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719B1 -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719B1
KR101452719B1 KR1020070074456A KR20070074456A KR101452719B1 KR 101452719 B1 KR101452719 B1 KR 101452719B1 KR 1020070074456 A KR1020070074456 A KR 1020070074456A KR 20070074456 A KR20070074456 A KR 20070074456A KR 101452719 B1 KR101452719 B1 KR 101452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key
unconfirmed
input
unident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151A (ko
Inventor
최연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7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3Line monitoring circuits for detecting caller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체크키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 상기 체크키 신호 입력에 따라 미확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미확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알람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부재중 전화, 미확인 메시지, 스케줄 정보, 알람

Description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UN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상황 또는 부재로 인하여 확인하지 못한 미확인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서 영상 통화, 전자수첩기능,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근에 이르러서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추가로 구비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원하는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손쉽게 촬영하여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전송 기능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한편,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는 경우, 해당 미확인 상태에 대하여 표시부에 표시하여 알람하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절약으로 인하여 일정 시간 이후 표시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턴-오프 시키기 때문에 사실상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미확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상태를 재 성화 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미확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하고자 할 때마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찾아, 표시부를 활성화시키고, 해당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과정은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가 크게 발생하며, 미확인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도 불필요한 정보 확인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확인 정보가 있는 경우, 특정 키입력 발생에 따라 알람을 발생하도록 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체크키 신호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체크키 신호 입력에 따라 미확인 정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미확인 정보의 존재 유무에 해당하는 알람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확인 정보 검색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키입력에 따른 체크키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체크키 신호 생성에 따라 미확인 정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고 해당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미확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기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확인 정보 검색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모바일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모듈 또는 특정 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모듈; 상기 방송수신모듈 또는 상기 재생 모듈 활성화 중 키입력에 따른 체크키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체크키 신호 생성에 따라 미확인 정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고 해당 알람을 진동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미확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미확인 정보의 존재 유무 및 정보의 특성에 대하여 간단하게 검색 및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미확인 정보는 부재중 통화 로그 정보, 미확인 메시지 정보, 미확인 스케줄 정보 등,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중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는 정보들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미확인 정보를 확인하는 입력신호를 특정 키 신호로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 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에서의 특정 키입력신호는 단말기 상태에 따른 키입력신호, 핫키 입력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상태에 따른 키입력신호는 폴더 타입 또는 슬라이드 타입, 플립 타입의 단말기인 경우 상기 폴더 또는 슬라이드, 플립이 클로우즈(Close)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키입력신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에서 특정 키입력신호는 일반적인 키입력 예를 들면,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를 제외한 미확인 정보를 체크하기 위해 입력되는 신호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키입력신호 생성을 위해서는 핫키를 할당하거나, 특정 단말기 상태에서 발생하는 키입력에 할당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 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3G 단말기 예를 들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단말기 및 와이브로와 같은 휴대 인터넷 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진동모듈(140), 표시부(150), 제어부(160), 메모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미확인 정보의 존재 유무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진동모듈(140), 오디오 처리부(130) 및 표시부(150)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알람은 상기 각 구성 중 진동모듈(140)에 의해서만 출력될 수 도 있을 것이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통화 호 송신 및 수신한다. 상기 무선 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주파수부(110)는 외부로부터 통화 호 형성 요청이 발생 하는 경우,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통화 호에 대한 확인 키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해당 통화 호 연결을 위한 통신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확인키입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부재중 통화 로그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미확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상기 체크키 신호는 별도로 할당된 핫키의 활성화에 따라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특정 상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화상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화상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미확인 정보 확인 시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진동모듈(14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모드에 따른 진동 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진동모듈(140)은 상기 미확인 정보 확인을 위한 체크키 신 호가 발생하는 경우, 그에 따른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신호는 미확인 정보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나 횟수가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확인 정보가 부재중 통화 로그 및 미확인 메시지이며, 상기 부재중 통화는 3회, 미확인 메시지는 2개가 있는 경우, 상기 알람 신호는 부재중 통화에 해당하는 제1 알람 신호를 3회 반복하여 발생시킨 후, 상기 미확인 메시지에 해당하는 제2 알람 신호를 2회 반복하여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알람 신호 및 상기 제2 알람 신호는 진동의 크기나 패턴의 종류로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등에 관련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50)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50)는 상기 부재중 통화 로그, 상기 미확인 메시지 및 미확인 스케줄 정보에 대한 알람을 텍스트 등으로 표시하여 알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부재중 통화 로그, 상기 미확인 메시지 및 미확인 스케줄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의 개수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5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체크키 신호 발생 시 비활성화 상태 즉,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일반 키입력 신호 발생 시 턴-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50)는 배터리 절약을 위하여 상기 체크키 신호가 발생하 더라도 상기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화상 통화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카메라(140) 동작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데이터, 부재중 통화 로그, 미확인 메시지 정보 및 스케줄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방송신호를 버퍼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메모리(17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메시지 처리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모바일 방송 신호 수신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모바일 방송 신호 수신 기능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포함 시, 그에 해당하는 하드웨어 즉, 방송수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상술한 부재중 통화 로그, 미확인 메시지 정보 및 스케줄 정보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앞서 설명한 동영상과, 폰 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컨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방송신호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녹화 저장할 수 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입력부(120)로부터 체크키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체크키 신호 입력에 따라 미확인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미확인 정보 유무에 따라 알람 발생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키 신호 확인부(162), 미확인 정보 확인부(164) 및 알람 제어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키 신호 확인부(162)는 입력부(120)에서 발생하는 키입력신호 중 미확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키 신호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상기 체크키 신호 확인부(162)는 핫키에 연결되어 직접적인 체크키 신호를 입력받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특정 상태에 따른 키입력신호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체크키 신호 확인부(162)는 체크키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미확인 정보 확인부(164)에 알람한다.
미확인 정보 확인부(164)는 상기 체크키 신호 확인부(162)로부터 체크키 신호가 입력되었음을 전달받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미확인 정보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즉 상기 미확인 정보 확인부(164)는 체크키 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170)를 검사하여 부재중 통화 로그, 미확인 메시지 및 미확인 스케줄 정보 등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미확인 정보 확인부(164) 는 상기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또는 상기 미확인 정보의 유무를 알람 제어부(166)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제어부(166)는 상기 미확인 정보 확인부(164)로부터 정보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알람을 제어한다. 즉 상기 알람 제어부(166)는 미확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진동모듈(140), 오디오 처리부(130) 및 표시부(150)등에 전달하여 정보의 존재를 알람한다. 이때 상기 알람 제어부(166)는 배터리 절약을 위하여 표시부(150)를 통한 알람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람 제어부(166)는 상기 미확인 정보의 특성 즉, 부재중 통화 로그 개수, 부재중 통화 요청인, 미확인 메시지의 개수 및 미확인 메시지 전송자, 미확인 스케줄 정보의 개수 등에 따라 각각 구별되는 알람을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수와 관련해서는 반복적인 진동모듈(140)의 활성화, 요청인이나 전송자에 대해서는 미리 세팅된 진동패턴 또는 멜로디 패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상기 진동 또는 멜로디 횟수, 진동 또는 멜로디 패턴 등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150)를 활성화시키지 않고도 미확인 정보의 유무 및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진동모듈(140)을 이용하는 사례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주머니 등에 휴대한 상태에서 손을 이용한 감각으로 미확인 정보의 유무 및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제어부(166)는 미확인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특정 알람을 발생시켜 체크키 신호 입력이 정상적으로 입력되었으나, 해당 미확인 정보가 없음을 알람할 수 있다. 한편, 미확인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알람 제어부(166)는 상기 미확인 정 보 확인부(164)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그에 따라 어떠한 알람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체크키 신호를 입력하였음에도 단말기에 해당 반응이 없는 경우, 미확인 정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관계없이 특정 키 입력에 따라 미확인 정보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미확인 정보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불필요한 동작을 제거하고, 그에 따라 배터리 절약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정보의 간단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정보의 간단 검색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미확인 정보의 간단 검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정보의 간단 검색 방법은 먼저, S101 단계에서 키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S103 단계에서 상기 키입력이 미확인 정보를 체크할 체크키 신호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체크키 신호 입력은 특정 핫키 입력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상태에서의 키입력신호가 될 수 있다. 즉 핫키가 체크키로 할당되는 경우, 상기 핫키의 활성화에 대응하여 상기 체크키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키 신호는 이 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키잠금상태, 슬라이드나 폴더 개폐 상태 등에서 특정 방향키나 메뉴키 및 숫자/문자키 등이 활성화될 경우, 생성될 수 있다.
상기 S103 단계에서 상기 키입력신호가 상기 체크키 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S105 단계로 분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당 기능 예를 들면, 통화 기능, 파일 재생 기능, 카메라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3 단계에서 상기 키입력신호가 상기 체크키 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S107 단계에서 미확인 정보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메모리(170)를 검사하여 상기 미확인 정보의 존재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107 단계에서 상기 미확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S109 단계로 분기하여 알람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미확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알람을 진동모듈(140), 오디오 처리부(130) 및 표시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상태에 따라 진동모듈(140)을 용한 알람만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미확인 정보의 특성에 따라 각각 구별된 알람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7 단계에서 상기 미확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S111 단계로 분기하여 이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미확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무반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미확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에 따른 알람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도 있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S107 단계 및 S109 단계에서 상기 미확인 정보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S103 단계에서 미확인 정보 체크를 위한 체크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S201 단계로 분기하여 메모리(170)에 부재중 통화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S201 단계에서 부재중 통화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S203 단계로 분기하여 제1 알람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S201 단계에서 부재중 통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S205 단계로 분기하여 미확인 메시지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205 단계에서 미확인 메시지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S207 단계로 분기하여 상기 제1 알람과 다른 제2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S203 단계를 수행한 경우에도, 미확인 메시지 정보를 확인하는 S205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에서는 부재중 통화 정보 및 미확인 메시지 확인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외의 다른 정보 예를 들면 미확인 스케줄 정보 등을 추가로 확인하고 그에 따른 알람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상태에 따라 적용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모바일 방송을 시청하거나, 특정 파일 재생을 수행하는 중에 단말기를 통화 착신 제한 및 메시지 착신 제한 등으로 설정하는 경우, 본 발명의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착신 제한 및 메시지 착신 제한 상태에서, 모바일 방송을 시청하거나 파일 재생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모바일 방송 시청 중 또는 파일 재생 중에 부재중 통화 또는 미확인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크키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체크키 신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핫키로 설정되거나 상기 응용프로그램 활성화 중에 특정 키 입력에 따라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체크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활성화 중인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모바일 방송 응용 프로그램 및 파일 재생 응용 프로그램에 독립적으로 메모리(170)를 체크하여 미확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진동모듈(140)을 이용하여 알람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에 별다른 제약 없이 미확인 정보의 존재 여부 및 미확인 정보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Claims (1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키를 통해 키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키입력이 체크키 신호 입력이면, 상기 체크키 신호 입력에 따라 미확인 정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미확인 정보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미확인 정보의 유무와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알람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출력 과정은
    상기 미확인 정보의 개수 및 상기 미확인 정보의 전송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알람의 크기, 패턴,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출력 과정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출력 과정은
    상기 미확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해당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확인 정보는
    부재중 통화 정보, 미확인 메시지 정보 및 미확인 스케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크키 신호 입력 여부 확인 과정은
    상기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 과정 중에 체크키 신호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모바일 방송 응용 프로그램 및 파일 재생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키를 통해 키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키입력에 따른 체크키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키입력이 상기 체크키 신호 입력이면, 상기 체크키 신호 생성에 따라 미확인 정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미확인 정보의 종류를 확인하며, 상기 미확인 정보의 유무와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미확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기 미확인 정보의 유무와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알람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확인 정보의 개수 및 상기 미확인 정보의 전송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알람의 크기, 패턴,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진동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확인 정보는
    부재중 통화 정보, 미확인 메시지 정보 및 미확인 스케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장치.
  14.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모바일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모듈 또는 특정 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모듈;
    상기 키를 통해 키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방송수신모듈 또는 상기 재생 모듈 활성화 중 상기 키입력에 따른 체크키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상기 키입력이 상기 체크키 신호 입력이면, 상기 체크키 신호 생성에 따라 미확인 정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미확인 정보의 종류를 확인하며, 상기 미확인 정보의 유무와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알람을 진동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미확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기 미확인 정보의 유무와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확인 정보의 개수 및 상기 미확인 정보의 전송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알람의 크기, 패턴,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확인 정보 검색 장치.
KR1020070074456A 2007-07-25 2007-07-25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452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56A KR101452719B1 (ko) 2007-07-25 2007-07-25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56A KR101452719B1 (ko) 2007-07-25 2007-07-25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151A KR20090011151A (ko) 2009-02-02
KR101452719B1 true KR101452719B1 (ko) 2014-10-24

Family

ID=4068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456A KR101452719B1 (ko) 2007-07-25 2007-07-25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32B1 (ko) * 2016-09-29 2018-07-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람미신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471A (ko) * 1998-03-04 1999-10-15 김성락 무선 통신기기의 수신된 메시지 확인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471A (ko) * 1998-03-04 1999-10-15 김성락 무선 통신기기의 수신된 메시지 확인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151A (k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6192B (zh) 用于显示数字广播节目信息的装置和方法
CN101626428B (zh) 移动终端及其消息收件箱搜索方法
US20110045803A1 (en) Method of informing occurrence of a missed event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030087665A1 (en) Reminder fun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2673738C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otion sensor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user interface
US82905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a media player based on type of coupled speaker
CN101147409A (zh) 在移动终端中提供多个操作模式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KR101489194B1 (ko) 휴대 단말기의 통신 정보 삭제 방법
JP4709245B2 (ja) 移動通信端末機およびその呼による画像表示方法
CN106357886A (zh) 智能手表闹铃管理方法及装置
KR20110011025A (ko) 휴대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하는 휴대 단말기
KR1005969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메일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장치
KR101452719B1 (ko) 미확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090002940A (ko)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이동통신 단말기
CN105100433A (zh) 终端的控制方法及装置
KR101523386B1 (ko) 사용자 동작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64241B1 (ko) 멀티 편집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운용방법
US20020019251A1 (en) Method of selectively storing display message in a mobile telephone
KR1011045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일정관리 방법
KR101450534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KR10153768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제공방법
KR20080059826A (ko) 휴대 단말기에서 화상통화 중 검색 정보 전송 장치 및 그방법
JP2001086219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3004530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모 입력 및 처리 방법
KR100657632B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그 사용자 단말기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