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995B1 -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 Google Patents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995B1
KR101458995B1 KR1020140083678A KR20140083678A KR101458995B1 KR 101458995 B1 KR101458995 B1 KR 101458995B1 KR 1020140083678 A KR1020140083678 A KR 1020140083678A KR 20140083678 A KR20140083678 A KR 20140083678A KR 101458995 B1 KR101458995 B1 KR 101458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late
stone
unit
coupled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도산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는, 석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석재의 표면에 화염을 방사하는 버너부 및 상기 버너부를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 시키는 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부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축으로부터 편심되어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의 운동 시 선형 운동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버너부와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Apparatus for Roughening the surface of stone plate}
본 발명은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또는 토목자재로 사용되는 석재는 화강암, 안산암, 감람석, 웅회암 등 여러 종류의 자연석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 후, 이를 패널, 경계석, 블록, 조경용 블록 등의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하는데, 이렇게 다양하게 사용되는 석재는 원석을 각 사용처에 사용가능한 크기로 절단한 후, 외부로 노출된 표면에 불꽃을 방사하여 표면 거칠기 작업을 실시한다.
표면 거칠기 작업이 완료된 석재는 그 표면이 외관상 보기에 좋을 정도의 요철 또는 엠보형상이 형성되어 건축물의 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는 제품이 된다. 이때, 표면 거칠기 작업시 사용되는 불꽃 방사 수단은 일반적으로 버너기를 사용하며, 버너기는 통상 액체산소와 가스, 예컨데, 엘피지(LPG)가스가 사용하며, 고온 및 고압의 불꽃을 석재 표면에 방사하여 표면을 거칠게 한다.
본 발명은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는, 석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석재의 표면에 화염을 방사하는 버너부 및 상기 버너부를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 시키는 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부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축으로부터 편심되어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의 운동 시 선형 운동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버너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너부는, 복수의 복수의 토오치(torch)들, 상기 복수의 토오치들과 각각 결합된 복수의 홀더들, 상기 복수의 홀더들과 결합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더들 각각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오치는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높이 조절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높이 조절부는 측면에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한 쌍의 수직 로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로드들은, 상기 높이 조절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상의 수평 지지부와, 상기 수평 지지부의 양 끝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신장된 한 쌍의 수직바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지지부 상에서 상기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부상에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기 선형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석재가 로딩되어 이송되는 롤러 컨베이어부, 상기 롤러 컨베이어부를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롤러 컨베이어부가 안착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상에서 상기 석재의 표면을 주시하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영상 촬영부의 촬영 결과로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석재의 정위치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 및 상기 센서부의 결과에 따라 상기 운동부와 상기 버너부를 조정하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석재 표면 거칠기 방법은, 석재를 이송부 상에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석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버너부에 의해 상기 석재 표면에 화염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염을 방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버너부는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상기 석재 표면에 상기 화염을 방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석재 표면을 주시하는 영상촬영부를 이용하여 상기 석재 표면의 거친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석재 표면의 거친 정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너부는 운동부에 의해 상기 왕복 운동을 하며, 상기 운동부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축으로부터 편심되어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의 운동 시 선형 운동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버너부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버너부가 상기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너부는 복수의 토오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오치들은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토오치들은 동시 또는 이시로 상기 화염을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석재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복수의 토오치들을 이용하여 석재 표면 거칠기 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석재 표면의 거친 정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의 I-I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의 II-II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표면 거칠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의 I-I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의 II-II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10)는 석재(S)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00), 이송부(100) 상에 배치되며, 석재(S)의 표면에 화염을 방사하는 버너부(200) 및 버너부(200)를 일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 시키는 운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100) 상에서 석재(S)의 표면을 주시하는 영상 촬영부(C), 영상 촬영부(C)의 촬영 결과를 표시하는 모니터(미도시), 석재(C)의 정위치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센서부(미도시) 및 영상 촬영부(C)와 센서부(미도시)의 결과에 따라 버너부(200)와 운동부(300)를 조정하는 컨트롤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롤러 컨베이어부(110)에 의한 석재(S)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평면 상에서 제1 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교차하는 방향을 왕복 운동 방향으로 정의하며,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높이방향으로 정의한다.
이송부(100)는 롤러 컨베이어부(110), 롤러 컨베이어부(110)를 구동하는 모터(140), 롤러 컨베이어부(110)가 안착되고 지지되는 메인 프레임(130), 메인 프레임(130)을 지지하는 다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컨베이어부(110)는 석재(S)가 로딩되고 이송되는 장치로서 롤러, 컨베이터벨트 등의 이송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14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 컨베이어부(110)는 복수개가 나란히 배열될 수 있고, 그 중 어느 하나의 롤러 컨베이어부(110)에는 모터(140)가 연결되며, 복수의 롤러 컨베이어부(110)들은 벨트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버너부(200)는 복수의 복수의 토오치(210)들, 복수의 토오치(210)들과 각각 결합된 복수의 홀더(212)들 및 복수의 홀더(212)들과 결합된 고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토오치(210)들에는 산소와 LPG 등의 가스가 함께 공급되며,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토오치(210)들은 동시에 또는 필요에 따라 이시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토오치(210)들의 동작은 후술하는 컨트롤부(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홀더(212)는 토오치(210)를 고정하며, 토오치(210)의 화염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고정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토오치(210)들이 서로 다른 분사 각도를 가지도록 조정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너부(200)가 왕복 운동하면, 보다 넓은 석재(S)의 표면에 화염이 동시에 분사될 수 있다.
고정부(220)는 왕복 운동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운동부(300)의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플레이트(340)가 선형 운동할 때, 고정부(220)도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와 함께 선형 운동하게 되며, 그 결과 복수의 토오치 들은 왕복 운동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며 석재(S)의 표면에 화염을 분사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22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의 하부에 위치하고, 높이 조절부(24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40)는 고정부(220)와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를 관통하여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면에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40)의 회전에 의해 고정부(220)와 슬라이딩 플레이트(34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20)와 슬라이딩 플레이트(340)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 토오치(210)들과 석재(S) 간의 간격이 증가하며, 반대로 고정부(220)와 슬라이딩 플레이트(340) 간의 간격이 넓어지면, 토오치(210)들과 석재(S) 간의 간격이 감소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토오치(210)들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정도의 거친 표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정부(220)와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는 한 쌍의 수직 로드(242)들에 의해 체결력이 더 향상되고, 높이 조절부(240)에 의해 고정부(220)의 높이가 조절될 때, 고정부(22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높이가 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수직 로드(242)들은 고정부(220)와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를 관통하여 고정부(220)와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를 결합하며, 높이 조절부(24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서 왕복 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운동부(300)는 구동부(350), 구동부(3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플레이트(330), 회전 플레이트(330)의 회전 축으로부터 편심되어 결합되며, 일단이 회전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샤프트(334) 및 샤프트(334)의 타단에 연결되어 샤프트(334)의 운동 시 선형 운동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50)는 회전 플레이트(330)를 회전 시키는 장치로 예를 들어, 구동 모터 일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330)는 회전 축이 구동부(350)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 플레이트(330)는 샤프트(334)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334)는 회전 플레이트(330)의 회전 운동을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샤프트(334)의 일단은 회전 플레이트(330)의 회전 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 플레이트(3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334)의 일단과 타단은 핀 결합 등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각각 회전 플레이트(330)와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330)가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는 왕복 운동 방향으로 선형 운동 즉, 왕복 운동을 하게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와 결합된 버너부(200)도 함께 왕복 운동을 하면서 석재(S)의 표면에 화염을 분사할 수 있으므로, 석재 표면의 거친 정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플레이트(340)는 수평 지지부(310) 상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320)을 따라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20)은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의 운동 궤적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40)의 하면에는 가이드 레일(320)과 결합하는 결합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32)는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320)이 삽입되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슬라이딩 플레이트(330)와 수평 지지부(31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가이드 레일(320)이 한 쌍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가이드 레일(320)은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평 지지부(310)는 이송부(100)상의 위치하고, 왕복 운동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평 지지부(310)의 양 끝단에서는 하부 방향으로 신장된 한 쌍의 수직바(31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바(312)는 수평 지지부(3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C)는 이송부(100) 상에서 석재(S)의 표면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며, 촬영된 결과는 컨트롤부(400)와 모니터(미도시)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미도시)는 석재(C)의 위치를 파단하고 이를 컨트롤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부(400)는 영상 촬영부(C)와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전송받은 결과에 따라 버너부(200)와 운동부(300)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재(S) 표면의 특정 위치에만 거칠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컨트롤부(400)는 버너부(200)의 화력를 조절하고, 운동부(300)를 컨트롤 하여 버너부(20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화염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회전 플레이트(3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버너부(200)의 왕복 운동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부(미도시)에 의해 석재(S)가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음을 인지하게 되면 컨트롤부(400)는 작업을 중단시켜 불필요한 작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3에서는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10)가 하나의 버너부(200) 만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10)는 일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열된 둘 이상의 버너부(200)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 작업이 필요한 경우라도 연속하여 석재 표면 거칠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표면 거칠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4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표면 거칠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석재 표면 거칠기 방법은 석재(S)를 이송부(100) 상에 로딩하고(S10), 모터(140)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부(100)의 롤러 컨베이어부(110)를 회전시켜 롤러 컨베이어부(110) 위에 로딩된 석재(S)를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킨다(S20).
석재(S)의 이송 중에 버너부(200)는 석재(S)의 표면에 화염을 방사한다(S30). 이때, 버너부(200)는 일 방향과 수직한 왕복 운동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상기 석재(S) 표면에 화염을 방사할 수 있다. 따라서, 석재 표면의 거친 정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등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토오치(210)들에는 산소와 가스가 공급되어 고온 고압의 화염이 토오치(210)들로부터 방사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토오치(210)들은 컨트롤 부(400)의 제어에 의해 동시에 또는 필요에 따라 이시에 화염을 석재(S) 표면에 방사할 수 있다.
토오치(210)들로부터의 화염이 석재(S) 표면에 방사되면 석재(S) 표면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게 되면서 석재(S)에는 요철 또는 엠보싱 표면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석재(S)의 표면은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어 석재(S)의 표면 상에서 사람 또는 사물 등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석재(S)가 건축용 외장재로 사용될 때에는 미적인 효과 또한 나타나게 된다.
한편, 석재(S) 표면에 화염을 방사함에 있어서, 석재(S) 표면의 형성하고자 하는 거친 정도에 따라 다수의 토오치(210)의 위치를 조절(S4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재(S) 표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거친 표면의 정도를 강하게 하고자 한다면, 높이 조절부(240)에 의해 토오치(210)들과 석재(S) 표면 간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212)에 의해 각각의 토오치(210)의 화염 분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화염이 방사되는 석재(S)의 표면 면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후, 석재(S) 표면을 주시하는 영상촬영부(C)로부터의 영상 결과를 이용하여 석재(S) 표면의 거친 정도를 판단한다(S50).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석재(S) 표면에서 거칠기 작업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영역은 선택적으로 거칠기 작업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거칠기 정도를 보정할 수 있다(S60). 여기서, 모니터 또는 PC에는 표면의 거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여러 파라피터들(예를 들어, 표면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 너비, 형상 등 표면의 거친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에 대한 기준 데이터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모니터 또는 PC는 영상촬영부(C)로부터의 영상 결과를 기준 데이터 정보와 비교 대조하여 보정이 필요한 영역 및 보정 정도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직접 보정이 필요한 영역에 추가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컨트롤부(400)에 의해 추가작업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미도시)는 석재(S) 표면의 거칠기 작업이 실시되는 동안 석재(S)의 정위치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석재(S)가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음을 인지하게 되면 언제라도 작업을 중단시켜 불필요한 작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100: 이송부
110: 롤러 컨베이어부
120: 다리부
130: 메인 프레임
140: 모터
200: 버너부
210: 토오치
212: 홀더
220: 고정부
240: 높이 조절부
300: 운동부
310: 수평 지지부
320: 레일
330: 회전 플레이트
334: 샤프트
340: 슬라이딩 플레이트
400: 컨트롤 부

Claims (17)

  1. 석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석재의 표면에 화염을 방사하는 버너부; 및
    상기 버너부를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 시키는 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부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 축으로부터 편심되어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의 운동 시 선형 운동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버너부와 결합되고,
    상기 버너부는,
    복수의 토오치(torch)들;
    상기 복수의 토오치들과 각각 결합된 복수의 홀더들;
    상기 복수의 홀더들과 결합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결합된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더들 각각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와 결합된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오치는 등간격으로 배치된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높이 조절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높이 조절부는 측면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한 쌍의 수직 로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로드들은, 상기 높이 조절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된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상의 수평 지지부와, 상기 수평 지지부의 양 끝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신장된 한 쌍의 수직바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지지부 상에서 상기 선형 운동하는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부상에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기 선형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된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40083678A 2014-02-21 2014-07-04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KR101458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138 2014-02-21
KR20140020138 2014-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995B1 true KR101458995B1 (ko) 2014-11-07

Family

ID=5228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678A KR101458995B1 (ko) 2014-02-21 2014-07-04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7352A (zh) * 2021-01-26 2021-04-20 泉州市丰泽诗秦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石材喷烧的输送设备及工作流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7075B1 (en) * 2002-11-20 2004-12-07 Robert Bellospirito Apparatus for burning stone
KR101339579B1 (ko) * 2013-04-19 2013-12-18 주식회사 옥동석재산업 석재 표면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7075B1 (en) * 2002-11-20 2004-12-07 Robert Bellospirito Apparatus for burning stone
KR101339579B1 (ko) * 2013-04-19 2013-12-18 주식회사 옥동석재산업 석재 표면 가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7352A (zh) * 2021-01-26 2021-04-20 泉州市丰泽诗秦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石材喷烧的输送设备及工作流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2381B1 (en) Machine for the mechanical machining of plate-shaped elements, particularly tiles and slabs of ceramic material, natural stones, glass or the like
KR101458995B1 (ko) 크랭크형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CN106041190A (zh) 剪板机及具有该剪板机的板材切割生产线
CN102151983B (zh) 可调节激光束线条长度的激光加工装置
US20180111243A1 (en) Grinding or Sanding Machine
KR101953935B1 (ko) 석재 자동 버너 가공 및 절단 시스템
KR101339579B1 (ko) 석재 표면 가공 장치
CN106272320B (zh) 刻划装置
KR20090118656A (ko) 석재 절단장치
KR101322627B1 (ko) 광학용 로드 표면 연마장치
CN107107364A (zh) 用于将食物切割成更小食物的具有刀具的传送器系统
KR20120032072A (ko) 보석 원석을 포함한 광물질 레이저 컷팅기
US10952360B2 (en) Component mounter and component holder imaging method
MX2007016163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envejecer artificialmente piedras.
KR101250225B1 (ko) 레이저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JP2005270740A (ja) 接着剤塗布装置及び接着剤塗布方法
KR102145231B1 (ko) 고기류 정량절단기
KR101368250B1 (ko) 석재 표면 거칠기 장치
KR101583505B1 (ko) 면취장치
US20160176068A1 (en) Workpiece distressing system
KR101970843B1 (ko) 석재 자동 다듬 가공 및 절단 시스템, 그의 다듬가공 및 절단 방법
KR102091093B1 (ko) 절입선 형성 방법 및 절입선 형성 장치
KR102304393B1 (ko) 레이저마킹장치
KR101341424B1 (ko) 가요성 기판 절단장치
KR101103116B1 (ko) 드릴나사못 연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