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052B1 -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 - Google Patents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052B1
KR101459052B1 KR1020130137780A KR20130137780A KR101459052B1 KR 101459052 B1 KR101459052 B1 KR 101459052B1 KR 1020130137780 A KR1020130137780 A KR 1020130137780A KR 20130137780 A KR20130137780 A KR 20130137780A KR 101459052 B1 KR101459052 B1 KR 101459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ath
closed space
flow rate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래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래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래드
Priority to KR1020130137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가적인 유체 배출 경로를 통해 폭발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밸브 어셈블리는, 바디로 정의되는 밀폐 공간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밀폐 공간 내의 유체는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밸브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상기 밀폐 공간 내의 압력이 제1 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폐쇄하고, 제1 압력 초과일 경우에는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개방하며, 또한 상기 밀폐 공간 내의 압력이 제2 압력 초과인 경우에는 적어도 상기 제2 경로를 개방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밀폐 공간 내 압력이 제2 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제2 경로를 폐쇄하거나 제1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하고, 제2 압력 초과일 경우에는 상기 제2 경로를 상기 제1 유량보다 큰 제2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하는 유량 조절수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에 따르면, 부가적인 유체 배출 경로를 통해 폭발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부가적인 유체 배출 경로의 입구를 폐색할 수 있는 이물질을 자연적으로 제거하여, 보다 안정적인 압력 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VALVE ASSEMBLY AND PRESSURE RICE PO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가적인 유체 배출 경로를 통해 폭발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에 관한 것이다.
압력 밥솥과 같이 밀폐된 공간 내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지 못하도록 제한하여, 과도한 압력으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 에셈블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밀폐 공간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기존의 밸브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밸브 어셈블리 (10) 는, 압력 밥솥의 외측을 형성하는 바디 (1) 의 외측에 위치되는데, 밀폐 공간 (2) 과 외부를 연통하는 구멍을 압력 추 (3) 가 폐쇄하는 구조를 가진다.
압력 추 (3) 는 밀폐 공간 (2) 내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허용 압력보다 낮을 경우에는 구멍을 폐쇄함으로써, 밀폐 공간 (2)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게 되며, 이 후 밀폐 공간 (2) 내의 압력이 허용 압력을 초과할 경우에는 내부의 압력에 의해 압력 추 (3) 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내부의 증기가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밀폐 공간 (2) 내부의 압력을 허용 압력보다 낮게 유지하여,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추 (3) 대신에 스프링 등의 탄성 수단에 의해 구멍을 폐쇄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밸브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10-2007-0095447호 등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밸브 어셈블리 (10) 는 간단한 구조로 밀폐 공간 (2) 내부의 압력을 제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압력 밥솥 등에 널리 활용되긴 해왔으나, 바디 (1) 에 형성된 연통홀이 밀폐 공간 (2) 내부의 이물질 등에 의해 폐색됨으로써, 밸브 어셈블리 (10) 가 기능하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해왔다. 이러한 경우, 밀폐 공간 (2) 내부의 압력이 허용 압력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고, 이에 따라 고압의 압력 밥솥이 폭발할 위험성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가적인 유체 배출 경로를 통해 폭발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밸브 어셈블리는, 바디로 정의되는 밀폐 공간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밀폐 공간 내의 유체는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밸브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상기 밀폐 공간 내의 압력이 제1 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폐쇄하고, 제1 압력 초과일 경우에는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개방하며, 또한 상기 밀폐 공간 내의 압력이 제2 압력 초과인 경우에는 적어도 상기 제2 경로를 개방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밀폐 공간 내 압력이 제2 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제2 경로를 폐쇄하거나 제1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하고, 제2 압력 초과일 경우에는 상기 제2 경로를 상기 제1 유량보다 큰 제2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하는 유량 조절수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폐수단은 압력 추이며, 상기 압력 추의 무게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경로 또는 상기 제2 경로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량 조절수단은, 상기 제2 경로의 상기 밀폐 공간 측 입구에 제공되는 가요성 분할막이며, 상기 분할막에는 상기 제2 경로와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 공간 내 압력이 제2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분할막이 접혀있음으로 인하여 상기 배출홀이 폐쇄되거나 상기 제1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되며, 상기 밀폐 공간 내 압력이 제2 압력 초과인 경우, 상기 분할막이 상기 밀폐 공간 내의 압력으로 인하여 밀려남에 따라 펴져 상기 배출홀이 상기 제2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력 추가 들어올려지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실린더부의 단부가 상기 압력 추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폐쇄하고, 상기 압력 추는 상기 실린더부의 일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압력 추가 들어올려지지 않았을 때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코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경로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압력 밥솥은, 상술한 구성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에 따르면, 부가적인 유체 배출 경로를 통해 폭발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부가적인 유체 배출 경로의 입구를 폐색할 수 있는 이물질을 자연적으로 제거하여, 보다 안정적인 압력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밀폐 공간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기존의 밸브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밸브 어셈블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밸브 어셈블리에서 추를 제외하고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부호를 사용함에 있어, 도면이 상이한 경우라도 동일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밸브 어셈블리 (100) 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밸브 어셈블리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밸브 어셈블리에서 추를 제외하고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밸브 어셈블리 (100a, 100b) 는 바디 (20) 에 의해 정의되는 밀폐 공간 (21) 내의 압력을 미리 설정된 일정 압력 이하로 조절하여 바디 (20) 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 어셈블리로서, 바디 (20) 의 내외측에 걸쳐 위치한다. 여기서, 바디 (20) 는, 예를 들어 압력 밥솥의 뚜껑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밀폐 공간 (21) 을 형성한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질 수 있다. 바디 (20) 의 재질은 밀폐 공간 (21) 내부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강 등의 합금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밸브 어셈블리 (100a, 100b) 에 대해 설명하면, 밀폐 공간 (21) 내의 기체 또는 액체 형태의 유체는 제1 경로 (A) 와 제2 경로 (B) 를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제1 경로 (A) 와 제2 경로 (B) 는 도 2의 (a) 와 같이 경로의 일부를 공유하면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2의 (b) 와 같이 경로를 공유하지 않으면서 형성될 수도 있다.
개폐 수단 (101) 은 제1 경로 (A) 및 제2 경로 (B) 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밀폐 공간 (21) 내의 압력이 임의의 제1 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제1 경로 (A) 및 제2 경로 (B) 를 폐쇄하고, 제1 압력 초과일 경우에는 제1 경로 (A) 및 제2 경로 (B) 를 개방하며, 또한 밀폐 공간 (21) 내의 압력이 임의의 제2 압력 초과인 경우에는 적어도 제2 경로 (B) 를 개방한다. 다시 말해서, 개폐 수단 (150) 은 기설정된 제1 압력을 기준으로 제1 경로 (A) 및 제2 경로 (B) 를 동시에 개방하거나 폐쇄하며, 또한 이 제1 압력과 동일하거나 혹은 다를 수 있는 기설정된 제2 압력을 기준으로 제2 경로 (B) 만을 개방하거나, 또는 제1 경로 (A) 와 제2 경로 (B) 를 동시에 개방하도록 작동된다.
유량 조절수단 (102) 은 제2 경로 (B) 상에 제공되며, 밀폐 공간 (21) 내 압력이 제2 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제2 경로 (B) 를 폐쇄하거나 제1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하고, 제2 압력 초과일 경우에는 제2 경로 (B) 를 제1 유량보다 큰 제2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한다. 유량 조절수단 (170) 에 의해, 밀폐 공간 (21) 이 제2 압력이 될 경우에 제2 경로로 밀폐 공간 (21)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유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압력과 제2 압력은 같을 수도 있으나, 제2 압력이 제1 압력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1 경로 (A) 가 밀폐 공간 (21) 내의 이물질 등에 의해 폐색되어, 제1 압력이 되더라도 밀폐 공간 (21)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에 도달했을 때에는 제2 경로 (B) 를 통해 유체가 배출될 수 있어, 폭발의 위험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2의 (a) 및 (b) 와 같이 구성되는 밸브 어셈블리 (100a, 100b) 는 기존의 하나의 배출 경로를 가진 밸브 어셈블리에 비해 높은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a) 의 구성을 예시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 (100) 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 (100) 는, 실린더부 (110) 와, 코어 (120) 와, 압력 추 (130) 와, 분할막 (140) 과, 돌기 유닛 (150) 과, 하우징 (16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린더부 (110) 는 바디 (20) 에 형성된 연통홀을 연장하면서 바디 (20) 외측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부 (110) 는 후술할 하우징 (160) 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코어 (120) 는 바디 (20) 에 형성된 연통홀 내에 삽입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부 (110) 의 중공을 슬라이드한다. 코어 (120) 의 내부에는 제1 경로 (A) 의 일부가 형성되며, 코어 (120) 와 실린더부 (110) 내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이 공간이 제2 경로 (B) 의 일부를 형성한다. 즉, 코어 (120) 의 외측에는 실린더부 (110) 의 내부와 접하는 돌출된 부분 (121) 이 복수 형성되고, 이 돌출된 부분 (121) 사이의 오목한 부분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코어 (120) 의 상단부는 압력 추 (130) 의 내부와 접하고, 하단부는 분할막 (140) 이 연결된다. 코어 (120) 의 상하 이동은 분할막 (140) 에 의해 제한된다.
압력 추 (130) 는 일정한 무게 (예를 들어 0.9 kg) 를 가지고 이 무게에 따른 압력에 의해 제1 경로 (A) 또는 제2 경로 (B) 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압력 추 (130) 는 도 3과 같이 실린더부 (110) 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되, 압력 추 (130) 가 들어올려지지 않았을 때에는 실린더부 (110) 의 내부에 삽입되는 돌출부 (131) 를 구비한다. 이 돌출부 (131) 는 압력 추 (130) 가 들어올려지지 않았을 때에 코어 (120) 와 접하여 제1 경로 (A) 를 폐쇄할 수도 있고, 코어 (120) 와 접하지 않고 약간 떨어져 제1 경로 (A) 를 폐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돌출부 (131) 는 제1 경로 (A) 를 폐쇄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코어 (120) 의 상승에 의해 추가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도 3을 특히 참조하면, 제1 경로 (A) 및 제2 경로 (B) 는, 압력 추 (130) 가 들어올려지지 않았을 때에 실린더부 (110) 의 상측과 압력 추 (130) 의 내부가 접함으로써 폐쇄된다. 즉, 압력 추 (130) 에는 제1 경로 (A) 및 제2 경로 (B) 를 통하여 유체의 압력이 전달되나, 압력 추 (130) 의 무게에 따른 압력보다 유체의 내부압이 낮은 경우에는 들어올려지지 않음으로써, 제1 경로 (A) 및 제2 경로 (B) 는 모두 폐쇄된다. 따라서, 밀폐 공간 (21) 내부의 압력은 서서히 증가되게 된다.
분할막 (140) 은 구부러질 수 있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 경로 (B) 의 밀폐 공간 (21) 측 입구에 제공된다. 분할막 (140) 에는 제2 경로 (B) 로 밀폐 공간 (21) 내의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배출홀 (141) 이 형성된다.
코어 (120) 의 상하의 위치에 따라 분할막 (140) 이 접혀지거나 펴짐으로써, 배출홀 (141) 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이 조절된다. 따라서, 분할막 (140) 은 유량 조절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밀폐 공간 (21) 내 압력이 기설정된 제2 압력 이하인 경우, 코어 (120) 는 자중에 의해 하측에 위치하게 되며, 이 경우 분할막 (140) 이 접히게 된다. 분할막 (140) 이 접혀있는 경우에는 배출홀 (141) 의 개방 면적이 작아져 작은 유량의 유체가 이 배출홀 (141) 을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밀폐 공간 (21) 내 압력이 제2 압력을 초과하게 되어, 코어 (120) 가 밀폐 공간 (21) 내 압력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되면, 분할막 (140) 이 도 4와 같이 펴지게 되어, 도 3에서와 같은 분할막 (140) 의 상태에서보다 더 큰 유량이 제2 경로 (B) 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분할막 (140) 이 접혀있는 경우, 배출홀 (141) 이 전혀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즉, 제2 압력이 되기 전까지 제2 경로 (B) 를 통해 유체를 배출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돌기 유닛 (150) 은 제2 경로 (B) 내에 배치된다. 돌기 유닛 (150) 은 복수의 돌기 (151) 들로 구성되며, 돌기 (151) 사이의 공간으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돌기 (151) 는 배출홀 (141) 을 통과한 유체가 직진하지 못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돌기 (151) 에 걸려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바람직하다.
한편, 돌기 (151) 들 중에서 그 단부가 배출홀 (141) 에 근접한 돌기는, 도 4와 같이 분할막 (140) 이 펴졌을 때, 배출홀 (141) 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떨어뜨리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돌기 (151) 의 단부가, 분할막 (140) 이 펴졌을 때, 배출홀 (141) 의 근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출홀 (141) 에 삽입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제2 경로 (B) 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정한 유체 배출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하우징 (160) 은 바디 (20) 의 내부에 위치하며, 돌기 유닛 (150) 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하우징 (160) 으로서 제2 경로 (B) 의 일부가 형성되며, 하우징 (160) 은 상술한 실린더부 (110) 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하우징 (160) 의 외부를 분할막 (140) 에서 연장된 부분이 감싸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하우징 (160) 이 외부로 드러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에서 보았을 때, 실린더부 (110) 의 중공으로 코어 (120) 가 배치되며, 실린더부 (110) 의 단부로 밀폐 공간 (21) 내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된다. 제1 경로 (A) 와 제2 경로 (B) 는 코어 (120) 에 의해 분할되는데, 제1 경로 (A) 와 제2 경로 (B) 는 압력 추 (130) 의 내부 공간에서 경로를 공유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진 밸브 어셈블리 (100) 의 작동 원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바디 (20) 내의 밀폐 공간 (21) 의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 이하인 경우에는 밸브 어셈블리 (100) 는 도 3과 같이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유체는 코어 (120) 내부의 구멍과 배출홀 (141) 을 통해 유동하려고 하나, 압력 추 (130) 와 실린더부 (120) 의 단부가 접촉함으로써 폐색되어 제1 경로 (A) 및 제2 경로 (B) 가 모두 막힘에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없다. 따라서, 밀폐 공간 (21) 내부의 압력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압력을 초과한 경우에는 압력 추 (130) 가 약간 들어올려지게 되면서 밀폐 공간 (21) 내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1 압력은 압력 추 (130) 의 무게로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코어 (120) 의 구멍은 밀폐 공간 (21)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에 의해 종종 막힐 수 있다. 코어 (120) 의 구멍이 폐색되면, 제1 경로는 기능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밀폐 공간 (21) 내부의 압력은 더 증가되게 되며, 이는 코어 (120) 의 상승을 초래한다.
다시 말해서, 일정 압력이 되면 코어 (120) 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분할막 (140) 이 서서히 펴지게 되고, 배출홀 (141) 을 통해 유동될 수 있는 유량이 커지게 된다. 결국, 코어 (120) 가 도 4와 같이 최대로 상승하게 되면, 압력 추 (130) 가 코어 (120) 에 의해 상승되고, 배출홀 (141) 도 확장되어, 제2 경로 (B) 를 통해 유동할 수 있는 유체의 유량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제1 경로 (A) 가 폐색된 상황에서도, 제2 경로 (B) 로 유동할 수 있는 유량을 최대로 증가시킴으로써, 밀폐 공간 (21) 내부의 압력을 일정 압력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밸브 어셈블리 (100)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에 따르면, 부가적인 유체 배출 경로 (즉 제2 경로) 를 통해 폭발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부가적인 유체 배출 경로의 입구를 폐색할 수 있는 이물질을 자연적으로 제거하여, 보다 안정적인 압력 제어가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바디 21…밀폐 공간
101…개폐 수단 102…유량 조절수단
110…실린더부 120…코어
130…압력 추 140…분할막
141…배출홀 150…돌기 유닛
151…돌기 160…하우징
100, 100a, 100b…본 발명의 밸브 어셈블리

Claims (9)

  1. 바디로 정의되는 밀폐 공간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밀폐 공간 내의 유체는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밸브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상기 밀폐 공간 내의 압력이 제1 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폐쇄하고, 제1 압력 초과일 경우에는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개방하며, 또한 상기 밀폐 공간 내의 압력이 제2 압력 초과인 경우에는 적어도 상기 제2 경로를 개방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밀폐 공간 내 압력이 제2 압력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제2 경로를 폐쇄하거나 제1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하고, 제2 압력 초과일 경우에는 상기 제2 경로를 상기 제1 유량보다 큰 제2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하는 유량 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밸브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압력 추이며, 상기 압력 추의 무게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경로 또는 상기 제2 경로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수단은, 상기 제2 경로의 상기 밀폐 공간 측 입구에 제공되는 가요성 분할막이며,
    상기 분할막에는 상기 제2 경로와 연통되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 공간 내 압력이 제2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분할막이 접혀있음으로 인하여 상기 배출홀이 폐쇄되거나 상기 제1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되며, 상기 밀폐 공간 내 압력이 제2 압력 초과인 경우, 상기 분할막이 상기 밀폐 공간 내의 압력으로 인하여 밀려남에 따라 펴져 상기 배출홀이 상기 제2 유량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을 바디의 외부로 연장하는 중공을 가지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중공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경로의 일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부와 외주연에 의해 상기 제2 경로의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 공간 내외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코어 (core);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경로의 밀폐 공간 측 입구를 포함하는 상기 코어의 일부면이 상기 밀폐 공간 내부에 노출되고, 상기 코어와 상기 분할막이 연결되어, 상기 코어의 상하 위치에 따라 상기 배출홀의 개방 면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 내부에는 상기 배출홀을 통과한 기체가 직진하지 못하도록 지그재그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 내부에는, 상기 분할막이 펴짐에 따라 상기 배출홀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추가 들어올려지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실린더부의 단부가 상기 압력 추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경로 및 상기 제2 경로를 폐쇄하고,
    상기 압력 추는 상기 실린더부의 일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압력 추가 들어올려지지 않았을 때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코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경로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어셈블리.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밥솥.
KR1020130137780A 2013-11-13 2013-11-13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 KR101459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780A KR101459052B1 (ko) 2013-11-13 2013-11-13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780A KR101459052B1 (ko) 2013-11-13 2013-11-13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052B1 true KR101459052B1 (ko) 2014-11-07

Family

ID=5228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780A KR101459052B1 (ko) 2013-11-13 2013-11-13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0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420U (ko) * 1989-12-25 1991-09-10
KR19990012546U (ko) * 1997-09-10 1999-04-06 구자홍 압력밥솥용 압력밸브 어셈블리
KR19990039896A (ko) * 1997-11-14 1999-06-05 구자홍 압력조리기의 압력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420U (ko) * 1989-12-25 1991-09-10
KR19990012546U (ko) * 1997-09-10 1999-04-06 구자홍 압력밥솥용 압력밸브 어셈블리
KR19990039896A (ko) * 1997-11-14 1999-06-05 구자홍 압력조리기의 압력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47712U (zh) 流体阀及用于控制阀内件组件的阀笼
CA2854045C (en) Anti-cavitation valve seat
US20150219233A1 (en) Valve for fire protection
CN102348916A (zh) 压力动作控制阀
JP2018040296A (ja) オイルミストセパレータ
RU2757434C2 (ru) Регулирующий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клапан, содержащий затворный узел, имеющий боковую разветвленную резонаторную группу
RU2020106146A (ru) Узел затвора с улучшенным шумоподавлением
CN108953714A (zh) 一种自力控制低压常开减压的结构
KR101459052B1 (ko)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압력 밥솥
JP5614717B2 (ja) バルブ
JP2015105101A (ja) 泡吐出容器
EP2971888A1 (en) Mechanical pressure switch
CN105864467B (zh) 单向阀
KR100857454B1 (ko) 전기압력밥솥
DE602005011921D1 (de) Einstückiges Stromregelventil für eine Flüssigkeitsfilteranordnung
KR101735475B1 (ko) 이중의 주름 팩 요소을 구비한 필터
JP6090660B2 (ja) 吐出容器
CN210300707U (zh) 蒸汽阀及烹饪器具
JP7278481B2 (ja) 気液分離器及び圧縮システム
KR101793791B1 (ko) 유로 차단 기능을 구비한 감압밸브 장치
KR100872899B1 (ko) 조리기의 안전 밸브
JP7085359B2 (ja) 弁装置
KR200449604Y1 (ko) 솔레노이드가 측면에 구비된 개폐밸브
JP2017180225A (ja) オイルフィルタ
KR200421225Y1 (ko) 압력 조리기의 압력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