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032B1 - 골프 퍼터 사이드 그립 시스템 - Google Patents

골프 퍼터 사이드 그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032B1
KR100948032B1 KR1020090041202A KR20090041202A KR100948032B1 KR 100948032 B1 KR100948032 B1 KR 100948032B1 KR 1020090041202 A KR1020090041202 A KR 1020090041202A KR 20090041202 A KR20090041202 A KR 20090041202A KR 100948032 B1 KR100948032 B1 KR 10094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utter
shaft
coaxial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진
Original Assignee
(주)리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임코리아 filed Critical (주)리임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4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0Handles with two handg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채, 특히, 퍼터에 있어서의 손잡이 부분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에 설치하는 두 개의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본 발명은, 두개의 손잡이 중, 하나의 손잡이는, 샤프트를 끼우는 길이 방향의 구멍(21)을 가지며 샤프트와 동축을 이루는 동축 손잡이(20)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손잡이는 동축 손잡이(20)의 안듣는 손쪽(오른손잡이의 경우 왼편, 왼손잡이의 경우 오른편)에 연결되는 사이드 손잡이(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시스템을 제공하여 퍼팅 스트로크 할 때에, 손목의 꺽임과 손목을 중심으로 하는 퍼터의 회전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추진자 스트로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임.
골프채, 퍼터, 그립, 손잡이

Description

골프 퍼터 사이드 그립 시스템{Golf putter side grip system}
본 발명은 골프 퍼터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하는 퍼터는 대부분 하나의 그립이 샤프트의 끝 부분에 설치되어 양손을 함께 감싸 잡게 하거나, 두 개의 그립이 샤프트의 끝 부분과 샤프트 중간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한 손은 샤프트 끝단에 장착된 윗부분 그립을 잡고 다른 한 손은 샤프트 중간 부분에 장착된 그립을 잡게 하여 스트로크를 하도록 되어 있다. 두 개의 그립이 샤프트의 상하에 설치된 경우 대부분 샤프트가 긴 퍼터에 장착하여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퍼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실제 사용자들은 그다지 만족한 결과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퍼터에는 한 개의 그립이 장착 되어있다.
가장 보편적인 한 개의 원통체로 된 그립은 퍼터 샤프트의 끝 부분에 설치되어 두 손을 함께 감싸는 오버랩(Over wrap) 형태로 잡거나 또는 역 오버랩 형태로 잡게 된다. 많은 골퍼들이 일반적인 오버랩 방식보다 역 오버랩(Reverse over rap) 방식이 안정성이 있을 것이란 생각으로 그립 방식을 바꾸어 보기도 하지만 그 방식도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음을 깨닫고 다시 오버랩 방식으로 돌아오기도 한다.
이렇게 현재의 그립 방식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하고 다른 방법을 찾는 이유는 기존의 오버랩 방식이든 역 오버랩 방식이든 스트로크 도중 퍼터 헤드의 무게에 의하여 생기는 커다란 모멘텀으로 손목이 꺾이는 현상이 생겨 그립 부분을 잡고 있는 두 손과 퍼터 헤드의 각속도를 같게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공과 퍼터면이 충돌 할 때의 퍼터면은 어드레스 때의 퍼터면과 동일한 각을 유지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왼손에 힘을 주어 그립을 꽉 잡게 되면 손목이 꺾이는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이 경우 몸이 경직되어 부드러운 추 진자(振子) 스트로크가 어렵게 된다.
손목의 힘을 풀고 코킹(cocking)이 이루어져야 하는 일반 골프 스윙을 위하여 만들어진 그립과 아주 유사하게 생긴 퍼터 그립을 장착하여, 일반 골프 스윙과는 전혀 다른 퍼팅 스트로크를 구사하게 하는 것 자체가 무리이다. 더욱이 기존의 퍼터 그립이 장착된 퍼터는 두 손이 오버랩 상태로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퍼팅 스트로크를 직선상에서 할 경우에도 스트로크 도중 퍼터의 페이스(face)가 열리거나 닫히는 현상이 쉽게 감지되지 않아 퍼팅한 공의 방향성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과거에 많은 발명가들은 두 가지 서로 다른 방법으로 접근하여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려 노력하였다. 그 중의 하나는 두 개의 손잡이를 갖는 방식으로, 퍼터헤드에 연결된 두개의 샤프트에 각각의 독립된 그립이 있는 형태(USP5,308,073, USP5,551,696 및 USP 5,860,875)이거나, 샤프트가 중간부분에서 두 개로 분리되어 두 개의 독립된 그립을 갖는 형태(USP5,037,103, USP 6,616,545 B2 및 한국 특허제1020070101844호), 또는, 한 개의 샤프트의 끝부분을 삼각형 모양으로 구부려서 두 개의 손잡이를 형성하는 형태(5,868,631)로 된 퍼터 그립이 제공된 바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샤프트에 끼워지는 그립의 옆 방향 폭을 넓게 형성시켜 넓은 폭으로 된 그립의 양측을 잡도록 하여서 된 그립(USP 6,875,125 B1)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두 번째 방식인 그립의 폭을 넓게 하는 방식은 단순한 구조를 갖고 있어 기존의 생산방식을 사용하여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앞서 언급한 기존 그립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첫 번째 방식인 샤프트가 분리된 형태는 앞서 언급한 기존 방식의 그립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 할 것 같아 보이나 실제로 구조상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높거나 구조적으로 매우 불안정하거나 또는 기존의 퍼터보다 너무 크기 때문에 실제 사용하는 데에는 많은 불편이 있으며, 더욱이 양손이 샤프트를 중심으로 떨어져서 잡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다운 스트로크시 홀과 반대편에 있는 손(오른손잡이 경우 오른손)을 다른 손보다 더 강하게 사용할 경우, 퍼터 헤드에 원치 않는 회전력을 주게 되어 공의 방향성이 틀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스트로크중에 손목이 꺾이지 않고 그립 부분과 헤드의 각속도가 자연히 일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 부분의 구조를 개선 시킨 일반 양손잡이 퍼터의 문제점을 더욱 개선한 것으로 홀과 반대 편의 손이 다운 스트로크를 주도할 경우 발생 할 수 있는 샤프트 또는 샤프트에 연결된 퍼터 헤드의 회전력을 원천 봉쇄하여 퍼팅한 공의 방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퍼팅 타수를 절감하고자 한다. 아울러 그립 시스템의 크기를 일반 양손 그립보다 작게 하여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고 일반 골프 백에 휴대하기가 쉬운 골프 퍼터 그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샤프트에 설치하는 두개의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본 발명은, 두 개의 손잡이 중, 하나의 손잡이는, 샤프트를 끼우는 길이 방향의 구멍을 가지며 샤프트와 동축을 이루는 동축 손잡이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손잡이는 안듣는 손쪽(오른손잡이의 경우 왼편, 왼손잡이의 경우 오른편)에 연결되는 사이드 손잡이(30)로 구성되는 골프 퍼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동축 손잡이와 사이드 손잡이는 사이각을 가지며 동축 손잡이 또는 사이드 손잡이의 둘 중에 하나의 끝부분(butt end)에 원추형의 구멍(tapered hole)이 있고 그 구멍에 끼울 수 있는 가이딩 바(guiding b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두 손이 각각 따로 손잡이를 잡고 스트로크를 하면, 손목이 꺾이지 아니하고, 자연스레 두 어깨가 목부분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진자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떨어져 있는 두 손은 짝힘의 원리에 의하여 쉽게 양손이 같은 힘으로 그립을 잡고 어깨를 회전하여 다운 스트로크를 하면 퍼터 헤드의 앞면(face)이 퍼터 헤드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상태에서 공과의 충돌이 일어나 공의 방향성을 보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사이드 그립 형태의 양손잡이 그립은 사용자에 따라서 발생 가능한 홀의 반대편 손에 더 많은 힘이 가해질 경우에도 그 손은 샤프트를 잡고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일반 양손그립에서 생기는 회전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더불어 오른손잡이 골퍼는 왼손으로 사이드 손잡이를 잡도록 사이드 손잡이가 동축 손잡이에 연결되어야 하는 이유는 도 1 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대부분의 기존 퍼터들은 퍼터의 토우(toe) 쪽에서 보았을 때 퍼터 헤드에 연결된 샤프트는 대략 1 도 정도 왼편으로 눕혀져 있다. 따라서 토우(toe) 쪽에서 보면 사이드 손잡이가 동축 손잡이의 오른편에 붙어있어야 골퍼는 왼손으로 사이드 손잡이를 잡게된다. 만일 사이드 손잡이가 상기한 것과 반대 방향으로 동축 손잡이에 붙어있어 오른손으로 사이드 손잡이를 잡게 되면 퍼터의 로프트각은 기존에 설계된 플러스(2.5 ~ 6도)에서 벗어나 마이너스 각도가 될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 로프트 각이 마이너스가 되면 퍼팅한 공은 지면의 반 작용으로 여러 번 튀어 오르게 되어 공의 방향성과 거리감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사이드 손잡이와 동축 손잡이의 사이각은 양손으로 그립을 잡은 상태에서 두 팔로부터 연장된 두 손이 손목이 꺾이지 않는 자연스런 각도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인체 공학적인 관점으로 볼 때 사이각은 0 도 이상 30 이하가 적절한 각도이나 일반 골프 백에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최대 사이각을 2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딩 바는 퍼터의 샤프트에 사이드 그립 시스템을 부착 할 때 동축 손잡이 또는 사이드손잡이의 끝 단에 있는 원추형의 구멍에 끼운 후 가이딩 바의 위 아래 방향으로 길게 벌어진 구멍과 퍼터 앞면이 평행하도록 도와주는 기구로써, 가이딩 바가 없이 동축 손잡이의 윗면과 사이드 손잡이의 윗면이 이루는 평면이 퍼터 헤드의 앞면과 수직으로 그립 시스템을 부착하기가 쉽지 않다. 일단 가이딩 바를 사용하여 양 손잡이가 퍼터 앞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하여 사이드 그립 시스템의 설치가 끝나면 가이딩 바를 빼고 퍼터를 사용하게 된다.
두 개의 독립된 손잡이를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사이드 그립 시스템은 조임 볼트를 제외하고는 고체 형태가 되는 특수 폴리머 콤파운드 소재를 사용 일반 플라스틱 사출기로 생산이 가능하여, 구조적인 안정성과 더불어 저렴한 가격에 공급 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퍼터(100)의 샤프트(20)에 설치하는 두 개의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본 발명은, 두 개의 손잡이 중, 하나의 손잡이는, 샤프트(20)를 끼우는 길이 방향의 구멍(21)을 가지며 샤프트(20)와 동축을 이루는 동축 손잡이(31)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손잡이는 안듣는 손쪽(오른손잡이의 경우 왼편, 왼손잡이의 경우 오른편)에 연결되는 사이드 손잡이(33)로 구성되는 골프 퍼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다른 하나의 손잡이는 오른손 잡이의 경우 동축 손잡이(31)의 왼편에 연결된 사이드손잡이(33)가 있어 왼손으로 사이드손잡이(33)를 잡도록 구성된 그립 시스템(30)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왼손 잡이 퍼터의 경우에는 오른손으로 사이드 손잡이(33)를 잡도록 구성된다.
동축 손잡이(31)와 사이드 손잡이(33)는 연결 막대(35)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축 손잡이(31)와 사이드 손잡이(33)를 연결하는 연결 막대(35)는, 동축 손잡이(31)와 사이드 손잡이(33)의 상단이나 하단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단과 하단을 함께 연결하도록 상단과 하단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두 손잡이(31, 33)는 어드레스 상태에서 두 손잡이(31,33)를 잡는 손목이 꺾이지 않고 편안히 잡을 수 있도록, 두 손잡이(31, 33)가 하측으로 갈수록 가깝게, 즉, 상 측으로 갈수록 벌어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손잡이(31, 33)의 앞면(32, 34)은 평평하게 형성시키고 뒷면(37, 38)은 이를 타원형 또는 원형과 같은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축 손잡이(31)에는 볼트 구멍(41, 42)이 있어 조임 볼트(41-B, 42-B)를 넣어 샤프트(20)와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 구멍과 상응하는 볼트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또한 볼트 구멍의 위치도 손잡이의 앞면, 뒷면에 구애받지 아니한다.
퍼터(100)와의 조립 중 얼라인먼트(alignment)에 필요한 가이딩 바(50)는 윗부분에 퍼터 헤드(10)의 페이스(11)를 들여 볼 수 있는 슬롯(slot)(51)이 있고 아랫부분에는 원추형 기둥(52)이 있어 동축 손잡이(31)의 끝 단(butt end)(또는 사이드손잡이의 끝 단)에 위치한 원추형 구멍(53)에 넣어 임시로 고정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이드 그립 시스템은 샤프트(20)를 구멍(21) 속으로 끼워 넣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퍼터의 샤프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골퍼의 신장(키)이나 취향에 따라 퍼터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시스템을 적용한 퍼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퍼터의 그립부분 발췌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퍼터의 평면도로서 가이딩바의 슬랏(51)을 통하여 퍼터헤드 페이스(11)를 보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퍼터
10. 퍼터 헤드
11. 페이스
20. 샤프트
21, 구멍
30. 그립 시스템
31. 동축 손잡이
33. 사이드 손잡이
35. 연결막대
32,34. 앞면
37,38. 뒷면
41,42. 볼트구멍
41-B,42-B. 조임볼트
50. 가이딩 바
51. 슬랏(slot)
52. 원추형 기둥
53. 원추형 구멍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샤프트에 설치하는 두 개의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두 개의 손잡이 중, 하나의 손잡이는, 샤프트를 끼우는 길이 방향의 구멍(21)을 가지며 샤프트와 동축을 이루는 동축 손잡이(31)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손잡이는 오른손 잡이의 경우 왼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동축 손잡이(31)에 연결 왼손잡이의 경우 오른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동축 손잡이(31)에 연결되는 사이드 손잡이(33)로 구성되는 것에 있에서, 동축 손잡이(31) 또는 사이드 손잡이(33)중 하나의 끝부분에 가이딩 바를 설치 할 수 있는 원추형의 구멍(tapered hole)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사이드 그립 시스템.
  4. 샤프트에 설치하는 두 개의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두 개의 손잡이 중, 하나의 손잡이는, 샤프트를 끼우는 길이 방향의 구멍(21)을 가지며 샤프트와 동축을 이루는 동축 손잡이(31)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손잡이는 오른손 잡이의 경우 왼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동축 손잡이(31)에 연결 왼손잡이의 경우 오른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동축 손잡이(31)에 연결되는 사이드 손잡이(33)로 구성되는 것에 있에서, 골프 퍼터 사이드 그립 시스템은 퍼터에 설치 시 퍼터 앞면에 수직으로 맞출 수 있는 가이딩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사이드 그립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가이딩 바는 윗부분에 위 아래 방향으로 슬롯(긴 구멍) 형태의 구멍이 있고 아랫부분에 원추형의 기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 사이드 그립 시스템.
KR1020090041202A 2009-05-12 2009-05-12 골프 퍼터 사이드 그립 시스템 KR100948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202A KR100948032B1 (ko) 2009-05-12 2009-05-12 골프 퍼터 사이드 그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202A KR100948032B1 (ko) 2009-05-12 2009-05-12 골프 퍼터 사이드 그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032B1 true KR100948032B1 (ko) 2010-03-19

Family

ID=4218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202A KR100948032B1 (ko) 2009-05-12 2009-05-12 골프 퍼터 사이드 그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0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0729A (en) * 1976-04-26 1977-11-02 Nakamatsu Yoshiro Golf club
JPH06343724A (ja) * 1993-06-10 1994-12-20 K R Kikaku Kk ゴルフクラブ
JPH10146407A (ja) 1996-11-15 1998-06-02 O Ee Housing Sekkei:Kk ゴルフのクラブ
KR100490477B1 (ko) 2002-09-27 2005-05-19 김상광 골프스윙 연습보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0729A (en) * 1976-04-26 1977-11-02 Nakamatsu Yoshiro Golf club
JPH06343724A (ja) * 1993-06-10 1994-12-20 K R Kikaku Kk ゴルフクラブ
JPH10146407A (ja) 1996-11-15 1998-06-02 O Ee Housing Sekkei:Kk ゴルフのクラブ
KR100490477B1 (ko) 2002-09-27 2005-05-19 김상광 골프스윙 연습보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9098A (en) Golf putter having tapered shaft and large grip
US5267733A (en) Golf putter
US5127650A (en) Golf putter and method for putting
US5544879A (en) Putter golf club
US8096893B2 (en) Handle configuration and alignment feature for a golf club
US4902015A (en) Golf putter
US7976415B2 (en) Racket with versatile handle
WO1984003447A1 (en) Golf putter
US20030130058A1 (en) Handle configuration for a putter type golf club
US4754978A (en) Golf club
US7708651B2 (en) Golf putter with an adjustable handle and a shaft that rotates about the handl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WO2007023693A1 (ja) パタークラブおよびパタークラブ用のグリップ
KR101032103B1 (ko) 그립 아래의 한 고정된 샤프트 위치에 골프스윙의 동적 무게중심부를 형성한 골프클럽
US6663499B2 (en) Golf putter
KR100948032B1 (ko) 골프 퍼터 사이드 그립 시스템
US5551696A (en) Two-shafted golf putter club and method for using same
US7104898B1 (en) Golf putter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7407446B2 (en) Putter with aligned front and back weights and a forwardly angled shaft
KR100732012B1 (ko) 골프 퍼터 헤드
US7156753B2 (en) Golf putter head
KR100888217B1 (ko) 골프 퍼터 그립 시스템
USRE33169E (en) Side stroking golf putter
KR101686931B1 (ko) 골프 퍼터
US5746661A (en) Golf putter with offset grip shaft
KR101459504B1 (ko) 기능성 골프 퍼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