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442B1 -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 Google Patents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442B1
KR101462442B1 KR1020130101214A KR20130101214A KR101462442B1 KR 101462442 B1 KR101462442 B1 KR 101462442B1 KR 1020130101214 A KR1020130101214 A KR 1020130101214A KR 20130101214 A KR20130101214 A KR 20130101214A KR 101462442 B1 KR101462442 B1 KR 101462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e
shaft
body case
cutting
chamf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1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태균
Original Assignee
육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태균 filed Critical 육태균
Priority to KR1020130101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26D3/169Hand held tube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2007/013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the work being tubes, rods or lo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수동핸들을 돌리는 간단한 방법으로 합성수지관의 절단 및 면취가공을 단일공정으로 수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파이프 가공장치는 파이프의 절단공정이 완료된 후 별도의 면취기를 이용하여 절단면을 면취가공하는 별도의 면취공정을 추가로 시행하여야만 함으로써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작업시간이 많이 걸려 공기가 지연되며, 공사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수동핸들의 회전조작에 따라 다수의 바이트가 장착된 바이트 홀더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바이트 홀더의 외측에 끼워진 바이트 가압슬라이더는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바이트를 합성수지관의 중심부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합성수지관에 바이트가 접촉하면서 한꺼번에 절단 및 면취가공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cutting and beveller for one stop synthetic resins pipe}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수동핸들을 돌리는 간단한 방법으로 합성수지관의 절단 및 면취가공을 단일공정으로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하수도관의 재질은 종래의 콘크리트와 주철관, 강관 등에서 환경 오염과 인체 유해성, 관리 유지 등의 문제로 합성수지 파이프와 겸용되거나 대체가 이루어지는 추세이며, 이를 뒷받침하는 한국 상하수도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2011년 상수도관 중 합성수지의 비율은 32%를 초과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관을 배관하기 위해서는 수(+)파이프를 암(-)파이프의 편수에 삽입해야 하는데 암(-)파이프의 편수에는 파이프의 이탈과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이 있어 수(+)파이프의 삽입이 쉽지 않아, 상기 수(+)파이프의 끝단을 절단 후 경사면으로 면취 가공함으로써 더욱 쉬운 삽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해주어야만 한다.
그러나 현재에는 이를 위한 마땅한 전용장비가 없어 쇠톱이나 그라인더, 기타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절단 및 면취 작업을 각각 구분하여 수행함으로써 매우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특히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현장에서는 쇠톱과 줄로 절단 및 면취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과 결과물의 완성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상기한 합성수지관의 절단 및 면취가공을 한꺼번에 단일공정으로 수행하는 장비는 현재까지 전무하며, 그나마 합성수지관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절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선행기수로는 「특허등록 제966612호, 명칭/ 파이프 절단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파이프가 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파이프의 상측을 가압하는 설치판에 가압커터가 형성됨으로써 파이프의 고정 및 절단을 동시에 진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여타 모든 파이프 가공장치는 파이프의 절단공정이 완료된 후 별도의 면취기를 이용하여 절단면을 면취가공하는 별도의 면취공정을 추가로 시행하여야만 함으로써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작업시간이 많이 걸려 공기가 지연되며, 공사비가 높아지는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절단 및 면취가공을 동시에 원스톱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용장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핸들의 회전조작에 따라 다수의 바이트가 장착된 바이트 홀더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바이트 홀더의 외측에 끼워진 바이트 가압슬라이더는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바이트를 합성수지관의 중심부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합성수지관에 바이트가 접촉하면서 한꺼번에 절단 및 면취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체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수동핸들과 연결된 원동축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원동축에 형성된 제1 원동기와 치합되는 제1 아이들기어가 일측에 형성된 동력인출축을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 설치하며, 상기 제1 아이들기어와 치합 설치된 제2 아이들기어와 치합되는 제1 종동기어가 형성된 바이트 홀더를 상기 본체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바이트 홀더의 중앙을 관통하여 본체 케이스의 전면에 클램프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바이트 홀더의 외측에는 본체케이스에 부착된 가이드관을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에는 일측 내주면에 제1 가압경사면이 형성된 바이트 가압슬라이더를 끼움 설치하고, 상기 동력인출축의 타측에 결합된 제2 원동기어는 상기 바이트 가압슬라이드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된 제2 종동기어와 치합 설치하며, 상기 바이트 홀더의 일측 선단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홈에는 각각 바이트를 삽입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조합을 통해 수동핸들의 조작에 필요한 힘을 최소화 함으로써 무전력 상태에서 인력만으로도 손쉬운 작업이 가능하고, 상기 바이트 가압슬라이더는 바이트를 합성수지관의 중심부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원스톱으로 절단과 면취 가공을 동시에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단 및 면취가공을 단일공정으로 신속하게 수행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이 향상됨은 물론 작업의 완성도를 높이고, 신속한 작업으로 공기단축 및 공사비의 절감을 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어 있던 기존 작업과 달리 안전한 수동핸들의 조작만으로 절단 및 면취가공이 가능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장비를 이용하여 절단 및 면취가공을 복합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절단기와 별도의 면취기를 이중으로 구비함에 따른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면서도 점유면적이 작아 작업공간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며, 장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절단 및 면취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절단 및 면취장치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단 및 면취장치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이트 홀더, 가이드관, 바이트 가압슬라이더, 제2 원동기어 및 바이트의 결합상태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이트 홀더에 바이트가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이트 홀더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이트 가압슬라이더의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절단을 위한 바이트 및 면취를 위한 바이트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이트 및 탄성부재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이트 가압슬라이더의 가압에 의한 절단가공상태 확대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이트 가압슬라이더의 가압에 의한 면취가공상태 확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탈선방지구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본체 케이스(10), 원동축(20), 동력인출축(30), 아이들축(40), 바이트 홀더(50), 합성수지관 클램프(60), 가이드관(70), 바이트 가압슬라이더(80), 제2 원동기어(90), 다수의 바이트(100)(100a)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본체 케이스(10)은 다수의 기어를 내장 설치할 수 있는 내부공간(11)이 마련되고, 하측에는 받침대(12)가 일체로 부착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상측에는 원동축(20)이 전후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원동기어(2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된 일측 선단에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수동핸들(15)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수동핸들(15)을 돌리는 방법으로 상기 원동축(20)의 회전동력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동축(20)의 하측에는 원동축(20)으로부터 동력을 인출하여 바이트 가압슬라이더(80)를 수평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2 종동기어(85)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인출축(30)이 상기 본체 케이스(1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동력인출축(30)은 일측에 상기 원동축(20)의 제1 원동기어(21)와 치합되는 제1 아이들기어(3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타측은 도 4와 같이 본체 케이스(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동력인출축(30)의 외측에는 보호슬리브(32)가 끼움 설치되되, 상기 보호슬리브(32)는 본체 케이스(10)에 일측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동력인출축(30)의 회전작동시 상호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보호슬리브(32)의 내경은 상기 동력인출축(30)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인출축(30)의 하측에는 아이들축(40)이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전후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아이들축(40)의 중앙에는 제1 아이들기어(31)와 치합되는 제2 아이들기어(4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아이들기어(41)는 회전방향을 변환하여 바이트 홀더(50)에 형성된 제1 종동기어(51)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아이들축(40)의 하측에는 바이트 홀더(50)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후면을 관통하여 일측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아이들기어(41)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도록 제2 아이들기어(41)와 치합되는 제1 종동기어(51)가 일측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타측 선단에는 바이트(100)(100a)를 삽입할 수 있는 다수의 바이트 가이드홈(5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바이트 홀더(50)의 기술구성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중앙에 양측으로 개방된 피가공물 삽입부(53)가 관통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제1 종동기어(51)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 선단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마주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54)(54a)가 이격 설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돌기(54)(54a)의 사이에는 바이트(100)(100a)의 수용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바이트(100)(100a)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바이트 가이드홈(5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54)(54a)의 외면에는 이탈방지판(55)이 체결부재(56)로 관통하여 견고하게 부착됨으로써 상기 바이트 가이드홈(52)에 삽입되는 바이트(100)(100a)가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여 절단 및 면취가공의 원활성을 제고한다.
상기 바이트 홀더(50)의 중앙에 형성된 피가공물 삽입부(53)에는 도 4와 같이 합성수지관 클램프(60)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합성수지관 클램프(60)의 일측은 본체 케이스(10)의 전면에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관 클램프(60)에 가공하고자하는 합성수지관(1)을 끼운 상태에서 조임너트(61)를 조여주면 유동 없는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이트 홀더(50)의 외측에는 본체 케이스(10)의 후면에 일체로 부착된 가이드관(70)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관(70)은 원통형의 바이트 가압슬라이더(80)를 수용한 상태에서 수평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관(70)의 내부에는 바이트 가압슬라이더(80)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끼움 설치되고, 상기 바이트 가압슬라이더(80)의 일측 내주면을 따라가면서 제1 가압경사면(81)이 돌출 형성되며, 타측 외주면에는 링 형상의 제2 종동기어(85)가 나사결합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바이트 가압슬라이더(80)에 형성된 제1 가압경사면(81)은 도 6과 같이 내주면의 중앙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압경사면(81)에 접촉되는 다수의 바이트(100)(100a)는 접촉부위에 상기 제1 가압경사면(81)과 동일한 형태의 제2 가압경사면(10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이트 가압슬라이더(80)가 도 6과 같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가압경사면(81)은 제2 가압경사면(102)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바이트(100)(100a)가 합성수지관(1)의 중심부로 이동하여 합성수지관(1)에 접촉되면서 절단 및 면취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1 가압경사면(81)이 제2 가압경사면(102)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때 상기 바이트(100)(100a)가 너무 급격하게 밀리지 않도록 저항력을 유지함은 물론 가압력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원상 복귀되면서 바이트(100)(100a)가 상기 합성수지관(1)과 비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도 11과 같이 상기 바이트 가이드홈(52)의 바닥면에는 외측으로 개방된 탄성부재홈(57)이 추가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홈(57)에는 탄성부재(58)가 끼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58)는 바이트 가이드홈(52)에 삽입되는 바이트(100)(100a)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스프링 지지돌기(101)에 일측이 탄력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부재홈(57)의 바닥면에 탄력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력인출축(30)의 타측에는 바이트 가압슬라이더(80)를 수평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원동기어(90)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원동기어(90)는 상기 바이트 가압슬라이더(80)의 외측에 나사결합된 제2 종동기어(85)와 치합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 종동기어(85)의 회전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이트 가압슬라이더(80)가 양쪽 어느 한 방향으로 원활하게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2 종동기어(85)의 회전작동시 외부로 탈선되지 않고 항상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도 14와 같이 가이드관(70)의 선단에 인접하는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종동기어(85)의 외측 및 후면을 동시에 감싸는 탈선방지구(86)가 일체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2 종동기어(85)의 탈선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바이트 홀더(50)에 형성된 바이트 가이드홈(5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다수의 바이트(100)(100a)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절단을 위한 바이트(100) 및 면취를 위한 바이트(100a)로 각각 구분된다.
즉 상기 절단을 위한 바이트(100)는 상단에 제2 가압경사면(102)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2 가압경사면(102)과 상호 대칭을 이루는 면취날(103)이 형성되며, 상기 면취날(103)의 최 하측 선단에는 커팅날(10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팅날(104)이 합성수지관(1)을 먼저 파고들면서 절단을 우선적으로 실행하게 된다.
또한, 면취를 위한 바이트(100a)는 상단에 제2 가압경사면(102)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2 가압경사면(102)과 상호 대칭을 이루는 면취날(103)이 형성됨으로써 절단부위를 동시에 면취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1)을 도 4와 같이 합성수지관 클램프(60)를 관통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동핸들(15)을 돌리면 원동축(20)이 회전동력을 발생하고, 이 회전동력은 도 5와 같이 제1 아이들기어(31), 제2 아이들기어(41)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제1 종동기어(51)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바이트 홀더(50)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원동축(20)의 회전동력은 동력인출축(30)에 의해 제2 원동기어(90)로 전달되고, 상기 제2 원동기어(90)와 치합된 제2 종동기어(85)가 회전함으로써 이와 나사결합된 바이트 가압슬라이더(80)가 도 12 내지 도 13과 같이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1 가압경사면(81)이 상기 바이트(100)(100a)의 제2 가압경사면(102)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다수의 바이트(100)(100a)가 합성수지관(1)의 중심부로 이동하면서 절단 및 면취가공을 한꺼번에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절단을 위한 바이트(100)는 도 12와 같이 커팅날(104)이 합성수지관(1)을 파고들면서 절단을 수행함과 동시에 면취를 위한 바이트(100a)는 도 13과 같이 절단부위의 모서리를 매끈하게 면취 가공함으로써 무전력 상태에도 인력만으로도 손쉽게 합성수지관(1)의 절단 및 면취가공을 원스톱의 단일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 합성수지관 10: 본체 케이스
15: 수동핸들 20: 원동축
21: 제1 원동기어 30: 동력인출축
31: 제1 아이들기어 40: 아이들축
41: 제2 아이들기어 50: 바이트 홀더
51: 제1 종동기어 52: 바이트 가이드홈
54, 54a: 가이드돌기 55: 이탈방지판
57: 탄성부재홈 58: 탄성부재
60: 합성수지관 클램프 70: 가이드관
80: 바이트 가압슬라이더 81: 제1 가압경사면
85: 제2 종동기어 86: 탈선방지구
90: 제2 원동기어 100, 100a: 바이트
101: 스프링 지지돌기 102; 제2 가압경사면
103: 면취날 104: 커팅날

Claims (8)

  1. 본체 케이스(1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선단에 수동핸들(15)이 일체로 연결된 원동축(20)과;
    상기 원동축(20)의 하측에 본체 케이스(1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원동축(20)에 형성된 제1 원동기어(21)와 치합되는 제1 아이들기어(31)가 형성된 동력인출축(30)과;
    상기 동력인출축(30)의 하측에 본체 케이스(1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1 아이들기어(31)와 치합되는 제2 아이들기어(41)가 형성된 아이들축(40)과;
    상기 아이들축(40)의 하측에 본체 케이스(10)의 후면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2 아이들기어(41)와 치합되는 제1 종동기어(51)가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된 타측 선단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바이트 가이드홈(52)이 형성된 바이트 홀더(50)와;
    상기 바이트 홀더(50)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합성수지관 클램프(60)와;
    상기 바이트 홀더(50)의 외측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 케이스(10)에 일체로 부착된 가이드관(70)과;
    상기 가이드관(70)의 내부에 끼움 설치되고, 일측 내주면을 따라 제1 가압경사면(81)이 형성되며, 타측 외주면에는 제2 종동기어(85)가 나사결합된 바이트 가압슬라이더(80)와;
    상기 동력인출축(30)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종동기어(85)와 치합 설치된 제2 원동기어(90)와;
    상기 바이트 홀더(50)에 형성된 바이트 가이드홈(52)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다수의 바이트(100)(100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동력인출축(30)의 외측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10)에 부착된 보호슬리브(32)가 추가로 끼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바이트 홀더(50)는 중앙에 피가공물 삽입부(53)가 관통 형성되고, 일측 외주면에 제1 종동기어(51)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 선단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마주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54)(54a)가 이격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돌기(54)(54a)의 사이에는 바이트(100)(100a)의 이동을 안내하는 바이트 가이드홈(5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54)(54a)의 외면에는 상기 바이트 가이드홈(52)에 삽입되는 바이트(100)(100a)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55)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4. 제 4항에 있어서,
    바이트 가이드홈(52)의 바닥면에는 외측으로 개방된 탄성부재홈(57)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홈(57)에는 상기 바이트 가이드홈(52)에 삽입되는 바이트(100)(100a)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돌기(101)에 탄력 지지되는 탄성부재(58)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바이트 가압슬라이더(80)의 제1 가압경사면(81)은 내주면의 중앙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경사면(81)에 접촉되는 다수의 바이트(100)(100a)는 상단의 접촉부위에 동일한 형태의 제2 가압경사면(1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바이트(100)는 상단에 제2 가압경사면(102)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2 가압경사면(102)과 상호 대칭을 이루는 면취날(103)이 형성되며, 상기 면취날(103)의 최 하측 선단에는 커팅날(10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바이트(100a)는 상단에 제2 가압경사면(102)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2 가압경사면(102)과 상호 대칭을 이루는 면취날(10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관(70)의 선단에 인접하는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종동기어(85)의 외측 및 후면을 동시에 감싸면서 상기 제2 종동기어(85)의 탈선을 방지하는 탈선방지구(86)가 추가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KR1020130101214A 2013-08-26 2013-08-26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KR10146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214A KR101462442B1 (ko) 2013-08-26 2013-08-26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214A KR101462442B1 (ko) 2013-08-26 2013-08-26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442B1 true KR101462442B1 (ko) 2014-11-18

Family

ID=5229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214A KR101462442B1 (ko) 2013-08-26 2013-08-26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4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992B1 (ko) * 2017-05-24 2017-12-12 주식회사 우림알텍 면취가공기
CN109968041A (zh) * 2019-04-25 2019-07-05 张家港市文锋机械有限公司 切管机中的倒角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708A (ja) * 1993-08-16 1995-07-11 Reynolds Metals Co 缶体をトリミング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646449B1 (ko) * 2005-12-14 2006-11-1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휴대용 정밀 원형 절단장치
JP4004293B2 (ja) * 2002-01-23 2007-11-07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既設管切断装置
KR101216810B1 (ko) * 2011-11-18 2012-12-28 최인성 관재나 봉재의 절단 및 면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708A (ja) * 1993-08-16 1995-07-11 Reynolds Metals Co 缶体をトリミングする方法及び装置
JP4004293B2 (ja) * 2002-01-23 2007-11-07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既設管切断装置
KR100646449B1 (ko) * 2005-12-14 2006-11-1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휴대용 정밀 원형 절단장치
KR101216810B1 (ko) * 2011-11-18 2012-12-28 최인성 관재나 봉재의 절단 및 면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992B1 (ko) * 2017-05-24 2017-12-12 주식회사 우림알텍 면취가공기
CN109968041A (zh) * 2019-04-25 2019-07-05 张家港市文锋机械有限公司 切管机中的倒角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944B1 (ko) 자동식 파이프 및 금속판재 이동 면취기
KR101497638B1 (ko) 이동식 용접 개선용 파이프 외경 면취기
KR101462442B1 (ko) 원스톱 합성수지관 절단 및 면취장치
CN107932571A (zh) 一种食品的制作方法
CN209088405U (zh) 一种电力施工用的防触电剪线钳
CN102615720A (zh) 注水式无尘切割机
CN100589909C (zh) 自控台式电锯
KR101272698B1 (ko) 장작 쪼개는 장치
CN104924340B (zh) 一种切割布料的设备
KR20150064493A (ko) 파이프 절단 면취장치
CN203973596U (zh) 一种圆弧切胶机
CN114208526A (zh) 一种手持式电动切割工具
CN204076320U (zh) 一种pe管铡刀式切管机
CN207071711U (zh) 一种刀具自动进给机构
JP4612657B2 (ja) 既設管の切断除去方法及び既設管用切断装置
CN204221022U (zh) 一种具有断屑装置的车刀
CN216227201U (zh) 一种切割机
JP4011054B2 (ja) 既設管の切断除去方法及び既設管用切断装置
CN216858411U (zh) 一种手持式电动切割工具
CN204426089U (zh) 一种用于园林绿化养护的往复电动锯
CN219705317U (zh) 一种橡胶止水条体积膨胀倍率试验用样品裁切装置
CN204075399U (zh) 立式旋切机出料装置
CN204211754U (zh) 一种皮带垫圈切割装置
CN219573566U (zh) 一种土壤重金属分析用取样装置
CN203875992U (zh) 护罩快速取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