학식 3]
    Figure 112014030134886-pct00038

    [수학식 4]
    Figure 112014030134886-pct00039

    여기서, 판 두께 치수 t의 단위는 mm이며, 항복 강도 F의 단위는 MPa이며, 상측 플랜지의 폭 치수 A의 단위는 mm이다.
  8. 직사각 형상의 바닥 팔레트와,
    이 바닥 팔레트의 4변으로부터 상승되는 한 쌍의 측면 패널 및 한 쌍의 전후 패널과,
    상기 바닥 팔레트의 코너부에 세워 설치되고, 상기 측면 패널 및 전후 패널의 각 측부 테두리부에 접속되는 코너 포스트와,
    상기 측면 패널 및 전후 패널 상측 테두리부에 접속하여 설치된 천장면 패널을 구비한 화물용 컨테이너이며,
    상기 한 쌍의 측면 패널의 각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한 쌍의 보텀 사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 팔레트가, 상기 한 쌍의 보텀 사이드 레일 사이에 걸쳐 설치된 복수개의 마룻귀틀재와, 이들 마룻귀틀재 위에 설치된 바닥면재를 갖고,
    상기 마룻귀틀재를 평단면에서 본 경우에,
    상기 코너 포스트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웹과, 이 웹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보텀 사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측 플랜지와, 이 상측 플랜지에 대향하여 상기 웹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보텀 사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측 플랜지와, 상기 코너 포스트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상측 플랜지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립을 갖고,
    또한, 상기 마룻귀틀재에 있어서, 판 두께 치수 t와 재료의 항복 강도 F와 상측 플랜지의 폭 치수 A에 의해 상수 M을 하기 수학식 3을 사용하여 산출한 경우,
    상기 마룻귀틀재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상측 립의 길이 치수 C가, 상기 상수 M과 상기 판 두께 치수 t와 상기 재료의 항복 강도 F에 의해, 하기 수학식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수학식 3]
    Figure 112014030134886-pct00040

    [수학식 4]
    Figure 112014030134886-pct00041

    여기서, 판 두께 치수 t의 단위는 mm이며, 항복 강도 F의 단위는 MPa이며, 상측 플랜지의 폭 치수 A의 단위는 mm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룻귀틀재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플랜지의 폭 치수가, 상기 상측 플랜지의 폭 치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컨테이너.
KR1020127032380A 2010-05-14 2011-03-01 화물용 컨테이너 KR101463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12491 2010-05-14
JPJP-P-2010-112491 2010-05-14
PCT/JP2011/054603 WO2011142161A1 (ja) 2010-05-14 2011-03-01 貨物用コンテ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754A KR20130028754A (ko) 2013-03-19
KR101463676B1 true KR101463676B1 (ko) 2014-11-19

Family

ID=4491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380A KR101463676B1 (ko) 2010-05-14 2011-03-01 화물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932969B2 (ko)
KR (1) KR101463676B1 (ko)
CN (2) CN202244797U (ko)
TW (1) TWI498263B (ko)
WO (1) WO20111421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2969B2 (ja) * 2010-05-14 2012-05-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貨物用コンテナ
JP6125249B2 (ja) * 2013-01-31 2017-05-10 日野自動車株式会社 Iso規格に準拠するコンテナ
JP7107652B2 (ja) * 2016-08-24 2022-07-27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JP6587331B1 (ja) * 2019-01-30 2019-10-09 愛宕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オープントップコンテナ
CN111177865B (zh) * 2019-12-25 2023-11-28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舰船上方舱舱体的结构计算系统及设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0590A (ja) * 1995-05-16 1996-11-26 Nippon Furuhaafu Kk クロスメンバーの上部フランジ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254A (en) * 1906-04-05 1907-12-31 Parish Mfg Company Automobile frame member.
JPS58194185U (ja) * 1982-06-21 1983-12-23 日本フルハ−フ株式会社 海上コンテナの床根太構造
CN2148241Y (zh) * 1993-01-20 1993-12-01 张立奇 改进的轻量唇槽形钢
JP2004276936A (ja) * 2003-03-13 2004-10-07 Nippon Trex Co Ltd コンテナ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37682B2 (ja) * 2003-09-29 2010-09-0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薄板軽量形鋼造用リップ付き形鋼
CN101585441B (zh) * 2008-05-23 2012-07-25 胜狮货柜技术研发(上海)有限公司 集装箱底架
JP4932969B2 (ja) * 2010-05-14 2012-05-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貨物用コンテ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0590A (ja) * 1995-05-16 1996-11-26 Nippon Furuhaafu Kk クロスメンバーの上部フランジ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98263B (zh) 2015-09-01
JP4932969B2 (ja) 2012-05-16
TW201144188A (en) 2011-12-16
CN102249053B (zh) 2013-07-31
KR20130028754A (ko) 2013-03-19
JPWO2011142161A1 (ja) 2013-07-22
CN102249053A (zh) 2011-11-23
CN202244797U (zh) 2012-05-30
WO2011142161A1 (ja)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676B1 (ko) 화물용 컨테이너
US10336371B2 (en) Impact absorbing member
US10807615B2 (en) Covered hopper car
CA2598231C (en) Bulk materials container
US11702115B2 (en) Reinforced railcar side stake
RU2345918C1 (ru) Полувагон из алюминиевых сплавов
KR102071075B1 (ko) 코일들과 같은 원통형 화물 물품들을 수송하기 위한 컨테이너형 화물 수송 유닛
WO2004052755A1 (en) Container
RU171455U1 (ru) Хребтовая балка грузового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лувагона с разгрузочными люками
US20150368035A1 (en) Intermodal shipping container box
US20200406938A1 (en) Covered hopper car
RU173628U1 (ru) Стена торцева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лувагона
RU2262458C1 (ru) Рам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платформы 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ая платформа с такой рамой
RU66291U1 (ru) Рама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платформы
RU176425U1 (ru) Стена торцева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лувагона
RU116817U1 (ru) Кузов полувагона с металлическим настилом пола
KR101354829B1 (ko) 화물용 컨테이너
RU2341389C2 (ru) Стена кузова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боковая и/или торцевая
CN213473319U (zh) 一种铝木结构轻型栏板箱
JP3226071U (ja) 貨物輸送用ラック
RU174428U1 (ru) Полувагон
GB2576352A (en) Cargo container flat side wall
AU2004100514A4 (en) Improved freight container
RU90748U1 (ru) Стойк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платформы
AU2011101571A4 (en) Intermodal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