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161B1 -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및 이의 출입방법 - Google Patents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및 이의 출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161B1
KR101460161B1 KR1020130017696A KR20130017696A KR101460161B1 KR 101460161 B1 KR101460161 B1 KR 101460161B1 KR 1020130017696 A KR1020130017696 A KR 1020130017696A KR 20130017696 A KR20130017696 A KR 20130017696A KR 101460161 B1 KR101460161 B1 KR 101460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ance
exit
water
doorway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780A (ko
Inventor
허장현
Original Assignee
허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장현 filed Critical 허장현
Priority to KR102013001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161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Constructions, or methods of constructing, i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4/00Buildings for combinations of different purpos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main groups E04H1/00-E04H13/00 of this subclass, e.g. for double purpose; Buildings of the drive-i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al W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및 이의 출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상부 외주를 감싸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상부를 덮는 지붕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면과 지붕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건축물의 내부출입이 가능하도록 제1 출입구를 포함하는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입구와 연결되고, 내부에 공기가 포함된 공간이 형성된 출입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 안내부에는 제2 출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출입 안내부의 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출입도어에 의해 분할되며, 상기 분할 출입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출입구가 열리고, 상기 제2 출입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분할 출입도어가 열림으로써, 외부 물이 상기 건축물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및 이의 출입방법{Under-water Structure Having Divided Porch and Method for Entrance into the Same}
본 발명은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및 이의 출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 건축물의 입구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출입구가 열려도 건축물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및 이의 출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의 평균온도가 지난 100년간(1906년~2005년) 0.7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다. 기온이 0.74 상승한 것에 대한 영향으로 가장 먼저 해수면이 상승되고 있다. 해수면의 상승은 해안지역의 홍수와 침수 등을 유발하게 된다. 최근 해수면 상승 속도가 빨라지면서 도시/건축적 대응전략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특히 해수면 상승은 인간거주지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수상건축 또는 수중건축 등 적극적인 대응전략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상건축은 인간의 활동에 필요한 공간을 물 위에 짓는 것이고, 수중건축은 깊은 물속에 인간의 활동에 필요한 공간이 형성된 건축물을 짓는 것이다.
수상건축의 경우에는 물 위에 중력과 부력의 상호관계를 통하여 고정식 또는 부유식 등으로 지어질 수 있다. 상기 수상건축은 물 위에 출입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지상에 지어진 건축물과 유사하다.
그러나, 상기 수중건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가 열리면 건축물의 실내와 외측의 물 사이의 압력 차이로 물이 건출물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중건축은 깊은 물속에서 바로 출입할 때, 물이 건축물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개선된 출입 구조를 필요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중 건축물의 입구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출입구가 열려도 건축물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및 이의 출입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출입도어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상부 외주를 감싸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상부를 덮는 지붕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면과 지붕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건축물의 내부출입이 가능하도록 제1 출입구를 포함하는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입구와 연결되고, 내부에 공기가 포함된 공간이 형성된 출입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 안내부에는 제2 출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출입 안내부의 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출입도어에 의해 분할되며, 상기 분할 출입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출입구가 열리고, 상기 제2 출입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분할 출입도어가 열림으로써, 외부 물이 상기 건축물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입 안내부는 워터펌프 및 에어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분할 출입도어로 내부 공간이 분할된 제1 출입 안내부 및 제2 출입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출입 안내부는 상기 제1 출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출입 안내부는 상기 제2 출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분할 출입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출입구가 열리면 외부 물이 유입되고,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에 물이 차면 상기 제2 출입구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에 물이 차면 상기 분할 출입도어가 열려서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의 물이 상기 제1 출입 안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와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의 내부 공간이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와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의 내부 공간이 통합된 후 상기 분할 출입도어를 닫고, 상기 워터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의 물을 상기 제2 출입 안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 출입 안내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중 건축물은 지상과 연결된 비상탈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중 건축물은 지상과 연결된 환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에 출입하는 방법은, 수중에 건설된 건축물에 출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분할 출입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출입 안내부에 구비된 제2 출입구가 열리는 제2 출입구 개방단계와, 상기 제2 출입구 개방에 따라 제1 출입 안내부의 내부에 외부 물이 유입되는 제1 물 유입단계와, 상기 외부 물이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의 내부에 채워지면 상기 제2 출입구가 닫히는 제2 출입구 폐쇄단계와, 상기 제2 출입구 폐쇄 후 상기 출입 안내부의 내부 공간이 통합되어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의 물이 상기 제1 출입 안내부로 이동되는 제2 물 유입단계와, 상기 제2 물 유입단계에서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와 상기 제2 출입 안내부가 통합되는 출입 안내부 통합단계와, 상기 제1 출입 안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상기 분할 출입도어가 닫히는 출입 안내부 분할단계와, 상기 분할 출입도어가 닫힌 후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에 유입된 물을 상기 제2 출입 안내부로 이동시키도록 워터펌프가 구동되는 워터펌프 구동단계와, 상기 워터펌프를 구동시키면서 상기 제2 출입 안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출입 안내부로 이동시키도록 에어펌프가 구동되는 에어펌프 구동단계 및 상기 워터펌프 및 에어펌프의 구동으로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에 유입된 물이 이동되고, 이동된 공기가 유입되면 제1 출입구가 열리는 제1 출입구 개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출입구 개방단계는,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의 물을 외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의 내부 공간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2 출입 안내부 초기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출입 안내부 초기화단계는, 에어펌프 구동으로 상기 수중 건축물 내부 공기 또는 지상과 연결된 환기구를 통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펌프 구동단계는 상기 수중 건축물에 구비된 환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및 이의 출입방법에 의하면, 바다와 같이 깊은 물 속에 건설된 구조물인 건축물에 출입구가 개폐되어도 물이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지상의 건축물과 같이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입 안내영역을 분할하고, 유입된 물과 공기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물이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깊은 물 속에 건설된 구조물에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수중주택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도 2의 출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계별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수중 건축물의 출입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에 대하여 첨부된 보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100)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서 상기 출입 안내부(120)는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지붕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수중 건축물(100)은 바닥면(111), 벽체(112), 지붕(113) 및 제1 출입구(1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중 건축물(110)은 출입 안내부(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중 건축물(100)은 물 속에 바닥면(111), 벽체(112) 및 지붕(113)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구조물(110)이다. 예를 들면, 상기 구조물(110)은 사람이 주거할 수 있는 주택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중 건축물(100)은 물 속에 위치하기 때문에 출입을 위하여 출입 안내부(120)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중 건축물(100)에 출입하는 주체를 사람(200)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중 건축물(100)은 지상과 연결된 비상탈출구(미도시)와 환기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출입 안내부(120)는 제1 출입구(114)와 연결된다. 상기 출입 안내부(120)는 구조물(110)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구조이다. 특히, 상기 출입 안내부(120)는 구조물(110)의 바닥면(111), 벽체(112) 및 지붕(113)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입 안내부(120)는 구조물(110)의 내부로 외부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사람(200)의 이동방향과 반대로 물을 이동시킨다.
상기 출입 안내부(120)는 분할 출입도어(121), 제1 출입 안내부(122), 제2 출입 안내부(123) 및 제2 출입구(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출입구(124)는 물 속에서 출입 안내부(120)로 들어가기 위한 문이다.
상기 분할 출입도어(121)는 출입 안내부(12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거나 통합시킨다. 상기 분할 출입도어(1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할 출입도어(121)는 지붕(113) 측으로 접철되도록 형성되거나, 벽체(112) 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분할 출입도어(121)는 출입 안내부(120)를 분할하여 제1 출입 안내부(122)와 제2 출입 안내부(123)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출입 안내부(122)는 제1 출입구(114)와 연결된 공간이며, 상기 제2 출입 안내부(123)는 제2 출입구(124)와 연결된 공간이다. 이 경우 '연결된다'는 제1 출입구(114) 또는 제2 출입구(124)의 개폐로 다른 공간과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과 함께 수중 건축물(100)의 출입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f는 도 2의 출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계별 구성도이다. 도 4는 수중 건축물(100)의 출입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에서 상기 출입 안내부(120)는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지붕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수중 건축물(100)의 출입방법은 제2 출입구 개방단계(S100), 제1 물 유입단계(S200), 제2 출입구 폐쇄단계(S300), 제2 물 유입단계(S400), 출입 안내부 통합단계(S500), 출입 안내부 분할단계(S600), 워터펌프 구동단계(S700), 에어펌프 구동단계(S800) 및 제1 출입구 개방단계(S9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각 구성에 별도의 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센서 및 이 센서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출입구 개방단계(S100)는 사람(200)이 구조물(110)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기 위하여 최외측의 입구가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출입구(124)가 개방되기 전에 먼저 출입 안내부(120)의 분할 출입도어(121)이 닫힌 상태인지 확인이다. 만약 분할 출입도어(121)가 열린 상태라면, 다시 분할 출입도어(121)를 닫은 후 제2 출입구(124)를 개방시킨다.
상기 제1 물 유입단계(S200)는 상기 제2 출입구(124)가 열리면 외부에 물이 제2 출입 안내부(123)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출입 안내부(123)에는 물 속에 있는 사람(200)이 물과 함께 제2 출입 안내부(123)로 들어온다.
상기 제2 출입구 폐쇄단계(S300)는 사람(200)이 들어온 후 제2 출입구(124)를 닫는다. 이 경우, 상기 제2 출입 안내부(123)에는 물이 가득 찰 수도 있고 공기가 일부 남아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2 출입구(124)가 닫힌 후 사람(200)이 제1 출입구(114) 측으로 가기 위해서 분할 출입도어(121)가 열린다. 상기 제2 물 유입단계(S400)에서는 분할 출입도어(121)가 열린 후 제2 출입 안내부(123)의 물이 제1 출입 안내부(122)로 유입된다.
상기 출입 안내부 통합단계(S500)는 분할 출입도어(121)가 열린 상태이기 때문에 제1 출입 안내부(122)와 제2 출입 안내부(123)가 한 공간이 되는 것이다. 이때, 사람(200)은 제1 출입구(114)에 인접하게 이동한다. 이 경우, 처음 유입된 물의 높이는 증가된 출입 안내부(120)의 부피에 대응하여 낮아진다.
상기 출입 안내부 분할단계(S600)는 상기 분할 출입도어(121)를 닫고, 내부 공간을 상기 제1 출입 안내부(122)와 제2 출입 안내부(123)로 분할한다. 이는 사람(200)이 제1 출입구(114)에 근접하게 이동하였기 때문에, 제1 출입구(114) 주변의 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워터펌프 구동단계(S700)는 제1 출입 안내부(122)의 물을 제2 출입 안내부(123)로 이동시킨다. 상기 워터펌프(125)는 출입 안내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출입 안내부(120)의 외측에서 제1 출입 안내부(122)와 제2 출입 안내부(123)가 연결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워터펌프(125)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제2 출입 안내부(123)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펌프 구동단계(S800)는 제2 출입 안내부(123)의 공기를 제1 출입 안내부(122)로 이동시킨다. 상기 에어펌프(126)는 물이 제1 출입 안내부(122)에서 제2 출입 안내부(123)로 이동되면서 부족한 공기를 보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제1 출입 안내부(122)에 이동되는 공기는 제2 출입 안내부(123)에 포함된 것이거나, 에어펌프(126)의 일측이 지상과 연결되어 지상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출입구 개방단계(S900)는 제1 출입 안내부(122)의 내부가 공기로 체워지면, 구조물(110)의 메인 출입구인 제1 출입구(114)가 개방된다. 상기 제1 출입 안내부(122)는 내부 공간이 공기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제1 출입구(114)가 개방되어도 구조물(1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출입구 개방단계(S900)는 상기 제2 출입 안내부(124)의 물을 외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출입 안내부(124)의 내부 공간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2출입 안내부 초기화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는 외부에서 순차적으로 출입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출입 안내부(120)를 초기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의 출입방법은 깊은 물 속에 건설된 구조물에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수중 건축물 110: 구조물
111: 바닥면 112: 벽체
113: 지붕 114: 제1 출입구
120: 출입 안내부 121: 분할 출입도어
122: 제1 출입 안내부 123: 제2 출입 안내부
124: 제2 출입구 125: 워터펌프
126: 에어펌프

Claims (10)

  1.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상부 외주를 감싸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상부를 덮는 지붕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면과 지붕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건축물의 내부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벽체 중 일부분에 형성된 제1 출입구를 포함하는 수중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 상기 벽체 및 상기 지붕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포함된 공간이 형성된 출입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 안내부에는 물 속에서 상기 출입 안내부로 들어가는 제2 출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출입 안내부의 내부 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출입도어에 의해 분할 또는 통합되며,
    상기 분할 출입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출입구가 열리고, 상기 제2 출입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분할 출입도어가 열리며, 외부 물이 상기 건축물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분할 출입도어로 분리된 상기 출입 안내부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제1 출입구에 인접한 공간에 외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제2 출입구에 인접한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안내부는 워터펌프 및 에어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분할 출입도어로 내부 공간이 분할된 제1 출입 안내부 및 제2 출입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출입 안내부는 상기 제1 출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출입 안내부는 상기 제2 출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분할 출입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출입구가 열리면 외부 물이 유입되고,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에 물이 차면 상기 제2 출입구가 닫히고,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에 물이 차면 상기 분할 출입도어가 열려서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의 물이 상기 제1 출입 안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와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의 내부 공간이 통합되며,
    상기 분할 출입도어는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와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의 통합된 내부 공간을 분리한 후 상기 워터펌프가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의 물을 상기 제2 출입 안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에어펌프가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 출입 안내부로 이동시켜 상기 제1 출입구가 열려도 외부 물이 상기 수중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건축물은 지상과 연결된 비상탈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건축물은 지상과 연결된 환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7. 수중에 건설된 수중 건축물에 출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분할 출입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출입 안내부에 구비된 제2 출입구가 열리는 제2 출입구 개방단계(S100);
    상기 제2 출입구 개방에 따라 제1 출입 안내부의 내부에 외부 물이 유입되는 제1 물 유입단계(S200);
    상기 외부 물이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의 내부에 채워지면 상기 제2 출입구가 닫히는 제2 출입구 폐쇄단계(S300);
    상기 제2 출입구 폐쇄 후 상기 출입 안내부의 내부 공간이 통합되어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의 물이 상기 제1 출입 안내부로 이동되는 제2 물 유입단계(S400);
    상기 제2 물 유입단계에서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와 상기 제2 출입 안내부가 통합되는 출입 안내부 통합단계(S500);
    상기 제1 출입 안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상기 분할 출입도어가 닫히는 출입 안내부 분할단계(S600);
    상기 분할 출입도어가 닫힌 후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에 유입된 물을 상기 제2 출입 안내부로 이동시키도록 워터펌프가 구동되는 워터펌프 구동단계(S700);
    상기 워터펌프를 구동시키면서 상기 제2 출입 안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출입 안내부로 이동시키도록 에어펌프가 구동되는 에어펌프 구동단계(S800); 및
    상기 워터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으로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에 유입된 물이 상기 제2 출입 안내부로 이동되고,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출입 안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제1 출입구가 열리는 제1 출입구 개방단계(S900)를 포함하여 상기 수중 건축물의 내부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의 출입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입구 개방단계(S900)는,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의 물을 외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출입 안내부의 내부 공간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2출입 안내부 초기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의 출입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입 안내부 초기화단계는, 상기 에어펌프 구동으로 상기 수중 건축물 내부 공기 또는 지상과 연결된 환기구를 통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의 출입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 구동단계(S800)는 상기 수중 건축물에 구비된 환기구를 통하여 상기 제1 출입 안내부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의 출입방법.
KR1020130017696A 2013-02-19 2013-02-19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및 이의 출입방법 KR101460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696A KR101460161B1 (ko) 2013-02-19 2013-02-19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및 이의 출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696A KR101460161B1 (ko) 2013-02-19 2013-02-19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및 이의 출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780A KR20140103780A (ko) 2014-08-27
KR101460161B1 true KR101460161B1 (ko) 2014-11-10

Family

ID=5174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696A KR101460161B1 (ko) 2013-02-19 2013-02-19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및 이의 출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1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353B2 (ja) * 1990-02-27 1995-03-22 株式会社海中居住研究所 水中エレベータ
US6325012B1 (en) * 1999-02-23 2001-12-04 Luis Alberto Aristizabal Bubble type submarine cabin
KR20040080995A (ko) * 2003-03-13 2004-09-20 가블러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잠수함
KR20060119878A (ko) * 2003-09-05 2006-11-24 서브백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잠수정 비상 대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353B2 (ja) * 1990-02-27 1995-03-22 株式会社海中居住研究所 水中エレベータ
US6325012B1 (en) * 1999-02-23 2001-12-04 Luis Alberto Aristizabal Bubble type submarine cabin
KR20040080995A (ko) * 2003-03-13 2004-09-20 가블러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잠수함
KR20060119878A (ko) * 2003-09-05 2006-11-24 서브백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잠수정 비상 대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780A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7857B2 (en) Vent
EP2499306B1 (en) Closable throughflow member
JP2001512798A (ja) 洪水保護装置
GB2461754A (en) Air vent for use as an air brick with a float valve and insect mesh
JP6399870B2 (ja) 止水板及び止水板を備える開口部の防水装置
KR200483513Y1 (ko) 음압 텐트
KR100807273B1 (ko) 고층건물 환기 시스템
JP6103833B2 (ja) サッシ
CN110094151A (zh) 百叶窗
KR100785399B1 (ko) 수직통로를 이용한 고층건물 환기시스템
JP6207814B2 (ja) サッシ
KR101460161B1 (ko) 출입 안내부를 구비한 수중 건축물 및 이의 출입방법
KR100895651B1 (ko) 지하수 심정 밀폐장치
JP6557614B2 (ja) 建具
JP2007032158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窓部換気構造
CN206737755U (zh) 带内排水通道的幕墙窗
CN206737682U (zh) 幕墙窗
KR100491963B1 (ko) 공동주택 창문 빗물커버용 알루미늄 인방틀 설치공법
KR102488732B1 (ko) 주거용 건축물의 침수방지 및 대피장치
JP2017186751A (ja) 建築物
KR102672820B1 (ko) 공동주택용 베란다 누수방지창틀
JP2007051534A (ja) 建具
KR101290114B1 (ko)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
WO2017132737A1 (en) Frame for a window or door
CN216617335U (zh) 窗户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