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030B1 -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030B1
KR101459030B1 KR1020080041132A KR20080041132A KR101459030B1 KR 101459030 B1 KR101459030 B1 KR 101459030B1 KR 1020080041132 A KR1020080041132 A KR 1020080041132A KR 20080041132 A KR20080041132 A KR 20080041132A KR 101459030 B1 KR101459030 B1 KR 101459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racter string
external device
mou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333A (ko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8004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030B1/ko
Publication of KR20090115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2017/25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 H04M2017/2506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code input or reading
    • H04M2017/2531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code input or reading wireless, e.g. Bluetooth,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메뉴키와 숫자를 포함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들 중 선택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생성하는 키패드부와, 키패드부에서 생성된 키신호를 조합하여 제1문자열을 생성하는 키신호 조합부와, 키신호 조합부에서 생성된 제1문자열을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외부기기로부터 재전송된 제2문자열을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제2문자열이 제1문자열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신호 검증부를 포함한다.
입력장치

Description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ed as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 또는 문자입력장치로 동작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요가 급속하게 늘면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은 단순히 착발신의 전화 기능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들이 탑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계산기 기능, 전자수첩 기능, 사용자의 음성을 통한 발신이 가능한 음성인식 다이얼 기능, 상대방과의 메시지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능 및 사진 또는 동영상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 기능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컴퓨터로 저장할 수 있으며, 방송수신기의 리모 컨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한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PSP(Play Station Portable) 등 첨단기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 첨단기기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거나, 문서를 작성하거나 또는 내외부 메모리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더욱 간편하게 첨단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에 마우스 또는 문자입력장치로서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우스, 문자입력장치 또는 신호전송장치로 동작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외부기기로 신호를 전송할 시에 신호의 크기를 일정 크기로 잘라 전송함으로써 오류 발생을 감소시키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외부기기로 신호를 전송하면, 외부기기로 전송한 신호를 다시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신호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검증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메뉴키와 숫자를 포함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들 중 선택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생성하는 키패드부; 상기 키패드부에서 생성된 키신호를 조합하여 제1문자열을 생성하는 키신호 조합부; 상기 키신호 조합부에서 생성된 제1문자열을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전송된 제2문자열을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제2문자열이 상기 제1문자열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신호 검증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제1문자열을 외부기기로 송신하되, 상기 제1문자열을 기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 검증부는 상기 제1문자열이 상기 제2문자열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오류가 발생된 부분의 문자열을 상기 외부기기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텍스트 파일, 음성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송신명령이 입력될 경우에 상기 송신명령이 입력된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전송된 제2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신호 검증부는 상기 제2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외부기기로 송신하되,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기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검증부는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제2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오류가 발생된 부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외부기기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1마우스 신호를 생성하는 마우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제1마우스 신호를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전송된 제2마우스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신호 검 증부는 상기 제2마우스 신호가 제1마우스 신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마우스 신호가 상기 제2마우스 신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오류가 발생된 부분의 마우스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외부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 블루투스 통신부, 상기 외부기기와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하는 USB 통신부 및 상기 외부기기와 적외선 통신을 하는 적외선 통신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는 PMP, 컴퓨터, PDA, 방송수신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선택된 동작모드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동작모드가 문자입력모드인 경우에 키패드부에서 생성된 키신호를 조합하여 제1문자열을 생성하고, 상기 제1문자열을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전송된 제2문자열을 수신할 경우, 상기 제2문자열과 상기 제1문자열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1문자열을 생성한 후에 상기 제1문자열을 기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제2문자열과 상기 제1문자열이 일 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오류가 발생된 부분의 문자열을 상기 외부기기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동작모드가 신호전송모드인 경우에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선택된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전송된 제2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경우, 제2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기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제2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오류가 발생된 부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외부기기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동작모드가 마우스모드인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1마우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전송된 제2마우스 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2마우스 신호와 상기 제1마우스 신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제2마우스 신호와 상기 제1마우스 신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오류가 발생된 부분의 마우스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동작모드에 따라 마우스, 문자입력장치 또는 신호전송장치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신호의 크기가 큰 경우, 신호의 크기를 기 설정된 크기로 잘라 전송함으로써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처음부터 다시 전송해야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오류 발생이 적어진다.
또한, 외부기기로 전송한 신호를 다시 수신받아 정상적으로 신호가 전송됐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입력장치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01)와, 키패드부(107)와, 동작모드 설정부(109)와, 키신호 조합부(111)와, 마우스부(113)와, 저장부(115)와, 신호 송수신부(117)와, 신호 검증부(125)와, 표시부(127) 및 제어부(12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 예로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01)는 마이크(MIC)(103)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K)(105)로 출력한다.
키패드부(107)는 하나 이상의 메뉴키와, 숫자를 포함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들을 포함하여 선택되는 키에 따른 키신호를 생성한다.
동작모드 설정부(109)는 동작모드 설정명령에 따라 문자입력모드, 마우스모드 및 신호전송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는 동작모드 중 문자입력모드가 선택되면 문자입력장치로 동작하고, 마우스모드가 선택되면 마우스로 동작하며, 신호전송모드가 선택되면 신호전송장치로 동작한다.
키신호 조합부(111)는 상기 동작모드 설정부(109)에서 문자입력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키패드부(107)에서 생성된 키신호를 조합하여 문자열을 생성한다. 상기 문자열에는 숫자와 특수문자가 포함된다.
마우스부(113)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동작모드 설정부(109)에서 마우스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센서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마우스 신호를 생성한다.
저장부(115)는 상기 키신호 조합부(111)가 생성한 문자열 또는 상기 마우스 부(113)가 생성한 마우스 신호를 저장한다. 또한, 텍스트 파일,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한다.
신호 송수신부(117)는 전화기능과 관련된 신호 송수신뿐만 아니라 외부기기(15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상기 키신호 조합부(111)에서 생성된 문자열 또는 상기 마우스부(113)에서 생성된 마우스 신호를 외부기기(150)로 송신한다.
그리고, 신호 송수신부(117)는 상기 동작모드 설정부(109)에서 신호전송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저장부(115)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외부기기(150)로 송신한다. 상기 외부기기(150)는 컴퓨터(151),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153),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155), PSP(Play Station Portable)(157) 또는 방송수신기뿐만 아니라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신호 송수신부(117)는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통신부(119), 적외선 통신을 지원하는 적외선 통신부(121) 및 USB 케이블을 통한 통신을 지원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부(12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USB 통신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언급된 통신방식 외에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더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수신부(117)는 상기 문자열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외부기기(150)로 전송할 경우에 신호의 크기를 기 설정된 크기로 잘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송수신부(117)는 기 설정된 크기로 잘라 전송하는 신호에 식별번호를 붙여 외부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외부기기(150)에서 신호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신호 검증부(125)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117)에서 문자열을 외부기기(150)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150)로 송신한 문자열을 상기 외부기기(150)부터 재수신할 경우, 수신된 문자열을 상기 저장부(115)에 저장된 문자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신호 검증부(125)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117)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외부기기(150)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150)로 송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외부기기(150)로부터 재수신할 경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상기 저장부(115)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 검증부(125)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117)에서 마우스 신호를 외부기기(150)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150)로 송신한 마우스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150)로부터 재수신할 경우, 수신된 마우스 신호와 상기 저장부(115)에 저장된 마우스 신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신호 검증부(125)는 상기 판단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신호 송수신부(117)를 통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의 신호(문자열,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마우스 신호)를 재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이를 알린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신호 송수신부(117)에서 기 설정된 크기로 신호를 잘라 전송함으로써, 신호 검증부(125)는 오류가 발생된 부분의 신호만을 재전송할 수 있게 된다.
표시부(127)는 상기 동작모드 설정부(109)의 동작모드와 관련된 메뉴를 포함한 각종 메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제어부(129)는 전화와 관련된 기능과 동작모드 설정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각 부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동작모드 설정명령이 입력되면(S201), 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동작모드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고(S203),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동작모드를 판단한다(S205). 상기 다수의 동작모드 메뉴는 문자입력모드 메뉴, 마우스모드 메뉴 및 신호전송모드 메뉴를 포함한다.
상기 S205단계의 판단결과, 선택된 동작모드가 문자입력모드인 경우, 키패드부(107)를 통해 생성된 문자열을 외부기기(150)로 송신한다(S207).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송신된 문자열이 상기 외부기기(150)로부터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외부기기(150)가 재전송하는 상기 문자열을 수신하면(S209), 수신된 문자열과 기 저장된 문자열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1, S213).
상기 S21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문자열과 기 저장된 문자열이 일치하지 않으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오류가 발생된 문자열을 상기 외부기기(150)로 재전송한다(S215).
상기 S205단계의 판단결과, 선택된 동작모드가 마우스모드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자기 자신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마우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마우스 신호를 외부기기(150)로 송신한다(S217).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송신된 마우스 신호가 상기 외부기기(150)로부터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외부기기(150)가 재전송하는 상기 마우스 신호를 수신하면(S219), 수신된 마우스 신호와 기 저장된 마우스 신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1, S223).
상기 S22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마우스 신호와 기 저장된 마우스 신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오류가 발생된 마우스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150)로 재전송한다(S225).
상기 S205단계의 판단결과, 선택된 동작모드가 신호전송모드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선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외부기기(150)로 송신한다(S227).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송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외부기기(150)가 재전송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면(S229),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31, S233).
상기 S23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일치하지 않으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오류가 발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시 상기 외부기기(150)로 송신한다(S235).
한편,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S207단계와 S227단계에서 신호를 외부기 기(150)로 전송할 시에 신호를 기 설정된 크기로 잘라 전송하되, 각 신호에는 각 신호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번호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S209단계와 S223단계 후, 외부기기(15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는 상기 기 설정된 크기로 잘라 전송한 신호이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가 전송한 신호에 오류가 발생해도 오류가 발생한 부분의 신호만 선별적으로 다시 외부기기(15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7 : 키패드부 109 : 동작모드 설정부
111 : 키신호 조합부 113 : 저장부
117 : 신호 송수신부 119 : 블루투스 통신부
121 : 적외선 통신부 123 : USB 통신부
125 : 신호 검증부

Claims (18)

  1. 하나 이상의 메뉴키와 숫자를 포함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들 중 선택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생성하는 키패드부;
    상기 키패드부에서 생성된 키신호를 조합하여 제1문자열을 생성하는 키신호 조합부;
    상기 키신호 조합부에서 생성된 제1문자열을 기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여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전송된 제2문자열을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제2문자열과 상기 제1문자열이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송신오류를 판단하는 신호 검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문자열의 분할된 문자열들 각각은 식별번호를 가지며,
    상기 제2문자열이 상기 제1문자열과 일치하지 않아 송신오류가 발생했다고 판단 된 경우, 상기 송신오류가 발생 된 문자열의 특정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문자열 내 상기 특정 식별번호를 갖는 문자열을 상기 외부기기로 재전송하는,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텍스트 파일, 음성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송신명령이 입력될 경우에 상기 송신명령이 입력된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기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전송된 제2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신호 검증부는
    상기 제2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송신오류를 판단하되,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분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들 각각은 식별번호를 가지며,
    상기 제2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일치하지 않아 송신오류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송신오류가 발생 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특정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 내 상기 특정 식별번호를 갖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외부기기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1마우스 신호를 생성하는 마우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제1마우스 신호를 기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여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전송된 제2마우스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신호 검증부는
    상기 제2마우스 신호가 제1마우스 신호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송신오류를 판단하되,
    상기 제1마우스 신호의 분할된 마우스 신호들 각각은 식별번호를 가지며,
    상기 제2마우스 신호가 상기 제1마우스 신호와 일치하지 않아 송신오류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송신오류가 발생 된 마우스 신호의 특정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마우스 신호 내 상기 특정 식별번호를 갖는 마우스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삭제
  9. 제 1항, 제 4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외부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 블루투스 통신부,
    상기 외부기기와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하는 USB 통신부 및
    상기 외부기기와 적외선 통신을 하는 적외선 통신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SP(Play Station Portable) 및 방송수신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1. 선택된 동작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동작모드가 문자입력모드인 경우에 키패드부에서 생성된 키신호를 조합하여 제1문자열을 생성하고, 상기 제1문자열을 기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여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전송된 제2문자열을 수신할 경우, 상기 제2문자열과 상기 제1문자열이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송신오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문자열의 분할된 문자열들 각각은 식별번호를 가지며,
    상기 제2문자열이 상기 제1문자열과 일치하지 않아 송신오류가 발생했다고 판단 된 경우, 상기 송신오류가 발생 된 문자열의 특정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문자열 내 상기 특정 식별번호를 갖는 문자열을 상기 외부기기로 재전송하는,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동작모드를 판단한 결과, 상기 동작모드가 신호전송모드인 경우에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선택된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기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전송된 제2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할 경우, 제2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송신오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분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들 각각은 식별번호를 가지며,
    상기 제2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일치하지 않아 송신오류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송신오류가 발생 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특정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멀티미디어 콘텐츠 내 상기 특정 식별번호를 갖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상기 외부기기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동작모드를 제 1단계의 판단한 결과, 상기 동작모드가 마우스모드인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1마우스 신호를 생성하되 기 설정된 크기로 분할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재전송된 제2마우스 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2마우스 신호와 상기 제1마우스 신호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송신오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마우스 신호의 분할된 마우스 신호들 각각은 식별번호를 가지며,
    상기 제2마우스 신호가 상기 제1마우스 신호와 일치하지 않아 송신오류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송신오류가 발생 된 마우스 신호의 특정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마우스 신호 내 상기 특정 식별번호를 갖는 마우스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방법.
  18. 삭제
KR1020080041132A 2008-05-02 2008-05-02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KR101459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132A KR101459030B1 (ko) 2008-05-02 2008-05-02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132A KR101459030B1 (ko) 2008-05-02 2008-05-02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333A KR20090115333A (ko) 2009-11-05
KR101459030B1 true KR101459030B1 (ko) 2014-11-07

Family

ID=4155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132A KR101459030B1 (ko) 2008-05-02 2008-05-02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63359B (zh) * 2010-11-02 2013-05-22 北京安天电子设备有限公司 对usb移动存储设备进行数据监控的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502A (ko) * 2005-12-02 2007-06-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휴대폰을 이용한 텔레비전 문자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502A (ko) * 2005-12-02 2007-06-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휴대폰을 이용한 텔레비전 문자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333A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9740B2 (ja) 電子デバイスに非ネイティブ機能を提供する無線コンパニオン・デバイス
KR101306119B1 (ko) 휴대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20080013852A (ko) 이동 단말기의 다중 동작 모드들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KR100800723B1 (ko) 통신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682359B (zh) 一种应用注册方法、移动终端
CN111800867B (zh) 半持续调度物理下行共享信道的反馈方法及终端设备
KR100726233B1 (ko) 블루투스 휴대기기의 발신 장치 및 방법
CN103813000A (zh) 移动终端及其寻找方法
KR20130097600A (ko) 휴대 단말기에서 이메일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007534A (ko) 정보 처리 장치, 외부 기기 확장 시스템, 외부 기기 확장 방법, 외부 기기 확장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CN107786739B (zh) 一种信息获取方法及移动终端
CN112787769B (zh) 确定nfi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0850734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459030B1 (ko) 입력장치로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CN105100005A (zh) 身份验证方法及装置
CN107896271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2067644B1 (ko) 메시지 수신 음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090777B1 (ko)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CN111400729B (zh) 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6778126B (zh) 一种密码的输入方法及移动终端
KR20120055843A (ko) 컨텐츠 자동 전송을 위한 크래들 장치,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7826A (ko)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52719B1 (ko)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CN110191468B (zh) 加密、解密方法及移动终端
KR10079078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