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408B1 -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 Google Patents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408B1
KR101459408B1 KR20140066630A KR20140066630A KR101459408B1 KR 101459408 B1 KR101459408 B1 KR 101459408B1 KR 20140066630 A KR20140066630 A KR 20140066630A KR 20140066630 A KR20140066630 A KR 20140066630A KR 101459408 B1 KR101459408 B1 KR 101459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der
tank
chemical accident
pump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6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
박유미
김기준
조문식
안성용
이진선
윤영삼
윤준헌
석광설
최경희
김삼권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140066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408B1/ko
Priority to PCT/KR2014/012344 priority patent/WO20151868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사고시 초동대응요원을 화학사고 위험지역으로 이동시키되, 초동대응요원 및 운전자의 안전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학사고 발생시 초동대응요원의 이동시 초동대응요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화학사고 위험지역에 투입 후 초동대응요원의 제독을 신속히 실시하여 초동대응요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 및 선탑자를 위해 운전석 뒤공간에 탈착식 공기통 및 송기 마스크를 구비하여 운전자 및 선탑자가 보호복 착용 후에도 편안하게 이동이 이루어지는 한편,서치라이트 및 풍향/풍속계를 통해 초동대응요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화학물질의 확산경로 및 확산속를 인지하여 화학사고 위험지역에 있는 피해자의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A decontamination vehicle for The First Responder of Chemical accident decontamination}
본 발명은 화학사고시 초동대응요원을 화학사고 위험지역으로 이동시키되, 초동대응요원 및 운전자의 안전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독 차량은 화학사고가 발생한 지역의 제독을 위해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제독 차량에는 화학사고가 발생한 지역의 제독을 위해 물 및 제독액을 차량에 탑재하여 위험지역을 제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독 차량과 관련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2611호(2002.06.18), 『화생방전용 제독 장치』의 경우 물공급부에 연결되어 화학 병기의 중화를 위한 화학 약품을 공급하는 분체 투입부와 유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유화제 공급부 및 상술한 구성들의 전원인가 및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물과 유화제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61232호(2005.06.22), 『차량용 제독장비 및 제어방법』에서도 마찬가지로 화학사고가 발생한 지역의 제독을 위해 전원발생부, 보일러부, 열로레벨센서 및 분사부를 구성하여 건습살균용 증기 및 고온의 물을 생성시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원격제어를 통해 원거리에서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화학사고가 발생한 지역에는 차량뿐만 아니라 이를 조사 또는 제독하고자 하는 초동대응요원이 투입되는데 상술한 제독 차량의 경우 화학사고가 발생한 지역으로 투입되는 초동대응요원의 안전을 위한 장치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만한 수단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초동대응요원의 안전을 책임질 수 없음은 물론, 작업성 또한 결여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는 초동대응요원의 이동시 초동대응요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화학사고 위험지역에 투입 후 초동대응요원의 제독을 신속히 실시하여 초동대응요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 및 선탑자를 위해 운전석 뒤공간에 탈착식 공기통 및 송기 마스크를 구비하여 운전자 및 선탑자가 보호복 착용 후에도 편안하게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치라이트 및 풍향/풍속계를 통해 초동대응요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화학물질의 확산경로 및 확산속를 인지하여 화학사고 위험지역에 있는 피해자의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화학사고 발생시 저상형 탑승구를 통해 초동대응요원이 A형 보호복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다.
또한, 서치라이트를 통한 야간 작업이 가능하고, 기상측정장비를 외부에 배치하여 풍향 및 풍속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동대응요원이 화학물의 확산속도 및 확산방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피해자들의 대피 및 대응활동을 신속히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석 및 조수석 뒤편 공간에 탈착식 공기통 및 송기 마스크를 배치하여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A형 보호복 이외에 C형 보호복 착용으로 운전이 가능함은 물론, 부피가 큰 공기통을 운전석 뒤편에 배치하여 안전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안전지역으로 복귀 운행 전, 또는 운행 중에 제독을 실시할 수 있어 초동대응요원의 신속한 제독을 실시할 수 있다.
아울러, 탑승부 실내 바닥면에 경사면을 형성해 탑승부 실내에서 제독을 위해 이용하였던 제독액을 쉽게 회수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 분무노즐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운전석(10)과 상기 운전석(10)과 격리되어 있는 탑승부 실외(20) 및 탑승부 실내(30)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운전석(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는 운전석 시트(11)가 형성되고, 운전석 시트(11)의 옆으로는 조수석 시트(12)가 형성되는 것은 기존 차량과 큰 차이가 없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운전석 시트(11)와 조수석 시트(1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이 공간에 운전자 및 조수석에 탑승한 선탑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탈착식 공기통(13a)과 이 탈착식 공기통(13a)을 이용할 수 있는 송기 마스크(13b)가 구비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운전자 및 선탑자가 공기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탑승부 실외(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탑승부 실외(20)의 상단에는 물이 수납되는 물탱크(21)와 제독액이 수납되는 제독액 탱크(22)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탱크(21) 및 제독액 탱크(22)에 통상의 연결라인(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물과 제독액을 공급받아 일정 농도로 혼합 및 혼합된 제독액을 분사하기 위한 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교반기 및 펌프(23)가 매립된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물과 제독액을 구분하여 별도의 탱크를 설치하는 이유는 화학사고 또는 테러의 특성에 맞는 제독액을 물과 혼합 또는 단독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이며, 때에 따라서 물과 제독액을 혼합할 경우 혼합량을 조절할 필요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제독액은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칼륨, 과산화수소, 계면활성제, 염소계 표백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의 상측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폐 가능한 커버를 구성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하단에는 폐수탱크(24) 및 폐수펌프(25)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탑승부 실외(20)의 상단 외측에는 오염지역으로 투입된 초동대응요원을 제독하기 위해 상술한 교반기 및 펌프(23)를 통해 일정 농도로 혼합한 제독액을 통상의 공급라인(도면에 미도시)을 통해 공급받아 분사하는 다수의 실외용 세척 분무 노즐(26)과 초동대응요원의 야간 작업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서치라이트(27)가 구성되며, 오염지역의 풍향과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풍향/풍속계(28)가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부 실외(2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실외용 세척 분무 노즐(26)은 양 측면 및 후측에 다수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서치라이트(27)는 양 측면 및 전, 후측에 모두 형성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실외용 세척 분무 노즐(26)의 경우 도면에서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풍향/풍속계(28)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풍속의 경우에는 초동대응요원이 육안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된 별도의 디스플레이창(도면에 미도시)을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탑승부 실외(20)의 후측에 초동대응요원이 탑승부 실내(30)로 탑승할 수 있는 탑승 도어(29)가 더 포함되며, 이때에, 상기 탑승 도어(29)는 초동대응요원이 쉽게 탑승 및 하차할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0.7 ∼ 1m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탑승부 실외(20)에 형성되어 있는 폐수탱크(24) 및 폐수펌프(25)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이를 조작하기 위해 별도의 커버(C)를 더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폐수탱크(24) 및 폐수펌프(25)는 양 측면에 각각 2개소씩 형성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탑승부 실내(3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5에서와 같이 탑승부 실내(30)에는 초동대응요원이 착석할 수 있는 착석의자(31)가 다수 구비되고, 상측에는 오염지역에서 오염된 초동대응요원을 제독하기 위해 제독액을 분사하는 실내용 세척 분무노즐(32)이 구성되어 있으며, 바닥면(33)에는 상기 실내용 세척 분무노즐(32)에서 분사된 제독액을 탑승부 실외(20)에 구성되어 있는 폐수탱크(24)로 이동시키기 위한 폐수펌프(25)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사면(33a)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경사면((33a)은 양 측면에 중앙으로 갈수록 바닥면(33)이 낮아지도록 구성해 바닥면(33)의 중앙으로 제독액이 이동하도록 하여 양 측면에 2개소로 형성되어 있는 폐수펌프(25)에서 별도의 연결관(L2)을 통해 중앙에 모여진 제독액을 폐수탱크(24)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50)는 화학사고가 발생한 현장에 출동시 초동대응요원을 현장에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초동대응요원의 안전 및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 및 조수석에 탑승한 초동대응요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즉, 통상의 차량의 경우 일반 차량으로 이루어져 있어 운전석 및 조수석에 착석한 사람의 경우 화학사고가 발생한 현장 투입시 송기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불편한 자세로 이동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운전석 시트(11) 및 조수석 시트(12)의 뒷공간에 탈착식 공기통(13) 및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송기 마스크(14)를 형성하여 운전자 및 조수석에 착석한 선탑자가 불편한 자세로 이동하지 않도록 작용하며, 특히, 부피가 큰 공기통이 없기 때문에 위험지역으로 이동시 A형 보호복 및 C형의 보호복을 착용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작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화학사고 위험지역에 투입한 초동대응요원의 신속한 제독이 가능하여 초동대응요원에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통의 용량에 따른 시간적인 제약을 덜 받을 수 있도록 작용한다.
즉, 통상적으로 화학사고 위험지역으로 투입되는 초동대응요원의 경우 대략 30분 내외의 공기통을 짊어지고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화학사고 현장 투입 후 일정 시간이 흐른 뒤에는 공기통의 용량을 감안하여 작업 및 철수가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화학지역이 아닌 안전지대로 이동한 후에 제독을 실시하게 되어 제독시간이 촉박한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탑승부 실외(2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실외용 세척 분무노즐(26)을 통해 1차로 제독을 실시할 수 있고, 탑승부 실내(30)에 탑승한 후 실내용 세척 분무노즐(32)을 통해 재차 제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지역으로 이동 전 및 이동 중에 제독이 가능하여 신속하게 제독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외용 세척 분무노즐(26)을 통한 제독시에는 탑승부 실외(30)에 형성되어 폐수펌프(25)를 보호하고 있던 커버(C)를 개방하여 커버(C)를 초동대응요원이 발판으로 활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탑승부 실내(30)의 바닥면(33)에는 상술한 실내용 세척 분무노즐(32)의 분사 후 탑승부 실내(30)에 뿌려진 제독액을 수거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폐수탱크(24)로 제독액을 이동시키기 위한 폐수펌프(25)가 바닥면(33)의 경사면(33a) 하부에 형성되어 실내의 제독액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탑승부 실내(30)로 초동대응요원이 탑승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탑승 도어(29)의 하단 높이를 지면으로부터 0.7 ∼ 1m로 형성하여 무거운 장비 및 보호복을 착용한 초동대응요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탑승부 실외(20)에는 다수의 서치라이트(27)가 구성되어 야간작업이 가능함은 물론, 풍향/풍속계(28)를 통해 초동대응요원이 풍향 및 풍속을 통해 화학물질의 확산경로 및 확산속도를 파악할 수 있어 최초 화학사고 위험지역 도착시 피해자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 : 운전석
11 : 운전석 시트 12 : 조수석 시트 13 : 탈착식 공기통
14 : 송기 마스크
20 : 탑승부 실외
21 : 물탱크 22 : 제독액 탱크 23 ; 교반기 및 펌프 24 : 폐수탱크
25 : 폐수펌프 26 : 실외용 세척 분무노즐 27 : 서치라이트
28 : 풍향/풍속계 29 : 탑승 도어 C : 커버
30 : 탑승부 실내
31 : 착석의자 32 : 실내용 세척 분무노즐 33 : 바닥면 33a : 경사면
50 :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Claims (5)

  1. 운전석 시트(11) 및 조수석 시트(12) 뒤편에 탈착식 공기통(13)과 송기 마스크(14()가 구성되어 있는 운전석(10);
    상단에 물탱크(21)와 제독액 탱크(22) 및 물과 제독액을 혼합하기 위한 교반기 및 펌프(23)가 구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제독액을 수거하기 위한 폐수탱크(24) 및 폐수펌프(25)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탱크(21), 제독액 탱크(22), 교반기 및 펌프(23)가 형성된 상단 외측에는 교반기 및 펌프(23)에서 물과 제독액을 교반한 농도 조절이 이루어진 제독액을 차량 외부에서 초동대응요원에 분사하여 제독하기 위한 실외용 세척 분무노즐(26)과 야간에 점등되는 서치라이트(27) 및 풍향, 풍속을 측정하기 위한 풍향/풍속계(28)가 형성되어 있는 탑승부 실외(20);
    초동대응요원이 앉을 수 있는 착석의자(31)가 구성되고, 실내의 상측에는 상기 탑승부 실외(20)의 상단에 매립된 교반기 및 펌프(23)에서 농도 조절이 이루어진 제독액을 초동대응요원에게 분사하기 위한 실내용 세척 분무노즐(32)이 구성되어 있으며, 실내의 바닥면(33)에는 실내에서 분사한 제독액을 폐수탱크(24)로 이동시키는 폐수펌프(25)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33a)이 형성되어 있는 탑승부 실내(3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 실외(20)에 설치된 실외용 세척 분무노즐(26)은 양 측면 및 후측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 실외(2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폐수탱크(24) 및 폐수펌프(25)는 탑승부 실내(30)의 착석의자(31)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탑승부 실외(20)의 후측에는 초동대응요원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 도어(29)가 형성되되 이 탑승도어는 지면으로부터 0.7 ∼ 1m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 실외(20)에는 하단에 설치된 폐수탱크(24) 및 폐수펌프(25)를 보호하기 위한 개폐 가능한 커버(C)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KR20140066630A 2014-06-02 2014-06-02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KR101459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6630A KR101459408B1 (ko) 2014-06-02 2014-06-02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PCT/KR2014/012344 WO2015186881A1 (ko) 2014-06-02 2014-12-15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6630A KR101459408B1 (ko) 2014-06-02 2014-06-02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408B1 true KR101459408B1 (ko) 2014-11-13

Family

ID=5229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6630A KR101459408B1 (ko) 2014-06-02 2014-06-02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9408B1 (ko)
WO (1) WO201518688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0909A (zh) * 2015-04-13 2015-12-16 上海中备实业公司 化学洗消训练装置
CN108001337A (zh) * 2017-12-25 2018-05-08 龙岩市海德馨汽车有限公司 多功能自动控制照明车及控制方法
KR102347192B1 (ko) * 2021-08-03 2022-01-04 주식회사 신광테크놀러지 화생방 제독장치가 구비된 차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560U (ko) * 1989-11-29 1991-08-05
KR0156407B1 (ko) * 1996-04-02 1998-10-15 이세엽 방사선 감시 차량
KR20010019518A (ko) * 1999-08-27 2001-03-15 류정열 제독차량의 교반분사장치
JP3077560U (ja) 2000-10-10 2001-05-25 有限会社エイナガ商会 消毒、殺菌装置を備えた移動箱型車両。
KR100733730B1 (ko) 2006-07-11 2007-07-12 주식회사 현대이엔씨 소독 방역 특장차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8256A (en) * 1987-07-24 1989-08-22 Jay Shankman Chemical equipment decontamination truck
KR20110015939A (ko) * 2009-08-10 2011-02-17 영일특장 주식회사 액체분사가 가능한 진압차량과 그 진압차량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560U (ko) * 1989-11-29 1991-08-05
KR0156407B1 (ko) * 1996-04-02 1998-10-15 이세엽 방사선 감시 차량
KR20010019518A (ko) * 1999-08-27 2001-03-15 류정열 제독차량의 교반분사장치
JP3077560U (ja) 2000-10-10 2001-05-25 有限会社エイナガ商会 消毒、殺菌装置を備えた移動箱型車両。
KR100733730B1 (ko) 2006-07-11 2007-07-12 주식회사 현대이엔씨 소독 방역 특장차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0909A (zh) * 2015-04-13 2015-12-16 上海中备实业公司 化学洗消训练装置
CN108001337A (zh) * 2017-12-25 2018-05-08 龙岩市海德馨汽车有限公司 多功能自动控制照明车及控制方法
CN108001337B (zh) * 2017-12-25 2023-06-27 龙岩市海德馨汽车有限公司 多功能自动控制照明车及控制方法
KR102347192B1 (ko) * 2021-08-03 2022-01-04 주식회사 신광테크놀러지 화생방 제독장치가 구비된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86881A1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542B2 (en)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459408B1 (ko) 화학사고 초동대응자의 신속한 현장 제독을 위한 이동식 제독차량 장치
EP3730190A1 (en) Fire evacuation room
KR101654704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US20180272164A1 (en) Portable remote fire suppression systems
CN102805905B (zh) 客车高压细水雾自动灭火装置
CN105150909A (zh) 化学洗消训练装置
CN113633914A (zh) 一种可远程监测的安全型多功能化学侦检消防车
US7384183B2 (en) Mobile decontamination unit
JP2011037410A (ja) 消防用車両
CN104524715A (zh) 公交车自动灭火系统
JP2000509293A (ja) 火炎及び煙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JP5567953B2 (ja) 消火設備
CN214184293U (zh) 一种多功能洗消系统
KR102215728B1 (ko) 화재진압용 폼 트레일러
KR101104751B1 (ko) 화재 진압용 소화장치
CN109080530A (zh) 一种危化品洗消车
CN211050783U (zh) 一种方便移动和制动的推车型安防灭火装置
KR20190053592A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RU188723U1 (ru) Автономная напорн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АНСП
CN209191769U (zh) 一种危化品洗消车
CN209187972U (zh) 一种含有热水供给系统的危化品洗消车
KR20110001203U (ko) 소방차의 방수량 및 방수압력 원격조작장치
CN116394826A (zh) 一种能实现核生化污染全面洗消的洗消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