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404B1 -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404B1
KR101460404B1 KR1020120097624A KR20120097624A KR101460404B1 KR 101460404 B1 KR101460404 B1 KR 101460404B1 KR 1020120097624 A KR1020120097624 A KR 1020120097624A KR 20120097624 A KR20120097624 A KR 20120097624A KR 101460404 B1 KR101460404 B1 KR 101460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ituation information
context
situ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957A (ko
Inventor
홍원기
서신석
강준명
한윤선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404B1/ko
Priority to EP13178596.6A priority patent/EP2704400A1/en
Priority to JP2013162423A priority patent/JP2014053002A/ja
Priority to US13/971,557 priority patent/US20140067746A1/en
Priority to CN201310376004.5A priority patent/CN103678864A/zh
Publication of KR20140044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4Inference or reasoning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Abstract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장치는, 다수의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집된 각각의 제 1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센서레벨부와; 상황정보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제 1 상황정보 중 대응되는 제 2 상황정보를 종합 및 추론하여 제 1 추론상황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다수의 영역상황정보관리부(영역_U-CoUDE)로 구성되는 영역레벨부와; 상기 상황정보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영역상황정보관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제 1 추론상황정보를 종합 및 추론하여 제 2 추론상황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다수의 사용자상황정보관리부(사용자_U-CoUDE)로 구성되는 사용자레벨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를 표준화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는 바, 보다 효율적으로 상황정보를 제공 및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USER-CENTRIC CONTEX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황정보 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킹, 센서 및 휴대 단말 기술들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와 관련이 있는 상황정보(context)를 생성할 수 있는 장비 및 장치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장비 혹은 장치들은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스마트홈, 각종 센서들 및 Social Networking Services(SNSs) 등과 같은 특정 영역 내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와 사회적으로 관련이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상황정보도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황정보는 다양한 상황정보응용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황정보의 관리 수준은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구분 될 수 있다.
-영역 수준: 상황정보를 특정한 한 영역에서만 수집하고 활용한다.
-사용자 수준: 특정 사용자와 관련이 있는 다양한 영역들에서 상황정보를 수집하고 종합적으로 관리한다.
-사회적 수준: 사용사 수준의 관리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사회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상황정보까지 고려한다.
최근에는 특정 사용자와 관련된 상황정보가 하나의 영역에서만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생성된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u-Health 센서들 및 가족들의 상황정보를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u-Health서비스가 있다. u-Health서비스에서 스마트폰은 응급 상황에서 메시지를 보내고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u-Health 센서들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제공하며, 가족들의 상황정보는 가족과 사용자와의 거리정보를 제공한다. 만약, 사용자에게 건강상의 위급한 문제를 u-Health 센서가 발견하면, 이와 관련된 건강상태 정보와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정보가 가까이 있는 가족에게 스마트폰의 메시지 전송 기능을 통하여 전달 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영역의 상황정보를 동시에 활용하는 서비스는 사용자 혹은 사회적 수준의 상황정보 관리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상황정보 관리 장치는 하나의 영역만을 고려하는 영역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이러한 영역 수준의 상황정보 관리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상황정보를 종합적으로 추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상황정보 관리 장치는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상황정보를 종합적으로 추론할 수 없는바, 사용자에게 상황정보를 보다 유용하게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주변에 혼재된 다양한 상황정보들을 공통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상황정보 모델과,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 제공자간의 계층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상황정보를 종합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상황정보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또한,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장치는, 다수의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집된 각각의 제 1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센서레벨부와; 상황정보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제 1 상황정보 중 대응되는 제 2 상황정보를 종합 및 추론하여 제 1 추론상황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다수의 영역상황정보관리부(영역_U-CoUDE)로 구성되는 영역레벨부와; 상기 상황정보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영역상황정보관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제 1 추론상황정보를 종합 및 추론하여 제 2 추론상황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다수의 사용자상황정보관리부(사용자_U-CoUDE)로 구성되는 사용자레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영역상황정보관리부와 상기 다수의 사용자상황정보관리부는,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제 1 추론상황정보 및 상기 제 2 추론상황정보를 각각 생성 및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장치는, 상황정보모델을 이용하여,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를 표준화 형태로 변환하여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공통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변환부와;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와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저장된 종합상황정보의 차이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차이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변화탐지부와;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 중 전송된 공통상황정보를 동일한 종류로 구분한 후, 상기 동일한 종류 내에서 상기 전송된 공통상황정보 간의 충돌을 해결하여 상기 종합상황정보로서 전송하는 충돌해결부와; 상기 종합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추론상황정보를 추론하여 상기 종합상황정보로서 전송하는 추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변환부는,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를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집하여 상기 변환부에 전송하는 상황정보수집부와; 상기 상황정보수집부가 이용할 수 있는 상기 다수의 센서 목록을 상기 상황정보수집부에 제공하는 자원관리부와; 상기 종합상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종합상황정보를 상황정보응용프로그램에 제공하는 상황정보제공부와; 상기 종합상황정보를 인증되지 않은 갱신 및 권한이 없는 사용 요청으로부터 보호하는 보안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화탐지부는,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가 긴급 상황정보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방법은, 다수의 센서로부터 각각의 제 1 상황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단계와; 상황정보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제 1 상황정보 중 대응되는 제 2 상황정보를 종합 및 추론하여 제 1 추론상황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황정보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추론상황정보를 종합 및 추론하여 제 2 추론상황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추론상황정보 및 상기 제 2 추론상황정보 생성하는 단계는, 상황정보와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관계로 정의되는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을 함께 이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방법은, 상황정보모델을 이용하여,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를 표준화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 대응되는 각각의 공통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와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저장된 종합상황정보의 차이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차이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 중 전송된 공통상황정보를 동일한 종류로 구분한 후, 상기 동일한 종류 내에서 상기 전송된 공통상황정보 간의 충돌을 해결하여 상기 종합상황정보로서 전송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종합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추론상황정보를 추론하여 상기 종합상황정보로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황정보와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관계로 정의되는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를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종합상황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종합상황정보를 상황응용프로그램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단계는,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가 긴급한 경우 대응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주변의 다양한 상황정보의 종합적인 추론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황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역_U-CoUDE 및 사용자_U-CoUDE에 이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CoUDE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정보 모델의 개념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정보와 상황정보 제공자 간의 계층적 관계 모델의 개념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영역_U-CoUDE(310) 및 사용자_U_Coude(410)의 U-CoUDE는 다양한 영역에 걸쳐 분산되어 있는 상황정보(CT)를 사용자 중심으로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User-centric Context manager for Ubiquitous and Distributed Environment로부터 명명(命名)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 관리장치(100)는 센서레벨부(200)와, 영역레벨부(300)와, 사용자레벨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센서레벨부(200)는 다수의 센서(210)로 구성되어, 다수의 센서(210) 각각에 대응되는 서로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CT)를 수집하여 이를 영역레벨부(300)에 전달한다.
이때, 다수의 센서(210)는 예를 들면, 물리센서(physical sensor) 또는 가상센서(virtual sensor)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센서는 물리적인 하드웨어(hardware)를 이용하여 상황정보(CT)를 수집 및 전달하는 장치로서 상황정보(CT) 수집에 가장 널리 사용되며, 가상센서는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황정보(CT)를 수집 및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센서레벨부(200)는 영역레벨부(3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영역_U-CoUDE(310)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센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센서레벨부(200)는 스마트홈(Smarthome)의 영역_U-CoUDE(311)에 대응되는 가전기기상태센서(211) 및 움직임감지센서(212)와, 스마트TV(SmartTV)의 영역_U-CoUDE(312)에 대응되는 채널정보센서(213) 및 음량정보센서(214)와, 스마트폰(SmartPhone)의 영역_U-CoUDE(313)에 대응되는 와이파이(WiFi, 215) 및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216)과, 전자달력(Calendar)의 영역_U-CoUDE(314)에 대응되는 시간정보센서(217) 및 일정정보센서(218) 등의 센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_U-CoUDE(310)에 대해서는 차후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영역레벨부(300)는 다수의 센서(210)로부터 전달받은 각각의 상황정보(CT)를 종합 및 추론하여 영역추론상황정보(dI_CT)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역추론상황정보(dI_CT)를 사용자레벨부(40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영역레벨부(300)는 다수의 영역_U-CoUDE(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영역_U-CoUDE(310)은 대응되는 다수의 센서(210)로부터 상황정보(CT)를 각각 전달받고, 이를 종합 및 추론하여 영역추론상황정보(dI_CT)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영역레벨부(300)는 스마트홈, 스마트TV, 스마트폰 및 전자달력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_U-CoUDE(311, 312, 313, 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홈을 위한 영역_U-CoUDE(311)는, 예를 들면 대응되는 가전기기상태센서(211) 및 움직임감지센서(212)로부터 각각 상황정보(CT)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각각의 상황정보(CT)를 종합 및 추론하여 이에 대응되는 영역추론상황정보(dI_CT)를 생성한다. 더욱 예를 들면, 스마트TV를 위한 영역_U-CoUDE(312)는 채널정보센서(213) 및 음량정보센서(214)로부터 전달받은 각각의 상황정보(CT)를 종합 및 추론하여 이에 대응되는 영역추론상황정보(dI_CT)를 생성하며, 스마트폰을 위한 영역_U-CoUDE(313)는 와이파이(215) 및 위성위치확인시스템(216)으로부터 전달받은 각각의 상황정보(CT)를 종합 및 추론하여 이에 대응되는 영역추론상황정보(dI_CT)를 생성하며, 전자달력을 위한 영역_U-CoUDE(314)는 시간정보센서(217) 및 일정정보센서(218)로부터 전달받은 각각의 상황정보(CT)를 종합 및 추론하여 이에 대응되는 영역추론상황정보(dI_CT)를 생성한다.
즉, 영역레벨부(300)의 영역_U-CoUDE(310)는 다수의 센서(210)로부터 전달받은 각각의 상황정보(CT)를 종합 및 추론하여 새로운 영역추론상황정보(dI_CT)를 생성 및 전달하는 바, 영역레벨부(300)에 위치한 상황정보 응용프로그램(미도시), 상황정보 응용 서비스(미도시) 또는 사용자레벨부(400)에 위치한 사용자_U-CoUDE(410)에 대해서 논리(logical) 센서의 역할을 한다.
사용자레벨부(400)는 다수의 영역_U-CoUDE(310)로부터 전달받은 각각의 영역추론상황정보(dI_CT)를 종합 및 추론하여 사회추론상황정보(sI_CT)를 생성 및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레벨부(400)는 다수의 사용자_U-CoUDE(4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_U-CoUDE(410) 각각은 영역레벨부(300)의 다수의 영역_U-CoUDE(310)으로부터 영역추론상황정보(dI_CT)를 각각 전달받고 이를 종합 및 추론하여 사회추론상황정보(sI_CT)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레벨부(400)는 사용자인 Alice, Bob 및 Chalie 각각에 대응되는 사용자_U-CoUDE(411, 412, 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Bob을 위한 사용자_U-CoUDE(412)는 영역레벨부(300)를 구성하는 스마트홈의 영역_U-CoUDE(311), 스마트TV의 영역_U-CoUDE(312), 스마트폰의 영역_U-CoUDE(313) 및 전자달력의 영역_U-CoUDE(314)로부터 전달받은 각각의 영역추론상황정보(dI_CT)를 종합 및 추론하여 이에 대응되는 사회추론상황정보(sI_CT)를 생성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Alice 및 Chalie의 사용자_U-CoUDE(411, 412)는 영역레벨부(300)의 영역_U-CoUDE(310)로부터 영역추론정보(dI_CT)를 전달받고, 이를 종합 및 추론하여 이에 대응되는 사회추론상황정보(sI_CT)를 생성한다. 사용자_U-CoUDE(410)에 대해서는 차후에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생성된 사회추론상황정보(sI_CT)는 이를 이용하는 예를 들면, 상황정보 응용프로그램 또는 상황정보 응용서비스에 제공 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의 사용자_U-CoUDE(410)로부터 생성된 사회추론상황정보(sI_CT)는 사용자와 관련된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_U-CoUDE(410)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Bob의 사용자_U-CoUDE(412)로부터 생성된 사회추론상황정보(sI_CT)는 Alice 또는 Chalie의 사용자_U-CoUDE(411, 4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 사용자는 사회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상황정보까지 고려 할 수 있는 바, 사회적 수준의 상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 관리장치(100)는 영역레벨부(300) 및 사용자레벨부(400)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_U-CoUDE(310) 및 사용자_U-CoUDE(410)를 구성함으로써, 영역 수준의 상황정보 관리 수준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 수준 및 사회적 수준의 상황정보 관리 수준까지 달성 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CoUDE(도 1의 310, 41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영역_U-CoUDE(도 1의 310) 및 사용자_U-CoUDE(도 1의 410)에 이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CoUDE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U-CoUDE(500)는 통합센서부(600)와 통신하여 제 1 상황정보(CT1)를 통합센서부(600)로부터 수집하고, 수집된 제 1 상황정보(CT1)를 종합 및 추론하여 종합상황정보(T_CT1)를 생성하여 상황정보응용프로그램(Context-aware Applications, 700)에 제공한다.
먼저, 통합센서부(600)와 상황정보응용프로그램(700)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합센서부(600)는 다수의 센서부(610)로 구성되어, 다수의 센서부(610) 각각에 대응되는 제 1 상황정보(CT1)를 U-CoUDE(500)에 전달한다.
여기서, 다수의 센서부(610)는 예를 들면, 물리센서부(Physical Sensors, 611)와, 가상센서부(Virtual Sensors, 612)와, 논리센서부(Logical Sensors, 613)로 구성될 수 있다.
물리센서부(611)는 다수의 물리센서로 구성되어 각각의 물리센서에 대응되는 제 1 상황정보(CT1)를 U-CoUDE(500)에 제공하며, 가상센서부(612)는 다수의 가상센서로 구성되어 각각의 가상센서에 대응되는 제 1 상황정보(CT1)를 U-CoUDE(500)에 제공한다. 이때, 물리센서부(611) 및 가상센서부(612)는 예를 들면, 도 1의 센서레벨부(200, 도 1 참조)가 될 수 있으며, 제 1 상황정보(CT1)는 도 1의 상황정보(CT, 도 1 참조)가 될 수 있다.
논리센서부(613)는 물리센서부(611), 가상센서부(612) 및 논리센서부(613)로부터 수집된 각각의 제 1 상황정보(CT1)를 종합 및 추론하여 새로이 생성된 상황정보를 제 1 상황정보(CT1)로서U-CoUDE(500)에 제공한다.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예를 들면, 영역레벨부(도 1의 300)의 영역_U-CoUDE(도 1의 310)는 대응되는 다수의 센서(도 1 의 210)로부터 각각 상황정보(도 1의 CT)를 수신하고, 각각의 상황정보(도 1의 CT)를 종합 및 추론하여 영역추론상황정보(도 1의 dI_CT)를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논리 센서 기능을 한다. 즉, 각각의 상황정보(도 1의 CT)를 추론하여 새로이 생성한 영역추론상황정보(도 1의 dI_CT)이 제 1 상황정보(CT1)가 된다.
상황정보응용프로그램(700)은 U-CoUDE(500)로부터 제공되는 종합상황정보(T_CT1)를 이용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면, 도 1의 사용자레벨부(400)의 사용자_U-CoUDE(410, 도 1 참조) 또는 영역-U-CoUDE(310, 도 1 참조)의 영역추론상황정보(dI_CT, 도 1 참조)를 이용하는 상황정보응용프로그램 또는 서비스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황정보응용프로그램(700)은 상황정보를 이용하는 응용프로그램에 한정되지 않고, 상황정보를 이용하는 서비스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U-CoUDE(5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U-CoUDE(500)는 상황정보수집부(Context Collection Module, 510)와, 자원관리부(Resource Mgmt. Module, 520)와, 변환부(Translation Module, 530)와, 변화탐지부(Change Detection Module, 540)와, 충돌해결부(Conflict Resolution Module, 550)와, 추론부(Inference Module, 560)와, 상황정보제공부(Context Service Module, 580) 및 보안부(Security Module, 5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U-CoUDE(500)는 충돌제어부(Conflict Policies, 551)와, 보안제어부(Security Policies, 581)와, 데이터베이스(59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황정보수집부(510)는 통합센서부(600)의 다수의 센서부(610)로부터 각각 제 1 상황정보(CT1)를 수집하고, 각각의 제 1 상황정보(CT1)를 변환부(530)에 전달한다.
이때, 상황정보수집부(510)는 통합센서부(600)로부터 제 1 상황정보(CT1)를 수집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은 예를 들면,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3G/4G,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있다. 이들 기술 중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지는 제 1 상황정보(CT1)를 제공하는 센서의 종류 및 제 1 상황정보(CT1)의 특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즉, 통합센서부(600)로부터 수집된 제 1 상황정보(CT1)는 센서부(610)를 구성하는 센서의 종류에 대응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 1 상황정보(CT1)의 특성에 따라서 상황정보수집부(510)와 통합센서부(600)의 통신방법이 선택된다.
또한, 상황정보수집부(510)는 자원관리부(520)와 함께 새로운 센서를 발견하거나, 등록되어 있는 센서의 가용성(availability)을 점검한다.
자원관리부(520)는 제 1 상황정보(CT1) 수집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센서의 목록(list)을 상황정보수집부(510)에 제공한다.
또한, 자원관리부(520)는 목록에 존재하는 센서의 가용성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센서의 목록을 최신의 상태로 유지한다.
이를 위하여, 자원관리부(520)는 예를 들면, 정해진 규약을 통해 자동적으로 새로운 센서를 발견하여 센서의 목록에 추가한다. 또한 자원관리부(520)는 자원관리부(520)에 의해 발견 및 추가된 센서와 사용자 혹은 관리자의 입력을 통하여 추가된 센서의 리스트를 유지한다.
변환부(530)는 다수의 센서부(610)로부터 수집되어 상이한 형태인 각각의 제 1 상황정보(CT1)를 공통된 형태로 변환하여, 제 1 상황정보(CT1) 각각에 대응되는 공통상황정보(C_CT1)를 생성한다. 또한, 변환부(530)는 생성된 각각의 공통상황정보(C_CT1)를 변화탐지부(540)에 전달한다.
각각의 제 1 상황정보(CT1)를 공통된 형태로 변환하는 이유는,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제 1 상황정보(CT1)는 상황정보(CT1)의 특성 및 센서부(610)의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갖게 되는 바, 이를 공통된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U-CoUDE(500)가 상이한 영역의 제 1 상황정보(CT1)를 종합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함이다. 다시 말하면, 제 1 상황정보(CT1) 각각에 대응되는 공통상황정보(C_CT1)를 생성함으로써, 변환부(530)의 상위 구성부 예를 들면, 변화탐지부(540) 또는 충돌해결부(550) 등이 표준화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변환부(530)는 상이한 형태의 제 1 상황정보(CT1)를 표준화된 형태의 온톨로지 모델(Ontology Model)로 변환함으로써 상호 운용성을 확보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변환부(530)가 각각이 상이한 제 1 상황정보(CT1)를 이에 각각 대응되는 공통된 형태를 가진 공통상황정보(C_CT1)로 변환하여, 각각의 제 1 상황정보(CT1)가 표준화된 온톨로지 모델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정보 모델 및 상황정보와 상황정보 제공자간의 계층적 관계 모델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정보 모델의 개념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정보와 상황정보 제공자 간의 계층적 관계 모델의 개념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를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상황정보 모델에 대해서 살펴본다.
Context(1)는 ContextSource(2)에 의해 생성되고(ContextProducedBy), ContextConsumer(3)에 의해 소비된다(ContextConsumerHasContext).
ContextSource(2)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 및 사용자 혹은 관리자가 직접 입력하는 정보에 해당된다. ContextSource(2)는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와이파이(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서, 디지털 나침반 또는 GPS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ContextSource(2)는 Domain(4)에 위치하게 된다(DomainHasContextSources). Domain(2)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 스마트홈 또는 스마트TV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Domain(4)은 다수의 ContextSource(2)를 가질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라는 Domain(4)은 가속도 센서, 와이파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서, 디지털 나침반 및 GPS 등의 ContextSource(2)를 가질 수 있다.
ContextConsumer(3)는 상황정보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추론을 통하여 새로운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개체를 나타낸다. 또한, ContextConsumer(3)는 Domain(4)에 위치하며(DomainHasContextConsumer), Domain(4)은 다수의 ContextConsumer(3)를 포함할 수 있다.
Relevance(5)는 ContextConsumer(3)와 Context(1) 사이의 관련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값이다. 다시 말하면, Relevance(5)는 Context(1)가 ContextConsumer(3)에 대해서 가지는 중요도, 영향도, 유용성, 우선 순위, 시간적 및 지역적 근접도, 적용 가능성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계산된 값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홍길동과 관련된 ContextConsumer(3)는 홍길동과 지역적으로 가까이 있고 최신의 정보를 포함하는 Context(1)에 보다 높은 Relevance(5)를 부여한다.
Context(1)는 ContextMetaData(6)를 가진다(ContextHasContextMetaData). ContextMetaData(6)는 Context(1)와 연관된 Context(1)의 주변 정보를 나타내는데, 주변 정보는 예를 들면, Context(1)의 종류, 인증 관련 정보 또는 권한 있는 ContextConsumer(3)의 목록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ContextMetaData(6)는 ContextSource(2)와 ContextQuality(7)를 갖는다(ContextMetaDataHasContextSource, ContextMetaDataHasContextQuality). 이는, ConTextMetaData(6)는 Context(1)와 연관된 Context(1)의 주변 정보를 얻기 위함이며, 이러한 Context(1)의 주변 정보를 이용하여 ContextQuality(7)가 Context(1)로 이용되는 정보의 품질을 기술할 수 있도록 함이다.
ContextQuality(7)는 Context(1)로 이용되는 정보의 품질을 기술하는 지표를 나타낸다. Context(1)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에는 정밀도(precision), 정확도(probability of correctness), 신뢰성(trustworthiness), 해상도(resolution) 또는 최신성(up-to-date) 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Relevance(5)와 ContextQuality(7)는 Context(1)와 관련된 수치를 나타내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으나, Relevance(5)는 Context(1)와 ContextConsumer(3) 사이의 동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되고, ContextQuality(7)는 Context(1) 자체의 품질을 나타내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Context(1)는 ContextValue(8)를 갖는다(ContextHasContextValue). ContextValue(8)는 Context(1)의 실제 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GPS Context는 (37.77, -122.41)이라는 위도와 경도로 구성된 좌표 형태의 ContextValue(8) 값을 가질 수 있다.
ContextValue(8)가 Context(1)의 실제 값을 나타내기 위하여, ContextValue(8)는 ContextValueMetaData(9) 및 ObtainedTime(10)를 갖는다(ContextValueHasContextValueMetaData, ContextValueHasObtainedTime).
여기서 ContextValueMetaData(9)는 Context(1)의 실제 값의 단위, 표본추출주기 또는 설명 등의 정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ContextValueMetaData(9)는 GPS Context의 (37.77, -122.41)에서 위도 및 경도의 단위를 나타내는 도가 될 수 있다.
ObtainedTime(10)는 ContextValue(8)의 동적인 값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ObtainedTime(10)는 GPS Context의 (37.77, -122.41)에서 33.77, -122.41 등의 수치값이 될 수 있다.
여기서, ContextValueMetaData(9)와 ObtainedTime(10)을 구분한 이유는, ContextValueMetaData(9)는 Context(1)의 단위 등의 정적인 정보를 나타내므로 자주 바뀌지 않으나, Obtained Time(10)은 ContextValue(8)가 갱신될 때마다 함께 바뀌어야 하기 때문이다.
Context(1)는 ContextSource(2)로부터 들어오는 입력과, ContextConsumer(3)의 요청에 대한 출력을 통제하기 위하여 PolicyRule(11)을 선택하게 된다(ContextSelectsPolicies).
PolicyRule(11)은 ContextProductionDetails(12)를 통하여 인증된 ContextSource(2)로부터 공급되는 Context(1)를 얻을 수 있도록 입력을 제어한다(PolicyGovernsContextProduction).
또한, PolicyRule(11)은 CotenxtConsumptionDetails(13)를 통하여 권한이 있는 ContextConsumer(3)가 Context(1)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출력을 제어한다(PolicyGovernsContextConsumptions).
이를 통하여, 매우 민감하고 개인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Context(1)가 인증되지 않은 갱신이나 권한이 없는 요청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Context(도 3의 1)와 ContextSource(도 3의 2)의 계층적 관계를 살펴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Context(1)와 ContextSource(2)에는 컴포짓 패턴(Composite Pattern)이 적용된다. 컴포짓 패턴은 객체를 분할하는 디자인 패턴으로서, 객체 그룹이 단일 객체와 같이 취급되도록 한다. 컴포짓 패턴의 목적은 객체들을 트리(tree) 구조로 구성하여 부분-전체 계층(part-whole hierarchies)를 표현하기 위함이다. 이는 윈도우(Windows) 운영체체의 폴더 개념과 유사한데, 예를 들면 폴더는 파일 및 폴더를 포함할 수 있고, 하위 폴더는 또 다시 파일 및 폴더를 포함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하다.
먼저, Context(1)는 ContextSource(2)에 의해 생성된다(ContextProducedBy). 이때, Context(1)는 ContextMetaData(6)를 가지며(ContextHasContextMetaData), ContextMetaData(6)는 ContextSource(2)를 갖는다(ContextMetaDataHasContextSource).
여기서, ContextSource(2) 계층 구조의 경우, ContextSource(2)를 생성하는 ContextSourceComposite(31)이 있으며, ContextSourceComposite(31)은 Sub(하위)- ContextSourceComposite(미도시) 또는 ContextSourceAtomic(3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ContextSourceAtomic(32)은 종합된 ContextSource(2)의 이전의 단일의 ContextSource를 나타내는데, ContextSourceComposite(31)은 이러한 단일의 ContextSource인 ContextSourceAtomic(32)를 종합하여 ContextSource(2)를 생성한다(AggregatesContextSources).
ContextSourceAtomic(32)은 ProfiledContextSource(33)와 SensoryContextSource(34)로 구분된다. 여기서, ProfiledContextSource(33)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서 직접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며, SensoryContextSource(34)는 각종의 센서들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SensoryContextSource(34)는 다시 다수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 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PhysicalSensor(35), VirtualSensor(36) 및 LogicalSenSor(37)로 구분될 수 있다.
PhysicalSensor(35)는 물리 하드웨어로 구성된 센서를 나타내며, VirtualSensor(36)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공간(cyber-space)에 위치한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센서를 나타내며, LogicalSensor(37)는 물리, 가상 및 논리 센서로부터 상황정보를 종합 및 추론하여 새로운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를 나타낸다.
한편, RelatedContextSourceDetails(38)은 ContextSource(2)와, ContextSource(2)와 관계된 RelatedContextSources의 관계를 나타낸다.
Context(1) 계층 구조의 경우, Context(1)를 생성하는 ContextComposite(21)이 있으며, ContextComposite(21)은 Sub(하위)- ContextComposite(미도시) 또는 ContextAtomic(2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ContextAtomic(22)은 종합된 Context(1)의 이전의 단일의 Context를 나타내는데, ContextComposite(21)은 이러한 단일의 Context인 ContextAtomic(22)를 종합하여 Context(1)를 생성한다(AggregatesContext).
ContextAtomic(22)은 StaticContext(23)와 DynamicContext(24)로 구분되며, StaticContext(23)는 정적인 상황정보로서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에 의해 생성된 상황정보이다. 즉, StaicContext(23)은 ProfiledContextSource(33)에 의해 생성된다(StaticContextProduceBy).
DynamicContext(24)는 동적인 상황정보로서, 다시 다수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DynamicContext(24)는 PhysicalContext(25), VirtualContext(26) 및 InferredContext(27)로 구분 될 수 있다.
여기서, PhysicalContext(25)는 PhysicalSensor(35)에 의해서 수집된 상황정보이며(PhysicalContextProducedBy), VirtualContext(26)는 VirtualSensor(26)에 의해서 수집된 상황정보이며(VirtualContextProducedBy), InferredContext(27)는 LogicalSensor(37)에 의해서 수집된 상황정보이다(InferredContextProducedBy).
한편, RelatedContextDetails(28)은 Context(1)와, Context(1)와 관계된 RelatedContext의 관계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CoUDE(500, 도 2 참조)의 변환부(530, 도 2 참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정보 모델과,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간의 계층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상이한 형태의 제 1 상황정보(CT1, 도 2 참조)를 표준화된 온톨로지 모델인 공통상황정보(C_CT1, 도 2 참조)로 변환하여 상호 운용성을 확보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CoUDE(5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변화탐지부(540)는 공통상황정보(C_CT1)와 종합상황정보(T_CT1)의 차이 유무를 판단하고, 차이 유무에 대응하여 공통상황정보(C_CT1)의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즉, 변화탐지부(540)는 공통상황정보(C_CT1)와 종합상황정보(T_CT1)의 차이점 유무에 따라 충돌해결부(550)의 호출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종합상황정보(T_CT1)는 데이터베이스(590)에 저장되어 있던 상황정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공통상황정보(C_CT1)가 종합상황정보(T_CT1)와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경우, 즉 차이가 있는 경우, 변화탐지부(540)는 충돌해결부(550)에 공통상황정보(C_CT1)를 전달함으로써 충동해결부(550)를 호출한다. 반면에, 공통상황정보(C_CT1)가 종합상황정보(T_CT1)와 서로 다른 의미가 없는 경우, 즉 차이가 없는 경우, 변화탐지부(540)는 충돌해결부(550)에 공통상황정보(C_CT1)를 전달하지 않는 바, 충돌해결부(550)를 호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공통상황정보(C_CT1)가 종합상황정보(T_CT1)와 의미상 차이가 있는 경우에 상위 모듈(예를 들면, 충돌해결부(550))를 호출 하는 바, 오버헤드(overhead)가 감소된다.
공통상황정보(C_CT1)와 종합상황정보(T_CT1)의 차이 유무 판단은 임계치(threshold) 기반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변화탐지부(540)는 공통상황정보(C_CT1)가 긴급 상황정보 여부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통상황정보(C_CT1)가 긴급 상황정보인 경우, 변화탐지부(540)는 오프 되어 공통상황정보(C_CT1)와 종합상황정보(T_CT1)의 차이 유무 판단 단계는 생략 될 수 있다. 여기서, 긴급 상황정보란 예를 들면, 사용자의 교통사고, 화재, 재난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충돌해결부(550)는 전송된 각각의 공통상황정보(C_CT1)를 종류별로 구분한 후, 각각의 동종내에서 공통상황정보(C_CT1) 간의 충돌을 해결하여 무충돌공통상황정보(NC_CT1)를 생성한다. 또한, 충돌해결부(550)는 공통상황정보(C_CT1)간의 충돌이 해결된 무충돌공통상황정보(NC_CT1)를 데이터베이스(590)에 전송한다. 이때, 무충돌공통상황정보(NC_CT1)는 데이터베이스(590)에 저장됨으로써 종합상황정보(T_CT1)가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이한 영역에서 생성되고 확보된 상황정보들 간에는 충돌(conflict)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홈에서 확보된 온도가 28℃이고, 스마트홈에 위치한 스마트폰으로부터 확보된 온도가 -5℃인 경우, 둘 중에 하나는 잘못된 상황정보를 제공하여 충돌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충돌해결부(550)는 이러한 충돌을 해결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상황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충동해결부(550)가 변화탐지부(540)로부터 각각이 다른 종류의 공통상황정보(C_CT1)를 전달받은 경우, 충돌해결부(550)는 각각이 상이한 종류의 공통상황정보(C_CT1)를 동일한 종류별로 구분한다. 또한, 충돌해결부(550)는 같은 종류내에서 각각의 공통상황정보(C_CT1)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임계치 이상으로 커지면 충돌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충돌을 해결한다.
충돌해결부(550)가 충돌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첫 번째 방법은 충돌이 발생한 상황정보 중 가장 품질이 좋은 하나의 값을 선택하는 것이고, 두 번째 방법은 충돌이 발생한 상황정보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값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충돌해결부(550)는 충돌이 발생한 상황정보들 전체의 평균을 내어 새로운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충돌해결부(55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충돌제어부(551)의 제어를 받는다. 즉, 충돌제어부(551)는 충돌해결부(550)가 각각의 공통상황정보(C_CT1)를 동종으로 분류하고, 동종내에서 충돌 탐지 및 해결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추론부(560)는 데이터베이스(590)에 저장된 각각의 종합상황정보(T_CT1)를 이용하여 새로운 추론종합상황정보(IT_CT1)를 추론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590)에 저장한다. 이때, 추론종합상황정보(IT_CT1)는 데이터베이스(590)에 저장됨으로써 종합상황정보(T_CT1)가 된다.
각각의 종합상황정보(T_CT1)를 추론하는 방법에는 예를 들면, Fuzzy logic, 기계 학습(Machine learing) 또는 온톨로지 기반의 방법들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U-CoUDE(500)는 다양항 영영의 상황정보를 다루어야 하기 때문에 특정 추론 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모든 형태의 추론 방법들을 plug-in (특수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도록 대규모 어플리케이션이 통합되어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상황정보제공부(570)는 데이터베이스(590)에 저장되어 있는 종합상황정보(T_CT1)를 상황정보응용프로그램(700)에 제공한다. 상황정보제공부(570)가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예를 들면, Simple Object Access Protocla(SOAP)과 같은 웹 서비스 기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보안부(580)는 종합상황정보(T_CT1)를 인증되지 않은 갱신 및 권한이 없는 요청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보안부(580)는 상황정보수집부(510)가 센서부(610)로부터 제 1 상황정보(CT1)를 획득할 때 인증 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상황정보수집부(510)가 위조 또는 변조되지 않은 제 1 상황정보(CT1)를 선별하여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안부(580)는 상황정보제공부(570)가 권한이 있는 상황정보응용프로그램(700)에게 종합상황정보(T_CT1)를 제공할 수 있도록하여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한다.
한편, 보안부(58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보안제어부(581)의 제어를 받는다. 이는 도 2에서 제안한 상황정보 모델의 PolicyRule(도 2의 11)에 대응된다.
이하, 도 5를 더욱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 1 다양한 센서로부터 각각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가 수집된다(S500).
각각의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는 도 3의 상황정보 모델과, 도 4의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 제공자 계층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표준화된 온톨로지 모델로 변환된다(S502).
표준화된 각각의 상황정보가 긴급하지 여부를 판단한다(S504). 이때, 상황정보의 긴급 여부에 따라 그 이후의 절차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황정보가 긴급하지 않은 경우, 각각의 상황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황정보와 비교하여 의미상의 차이가 있는지 판단한다(S506). 이때, 상황정보가 기존의 상황정보와 의미상의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절차가 종료된다. 반면에 상황정보와 기존의 상황정보와 의미상의 차이가 있는 경우, 각각의 상황정보를 같은 종류으로 분류하고, 동종 내의 상황정보 간에 충돌을 탐색 및 해결한다(S508).
한편, 상황정보가 긴급한 경우, 상황정보와 기존 상황정보간의 차이 여부 판단은 생략될 수 있으며, 바로 각각의 상황정보를 동종으로 분류하고, 동종내의 상황정보 간의 충돌 탐색 및 해결 단계로 갈수 있다(S508).
충돌이 해결된 상황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S510), 저장된 상황정보를 추론하여 새롭게 추론된 상황정보가 생성되며, 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S51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황정보들은 상황정보응용프로그램에 제공된다(S514).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상황정보를 유연하고 확장 가능하게 표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장치 200: 센서레벨부
300: 영역레벨부 400: 사용자레벨부 500: U-CoUDE
510: 상황정보수집부 520: 자원관리부 530: 변환부
540: 변화탐지부 550: 충돌해결부 560: 추론부
570: 상황정보제공부 700: 상황정보응용프로그램
CT1: 제 1 상황정보 C_CT1: 공통상황정보
NC_CT1: 무충돌공통상황정보 T_CT1: 종합상황정보

Claims (12)

  1. 다수의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집된 각각의 제 1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센서레벨부와;
    상황정보모델과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제 1 상황정보 중 대응되는 제 2 상황정보를 종합 및 추론하여 제 1 추론상황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다수의 영역상황정보관리부(영역_U-CoUDE)로 구성되는 영역레벨부와;
    상기 상황정보모델과 상기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영역상황정보관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제 1 추론상황정보를 종합 및 추론하여 제 2 추론상황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다수의 사용자상황정보관리부(사용자_U-CoUDE)로 구성되는 사용자레벨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정적 상황 정보와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집되어 생성된 동적 상황 정보인 상기 제 1 상황 정보를 구분하여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와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와 관련된 관련 상황 정보 사이의 관계 정보에 기반하여 계층적으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장치.
  2. 삭제
  3. 상황정보모델과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을 이용하여,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를 표준화 형태로 변환하여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공통상황정보를 생성하는 변환부와;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와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저장된 종합상황정보의 차이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차이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변화탐지부와;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 중 전송된 공통상황정보를 동일한 종류로 구분한 후, 상기 동일한 종류 내에서 상기 전송된 공통상황정보 간의 충돌을 해결하여 상기 종합상황정보로서 전송하는 충돌해결부와;
    상기 종합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추론상황정보를 추론하여 상기 종합상황정보로서 전송하는 추론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정적 상황 정보와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집되어 생성된 동적 상황 정보인 상기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를 구분하여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와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와 관련된 관련 상황 정보 사이의 관계 정보에 기반하여 계층적으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장치.
  4. 청구항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장치.
  5. 청구항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를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집하여 상기 변환부에 전송하는 상황정보수집부와;
    상기 상황정보수집부가 이용할 수 있는 상기 다수의 센서 목록을 상기 상황정보수집부에 제공하는 자원관리부와;
    상기 종합상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종합상황정보를 상황정보응용프로그램에 제공하는 상황정보제공부와;
    상기 종합상황정보를 인증되지 않은 갱신 및 권한이 없는 사용 요청으로부터 보호하는 보안부를 더욱 포함하는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장치.
  6. 청구항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탐지부는,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가 긴급 상황정보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장치.
  7. 다수의 센서로부터 각각의 제 1 상황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단계와;
    상황정보모델과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제 1 상황정보 중 대응되는 제 2 상황정보를 종합 및 추론하여 제 1 추론상황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황정보모델과 상기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추론상황정보를 종합 및 추론하여 제 2 추론상황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정적 상황 정보와 상기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집되어 생성된 동적 상황 정보인 상기 제 1 상황 정보를 구분하여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와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와 관련된 관련 상황 정보 사이의 관계 정보에 기반하여 계층적으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방법.
  8. 삭제
  9. 상황정보모델과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을 이용하여,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를 표준화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 대응되는 각각의 공통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와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저장된 종합상황정보의 차이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차이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 중 전송된 공통상황정보를 동일한 종류로 구분한 후, 상기 동일한 종류 내에서 상기 전송된 공통상황정보 간의 충돌을 해결하여 상기 종합상황정보로서 전송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종합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추론상황정보를 추론하여 상기 종합상황정보로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황정보 및 상황정보제공자 간의 계층 모델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된 정적 상황 정보와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집되어 생성된 동적 상황 정보인 상기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를 구분하여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와 상기 수집된 상황 정보와 관련된 관련 상황 정보 사이의 관계 정보에 기반하여 계층적으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형태의 상황정보를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종합상황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종합상황정보를 상황응용프로그램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방법.
  12. 청구항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는, 상기 각각의 공통상황정보가 긴급한 경우 대응되는 경우 생략되는 사용자중심의 상황정보관리방법.
KR1020120097624A 2012-09-04 2012-09-04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460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624A KR101460404B1 (ko) 2012-09-04 2012-09-04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EP13178596.6A EP2704400A1 (en) 2012-09-04 2013-07-30 Apparatus for managing user-centric context and method thereof
JP2013162423A JP2014053002A (ja) 2012-09-04 2013-08-05 ユーザ中心の状況情報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13/971,557 US20140067746A1 (en) 2012-09-04 2013-08-20 Apparatus for managing user-centric context and method thereof
CN201310376004.5A CN103678864A (zh) 2012-09-04 2013-08-26 用于管理以用户为中心的环境信息管理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624A KR101460404B1 (ko) 2012-09-04 2012-09-04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957A KR20140044957A (ko) 2014-04-16
KR101460404B1 true KR101460404B1 (ko) 2014-11-12

Family

ID=4891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624A KR101460404B1 (ko) 2012-09-04 2012-09-04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067746A1 (ko)
EP (1) EP2704400A1 (ko)
JP (1) JP2014053002A (ko)
KR (1) KR101460404B1 (ko)
CN (1) CN1036788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0091A (zh) * 2014-07-17 2016-02-10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位置准则的控制方法
CN105323279A (zh) * 2014-07-17 2016-02-10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物联网系统
CN105259870A (zh) * 2014-07-17 2016-01-20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位置信息与习惯规则的智能控制方法
CN105320092A (zh) * 2014-07-17 2016-02-10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地理信息的物联网控制系统
JP2016110631A (ja) 2014-12-02 2016-06-2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状態推定装置、状態推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137786A (zh) * 2015-08-03 2015-12-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绑定智能家居设备的方法和装置
CN106708121B (zh) * 2015-11-13 2020-09-2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水壶系统、控制终端、水壶及其控制方法
KR102525295B1 (ko) * 2016-01-06 2023-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61572B1 (ko) * 2016-01-20 202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활용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20200082279A1 (en) * 2018-09-11 2020-03-12 Synaptics Incorporated Neural network inferencing on protected data
KR102438688B1 (ko) * 2022-04-08 2022-08-31 국방과학연구소 정보 융합 기반 의도 추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2394A1 (en) * 2001-06-07 2003-09-25 Oren Ryngle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xt awareness
US7383283B2 (en) * 2001-10-16 2008-06-03 Joseph Carrabis Programable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adaptation of presentations to individuals
JP4015919B2 (ja) * 2002-10-22 2007-11-28 株式会社東芝 情報共有支援装置および情報共有支援方法
JP4158741B2 (ja) * 2004-05-07 2008-10-01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7312307A (ja) * 2006-05-22 2007-11-29 Oki Electric Ind Co Ltd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868331B1 (ko) * 2007-02-23 2008-11-1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상황인식을 위한 온톨로지 시스템과 그 온톨로지 관리 방법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JP4472775B1 (ja) * 2009-02-26 2010-06-0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公開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204736B2 (ja) * 2009-09-24 2013-06-05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感染症患者行動履歴収集・分析システム
JP5458824B2 (ja) * 2009-11-20 2014-04-02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ロファイリング装置、プロファイリン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21847B2 (ja) * 2010-04-27 2014-02-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予測表示サーバ及び予測表示システム
JP5508941B2 (ja) * 2010-06-01 2014-06-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滞在目的推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53960B2 (ja) * 2010-12-28 2016-02-09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ーバ装置、行動促進抑制システム、行動促進抑制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403794A (zh) * 2011-09-26 2012-04-04 国网信息通信有限公司 智能电网一体化管理系统
KR101319603B1 (ko) * 2012-01-31 2013-10-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에서 추천 서비스를 위한 능동적 상황인식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2012.05.03-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67746A1 (en) 2014-03-06
JP2014053002A (ja) 2014-03-20
KR20140044957A (ko) 2014-04-16
EP2704400A1 (en) 2014-03-05
CN103678864A (zh)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404B1 (ko) 사용자 중심의 상황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lmusaylim et al. A review on smart home present state and challenges: linked to context-awareness internet of things (IoT)
Chow The last mile for IoT privacy
Chabridon et al. A survey on addressing privacy together with quality of context for context management in the Internet of Things
Choi et al. Sensorsafe: a framework for privacy-preserving management of personal sensory information
CN108431779B (zh) 基于用户图将动作路由到用户设备
Behan et al. Modern smart device-based concept of sensoric networks
Lee et al. Survey and trend analysis of context-aware systems
Wagner et al. Context as a service-Requirements, design and middleware support
Vahdat-Nejad Context-aware middleware: A review
Abid et al. A framework for quality of context management
KR100707671B1 (ko) 멀티 홈네트워크 환경 기반 상황 적응적 서비스 제공을위한 추론 장치 및 그 방법
Costa et al. Towards conceptual foundations for context-aware applications
Riboni et al. Context provenance to enhance the dependability of ambient intelligence systems
Kim et al. Composite context information design and model approach for adaptive service decision
Hartmann et al. Context models and context awareness
KR20100100175A (ko) 맞춤형 u-city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황인지 추론 시스템
Fischer et al. Modelling security relevant context an approach towards adaptive security in volatile mobile web environments
Schaub Context-adaptive privacy mechanisms
Wagner Context as a service
Subercaze et al. Context-aware applications using personal sensors
Tahir Context aware mobile computing as a challenge for developers and software engineers: a review
Fiore et al. Deploying mobile middleware for the monitoring of elderly people with the Internet of Things: a case study
Pallapa et al. A scheme for quantizing privacy in context-aware ubiquitous computing
de Matos et al. Context-aware security in the internet of things: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