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142B1 - 높이가변형 파이프랙 - Google Patents

높이가변형 파이프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142B1
KR101462142B1 KR20130054035A KR20130054035A KR101462142B1 KR 101462142 B1 KR101462142 B1 KR 101462142B1 KR 20130054035 A KR20130054035 A KR 20130054035A KR 20130054035 A KR20130054035 A KR 20130054035A KR 101462142 B1 KR101462142 B1 KR 101462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ack
column
height
vertical
piv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국
양준모
박찬희
여경윤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54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14Stack holders or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26Racks equipped with a displaceable load carrying surface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은, 파이프가 위치고정되는 보; 및 상기 보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횡측으로 이동배치가능하여 높이가 가변되는 기둥;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둥을 수직기둥부와 회동기둥부로 나누어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고 수직기둥부에 대해 회동기둥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운반과정에 있어서 운반수단의 적치공간에 수용되어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고, 나아가 높이가변의 과정이 간단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파이프랙의 모듈화 과정에 있어서의 모듈화 및 재조립에 따른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가설부재가 불필요함에 따라 비용적인 절감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가변형 파이프랙{Height variable type pipe rack}
본 발명은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으로서, 운반과정에 있어서 운반수단의 적치공간에 수용되어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석유정제 플랜트나 제철소 등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파이프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이프랙은 석유정제 플랜트나 제철소 등에 설치되어 파이프(1)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구조물이다.
이를 위해서, 파이프랙은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각각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기둥(20)과, 기둥(20) 사이에 폭방향으로 연결되어 파이프(1)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보(10), 및 기둥(2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바(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파이프랙은 공장 등에서 완성되어 차량이나 철도, 비행기 또는 배 등의 운반수단에 의해서 석유정제 플랜트나 제철소 등의 시공장소로 운반된 후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운반하는 방법은 파이프랙의 크기가 비교적 작고 시공장소도 파이프랙을 제조하는 공장 등에서 비교적 가까워서 전술한 운반수단에 의해서 파이프랙이 시공장소로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는 경우에는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파이프랙의 크기가 비교적 크고 시공장소도 파이프랙을 제조하는 공장 등에서 멀리 떨어진 경우에는, 전술한 운반수단에 의해서 파이프랙을 시공장소로 운반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공장 등에서 전술한 기둥(20)과, 보(10), 및 연결바 등의 파이프랙의 구성품들을 별도로 각각 제작한다. 이후, 운반수단에 의해서 파이프랙의 구성품들을 시공장소로 운반하고, 시공장소나 시공장소에서 가까운 곳에서 구성품들을 조립하여 파이프랙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완성된 파이프랙을 시공장소에 시공한다.
그리고, 해외에 석유정제 플랜트나 제철소 등을 건설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파이프랙의 구성품들을 제작하고, 파이프랙의 구성품들을 운반수단에 의해 해외의 시공장소로 운반한 후, 시공장소에서 구성품들을 조립하여 파이프랙을 완성하고 시공장소에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해외 현지의 인건비 등이 비싼 경우에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국내에서 완성된 파이프랙을 운반수단에 의해서 해외의 시공장소로 운반한 후 해외의 시공장소에 시공하는 방법 또한, 운반하는 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른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파이프랙의 크기가 비교적 큰 경우뿐만 아니라 파이프랙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도, 파이프랙을 멀리 떨어진 해외로 운반하는 데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랙의 운반과 시공이 용이하지 않음에 따라, 파이프랙의 운반과 시공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크기가 큰 파이프랙을 트레일러와 같은 운반수단에 적치하기 위해 파이프랙을 모듈화하는데, 이때 모듈화 과정에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아울러 설치장소에 운반 후 다시 조립하는 데에 있어서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나아가, 상기 모듈화 과정에서 별도의 가설부재가 사용됨에 따라 이에 대한 비용적인 측면에 있어서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운반과정에 있어서 운반수단의 적치공간에 수용되어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기둥을 수직기둥부와 회동기둥부로 나누어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고 수직기둥부에 대해 회동기둥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은, 파이프가 위치고정되는 보; 및 상기 보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횡측으로 이동배치가능하여 높이가 가변되는 기둥;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둥은 일부가 횡측으로 이동배치되어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은, 상기 보와 연결된 수직기둥부; 및 상기 수직기둥부에 일측 단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회동기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는 회동된 상기 회동기둥부가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는 회동된 상기 회동기둥부의 타측 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보의 부분에 장착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회동기둥부의 타측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둥은, 상기 회동기둥부가 상기 수직기둥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보의 하부에 형성된 경우, 상기 회동기둥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시 상기 회동기둥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수직기둥부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받침기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보가 상하방향 이격되게 복수 개가 배치된 경우, 상기 보와 연결된 상기 수직기둥부가 복수 개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수직기둥부 사이에 상기 회동기둥부가 연결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은, 기둥을 수직기둥부와 회동기둥부로 나누어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고 수직기둥부에 대해 회동기둥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운반과정에 있어서 운반수단의 적치공간에 수용되어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고, 나아가 높이가변의 과정이 간단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파이프랙의 모듈화 과정에 있어서의 모듈화 및 재조립에 따른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가설부재가 불필요함에 따라 비용적인 절감도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석유정제 플랜트나 제철소 등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파이프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이 회동기둥부의 접힘에 의해 높이가 낮아진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의 높이가 가변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은, 운반과정에 있어서 운반수단의 적치공간에 수용되어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고, 나아가 높이가변의 과정이 간단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파이프랙의 모듈화 과정에 있어서의 모듈화 및 재조립에 따른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가설부재가 불필요함에 따라 비용적인 절감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둥을 수직기둥부와 회동기둥부로 나누어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고 수직기둥부에 대해 회동기둥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이 회동기둥부의 접힘에 의해 높이가 낮아진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파이프(1)가 위치고정되는 보(110)와, 상기 보(110)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높이가 가변되는 기둥(12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보(110)는 파이프랙에 있어서 기둥(120)과 기둥(120)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석유정제 플랜트나 제철소 등에서 사용되는 파이프(1)(배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120)은 상술된 보(110)를 일정높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키면서 지지하는 부재로서, 일반적으로 두 개가 보(110)의 양측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이 한 세트로서,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배치된 보(110)와 대응되게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둥(120)은 일부가 횡측으로 이동배치되어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120)은 보(110)와 연결된 수직기둥부(121)와, 상기 수직기둥(1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회동기둥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기둥부(121)는 보(110)의 양측부에 각각 연결되되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회동기둥부(122)는 일측 단부가 수직기둥부(121)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회동기둥부(122)와 수직기둥부(121)의 연결된 부위에는 힌지결합부(129)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기둥부(122)는 수직기둥부(121)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힌지결합될 수 있는데, 회동되어 접힐 때 보(11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파이프(1)와 간섭되지 않도록 바람직한 일례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기둥부(121)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기둥부(121)의 하단부에는 하단플랜지(121b)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기둥부(122)의 상단부에는 상단플랜지(122a)가 형성되며, 이때 수직기둥부(121)의 하단플랜지(121b)와 회동기둥부(122)의 상단플랜지(122a)가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동기둥부(122)는 보(110) 측으로 회동될 수 있고 또는 보(110)의 반대측으로 회동될 수 있는데 파이프랙의 높이뿐만 아니라 폭 방향에 있어서도 축소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일례로서 회동기둥부(122)가 보(110) 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수직기둥부(121)의 하단플랜지(121b), 회동기둥부(122)의 상단플랜지(122a) 각각의 보(110) 측 측단이 서로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직기둥부(121)와 회동기둥부(122)는 파이프랙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와 같이 힌지결합된 구조를 취하며, 파이프랙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전이나 변화시킨 후 다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직기둥부(121)의 하단플랜지(121b)의 하면에 회동기둥부(122)의 상단플랜지(122a)가 접한 후 볼트(141) 및 너트(142)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됨으로써, 수직기둥부(121)와 회동기둥부(122)가 견고하게 서로 고정됨에 따라 하나의 기둥(120)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110)는 회동된 회동기둥부(122)가 고정되는 고정부재(13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힌지결합된 회동기둥부(122)가 보(110) 측으로 회동한 후 회동된 상태의 안정적인 구조유지를 위해 보(110)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때 보(110)는 회동기둥부(122)가 고정되는 고정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재(130)는 회동된 회동기둥부(122)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회동기둥부(122)의 하중을 힌지결합부(129)와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회동된 회동기둥부(122)의 타측 단부에 대응되는 보(110)의 부분(지점)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30)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회동기둥부(122)의 타측 단부가 고정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회동기둥부(122)의 하단부에 하단플랜지(122b)가 형성되고 고정부재(130)도 바람직한 일례로서 플랜지와 유사한 구조를 지님으로써, 볼트(141) 및 너트(142)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회동기둥부(122)의 상단플랜지(122a)와 체결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둥(120)은 수직기둥부(121)의 하부에 받침기둥부(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기둥부(124)는 회동기둥부(122)가 수직기둥부(121)의 하측에 배치되고 고정부재(130)가 보(110)의 하부에 형성된 경우, 회동기둥부(122)가 고정부재(130)에 고정시 회동기둥부(122)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수직기둥부(121)의 하부에 체결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파이프랙에서 회동기둥부(122)가 바닥과 접하는 배치구조를 이루는 경우, 파이프랙의 하중을 회동기둥부(122)의 양단부에 형성된 상단플랜지(122a)와 하단플랜지(122b)의 측부 테두리에서 받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회동기둥부(122)의 상단플랜지(122a)와 하단플랜지(122b)가 손상 또는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기둥부(121)의 하단부에 받침기둥부(124)가 체결됨으로써, 파이프랙은 받침기둥부(124)에 의해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기둥부(124)는 운반 시 지지용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석유정제 플랜트나 제철소 등과 같은 설치장소에서도 기둥(120)의 한 부분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110)가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고 이와 대응되게 기둥(120)도 상하방향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110)가 상하방향 이격되게 복수 개가 배치된 경우, 보(110)와 연결된 수직기둥부(121)도 복수 개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수직기둥부(121) 사이에 회동기둥부(122)도 연결배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에서 도 2에 도시된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의 높이가 가변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의 높이가 가변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도 4(a)에 도시된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을 제조공장에서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은 석유정제 플랜트나 제철소 등과 같은 설치장소로 운반하기 위해서 트레일러와 같은 운반수단에 적치하는데, 운반수단의 적치공간에 있어서 제약이 따른다.
특히, 운반수단의 적치공간에 있어서 높이의 제약이 큰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공장에서 운반 전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의 높이를 낮추게 되는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4에서 복수 개의 수직기둥부 중 상측에 배치된 것은 상측 수직기둥부(121'), 하측에 배치된 것은 하측 수직기둥부(121'')로 지칭하며, 복수 개의 회동기둥부 중 상측에 배치된 것은 상측 회동기둥부(122'), 하측에 배치된 것은 하측 회동기둥부(122'')로 지칭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2)에 의해 먼저 상측 보(110')를 든 다음, 상측 수직기둥부(121')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측 회동기둥부(122')를 회동시킨다.
즉, 상측 보(110')의 양단부에 상측 수직기둥부(121')가 각각 연결되는데 이러한 상측 수직기둥부(121')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된 상측 회동기둥부(122')를 보 측으로 회동시킨 후, 상측 보(110')의 하부에 장착된 상측 고정부재(130')에 상측 회동기둥부(122')를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상측 보(110')를 크레인(2)으로 들기 전에 상측 수직기둥부(121')와 상측 회동기둥부(122'), 그리고 상측 회동기둥부(122')와 하측 수직기둥부(121'')에 있어서의 체결고정은 체결부재를 분리함으로써 해제시킨다.
다음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2)에 의해 히측 보(110'')를 든 다음, 하측 수직기둥부(121'')의 하단부에 연결된 하측 회동기둥부(122'')를 회동시킨다.
즉, 히측 보(110'')의 양단부에 하측 수직기둥부(121'')가 각각 연결되는데 이러한 하측 수직기둥부(121'')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된 하측 회동기둥부(122'')를 보 측으로 회동시킨 후, 히측 보(110'')의 하부에 장착된 하측 고정부재(130'')에 하측 회동기둥부(122'')를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히측 보(110'')를 크레인(2)으로 들기 전에 하측 수직기둥부(121'')와 하측 회동기둥부(122''), 그리고 하측 회동기둥부(122'')와 받침기둥부(124)에 있어서의 체결고정은 체결부재를 분리함으로써 해제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수직기둥부(121'')를 받침기둥부(124)의 상단부에 안착시킨 후 서로 체결고정시킨다.
이어서, 상측 수직기둥부(121')를 크레인(2)으로 들어서 하측 수직기둥부(121'')의 상단부에 안착시킨 후 서로 체결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받침기둥부(124), 하측 수직기둥부(121''), 상측 수직기둥부(121')를 순차적으로 체결고정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높이가변형 파이프랙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기둥을 수직기둥부와 회동기둥부로 나누어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고 수직기둥부에 대해 회동기둥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운반과정에 있어서 운반수단의 적치공간에 수용되어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고, 나아가 높이가변의 과정이 간단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파이프랙의 모듈화 과정에 있어서의 모듈화 및 재조립에 따른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고, 별도의 가설부재가 불필요함에 따라 비용적인 절감도 이룰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파이프 110 : 보
120 : 기둥 121 : 수직기둥부
121a : 상단플랜지 121b : 하단플랜지
122 : 회동기둥부 122a : 상단플랜지
122b : 하단플랜지 124 : 받침기둥부
129 : 힌지결합부 130 : 고정부재
141 : 볼트 142 : 너트

Claims (6)

  1. 파이프(1)가 위치고정되는 보(110); 및 상기 보(110)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일부가 횡측으로 이동배치가능하여 높이가 가변되는 기둥(120);을 포함하며,
    상기 기둥(120)은, 상기 보(110)와 연결된 수직기둥부(121); 및 상기 수직기둥부(121)에 일측 단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회동기둥부(1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가변형 파이프랙.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110)는 회동된 상기 회동기둥부(122)가 고정되는 고정부재(13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가변형 파이프랙.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30)는 회동된 상기 회동기둥부(122)의 타측 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보(110)의 부분에 장착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회동기둥부(122)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가변형 파이프랙.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20)은,
    상기 회동기둥부(122)가 상기 수직기둥부(121)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130)가 상기 보(110)의 하부에 형성된 경우, 상기 회동기둥부(122)가 상기 고정부재(130)에 고정시 상기 회동기둥부(122)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수직기둥부(121)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받침기둥부(124);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가변형 파이프랙.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110)가 상하방향 이격되게 복수 개가 배치된 경우, 상기 보(110)와 연결된 상기 수직기둥부(121)가 복수 개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수직기둥부(121) 사이에 상기 회동기둥부(122)가 연결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가변형 파이프랙.
KR20130054035A 2013-05-13 2013-05-13 높이가변형 파이프랙 KR101462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4035A KR101462142B1 (ko) 2013-05-13 2013-05-13 높이가변형 파이프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4035A KR101462142B1 (ko) 2013-05-13 2013-05-13 높이가변형 파이프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142B1 true KR101462142B1 (ko) 2014-11-21

Family

ID=5229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4035A KR101462142B1 (ko) 2013-05-13 2013-05-13 높이가변형 파이프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1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348A (ko) 2019-01-21 2020-07-29 임흥순 사각 블록 파이프 부재 및 그에 의한 조립 물품
KR20200095763A (ko) 2019-02-01 2020-08-11 한보일렉트(주) 사각 블록 형상의 파이프 부재 및 그에 의한 조립 물품
KR102145867B1 (ko) 2019-10-23 2020-08-19 한성크린텍주식회사 장비의 스키드화 및 배관의 모듈화에 의한 플랜트 조립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528A (ja) * 1995-12-06 1997-08-19 Murata Mach Ltd 物品収納棚
KR20010019709A (ko) * 1999-08-30 2001-03-15 강철영 가변형 선반 겸용 운반대
KR200273680Y1 (ko) 2002-01-21 2002-04-27 주식회사 팬물산 조립식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50047330A (ko) * 2003-11-17 2005-05-20 진만수 다기능선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528A (ja) * 1995-12-06 1997-08-19 Murata Mach Ltd 物品収納棚
KR20010019709A (ko) * 1999-08-30 2001-03-15 강철영 가변형 선반 겸용 운반대
KR200273680Y1 (ko) 2002-01-21 2002-04-27 주식회사 팬물산 조립식 선반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50047330A (ko) * 2003-11-17 2005-05-20 진만수 다기능선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348A (ko) 2019-01-21 2020-07-29 임흥순 사각 블록 파이프 부재 및 그에 의한 조립 물품
KR20200095763A (ko) 2019-02-01 2020-08-11 한보일렉트(주) 사각 블록 형상의 파이프 부재 및 그에 의한 조립 물품
KR102145867B1 (ko) 2019-10-23 2020-08-19 한성크린텍주식회사 장비의 스키드화 및 배관의 모듈화에 의한 플랜트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142B1 (ko) 높이가변형 파이프랙
CN108883912A (zh) 用于集装箱的提升系统、提升梁和提升方法以及用于集装箱的拖车和用于集装箱的连接件
CN104355024A (zh) 后门加强板的放置架
US9394708B2 (en) Articulated floor structure for a mobile stage framework
US20140201963A1 (en) Overturning equipment for hoppers
CN101835704A (zh) 模块化的支撑结构以及用于容器处理机器的支撑结构的模块
KR20070090709A (ko) Lng선박의 카고 탱크의 단열 시스템 설치용 비계장치 및비계설치방법
CN100398415C (zh) 用于运输大型圆柱状货物的平台式集装箱
CN103863730B (zh) 一种台架式集装箱
KR101305913B1 (ko) 프리캐스트 박스 거더용 철근망 조립대
EP2404806B1 (fr) Equipement mobile pour le transfert et le déplacement notamment de meubles
US5676065A (en) Flatracks and load-carrying systems
CN110127292B (zh) 一种物流输送机构及基于物流输送机构的输送方法
CN208377303U (zh) 运车架
WO2013105337A1 (ja) コンテナ装置
KR101993713B1 (ko) 접이식 모듈화 부스
US8230598B2 (en) Rollover wash unit and method for mounting a rollover wash unit
US20210130081A1 (en) Carriage for different elements of a crane to be loaded in a container
CN202540276U (zh) 带折叠护栏的翻转检修平台
CN103668399A (zh) 一种三包件四门焊装涂装通用工艺装置
KR101461465B1 (ko) 확장형 파이프 랙 및 이의 시공방법
AU2010100355A4 (en) Improved base chassis for a transportable building
CN104401631A (zh) 后门加强板的容置架
KR101764582B1 (ko) 삭도용 케이블타워 시공방법
CN217557740U (zh) 一种材料的运输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