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743B1 -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의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마스크 - Google Patents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의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743B1
KR101459743B1 KR1020080075928A KR20080075928A KR101459743B1 KR 101459743 B1 KR101459743 B1 KR 101459743B1 KR 1020080075928 A KR1020080075928 A KR 1020080075928A KR 20080075928 A KR20080075928 A KR 20080075928A KR 101459743 B1 KR101459743 B1 KR 101459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cellulose
mask
pres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043A (ko
Inventor
이창근
박창만
박승한
조성아
김주원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075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74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5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횡으로 자유롭게 늘어 나는 다층의 셀룰로오스(Cellulose) 구조로 이루어진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스 파이버(Cellulose fiber)를 중간 흡수층으로 하고 양 외측면(마이크로파이버스폰지층을 가운데 두고 양쪽으로 샌드위칭된 형태)을 셀룰로오스 시트로 라미네이팅(Laminating)한 다층의 셀룰로오스 구조로서 특히 중간층의 셀룰로오스 파이버를 40∼60°범위의 각도로 위치시켜 종, 횡으로 늘어나는 물성을 가지도록 하여 기존의 부직포가 갖고 있지 못한 신축성으로 인해 피부와의 밀착감이 뛰어나도록 만든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 마스크, 40∼60°, 종횡, 신축성

Description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의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마스크{Non-woven fabric using multi-layer cellulose and the mask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평면상에서 40∼60°범위의 기울기로 직조한 셀룰로오스(Cellulose) 파이버를 이용하여 3층 구조의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면상에서 45° 기울기로 위치한 셀룰로오스 파이버(Cellulose fiber)를 중간 흡수층으로 하고 양 외측면을 셀룰로오스 시트로 라미네이팅(Laminating)한 다층의 셀룰로오스 구조로서, 45° 기울기의 셀룰로오스 파이버의 물성에 의해 종횡으로 신축성이 생성되도록 하여 높은 흡수력과 보습력 뿐 아니라 어느 방향으로도 신축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피부와의 밀착감이 매우 뛰어 나게끔 한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부직포 마스크들은 단층구조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단층으로 인한 흡수력의 한계가 있으며 또한 부직포의 유연성도 좋지않아 얼굴 굴곡에 대한 밀착감 이 많이 떨어진다. 또한 피부에 부착 후, 피부에 대한 보습력이 단층타입의 부직포인 경우, 흡습량이 낮아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 흡수율이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종 또는 횡의 한쪽 방향으로만 늘어 나는 물성을 가지고 있거나 피부에 부착하기 위해 잡아 당길 때 신축력이 전혀 없어 시트가 찢어 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에 따라 얼굴과 같은 곡면이 복잡한 피부 표면에 부착할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피부 밀착감에서 만족을 못 느낄 뿐 아니라 부직포가 완전하게 피부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주름 현상이 생기는 것을 대부분 경험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820073호에는 셀룰로오스 파이버를 중간흡수층으로 하고 양 외측면에 셀룰로오스 시트를 라미네이팅함으로서 같은 무게의 부직포 시트에 비해 흡수력이 높고 부드러운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부직포 역시 신축력이 떨어져 만족할만한 피부 밀착감을 제공하지 못했다.
따라서 종 또는 횡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 잡아 당겨도 신축성이 있으면서 높은 흡수력과 보습력을 가지는 부직포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흡습성이 뛰어난 셀룰로오스 파이버를 평면상에서 40∼60° 기울기로 위치시켜 이를 중간 흡수층으로 하고 양쪽의 외측면에 셀룰로오스 시트를 라미네이팅함으로써 종횡 어느 방향으로도 부직포가 신축성 있게 늘어나는 것을 발견하였고, 또한 같은 무게의 부직포 시트에 비해 흡수력이 높고 부드러운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횡으로 신축성이 뛰어나고 흡수력과 보습력이 우수하면서 뛰어난 유연성을 가지는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평면상에서 40∼60° 기울기로 직조한, 바람직하게는 45°기울기로 직조한 셀룰로오스 파이버로 이루어지는 중간 흡수층 및 상기 중간 흡수층의 양 외측면을 라미네이팅하여 형성되는 셀룰로오스 시트를 포함하는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 부직포가 갖고 있지 못한 종·횡 어느 방향으로도 신축성을 나타내는 부직포로서 특히 40∼60° 범위의 각도로 직조된 셀룰로오스 파이버를 중 간 셀룰로오스 흡수층으로 하고 외측면을 셀룰로오스 시트로 라미네이팅시킨 부직포로서 이를 마스크에 사용할 경우 종 또는 횡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되어 한쪽 방향으로만 신축이 가능한 기존의 부직포가 가지지 못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복잡한 굴곡으로 이루어진 얼굴의 가장 자리에도 쉽게 부착이 가능하게 되며 마스크 팩의 주름이 생기지 않게 되어 피부와의 밀착감을 향상시키게 되어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면상에서 40∼60° 기울기로 위치하도록 직조한 셀룰로오스 파이버로 이루어지는 중간 흡수층 및 상기 중간 흡수층의 양 외측면을 라미네이팅하는 셀룰로오스 시트를 포함하는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 부직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 부직포로 제조되는 부직포 마스크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평면상에서45° 기울기로 직조된 셀룰로오스 파이버를 중간 흡수층으로 하고 외측면을 셀룰로오스 시트로 라미네이팅하면서 3층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0∼60° 기울기로 위치한 셀룰로오스 파이버를 다층 형태의 부직포에 이용함으로써 단 층 형태의 부직포가 가지지 못한 종횡으로의 신축성이 가능해지면서 동시에 흡수력이 높고 유연성이 뛰어나게 되어 피부에 적용 시 신축성이 향상되어 밀착감과 사용감이 우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 부직포는 40∼60° 기울기로 직조된 셀룰로오스 파이버로 구성된 중간 흡수층의 두께가 0.01∼2.0mm, 바람직하게는 0.3∼1.5mm이고, 양 외측면을 구성하는 셀룰로오스 시트의 두께가 0.01∼1.0mm, 바람직하게는 0.1∼0.7mm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두께보다 얇은 경우에는 원하는 부직포의 강도가 나오지 않으며, 상기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너무 두꺼워서 피부에 밀착감이 나빠지므로, 상기의 두께로 중간 흡수층 및 양 외측을 제조하는 것이 사용감이 부드럽고 촉촉하게 달라붙는 느낌이 가장 적정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 마스크는 상기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 부직포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셀룰로오스 파이버가 40∼60° 기울기로 중간층에 위치하여 스폰지층을 형성하게 하여 종횡의 신축성과 피부 밀착감이 뛰어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부직포 A의 제조방법
평면상에서 40° 각도로 셀룰로오스 파이버를 위치시켜 만든 두께 0.5mm의 마이크로 셀룰로오스파이버(Vilene(일본) 및 Freudenberg(독일))의 양 외측면에 핫멜팅 방식의 스프레이 방식으로 바인더(무독성/무용제형 아크릴계 바인더)를 도핑한 다음 0.1mm의 셀룰로오스 시트(제조사: Vilene 사(일본)/Freudenberg 사(독일))를 라미네이팅한 후 열건조 챔버를 통과하게 한 다음 열풍 건조시켰다.
[실시예 2] 부직포 B의 제조방법
평면상에서 60° 각도로 위치한 셀룰로오스 파이버(Vilene(일본) 및 Freudenberg(독일))를 이용하여 만든 두께 1mm의 셀룰로오스 파이버층을 바인더를 이용하여 0.5mm의 셀룰로오스 시트(제조사: Vilene 사(일본)/Freudenberg 사(독일))로 양 외측면을 라미네이팅하였다.
[실시예 3]
평면상에서 45° 각도로 위치하도록 직조한 셀룰로오스 파이버(Vilene(일본) 및 Freudenberg(독일))를 이용하여 만든 두께 0.7mm의 셀룰로오스 파이버층을 바인더를 이용하여 0.1mm의 셀룰로오스 시트(제조사: Vilene 사(일본)/Freudenberg 사(독일))로 양 외측면을 라미네이팅하였다.
[비교예 1]
한국등록특허 제820073호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중 [실시예 3]에 개시된 방법으로 0.7mm의 무정형 스폰지타입으로 만든 셀룰로오스층을 바인더를 이용하여 0.1mm의 셀룰로오스 시트로 양측을 라미네이팅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부직포 시트의 신축력을 비교 측정하였다. 레이온 성분의 부직포는 바이런㈜ 社의 것을 이용하였다. 신축력 측정 방법은 부직포를 가로 방향으로 50㎜, 그것과 직교하는 세로 방향으로 25㎜의 크기로 직사각형의 시험편을 잘라내었다.
ORIENTEC사 TELSILON RTC-1210A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신장율을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척(chuck)간 거리는 25㎜ 이었다.
신장율(%) = {(B-A)/A}×100
상기 식에서, A는 원래의 시험편의 길이이고, B는 부직포의 신축방향으로 300㎜/분의 속도로 신장시켰을 때 시험편의 길이이다.
구 분 CD 신장율(%) MD 신장율(%)
레이온 부직포 20 50
비교예 1 10 3
실시예 1의 부직포 A 70 75
실시예 2의 부직포 B 78 69
실시예 3의 부직포 C 83 88
표 1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부직포를 동일 중량의 레이온 부직포인 비교예 1과 비교했을 때 동일한 조건에서 신장율이 종횡의 방향으로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부직포 마스크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함량(중량%)
유성성분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8.0
디메치콘 0.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8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스디스테아레이트 1.0
수성성분 정제수 잔량
디소듐 이디티에이 0.02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10.0
방부제 0.25
트리에탄올아민 0.05
카보머 0.05
적량
상기 에멀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유성성분을 70∼75℃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수성성분을 70∼75℃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3) 상기 (2)에 상기(1)을 교반 하에 70∼75℃를 유지한 상태에서 서서히 투입한 후에 냉각하여 수중유형 에멀젼을 얻었다.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부직포를 얼굴 형태로 성형, 재단한 다음 상기에서 제조한 에멀젼 22g에 함침시켜 실시예 4의 부직포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시판되고 있는 레이온 부직포를 상기 실시예 4에서 사용한 부직포와 동일한 얼굴 형태로 성형, 재단한 다음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에멀젼 22g에 함침시켜 비교예 2의 레이온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1의 부직포를 상기 실시예 4에서 사용한 부직포와 동일한 얼굴 형태로 성형, 재단한 다음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에멀젼 22g에 함침시켜 비교예 3의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부직포 마스크의 사용 시 신축감 및 밀착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25명의 시험 대상자들을 선정하였고 이들에게 실시예 4 및 비교예 2∼3에서 제조한 마스크를 사용하게 한 후 신축감 및 밀착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평가는 실시예 4의 마스크, 비교예 2의 레이온 마스크 및 비교예 3의 마스크 중에서 상대 선호도로 평가하였다.
구분 신축감 밀착감
실시예 4의 마스크 20 22
비교예 2의 레이온 마스크 1 1
비교예 3의 마스크 4 2
총인원 25 25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이용하여 만든 실시예 4의 마스크가 비교예 2∼3의 마스크에 비해 신축감 및 밀착감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40∼60° 각도로 위치한 고신축성, 고흡습성 셀룰로오스 파이버 층을 이용한 3층 구조의 부직포의 단면도이다.

Claims (4)

  1. 셀룰로오스 파이버를 평면상에서 한쪽 방향으로만 40∼60° 기울기로 직조하여 제조된 중간 흡수층; 및 상기 중간 흡수층의 양 외측면을 라미네이팅하는 셀룰로오스 시트를 포함하는 다층의 셀룰로오스 구조 부직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흡수층은 평면상에서 45° 기울기로 직조한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의 셀룰로오스 구조 부직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흡수층은 두께가 0.01∼2mm이고, 양 외측면의 셀룰로오스 시트 두께가 0.01∼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 부직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 부직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마스크.
KR1020080075928A 2008-08-04 2008-08-04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의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마스크 KR101459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928A KR101459743B1 (ko) 2008-08-04 2008-08-04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의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928A KR101459743B1 (ko) 2008-08-04 2008-08-04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의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043A KR20100015043A (ko) 2010-02-12
KR101459743B1 true KR101459743B1 (ko) 2014-11-10

Family

ID=4208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928A KR101459743B1 (ko) 2008-08-04 2008-08-04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의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7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2804B2 (ja) * 2011-04-08 2015-08-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マスクの製造方法、マスク
KR101672461B1 (ko) 2014-12-31 2016-11-03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흡음재 부직포용 용융 셀룰로오스계 멜트블로운 섬유 조성물, 이를 이용한 용융 셀룰로오스 초극세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4011B1 (ko) 2016-03-31 2022-12-3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습식 부직포, 이를 포함하는 흡음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3654B1 (ko) 2021-10-13 2022-04-08 김형덕 케나프 부직포를 포함하는 기능성 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9356A (ja) 2005-06-29 2007-01-18 Daiwabo Co Ltd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07062A (ja) 2005-06-29 2007-01-18 Daiwabo Co Ltd 液体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KR100735827B1 (ko) * 2006-07-31 2007-07-06 지정환 인장력을 갖는 부직포 및 그의 제조시스템
KR100820073B1 (ko) * 2006-11-30 2008-04-11 (주)아모레퍼시픽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를 이용한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부직포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9356A (ja) 2005-06-29 2007-01-18 Daiwabo Co Ltd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07062A (ja) 2005-06-29 2007-01-18 Daiwabo Co Ltd 液体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KR100735827B1 (ko) * 2006-07-31 2007-07-06 지정환 인장력을 갖는 부직포 및 그의 제조시스템
KR100820073B1 (ko) * 2006-11-30 2008-04-11 (주)아모레퍼시픽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를 이용한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부직포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043A (ko)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911211A (en) Composite sheet and absorbent goods using composite sheet
US5352216A (en) Stretch fabric for medical use
KR101459743B1 (ko)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의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마스크
KR101587796B1 (ko) 신축성이 향상된 대나무 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화장품용 시트 마스크
KR102223463B1 (ko) 다공성 막, 재료, 복합재, 적층물, 텍스타일 및 관련 방법
JPH043741B2 (ko)
KR940008962B1 (ko) 표면 재료
JP2007503330A (ja) 完全に弾性の不織フィルムコンポジット
KR20070103479A (ko) 통기성 탄성 웹
KR20090079644A (ko)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EP2626456B1 (en) Multilayered non-woven fabric and product thereof
CN108542602A (zh) 一种婴儿纸尿裤的制备方法及采用该方法制备的纸尿裤
KR20050013157A (ko) 투습성, 방수성 및 방풍성 적층 시트, 이를 이용한 심, 및심을 함유한 의복
CN2546479Y (zh) 防水透气薄膜复贴面料
JPH06128853A (ja) 衛生材料用不織布
JP2003265520A (ja) 使い捨て紙おむつおよび使い捨て紙おむつの製造方法
TW386031B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soft barrier cuff
CN100484506C (zh) 一次性尿布
JP6218053B1 (ja) 使い捨て保温性不織布
KR100820073B1 (ko) 다층 셀룰로오스 구조를 이용한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부직포 마스크
CN215131721U (zh) 一种新型复合弹性层料
KR20090079646A (ko)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2934271B2 (ja) 貼布材
JP2019208582A (ja) 吸収体
JP3366759B2 (ja) 伸縮方向が規制された複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