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990B1 - 인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990B1
KR101462990B1 KR1020110136379A KR20110136379A KR101462990B1 KR 101462990 B1 KR101462990 B1 KR 101462990B1 KR 1020110136379 A KR1020110136379 A KR 1020110136379A KR 20110136379 A KR20110136379 A KR 20110136379A KR 101462990 B1 KR101462990 B1 KR 101462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apparatus
wireless power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921A (ko
Inventor
원윤재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990B1/ko
Priority to PCT/KR2012/010848 priority patent/WO2013089458A1/ko
Publication of KR2013006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 인체를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인체가 검출된 위치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력을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주위에 존재하는 인체를 검출하는 인체 검출부와, 인체의 위치와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인체까지의 거리에 따른 수신 전력을 기반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가 송신하는 출력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력 조절부와, 상기 전력 조절부에 의해 크기가 조절된 상기 출력 전력을 상기 무선 충전기기로 전송하는 코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minimizing effect on human body}
본 발명은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무선 전력전송을 위한 자기장 발생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무선 전력 전송 기술로서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전동칫솔 또는 무선 면도기 등이 전자기 유도의 원리로 충전되며, 최근에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휴대전화나 PDA, MP3 플레이어,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코일에서 다른 코일로 자기장을 통해 전류를 유도하는 자기유도 방식은 코일 사이의 거리 및 상대적 위치에 매우 민감하여 두 코일 사이의 거리가 약간 떨어지거나 틀어져도 전송 효율이 급속히 떨어진다. 이에 따라 이러한 자기유도 방식의 충전 시스템은 수 cm 이하의 근거리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약점이 있다.
한편, 미국특허 7,741,735호에서는 공진장의 감쇄파 결합에 기반을 둔 비방사형 에너지 전달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두 개의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공진체가 주위의 다른 비공진체와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서로 커플링하려는 경향을 가지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기존의 전자기 유도에 비하여 먼 거리까지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로서 소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기공진유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전력전송 기술에서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먼 거리까지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지만, 이에 따라 무선 전력전송 장치와 무선 전력수신 장치 사이에 존재하는 물체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인체가 무선 전력전송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전송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무선 전력전송을 위한 자기장 발생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무선 전력전송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인체를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인체가 검출된 위치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력을 송신한다.
즉,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외부의 무선 충전기기로 자기공진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서,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 주위에 존재하는 인체를 검출하는 인체 검출부와, 인체의 위치와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인체까지의 거리에 따른 수신 전력을 기반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가 송신하는 출력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력 조절부와, 상기 전력 조절부에 의해 크기가 조절된 상기 출력 전력을 상기 무선 충전기기로 전송하는 코일을 포함한다.
상기 판단부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인체까지의 거리와 상기 거리에 따른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력 크기를 미리 저장해 둔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서로 다른 송신 파워 레벨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앰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조절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두 개 이상의 앰프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출력 전력이 증폭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출력 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체 검출부에 의하여 둘 이상의 인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판단부는 상기 둘 이상의 인체 중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인체를 기준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전력전송 방법은, 외부의 무선 충전기기로 자기공진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전력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 구비된 인체 검출 센서가 동작하여 인체의 존재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하는 단계의 감지 결과 인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인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상기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출력 전력이 상기 상기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출력 전력을 넘지 않도록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출력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와, 조절된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출력 전력을 상기 무선 충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출력 전력과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최대 출력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출력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출력 전력이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최대 출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출력 전력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인체를 검출하여, 인체가 검출된 위치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력만을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무선 전력전송에 따른 인체에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의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서 거리에 따른 수신전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와 다수의 무선 충전기기(200_1, 200_2, .., 200_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는 자기공진유도 방식을 통해 무선으로 무선 충전기기(200_1, 200_2, .., 200_N)에 전력을 공급하며, 충전 베이스 스테이션이라고 하기도 한다.
무선 충전기기(200_1, 200_2, .., 200_N)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와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는 무선 충전기기(200_1, 200_2, .., 200_N)와 통신하여 무선 충전기기의 식별정보, 종류, 위치, 또는 충전상태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기기(200_1, 200_2, .., 200_N)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충전 정보를 바탕으로 무선 충전기기(200_1, 200_2, .., 200_N)로 자기공진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한다.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고정형으로 구현될 경우 실내에서는 천장이나 테이블 등의 가구 등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에서는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역 등에 임플란트 형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가 차량이나 기차, 지하철과 같은 이동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가 이동형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 자체가 별도의 이동형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노트북 컴퓨터의 덮개 등과 같이 다른 디지털 기기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충전기기(200_1, 200_2, .., 200_N)는 각종 모바일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 배터리를 구비하는 모든 디지털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중, 수중, 건물 내부 등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센서 및 계측기 등의 전자기기가 될 수도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서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와 무선 충전기기(200_1, 200_2, .., 200_N)가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와 무선 충전기기(200_1, 200_2, .., 200_N) 사이에 인체(300_1, 300_2)가 위치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서는 무선 전력전송 반경 내에 인체가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인체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출력을 조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의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는 무선 전력전송 반경 내에 위치하는 인체를 검출하는 인체 검출부(110)와, 인체의 위치와 거리에 따른 수신 전력을 기반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는 판단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의 전력 공급원(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140)와 무선 전력전송 반경 내에 인체가 위치할 경우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전력 변환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 조절부(150)를 포함하며, 판단부(120), 전력 변환부(140), 및 전력 조절부(150)와 연결되어 이들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130)를 포함한다. 전력 조절부(150)에 의하여 출력이 조절된 전력은 코일(160)을 통하여 자기공진유도 방식을 이용해 무선 충전기기(200_1, 200_2, .., 200_N)로 전송된다.
인체 검출부(110)는 인체의 존재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적외선 센서, 움직임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인체를 검출하는 방법은 인체 검출 수단으로 무엇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가장 가까운 사람을 기준으로 하여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단부(120)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력을 룩업 테이블(lookup table)과 같은 형태로 저장하여 두고, 인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인체의 위치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수신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은 물리적 실험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통상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신 전력은 감소하게 되므로(도 3의 그래프 참조), 인체가 검출된 위치가 멀수록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가 전송할 수 있는 출력은 커지게 된다.
룩업 테이블은 예를 들면 다음의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인체 검출 위치 최대 출력 전력
10cm 0.016W
20cm 0.089W
30cm 0.246W
40cm 0.505W
50cm 0.883W
60cm 1.394W
70cm 2.049W
80cm 2.826W
90cm 3.842W
1m 5W
한편, 전력 조절부(150)는 판단부(120)의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출력 전력을 제어한다. 전력 조절부(150)가 출력 전력을 조절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자체를 조절하거나, 공진부(코일)에서 송신 전력을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일정한 출력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을 사용하면서(DC 전압조절), 구형파의 duty 조절, 서로 다른 송신 파워 레벨을 갖는 다수의 앰프, 감쇄기 등을 구비하여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에 구비된 인체 검출 센서가 동작하여(S410), 인체의 존재를 감지한다(S420).
감지 결과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420의 "아니오"), 출력 전력을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바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S470).
이에 비하여, 인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420의 "예),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로부터 인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S430).
다음,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로부터 인체까지의 거리와 인체 유해성 데이터(예를 들면,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력)를 미리 저장해 둔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출력 전력을 계산한다(S440).
S440 단계에서 계산된 출력 전력을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의 최대전력과 비교하여 계산된 출력 전력이 최대 전력 이상인 경우(S450의 "아니오")에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의 전력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그대로 충전을 수행하면 된다(S470).
반대로, S440 단계에서 계산된 출력 전력이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의 최대전력보다 작은 경우(S450의 "예")에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의 출력 전력이 S440 단계에서 계산된 출력 전력을 넘지 않도록 출력 전력을 조절하고(S460), 조절된 출력 전력으로 충전을 수행한다(S470).
한편,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의 설치 환경이 지중시설물 등을 충전하기 위하여 지중으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인체의 존재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가 인체 유해 여부를 고려하여야 하는 모드와 인체 유해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두 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두 가지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전력전송 장치와 인체 및 무선 충전기기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출력전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가 무선 충전기기 N(200_N)에 대해서만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인체(300_1, 300_2)가 무선 충전기기 N(200_N)에 비하여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에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지만, 무선 전력전송 장치(100)가 무선 충전기기 N(200_N) 방향으로만 전력을 전송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면 인체(300_1, 300_2)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 빔포밍과 유사한 기술을 이용하여 충전 대상 무선 충전기기 방향으로만 전력을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반드시 상술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무선 전력전송 장치 200_1, 200_2, 200_N: 무선 충전기기
300_1, 300_2: 인체 110: 인체 검출부
120: 판단부 130: 중앙 처리부
140: 전력 변환부 150: 전력 조절부
160: 코일 10: 전력 공급원

Claims (8)

  1. 외부의 무선 충전기기로 자기공진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서,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 주위에 존재하는 인체의 유무 또는 그 위치를 검출하는 인체 검출부와,
    인체의 위치와 상기 인체의 위치에 부하가 존재할 때 상기 부하가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전력의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가 송신하는 출력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력 조절부와,
    상기 전력 조절부에 의해 크기가 조절된 상기 출력 전력을 상기 무선 충전기기로 전송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인체까지의 거리와 상기 거리에 따른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력 크기를 미리 저장해 둔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송신 파워 레벨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앰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 조절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두 개 이상의 앰프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출력 전력이 증폭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출력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검출부에 의하여 둘 이상의 인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판단부는 상기 둘 이상의 인체 중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인체를 기준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5. 외부의 무선 충전기기로 자기공진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전력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에 구비된 인체 검출 센서가 동작하여 인체의 존재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하는 단계의 감지 결과 인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체 검출 센서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인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상기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출력 전력이 상기 상기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출력 전력을 넘지 않도록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출력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와,
    조절된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출력 전력을 상기 무선 충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전력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출력 전력과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최대 출력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출력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출력 전력이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최대 출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출력 전력을 조절하는 것인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전력전송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서로 다른 송신 파워 레벨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앰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출력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두 개 이상의 앰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두 개 이상의 앰프 중 선택된 하나에 의하여 상기 출력 전력을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전력전송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력전송 장치로부터 인체까지의 거리와 상기 거리에 따른 인체에 무해한 범위의 전력 크기를 미리 저장해 둔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것인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전력전송 방법.

KR1020110136379A 2011-12-16 2011-12-16 인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462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379A KR101462990B1 (ko) 2011-12-16 2011-12-16 인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PCT/KR2012/010848 WO2013089458A1 (ko) 2011-12-16 2012-12-13 인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379A KR101462990B1 (ko) 2011-12-16 2011-12-16 인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921A KR20130068921A (ko) 2013-06-26
KR101462990B1 true KR101462990B1 (ko) 2014-11-18

Family

ID=4861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379A KR101462990B1 (ko) 2011-12-16 2011-12-16 인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2990B1 (ko)
WO (1) WO20130894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713B1 (ko) 2013-08-13 202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US9495567B2 (en) 2013-12-30 2016-11-15 Verily Life Sciences Llc Use of a tag and reader antenna for a simulated theremin effect
US9973238B2 (en) 2013-12-30 2018-05-15 Verily Life Sciences, LLC Methods for adjusting the power of an external reader
US9818005B2 (en) 2014-06-13 2017-11-14 Verily Life Sciences Llc Zero-power wireless device programming
US9400904B2 (en) 2014-06-13 2016-07-26 Verily Life Sciences Llc System for aligning a handheld RFID reader
US10675980B2 (en) 2015-09-04 2020-06-09 Intel Corporatio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with controlled power level adjustment
US10486538B2 (en) * 2015-11-02 2019-11-26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Electromagnetic field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KR102489752B1 (ko) * 2016-01-05 202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688874B2 (en) 2016-06-14 2020-06-23 Intel Corporation Vehicular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CN107465276A (zh) * 2017-08-05 2017-12-12 常州瑞神安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充电线圈定位设备
CN107332311A (zh) * 2017-08-05 2017-11-07 常州瑞神安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体内植入医疗设备无线充电系统
KR102574899B1 (ko) * 2018-05-15 2023-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객체의 근접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될 무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2787418B (zh) * 2019-11-04 2023-11-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充电发射器、无线充电方法
KR102386094B1 (ko) * 2020-03-31 2022-04-14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파 무선전력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0139A (ja) 2008-03-28 2009-10-15 Yamatake Corp 無線電力配電システム
KR20110014641A (ko) * 2008-05-13 2011-02-1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기구들 및 장비들에 대한 무선 전력 전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36B2 (ja) * 1993-03-10 1996-01-3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
JP5296588B2 (ja) * 2009-03-30 2013-09-25 アズビル株式会社 無線電力配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0139A (ja) 2008-03-28 2009-10-15 Yamatake Corp 無線電力配電システム
KR20110014641A (ko) * 2008-05-13 2011-02-1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기구들 및 장비들에 대한 무선 전력 전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921A (ko) 2013-06-26
WO2013089458A1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990B1 (ko) 인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US1033335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rrangement and control of wireless power transfer and receiving
KR101243587B1 (ko) 무접점 충전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JP5921625B2 (ja) 無線充電のための適応型電力制御
KR101350309B1 (ko) 특정 무선 충전기기로 송신전력을 집중할 수 있는 무선 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US9257856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680336B2 (en) Wireless power repeater and method thereof
KR20210157384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코일 위치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EP3347966B1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CN108695997B (zh) 输电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KR20160051497A (ko)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의 전력 전송 커버리지 제어 장치 및 방법
US98317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KR20210100213A (ko) 무선 전력 전달
KR101866920B1 (ko) 무인 이동형 및 고정형 무선 전원 공급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
US11322987B2 (en)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reless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and electric power transmission method
KR101805930B1 (ko) 안테나 자세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10170933B2 (en) Non-contact type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non-contact type power supplying method
KR20150050142A (ko) 전자 기기
KR20200102781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20190148967A1 (en) Wireless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KR20140071047A (ko)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95411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210034282A (ko) 효율적인 무선 전력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JP5966822B2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US20130082649A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002

Effective date: 201408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