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518B1 - 차량용 케이블 - Google Patents

차량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518B1
KR101461518B1 KR1020130040230A KR20130040230A KR101461518B1 KR 101461518 B1 KR101461518 B1 KR 101461518B1 KR 1020130040230 A KR1020130040230 A KR 1020130040230A KR 20130040230 A KR20130040230 A KR 20130040230A KR 101461518 B1 KR101461518 B1 KR 101461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fc
terminal
base
wedg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3235A (ko
Inventor
김종혁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3004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518B1/ko
Publication of KR2014012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23Parallel wires, incorporated in a flat insulating profi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01B7/285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by completely or partially filling interstices in the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차량용 케이블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이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감싸는 연질의 보호필름과; 보호필름의 단부에 연결된 단자와; 그리고 상기 보호필름과 단자의 연결부위를 방수처리하는 방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케이블{CAB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케이블을 FFC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중량을 줄이고 방수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자동차에는 최첨단 전기, 전자 기술들이 적용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할 것이며, 최근 멀티미디어 환경 속에서 다른 미디어와 통합 기술을 자동차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흐름에 따라, 차량에는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배치된다.
즉, 배터리와 전원이 필요한 부품들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과,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케이블 등 다양한 케이블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원 케이블 혹은 신호 케이블은 규격의 차이가 있지만 주로 구리와 같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전원 혹은 신호가 전달되는 심재와, 이 심재의 외부를 감싸는 피복재와, 케이블의 단부에 장착되어 전원 혹은 신호가 입출력되는 단자로 구성된다.
따라서, 심재와 피복재로 이루어지는 케이블의 양단부를 배터리와 전원이 필요한 부품에 각각 연결하거나, 신호 전달이 요구되는 부품에 연결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원 혹은 신호케이블은 여러 가닥의 케이블이 일체화되어 배선되는 구조이므로 중량이 증가하여 이동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심재와 단자간에 틈이 발생될 수 있어서 방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 10-2005-7011173호(명칭: 가요성 케이블 전기 단자)
본 발명은 상기한바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중량을 줄이고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케이블의 단자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이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감싸는 연질의 보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연성다심 케이블(FFC)과;
상기 연성다심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된 단자와; 그리고
상기 보호필름과 단자의 연결부위를 방수처리하는 방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는 베이스(Base)와; 베이스의 일측 상단에 돌출되어 연성다심 케이블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와; 베이스의 타측 상단에 구비되며 외부 기기가 접속하는 접속편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베이스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연성다심 케이블을 관통하는 쐐기를 포함하며,
상기 쐐기는 베이스의 상면에 복수개가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삭제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단자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구조를 FFC로 형성함으로써 중량을 줄이고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단자에 쐐기를 돌출 형성하고, 이 쐐기에 의하여 FFC를 관통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단자와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셋째, 쐐기의 갯수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신호 전송용 혹은 전원 공급용으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넷째, 방수부 형성할 때, 에폭시 수지를 몰딩함으로써 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케이블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자의 표면에 에폭시층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전원 공급용 단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FFC 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단자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용 케이블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2)들과; 이 다수의 데이터 라인(2)들을 감싸는 연질의 보호필름(4)과; 보호필름(4)의 단부에 연결된 단자(5)와; 상기 보호필름(4)과 단자(5)의 연결부위를 방수처리하는 방수부(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케이블에 있어서, 데이터 라인(2) 및 보호필름(4)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은 바람직하게는 연성다심 케이블(Flexible Flat Cable;FFC;이하 FFC)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필름(4)은 연성 재료인 폴리 에스터(Polyester;PET) 또는 폴리아미드(Polyimide;PI)와 같은 내열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재질 이외에도 연성을 갖는 재질이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FFC(3)는 유연성으로 인하여 휨, 겹침, 접힘, 말림, 꼬임 등이 우수하며, 또한 얇은 두께로 인하여 좁은 공간에서의 배선작업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단자(5)는 FFC(3)의 단부에 장착되어 전원 혹은 신호를 차량용 전장품에 연결한다.
이러한 단자(5)는 베이스(Base;9)와; 베이스(9)의 일측 상단에 돌출되어 FFC(3)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11)와; 베이스(9)의 타측 상단에 구비되며 외부 기기가 접속하는 접속편(13)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9)는 전원 혹은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11)는 다양한 종류가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쐐기(11)를 포함한다.
즉, 상기 쐐기(11)는 베이스(9)의 일측 상면에 돌출되며 상부로 갈수록 점차로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쐐기(11)는 베이스(9)의 상면에 한 셋트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고, 2셋트 이상의 복수개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쐐기(11)는 별도로 제작되어 베이스(9)의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거나, 베이스(9) 자체를 공구를 이용하여 펀칭함으로써 쐐기(11)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쐐기(11)를 형성하는 방식은 제품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9)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된 쐐기(11)에 FFC(3)를 결합하는 경우, 쐐기(11)의 상면에 FFC(3)를 위치시키고,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쐐기(11)가 FFC(3)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FFC(3)를 관통한 쐐기(11)는 공구에 의하여 절곡됨으로써 베이스(9)의 상면 방향으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쐐기(11)가 복수개가 FFC(3)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경우, FFC(3)를 베이스(9)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쐐기(11)의 반대편에는 상기 접속편(13)이 배치된다. 이 접속편(13)에는 커넥터(6)가 접속됨으로써 전장품과 같은 외부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FFC(3)가 연결된 단자(5)가 커넥터(6)를 외부 기기에 연결함으로써, 전원 혹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쐐기(11)가 FFC(3)를 관통하는 경우, 다수개의 데이터라인(2)을 관통하지 않도록 데이터 라인(2)의 사이 공간을 관통한다.
따라서, 쐐기(11)의 위치를 선정하는 경우, FFC(3)의 데이터 라인(2)의 위치를 고려하여 그 위치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를 선정한다.
한편, 상기 방수부(7)는 FFC(3)와 단자(5)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물과 같은 외부의 이물질이 단자(5)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수부(7)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폭시(Epoxy)를 포함한다. 그리고, FFC(3)와 단자(5) 사이에 방수부(7)를 형성하는 경우, 에폭시를 주입하고 일정한 형상으로 응고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에폭시 재질의 방수부(7)가 FFC(3)와 접속편(13) 사이의 틈새를 매움으로써 물이 단자(5)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자(5)는 전원 공급용과 신호 전송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구조의 단자(5)는 신호 전송용이고, 도 6에 도시된 구조의 단자(15)는 전원 공급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의 전원 공급용 단자(15)는 베이스(9)의 상면에 쐐기(11)가 2열로 배치되어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즉, 신호 전송용 단자(5)의 경우는 쐐기가 1열로 배치되지만, 전원 공급용 단자(15)는 쐐기(11)가 2열로 배치된다. 따라서, 보다 큰 전기적인 부하를 견딜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는 차량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모두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조립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단자(5)를 조립하는 방법은 FFC(3)를 단자(5)의 걸림부(11)상에 배치하는 제 1단계(S100)와; 배치된 FFC(3)를 가압하여 걸림부(11)에 고정하는 제 2단계(S110)와; FFC(3)와 단자(5) 사이에 방수부(7)를 형성하는 제 3단계(S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자(5)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S100)에서는 FFC(3)를 단자(5)의 걸림부(11) 상부의 조립위치에 배치한다.
즉, FFC(3)의 선단을 베이스(9)의 상면에 돌출된 쐐기(11)의 상부에 배치하고 FFC(3)의 길이방향을 단자(5)와 동일 선상에 위치시킨다.
상기 제 2단계(S110)에서는 FFC(3)를 단자(5)의 쐐기(11)에 고정시킨다. 즉, FFC(3)를 쐐기(11)의 상부에 배치하고, 공구를 이용하여 FFC(3)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압한다.
공구로 FFC(3)를 가압함에 따라 쐐기(11)가 FFC(3)를 관통하게 된다. 이때, 쐐기(11)의 위치는 FFC(3)의 데이터 라인(2) 사이를 관통하도록 미리 설정된다. 즉, 쐐기(11)가 1열인 경우는 데이터 라인(2)의 사이 공간을 관통하고, 2열인 경우는 쐐기(11)가 데이터 라인(2)의 위치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쐐기(11)가 FFC(3)를 완전히 관통하면, 공구에 의하여 쐐기(11)의 상부를 가압하여 절곡시킨다. 절곡된 쐐기(11)의 상부는 베이스(9) 방향으로 압착됨으로써 FFC(3)의 상면에 밀착적으로 고정된다.
결국, 복수개의 쐐기(11)가 FFC(3)를 가압하여 단자(5)의 베이스(9)상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단계(S110)가 완료되면 제 3단계(S120)가 진행된다.
제 3단계(S120)에서는 FFC(3)와 단자(5) 사이에 방수부(7)를 형성한다.
즉, FFC(3)가 베이스(9)의 상면에 쐐기(11)에 의하여 안착된 상태에서, 베이스(9)의 상부에 에폭시를 주입하여 몰딩한다. 몰딩된 에폭시는 FFC(3)와 베이스(9)와 접속편(13) 사이의 공간을 충전시킴으로써 방수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외부의 물이 FFC(3)와 접속편(13)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Claims (6)

  1.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이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감싸는 연질의 보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연성다심 케이블(FFC)과;
    상기 연성다심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된 단자와; 그리고
    상기 보호필름과 단자의 연결부위를 방수처리하는 방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는 베이스(Base)와; 베이스의 일측 상단에 돌출되어 연성다심 케이블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와; 베이스의 타측 상단에 구비되며 외부 기기가 접속하는 접속편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베이스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연성다심 케이블을 관통하는 쐐기를 포함하며,
    상기 쐐기는 베이스의 상면에 복수개가 돌출된 형상을 갖는 차량용 케이블.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는 에폭시를 몰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차량용 케이블.
  5. 삭제
  6. 삭제
KR1020130040230A 2013-04-12 2013-04-12 차량용 케이블 KR101461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230A KR101461518B1 (ko) 2013-04-12 2013-04-12 차량용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230A KR101461518B1 (ko) 2013-04-12 2013-04-12 차량용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235A KR20140123235A (ko) 2014-10-22
KR101461518B1 true KR101461518B1 (ko) 2014-11-13

Family

ID=5199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230A KR101461518B1 (ko) 2013-04-12 2013-04-12 차량용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692B1 (ko) * 2022-12-06 2023-11-09 (주)경신전선 회로보드와 터미널의 접속모듈 및 이의 접속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2449A (ja) 2005-08-03 2007-02-15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用防水コネクタ
KR20090005877U (ko) * 2007-12-11 2009-06-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시일의 고정구조
JP2010108829A (ja) 2008-10-31 2010-05-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導体と端子の接続部および接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2449A (ja) 2005-08-03 2007-02-15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用防水コネクタ
KR20090005877U (ko) * 2007-12-11 2009-06-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시일의 고정구조
JP2010108829A (ja) 2008-10-31 2010-05-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導体と端子の接続部および接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235A (ko)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8832B2 (en) Connector
JP5242112B2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US20100045106A1 (en) Wiring harness
CN110326061B (zh) 线束
CN110770854A (zh) 线束以及线束的制造方法
US10249408B2 (en) Electrical cable, terminal-equipped electrical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erminal-equipped electrical cable
US10707628B2 (en) Noise filter and noise reduction unit
US20120178300A1 (en) Connector
US8926246B2 (en) Bolt support structure
US10411370B2 (en) High-voltage cable set
EP2637900B1 (en) Electric wire fixing device
KR101461518B1 (ko) 차량용 케이블
CN110214397B (zh) 模块用连接器
JP6624234B2 (ja) 配線部材の取付構造
JP2007141517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防水加工方法
WO2012176872A1 (ja) クリップ付ワイヤハーネス
JP3935036B2 (ja) フラットハーネス
US11451036B2 (en) Fixing structure of wiring member
KR102238655B1 (ko) 커넥터
JP5798755B2 (ja) 外装部品付電線および該外装部品付電線を有するワイヤハーネス
JP4153353B2 (ja) フラットハーネス
JP2009295945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と一体化された電子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40006836A1 (en) Joining method for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JP2014239103A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電子制御ユニット並びに電子制御装置の製造方法
JP2009296694A (ja) ワイヤハーネス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