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504B1 - 기능성 골프 퍼터 - Google Patents

기능성 골프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504B1
KR101459504B1 KR1020130018671A KR20130018671A KR101459504B1 KR 101459504 B1 KR101459504 B1 KR 101459504B1 KR 1020130018671 A KR1020130018671 A KR 1020130018671A KR 20130018671 A KR20130018671 A KR 20130018671A KR 101459504 B1 KR101459504 B1 KR 101459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grip
shaft
weight
p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4763A (ko
Inventor
김은배
Original Assignee
김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배 filed Critical 김은배
Priority to KR102013001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504B1/ko
Publication of KR2014010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골프 퍼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샤프트부의 상단에 그립부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샤프트부의 하단에 헤드부가 구비되어지는 골프 퍼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헤드몸체의 전면에 헤드면이 마련되어지고, 상기 헤드면과 수직되는 중심축 상에 상기 샤프트부의 하단이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퍼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골프 퍼터{FUNCTIONAL PUTTER}
본 발명은 기능성 골프 퍼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샤프트부의 상단에 그립부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샤프트부의 하단에 헤드부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헤드부의 헤드면과 수직되는 중심축 상에 상기 샤프트부의 하단이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퍼팅이 가능한 기능성 골프 퍼터에 관한 것이다.
골프에 있어서, 클럽은 볼을 치기 위하여 설계된 용구이며, 상기 클럽은 통상적으로 우드, 아이언 및 퍼터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퍼터는 퍼팅 그린 상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설계되어진 클럽을 지칭하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로프트가 10도 이하인 클럽을 말한다.
상기 클럽은 본질적으로 규칙에서 허용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형태와 구조를 크게 벗어날 수 없는 것이며, 한 자루의 샤프트와 한 개의 헤드만을 포함하여야 한다. 따라서, 퍼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퍼터의 경우는 우드나 아이언과는 달리 그 무게 뿐만 아니라, 다소 다른 형태의 조절성이 허용되는 바, 다양한 형상의 퍼터가 제작되어지고 있다.
골프에 있어서, 상기 퍼터를 이용한 퍼팅은 흔들림이 없는 안정된 스윙 동작이 매우 중요한 것이나, 종래의 퍼터를 이용한 스윙동작은 거리와 무관하게 신체의 측면이 홀컵을 향하도록 하여, 스윙동작시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스윙동작이 느려 유동이 배가되는 원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스윙동작은 백스윙 상태에서 홀컵이 있는 측면으로 정확한 스윙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나, 종래의 퍼터는 그립부가 좌, 우가 대칭되게 파지할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어드레스 자세가 흐트러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퍼터는 샤프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어, 신체의 조건에 불구하고, 획일화된 퍼터를 구매할 수 밖에 없었으며, 상황에 따라, 샤프트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음에도 그러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공개된 골프 퍼터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888693호가 등록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거리에 따라서 신체의 전면이 홀컵을 향하도록 하여, 스윙동작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골프 퍼터 그립부의 파지가 좌, 우 대칭이 될 수 있으며, 샤프트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헤드부의 방향를 조절하여 원거리의 경우는 신체의 측면이 홀컵을 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왼솝잡이와 오른손잡이의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고, 헤드에 웨이트를 구비하여 더욱 안정된 퍼팅이 가능한 골프 퍼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샤프트부(200)의 상단에 그립부(30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샤프트부(200)의 하단에 헤드부(100)가 구비되어지는 골프 퍼터(P)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0)는 헤드몸체(110)의 전면에 헤드면(120)이 마련되어지고, 상기 헤드면(120)과 수직되는 중심축 상에 상기 샤프트부(200)의 하단이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퍼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면(120)과 수직되는 중심축 상에 헤드결합봉(140)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부(200)의 하단이 상기 헤드결합봉(140)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헤드결합봉(140)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헤드부(100)의 방향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00)의 헤드몸체(110) 후면에는 웨이트(13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웨이트(130)는 헤드면(120)과 수직되는 중심축 상에 전후 방향으로 중심웨이트(131)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중심웨이트(131)의 전방에 상기 샤프트부(200)의 하단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중심웨이트(131)의 양 측면에 날개웨이트(132)가 구비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트(130)의 중심웨이트(131)는 절곡부(131a)가 형성되어 상향으로 절곡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트(130)의 중심웨이트(131)는 힌지(131b)가 형성되어 상향으로 절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부(200)에는 제1절곡부(251)와 제2절곡부(252)로 구성되어진 샤프트절곡부(250)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부(20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200)의 상단에 상기 그립부(300)의 하단에 구비되어진 그립조절부(310)가 관입되도록 결합되어지고, 상기 그립조절부(310)의 관입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300)의 그립면(320)은 상단에 그립홈(321)이 형성되어 파지대(322,322')가 마련되어지고, 상기 파지대(322,322')를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300)의 그립면(320)은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그립홈(321)이 │자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하여 파지대(322,322')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터에 따르면, 헤드결합봉의 하부에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헤드부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므로 거리에 따라서 신체의 전면이 홀컵을 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퍼팅하여, 스윙동작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다시금 방향를 조절하여 신체의 측면이 홀컵을 향하도록 퍼팅할 수 있으며,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의 구분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골프 퍼터의 그립면에 파지대가 형성되어 그립부의 파지가 좌, 우 대칭이 될 수 있어, 어드레스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그립부를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어깨간격에 따라 파지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그립조절부의 길이가 조절되어지는바, 길이 조절이 용이하여, 신체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헤드부에 웨이트를 구비하여 더욱 안정된 퍼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골프 퍼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골프 퍼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헤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골프 퍼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그립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가 회전한 상태의 골프 퍼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터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골프 퍼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퍼터를 이용한 스윙동작은 거리와 무관하게 신체의 측면이 홀컵을 향하도록 하여, 스윙동작시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립부가 좌, 우가 대칭되게 파지할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자연스럽게 어드레스 자세가 흐트러지고, 상황에 따라, 샤프트의 길이를 조절하여야 함에도 그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터(P)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부(200)의 상단에 그립부(30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샤프트부(200)의 하단에 헤드부(100)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구성은 규칙에 의하여 그 형태와 구조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이며, 반듯이 한 자루의 샤프트부와 한 개의 헤드부만을 포함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헤드부(100)는 헤드몸체(110)의 전면에 헤드면(120)이 마련되어지고, 상기 헤드몸체(110)의 후면에는 웨이트(130)가 구비되어질 수 있다.
상기 헤드몸체(110)는 정확한 퍼팅을 위하여, 홀컵의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헤드면(120)에 의하여 골프공이 타격되어진다. 상기 헤드몸체(110)와 헤드면(120)은 공지의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헤드면(120)과 수직되는 중심축 상에 상기 샤프트부(200)의 하단이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퍼팅이 가능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퍼팅을 함에 있어서, 신체의 측면이 홀컵을 향하도록 하나, 이는 스윙동작시 상대적으로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부(200)가 헤드면(120)과 수직되는 중심축 상에 결합되어짐에 따라서, 단거리의 경우에는 신체의 전면이 홀컵을 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퍼팅하여, 스윙동작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면(120)과 수직되는 중심축 상에 헤드결합봉(140)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부(200)의 하단이 상기 헤드결합봉(140)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헤드결합봉(140)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헤드부(100)의 방향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결합봉(140)의 베어링에 의하여 헤드부(100)의 방향 조절이 가능해지는바, 단거리의 경우에는 신체의 전면이 홀컵을 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퍼팅하여, 스윙동작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다시금 방향를 조절하여 신체의 측면이 홀컵을 향하도록 퍼팅할 수 있으며, 방향을 180도로 조절하면,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의 구분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종래의 퍼터는 좌,우 측방향으로 타격시 샤프트의 하단은 헤드면의 중심축에서 벗어나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으나, 본 발명은 상기 헤드면(120)과 수직되는 중심축 상에 헤드결합봉(140) 및 샤프트부(200)가 마련되어 전후 방향으로 타격시 좌우로 흔들림 없이 정확한 퍼팅이 가능해 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헤드부(100)의 헤드몸체(110) 후면에는 웨이트(13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웨이트(130)는 상기 헤드면(120)과 수직되는 중심축 상에 전후 방향으로 중심웨이트(131)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중심웨이트(131)의 전방에 상기 샤프트부(200)의 하단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중심웨이트(131)의 양 측면에 날개웨이트(132)가 구비되어질 수 있다.
상기 중심웨이트(131)는 퍼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방향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상기 날개웨이트(132)는 상기 중심웨이트(131)의 측면에서 힘의 균형을 잡아주는바, 유동을 더욱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샤프트부(200)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는 상기 헤드결합봉(140)은 중심웨이트(131)의 전방측에 마련되어짐으로 인하여, 타격시 백스윙에 의한 자연스러운 무게중심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는바, 정확도가 향상된다.
한편, 상기 웨이트(130)의 중심웨이트(131)는 절곡부(131a)가 형성되어 상향으로 절곡되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웨이트(131)는 타격시 방향성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 퍼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지는 바, 절곡부(131a)는 백스윙 과정에서 중심웨이트(131)가 지면에 닿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자연스러운 진자운동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곡부(131a)는 도 3에 도시된 것 이외에도 라운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절곡부(131a)의 위치와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웨이트(130)의 중심웨이트(131)는 힌지(131b)가 형성되어 상향으로 절첩이 가능할 수 있다.
지면의 형상에 따라, 중심웨이트(131)에 의하여, 백스윙이 극히 제한되어질 경우, 상기 힌지(131b)에 의하여 중심웨이트(131)가 절첩되어짐으로써,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샤프트부(20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부(200)의 상단에 상기 그립부(300)의 하단에 구비되어진 그립조절부(310)가 관입되도록 결합되어지고, 상기 그립조절부(310)의 관입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종래의 퍼터는 획일화된 사이즈로 제작되어 구매시 이를 고려할 수 밖에 없었으며, 골퍼의 신체 조건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퍼터가 제작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지면의 상황에 따라서 샤프트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음에도 그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그립조절부(3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골퍼의 신체 조건에 구애받지 않음과 동시에 상황에 따른 유연한 대처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부(200)의 세부 구성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샤프트부(200)를 구성하는 단위 부재의 갯수를 조절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샤프트부(200)에는 제1절곡부(251)와 제2절곡부(252)로 구성되어진 샤프트절곡부(250)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절곡부(250)는 퍼팅 과정에서, 골프 퍼터(P)에 의하여 골프공이 시아에서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샤프트부(200)의 중심이나 중심샤프트(210)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절곡부(251)와 제2절곡부(252)에 의하여, 두 번 절곡되어지되, 상기 샤프트절곡부(250)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의 샤프트부(200)가 평행하도록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그립부(300)의 그립면(320)은 상단에 그립홈(321)이 형성되어 파지대(322,322')가 마련되어지고, 상기 파지대(322,322')를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로써, 컵홀 방향을 바라보면서, 자연스럽게 파지가 가능하게 되며, 그립면(320)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300)의 파지가 좌, 우 대칭이 될 수 있어, 어드레스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300)가 Y자 형상이 되도록 하여, 더욱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그립부(300)의 그립면(320)은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그립홈(321)이 │자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하여 파지대(322,322')가 형성되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평상시에는 그립면(320)에 파지대(322,322')가 형성되지 않으나, 그립면(320)의 측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그립홈(321)이 벌어지도록 하여, 파지대(322,32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파지대(322,322')에 양 손을 대칭형으로 감싸서, 양 어깨와 양 손이 이루는 각도 만큼 상기 파지대(322,322')가 벌어지게 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손목의 힘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바, 손목의 힘으로 스윙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P:골프 퍼터 100:헤드부
110:헤드몸체 120:헤드면
130:웨이트 131:중심웨이트
131a:절곡부 131b:힌지
132:날개웨이트 140:헤드결합봉
200:샤프트부 250:샤프트절곡부
251:제1절곡부 252:제2절곡부
300:그립부 310:그립조절부
320:그립면 321:그립홈
322,322':파지대

Claims (9)

  1. 샤프트부(200)의 상단에 그립부(30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샤프트부(200)의 하단에 헤드부(100)가 구비되어지는 골프 퍼터(P)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0)는 헤드몸체(110)의 전면에 헤드면(120)이 마련되어지고, 상기 헤드면(120)과 수직되는 중심축 상에 상기 샤프트부(200)의 하단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그립부(300)의 그립면(320)은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그립부(300)의 상단에 형성된 그립홈(321)이 │자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하여 파지대(322,322')가 형성되어져, 상기 파지대(322,322')를 양손으로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면(120)과 수직되는 중심축 상에 헤드결합봉(140)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부(200)의 하단이 상기 헤드결합봉(140)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헤드결합봉(140)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헤드부(100)의 방향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0)의 헤드몸체(110) 후면에는 웨이트(13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웨이트(130)는 헤드면(120)과 수직되는 중심축 상에 전후 방향으로 중심웨이트(131)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중심웨이트(131)의 전방에 상기 샤프트부(200)의 하단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중심웨이트(131)의 양 측면에 날개웨이트(132)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200)에는 제1절곡부(251)와 제2절곡부(252)로 구성되어진 샤프트절곡부(250)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018671A 2013-02-21 2013-02-21 기능성 골프 퍼터 KR101459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671A KR101459504B1 (ko) 2013-02-21 2013-02-21 기능성 골프 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671A KR101459504B1 (ko) 2013-02-21 2013-02-21 기능성 골프 퍼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763A KR20140104763A (ko) 2014-08-29
KR101459504B1 true KR101459504B1 (ko) 2014-11-07

Family

ID=5174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671A KR101459504B1 (ko) 2013-02-21 2013-02-21 기능성 골프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5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604Y1 (ko) * 2003-05-29 2003-08-19 유재영 골프용 퍼터
KR100794619B1 (ko) * 2007-08-03 2008-01-14 유재원 골프퍼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604Y1 (ko) * 2003-05-29 2003-08-19 유재영 골프용 퍼터
KR100794619B1 (ko) * 2007-08-03 2008-01-14 유재원 골프퍼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763A (ko) 2014-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7073B2 (en) Weight interchangeable putter
US6595867B2 (en) Block putter
US20170080308A1 (en) Grip for a golf club
CN106999755B (zh) 高尔夫球杆的握把
KR200393842Y1 (ko) 골프 퍼터
KR101459504B1 (ko) 기능성 골프 퍼터
JP2005198816A (ja) ゴルフクラブ
US9468830B2 (en) Golf swing training club
US20020025855A1 (en) Block putter
US20020025858A1 (en) Block putter
US20070021235A1 (en) Weight interchangeable putter
KR101063296B1 (ko) 각도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용 퍼터
JP6312856B2 (ja) 見続けながらパッティングする側面スイングパター
KR101063297B1 (ko) 다용도 골프용 퍼터 그립
JP2020096709A (ja) 打撃練習用具
KR101534285B1 (ko) 퍼터용 그립
KR101431249B1 (ko) 스윙 연습용 골프채
KR102299646B1 (ko) 골프 퍼터
CN212262328U (zh) 用于提高飞行距离的高尔夫练习绳
KR102044765B1 (ko) 골프 퍼터
KR20240002299A (ko) 골프용 스윙 템포 연습 장치
KR20090000467U (ko) 골프클럽용 그립
KR100948032B1 (ko) 골프 퍼터 사이드 그립 시스템
KR100659282B1 (ko) 골프 클럽의 그립
JP3592202B2 (ja) パターヘッド、及びパ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