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077B1 -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 Google Patents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077B1
KR101460077B1 KR1020130075503A KR20130075503A KR101460077B1 KR 101460077 B1 KR101460077 B1 KR 101460077B1 KR 1020130075503 A KR1020130075503 A KR 1020130075503A KR 20130075503 A KR20130075503 A KR 20130075503A KR 101460077 B1 KR101460077 B1 KR 101460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hole
connecting member
shape
contac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정길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30075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접속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끼리의 접속을 위해 한 쌍의 접속부재를 마주보며 암수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접속됨은 물론 접속구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견고하고 신뢰성 높도록 하고, 비교적 단순한 구성 및 조립 방식을 통해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전기 접속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끼리의 접속을 위해 한 쌍의 접속부재를 마주보며 암수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접속됨은 물론 접속구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기, 전자기기는 갈수록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다기능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스마트폰, 노트북, 카메라 등의 분야에서는 다기능화를 위한 소형화, 박형화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전기, 전자장비는 내부에 PCB 회로 기판을 비롯하여 각종 전기, 전자부품을 다수 설치하고, 연결하여 구성되는데, 이들 전기, 전자부품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구성은 소형화, 박형화를 위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특히 기판과 기판 간을 접속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접속체가 개발되어 왔으나, 구성이 다수 필요하여 제조가 복잡하고, 접합 성능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특허 제10-0654814호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보다 견고하고 신뢰성 높은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갖는 접속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단순한 구성 및 조립 방식을 통해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전기 접속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핀과 도전체의 연결 부분의 형상을 개선하여, 보다 견고하고 신뢰도 있는 접속이 가능한 전기 접속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기판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에 있어서, 본체 내에서 핀을 일부 고정시키고 일면으로 상기 핀의 체결부가 돌출되고 외측으로 상기 핀의 접속부가 돌출되도록 형성시키는 제1접속부재; 및 통공이 형성된 보강필름 및 상기 보강필름의 일면에 고정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도전성 핀접촉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통공을 대면하여 위치되도록 하는 제2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2접속부재가 마주보며 결합될 때, 상기 핀은 상기 관통홀을 먼저 관통한 후 상기 통공을 관통하도록, 상기 핀접촉패널이 상기 제1접속부재를 향하고, 상기 보강필름이 상기 제1접속부재로부터 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를 제공한다.
상기 관통홀은 패널부에 +형 또는 Y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형상이며, 상기 관통홀의 각 단부에는 폭이 넓어지는 확장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필름에는 내입된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핀접촉패널은 상기 안착부 내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필름의 상기 핀접촉패널이 형성된 면으로는, 상기 보강필름 및 상기 핀접촉패널의 일부를 덮으며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접속부재에는 내입된 형상의 내입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접속부재 및 상기 제2접속부재의 결합시에,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내입부에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은: 상기 핀접촉패널 측으로 연장되는 체결부; 외측과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의 상기 체결부는: 사각기둥의 모서리가 라운드형으로 곡면화된 형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홀은 패널부에 H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형상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날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핀의 상기 체결부는: 납작한 직사각기둥 형상 또는 상기 납작한 직사각기둥의 모서리가 라운드형으로 곡면화된 형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날개부의 마주보는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의 측면에는, 내측으로 내입된 접촉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날개부의 사이를 관통하면, 상기 날개부의 단부는 상기 접촉홈 내에 접촉되며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의 단부는: 모서리가 라운드형으로 곡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부의 단부는: 양측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단조 공정에 의해 납작한 박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홈은: 상기 날개부 단면의 접촉 단면적보다 상하 방향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다 견고하고 신뢰성 높도록 하고, 비교적 단순한 구성 및 조립 방식을 통해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접속체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핀접촉패널 및 보강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2접속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접속부재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핀접촉패널 및 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핀접촉패널 및 핀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접속체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접속부재(100)와 제2접속부재(200)는 상하 마주보며 대면 결합을 하게 되며, 제1접속부재(100)와 제2접속부재(200) 각각은 배면에 PCB 회로기판 상에 결합된다.
제1접속부재(100)는 합성수지재질로 사출된 본체(110)와 그 내부에 인서트사출되어 일체화된 핀(300)이 다수 배치되어 있다. 핀(300)은 상방을 향해 돌출되며 일렬 배치된다. 본체(110)의 상면 중, 핀(300)이 구비된 사이 공간에는 내입부(1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접속부재(200)는 보강필름(220)에 일렬로 배치되는 핀접촉패널(210)을 구비하며, 핀접촉패널(210)은 제1접속부재(100)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그 배면의 보강필름(220)에는 통공(222)을 형성한다. 핀접촉패널(210)을 사이에 두도록, 보강필름(220)의 저면에는 고정부재(230)를 접합시킬 수 있으며, 이 고정부재(230)는 상기 내입부(120) 내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핀(300)은 핀접촉패널(210)을 관통하며 접속되면서, 통공(222)으로 돌출되며 암수 접속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핀접촉패널 및 보강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 및 (b)는 금속 도체로 구성되는 평판형의 핀접촉패널(210)이다. 핀접촉패널(210)은 패널부(212)와 그 일측으로 연장되는 접속부(211)를 구비하며, 접속부(211)는 외측 PCB 기판 등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패널부(212)의 중앙에는 +형으로 절개되어 4개의 날개부를 갖도록 관통홀(214)이 형성되고, 각 관통홀(214)의 사방 단부에는 원형으로 확장된 확장홀(215)이 형성되어 있다. 또는 관통홀(214)이 Y형으로 절개되어 3개의 날개부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확장홀(215)은 응력집중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통해 영구변형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c)를 참조하면, 핀접촉패널(210)는 접착제를 통해 보강필름(220)과 접합된다. 이 때 보강필름(220)의 두께를 감소시킨 안착부(224)를 형성하여, 안착부(224) 내에 핀접촉패널(210)이 인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보강필름(220)에는 통공(222)이 형성되고, 통공(222)은 관통홀(214)을 대면하여 마주보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2접속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접속부재(100)와 제2접속부재(200)가 상호 근접할 때, 핀(300)은 상방으로 돌출되고, 핀접촉패널(210)은 하방을 대면하도록 배치되며, 통공(222)은 상방을 향하도록 한다. 핀(300)은 관통홀(214)의 공간을 밀어 올리며, 주변의 날개부와 접촉되면서 상호 접속된다. 이 때 도 5와 같이 고정부재(230)는 내입부(120) 내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접속부재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강필름(220)에는 안착부(224)가 형성되고, 안착부(224) 내에는 패널부(212)가 인입되면서 핀접촉패널(210)이 접합된다. 그 상부 일측에는 고정부재(230)가 접합되며 핀접촉패널(210)을 고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L형의 핀(300)은 상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부(320)를 구비하고, 측방으로 돌출되며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330)를 구비하며, 그 중간은 연결부(3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체결부(320) 및 접속부(330) 단부는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단조 가공되어 평면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와 같이 핀(300)을 구성할 수 있다. 핀(300)의 체결부(320)는 사각기둥의 모서리가 라운드형으로 곡면화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핀접촉패널(210)의 날개부와 보다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310) 및 접속부(330)는 각진 사각기둥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b)는 제2접속부재(200)를 평면으로 본 것이고, (c)는 결합 전의 측면도이고, (d)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핀접촉패널 및 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핀(300)을 약간 너비가 있는 넙적한 패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때 체결부(320)는 직사각기둥의 모서리가 라운드형으로 곡면화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b)를 참조하면, 핀접촉패널(210)에 형성되는 관통홀(216)을 H형으로 형성하여, 좌우 양측의 날개부(217)가 상호 마주보며 여닫이 문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날개부(217)의 사이 공간을 일자형이므로, 넙적한 형태의 체결부(320)가 많은 면적으로 선접촉, 또는 면접촉되며 삽입되기에 적합하다. (c)는 결합 전의 측면도이고, (d)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핀접촉패널 및 핀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체결부(320)의 측방에 접촉홈(322)이 내입되도록 형성되는데, 접촉홈(322)의 형상을 날개부(217)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며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접속이 완료되는 클릭감이나 소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접촉 안정성을 확보하여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 날개부(217)는 도 9와 같이 모서리가 라운드화된 곡면 형상이 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 10과 같이 경사가 형성되거나 각진 형상을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0과 같이 접촉홈(322)의 상하 방향으로 다소 더 넓게 형성하여, 날개부(217)의 접촉되는 단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2접속부재(100, 200)의 결합 간격이 유동적일 수 있으므로, 날개부(217)의 측방 단면이 접촉홈(322) 내에 면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도 계속적으로 접촉홈(322) 내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접속부재 110 : 본체
120 : 내입부 200 : 제2접속부재
210 : 핀접촉패널 211 : 접속부
212 : 패널부 214 : 관통홀
215 : 확장홀 216 : 관통홀
217 : 날개부 220 : 보강필름
222 : 통공 224 : 안착부
230 : 고정부재 300 : 핀
310 : 연결부 320 : 체결부
322 : 접촉홈 330 : 접속부

Claims (13)

  1. 기판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에 있어서,
    본체 내에서 핀을 일부 고정시키고 일면으로 상기 핀의 체결부가 돌출되고 외측으로 상기 핀의 접속부가 돌출되도록 형성시키는 제1접속부재; 및
    통공이 형성된 보강필름 및 상기 보강필름의 일면에 고정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도전성 핀접촉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통공을 대면하여 위치되도록 하는 제2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2접속부재가 마주보며 결합될 때,
    상기 핀은 상기 관통홀을 먼저 관통한 후 상기 통공을 관통하도록, 상기 핀접촉패널이 상기 제1접속부재를 향하고, 상기 보강필름이 상기 제1접속부재로부터 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강필름에는 결합을 위한 내입된 안착부가 형성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패널부에 +형 또는 Y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형상이며,
    상기 관통홀의 각 단부에는 폭이 넓어지는 확장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접촉패널은 상기 안착부 내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4. 기판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에 있어서,
    본체 내에서 핀을 일부 고정시키고 일면으로 상기 핀의 체결부가 돌출되고 외측으로 상기 핀의 접속부가 돌출되도록 형성시키는 제1접속부재; 및
    통공이 형성된 보강필름 및 상기 보강필름의 일면에 고정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도전성 핀접촉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통공을 대면하여 위치되도록 하는 제2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2접속부재가 마주보며 결합될 때,
    상기 핀은 상기 관통홀을 먼저 관통한 후 상기 통공을 관통하도록, 상기 핀접촉패널이 상기 제1접속부재를 향하고, 상기 보강필름이 상기 제1접속부재로부터 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강필름의 상기 핀접촉패널이 형성된 면으로는,
    상기 보강필름 및 상기 핀접촉패널의 일부를 덮으며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에는 내입된 형상의 내입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1접속부재 및 상기 제2접속부재의 결합시에,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내입부에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핀접촉패널 측으로 연장되는 체결부;
    외측과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상기 체결부는:
    사각기둥의 모서리가 라운드형으로 곡면화된 형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패널부에 H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형상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날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핀의 상기 체결부는:
    납작한 직사각기둥 형상 또는 상기 납작한 직사각기둥의 모서리가 라운드형으로 곡면화된 형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날개부의 마주보는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측면에는,
    내측으로 내입된 접촉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날개부의 사이를 관통하면,
    상기 날개부의 단부는 상기 접촉홈 내에 접촉되며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단부는:
    모서리가 라운드형으로 곡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단부는:
    양측 모서리가 모따기된 형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단조 공정에 의해 납작한 박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홈은:
    상기 날개부 단면의 접촉 단면적보다 상하 방향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KR1020130075503A 2013-06-28 2013-06-28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KR101460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503A KR101460077B1 (ko) 2013-06-28 2013-06-28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503A KR101460077B1 (ko) 2013-06-28 2013-06-28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077B1 true KR101460077B1 (ko) 2014-11-10

Family

ID=5228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503A KR101460077B1 (ko) 2013-06-28 2013-06-28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0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546A (ko) * 2006-01-26 2008-01-22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기판간 접속커넥터
KR100912467B1 (ko) * 2007-10-29 2009-08-17 주식회사 코리아 인스트루먼트 커넥터용 연결핀 및 핀형 커넥터
KR101003027B1 (ko) * 2008-10-21 2010-12-22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덴카 겐큐쇼 암 커넥터, 그에 끼워 맞춰지는 수 커넥터, 이들이 끼워 맞춰져 이루어진 전기 접속구조, 이들을 이용한 전기·전자 부품 및, 반도체 패키지 소켓 또는 반도체 검사용 소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546A (ko) * 2006-01-26 2008-01-22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기판간 접속커넥터
KR100912467B1 (ko) * 2007-10-29 2009-08-17 주식회사 코리아 인스트루먼트 커넥터용 연결핀 및 핀형 커넥터
KR101003027B1 (ko) * 2008-10-21 2010-12-22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덴카 겐큐쇼 암 커넥터, 그에 끼워 맞춰지는 수 커넥터, 이들이 끼워 맞춰져 이루어진 전기 접속구조, 이들을 이용한 전기·전자 부품 및, 반도체 패키지 소켓 또는 반도체 검사용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8000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13224576B (zh) 连接器
CN110034464A (zh) 基板连接用电连接器装置
KR101640739B1 (ko) 반도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836647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alignment structure
KR101460077B1 (ko) 기판 접속을 위한 전기 접속체
US20110253437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KR101787067B1 (ko) 플러그커넥터, 소켓커넥터 및 그 결합구조
US7959461B1 (en) MiniPCI connector
CN104750287B (zh) 触控模块
CN105304996B (zh) 一种用于瓦片式面子阵的垂直射频连接结构
US9461380B2 (en) Connector and connecting port assembly therewith
JP2015118918A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TWI540951B (zh) 電子裝置
CN103324349B (zh) 显示装置
US20090288871A1 (en) Thin film circuit board device
CN205122741U (zh) 一种子阵模块的气密性结构
TWI829111B (zh) 組裝防水結構的方法
JP3233359U (ja) カードコネクタ
CN202159850U (zh) 接地片、接地装置及液晶显示装置
TW201124821A (en) Adapter boar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17088317A1 (zh) 一种串行总线连接器
US20140334122A1 (en) Riser card assembly
JP3589065B2 (ja) パワー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202304075A (zh) 電性測試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