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543B1 - 효소처리에 의한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효소처리에 의한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543B1
KR101458543B1 KR1020120011972A KR20120011972A KR101458543B1 KR 101458543 B1 KR101458543 B1 KR 101458543B1 KR 1020120011972 A KR1020120011972 A KR 1020120011972A KR 20120011972 A KR20120011972 A KR 20120011972A KR 101458543 B1 KR101458543 B1 KR 101458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gar cane
enzyme
extract
mixture
sugarc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671A (ko
Inventor
이윤도
Original Assignee
이윤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도 filed Critical 이윤도
Priority to KR1020120011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5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탕수수 세포벽 분해효소 또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효소처리를 한 다음, 이것을 열수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하면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지고, 항혈전 및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한 사탕수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효소처리에 의한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ation of Sugar cane extract by enzyme treatment}
본 발명은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항혈전 및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한 사탕수수 추출물을 얻기 위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탕수수를 세포벽 분해효소로 효소처리하고 열수추출하는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사탕수수는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높이 2내지 6m의 식물로써, 줄기에는 설탕의 원료가 되는 수크로오스가 10내지 20%정도 들어 있다.
설탕의 원료인 사탕수수는 섬유질과 비타민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으나, 강한단맛의 추출을 위해 정제, 표백되는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농약을 함유하며 흰설탕으로 변하는 것이다.
사탕수수는 일반적으로 설탕을 만드는 원료로서 사용되는데 사탕수수의 단맛을 이용하여 그 즙액을 짜서 별다른 가공 없이 음용하거나, 설탕결정을 분리하고 남은 당밀로 발효시켜 술을 제조하는 것이 가공방법으로 대표적이다.
사탕수수를 이용하여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음료수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방법은 직접 그 즙액을 짜내어 사탕수수 본연의 맛과 향에 별다른 변화없이 음용하는 방법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에 의한 사탕수수 추출물은 폴리페놀 함량이 낮고, 항혈전 및 숙취해소 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107934호(1997.04.28.) 선행문헌 2 :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8545호(공개일 2009.03.18., 명칭: 당화액 추출물의 연속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탕수수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을 높일 뿐 아니라 폴리페놀 함량을 높이고, 항혈전 및 숙취해소 효과가 높은 사탕수수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사탕수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한 사탕수수에 증류수를 첨가해서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얻은 혼합물에 세포벽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효소처리 하는 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 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사탕수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혼합물을 얻는 것은, 상기 준비한 사탕수수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pH를 5~8로 조절한 혼합물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포벽 분해효소는 배타-글루카나제, 셀루라제, 프로테인나제 및 알파-아밀라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 것일 수 있고, 특히 세레믹스(CEREMIX)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포벽 분해효소는 혼합물에 대하여 1.5~2.5중량% 범위 내로 첨가하고, 상기 효소처리는 3.5~4.5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탕수수 추출물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사탕수수에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효소처리를 한 다음, 이것을 열수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서,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항혈전 및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한 사탕수수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그러한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사탕수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한 사탕수수에 증류수를 첨가해서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얻은 혼합물에 세포벽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효소처리 하는 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 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사탕수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1. 사탕수수 준비 단계
사탕수수는 먼저 담수에 수세하여 염분과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사탕수수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떤 종류의 사탕수수를 사용해도 가능하며, 잎, 줄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물질과 염분을 제거한 후에는 사탕수수의 물적 특성상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저분자화가 잘 이루어지므로, 이점을 감안하여 수분함량 3~7%로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건조된 사탕수수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적당한 크기로 조분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80~120메쉬(mesh)로 분쇄시킨다. 상기 분쇄된 사탕수수의 크기가 80메쉬보다 큰 경우에는 효소가 반응할 수 있는 체적이 작아지므로 효소의 효율이 떨어지고, 120메쉬보다 작은 경우에는 비용이 많이 들어 경제적이지 않다.
2. 증류수 첨가한 혼합물 얻는 단계
상기와 같이 준비한 사탕수수에 증류수를 첨가해서 혼합물을 얻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준비된 사탕수수의 부피 대비 5~20배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증류수를 대신하여 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 다음, 후술하는 세포벽 분해효소에 의한 효소반응을 높이기 위하여, 0.1N NaOH 및/또는 1N HCI를 이용해서 상기 혼합물의 pH를 5~8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세포벽 분해효소 첨가해서 효소처리 하는 단계
이어서, 상기와 같이 얻은 사탕수수 혼합물에 세포벽 분해효소를 첨가해서 효소처리를 한다.
세포벽 분해효소로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베타-글루카나제(β-glucnase), 셀룰라제(celulase), 헤미셀룰라제(hemicellulase), 프로테인나제(proteinase), 알파-아밀라제(α-amylase), 펜토산나제(pentosanase), 자일라나제(xylanase), 아라바나제(arabanase), 펙틴트랜스엘리미나제(pectintranseliminase), 폴리갈락투로나제(polygalacturonase), 펙틴에스터라제(pectinesterase) 중에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포벽 분해효소는 배타-글루카나제, 셀루라제, 프로테인나제 및 알파-아밀라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 것일 수 있고, 특히 세레믹스(CEREMIX)인 것이 폴리페놀의 수율이 가장 높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세포벽 분해효소는 혼합물에 대하여 1.5~2.5중량% 범위 내로 첨가하고, 상기 효소처리는 3.5~4.5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폴리페놀의 수율과 항혈전 및 숙취해소 효과가 좋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에는, 효소처리한 혼합물을 열수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수추출은 항온수조에서 40~60℃, 120~150rpm의 조건에서 0.5~5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고, 진탕배양기에서 80~90℃, 120~150rpm의 조건에서 3~5시간 동안 열수추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초고압 장치에 넣고, 30~50℃, 800기압(80MPa)~5,000기압(500MPa)에서 20~30시간 동안 효소처리를 할 수도 있다. 상기 초고압 효소처리의 압력 범위가 800기압(80MPa)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페놀의 추출 효율이 낮아질 수 있고, 5,000기압(500MPa)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출되는 폴리페놀의 구조를 변화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초고압 기술은 최소의 가공을 통해 자연 그대로의 맛과 향을 유지하는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식품의 영양소 보존을 위해 열처리를 최소화하려는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지면서, 이러한 비열(非熱)처리 공법 중에서 주목받고 있는 신기술이다.
4. 여과 또는 원심분리 단계
상기 효소처리된 혼합물 내의 불용성 잔사는 100메쉬 이상의 조밀한 여과채 또는 여과포를 사용하여 여과하거나, 2,000×G 이상의 원심력으로 20~30분간 원심분리, 또는 고액분리용 연속원심분리기 등을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효소 종류를 달리한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
먼저, 사탕수수의 껍질을 제거하고, 분쇄하여 사탕수수 분말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준비된 사탕수수 분말에 그것의 부피 10배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가한 후, 1N HCl과 0.1N NaOH를 이용하여 pH 5~8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세포벽 분해효소인 세레믹스(CEREMIXTM), 셀룰클라스트(CELLUCLASTTM) 및 튜니카제(TUNICASETM) 3종의 효소를 위에서 준비한 혼합물에 대하여 각각 2%(w/w)씩 첨가하고, 약 1시간 동안 효소처리를 하였다.
그리고, 각 시료를 항온수조에 넣고 50℃에서 1시간 동안 쉐이킹해서 열수 추출한 후, 각 시료를 Whatman No.41로 여과한 다음, 그 상등액을 사탕수수 추출물로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효소 종류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항혈전 효과 및 숙취해소 효과
실험예 1-1: 효소 종류에 따른 총 폴리페놀함량
상기 실시예1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Folin-Denis assay 방법을 사용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실시예 1에서 얻은 각각의 사탕수수 추출물 0.1 ml에 Folin-ciocalteu 시약(phosphomolybdate phosphotungrate) 50 ㎕을 가하여 반응시킨 후, 20% 탄산나트륨 무수물(Sodium carbonate Anhydrous) 1.5 ml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다음 7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분해효소 종류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분해효소 종류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무처리군 세레믹스 셀룰클라스트 튜니카제
폴리페놀함량(㎍/㎖) 36.0±3.0 326.0±6.6 160.3±1.0 80±2.1
상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분해효소 중 세레믹스를 사용한 경우, 효소 무처리구에 비하여 88% 정도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고, 다른 분해효소보다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2: 효소 종류에 따른 항혈전 활성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각각의 사탕수수 추출물에 대하여 항혈전 활성을 측정하여 상기 사탕수수 추출물의 항혈전 능력을 확인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는 헤파린을 사용하였다.
상기 사탕수수 추출물을 함유한 25 ㎕의 혈장을 APTT 진단시약 25 ㎕와 혼합한 후, 37℃에서 5분간 예열한 다음 37℃에서 미리 예열된 20 mM CaCl2 25 ㎕를 가한 후 coagulometer를 사용하여 응고가 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하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레믹스를 처리한 사탕수수 추출물이 효소 무처리군보다 높은 항혈전활성을 나타냈다.
[분해효소의 종류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무처리군 세레믹스 셀룰클라스트 튜니카제
항혈전 활성(%) 100.0±0.5 127.6±0.5 107.4±0.2 113.6±0.8
실험예 1-3: 효소 종류에 따른 숙취해소능
실시예 1에서 얻은 사탕수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는 지구자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숙취해소 효과는 50 mM sodium pyrophosphate 완충액(pH8.8) 1.3ml에 15mM β-NAD 1.5ml씩 혼합한 후 95% ethanol 0.1ml과 시료를 0.1ml 첨가한 후 25℃로 예열된 항온수조에 넣어 온도를 유지시켜주었다. 이 반응액에 0.1% bovine serum albumin(pH 7.5)에 녹인 alcohol dehydrogenase 용액(ADH, 0.75 U/ml) 0.1ml를 신속하게 혼합 한 다음 분광광도계로 340nm에서 5분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에서 ADH 대신 0.1% bovine serum albumin(BSA)을 첨가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숙취해소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분해효소의 종류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과]
무처리군 세레믹스 셀룰클라스트 튜니카제
숙취해소(%) 105.3±0.1 130.0±0.2 110.0±0.2 103.5±0.1
상기 표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숙취해소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은 세레믹스로 처리하여 얻은 사탕수수 추출물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포벽 분해효소 중에서도 세레믹스가 사탕수수에 적합하고, 상기 분해효소를 이용한 경우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효소 농도를 달리한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 실험예 1에 따라 가장 우수한 것으로 선정된 세레믹스 효소를 이용하여, 효소농도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연구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레믹스 효소를 상기 준비한 혼합물에 대하여 0-4%(w/w)씩, 다시 말해서 0, 0.5, 1, 2, 4%(w/w)씩 각각 시료에 첨가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탕수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2: 효소 농도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항혈전 효과 및 숙취해소 효과
실험예 2-1: 효소 농도에 따른 총 폴리페놀함량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세레믹스 효소를 이용하여, 수득한 사탕수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인 폴레피놀 함량 측정방법은 실험예 1-1에서와 같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분해효소 농도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효소농도(%, w/w) 무처리군 0.5 1 2 4
폴리페놀함량(㎍/㎖) 35.6±3.8 152.8±7.4 215.3±4.2 319.6±4.1 293.7±5.6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탕수수 유효성분 추출시에는 1.0~3.0중량%, 특히 1.5~2.5중량% 농도 범위로 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2: 효소 농도에 따른 항혈전 활성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세레믹스 효소를 이용하여 수득한 사탕수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실험예 1-2처럼 항혈전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5에 나타내었다.
[분해효소 농도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항혈전 효과]
효소농도(%, w/w) 무처리군 0.5 1 2 4
항혈전 활성(%) 100±0.6 104.0±0.5 111.2±0.3 124.7±4.3 121.3±3.5
상기 표 5에 나타낸바와 같이, 1.0~3.0중량%, 특히 1.5~2.5중량% 농도 범위로 효소를 처리한 것에서 항혈전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험 예 2-3: 효소 농도에 따른 숙취해소능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세레믹스 효소를 이용하여, 수득한 사탕수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실험예 1-3처럼 숙취해소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분해효소농도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과]
효소농도(%, w/w) 무처리군 0.5 1 2 4
숙취해소(%) 105.5±1.5 104.3±0.3 105.3±2.5 128.4±0.5 126.8±4.2
숙취해소 효과를 측정한 결과, 0-1%로 처리하였을 시에는 효과의 차이가 미비하였으나 2%로 처리하였을 시에는 높은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에 따라 1.0~3.0중량%, 특히 1.5~2.5중량% 농도 범위로 효소를 처리하는 것이 숙취해소에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포벽 분해효소 중에서도 세레믹스가 바람직하고, 농도는 적어도 2%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효소 처리시간을 달리한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가장 우수한 것으로 선정된 세레믹스 효소를 2%처리하고, 효소 시간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연구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레믹스 효소를 2중량%(w/w)씩 처리하고, 처리시간을 1~8시간, 다시 말해서 각각 1, 2, 3, 4, 8시간으로 시료를 처리하는 시간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탕수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3-1: 효소 처리시간에 따른 총 폴리페놀함량
상기 실시예 3에 따라 효소 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수득한 사탕수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실험예 1-1처럼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효소시간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처리시간(시간) 1 2 3 4 8
폴리페놀함량(㎍/㎖) 371.7±7.9 380.2±3.8 397.0±6.2 422.8±1.2 408.4±3.3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효소시간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은 4시간까지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8시간 이후에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사탕수수 유효성분 추출시에는 효소처리 시간을 2.0~6.0 시간, 특히 3.5~4.5 시간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2: 효소 처리시간에 따른 항혈전 활성
상기 실시예 3에 따라 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수득한 사탕수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실험예 1-2처럼 항혈전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효소시간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처리시간(시간) 1 2 3 4 8
항혈전 활성(%) 127.7±0.5 140.8±0.9 154.8±0.5 161.8±0.3 160.8±0.3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효소시간에 따른 항혈전 활성은 4시간까지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8시간 이후에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효소처리 시간을 2.0~6.0 시간, 특히 3.5~4.5 시간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3: 효소 처리시간에 따른 숙취해소능
상기 실시예 3에 따라 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수득한 사탕수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실험예 1-3처럼 숙취해소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효소시간에 따른 사탕수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과]
처리시간(시간) 1 2 3 4 8
숙취해소(%) 123.0±3.8 106.0±3.8 101.1±2.9 98.3±3.0 91.7±2.5
상기 표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효소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숙취해소효과는 감소함을 나타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효소처리한 사탕수수 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항혈전 효과 및 숙취해소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Claims (4)

  1. 사탕수수를 준비하고 수분함량을 3~7%로 건조시키며 80~120메쉬(mesh)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한 사탕수수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pH를 5~8로 조절한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얻은 혼합물에 대하여 세포벽 분해효소를 1.5~2.5중량% 범위 내로 첨가하고 3.5~4.5시간 동안 효소처리 하는 단계; 및
    상기 효소처리 후, 30℃~50℃로 800기압(80MPa)~5,000기압(500MPa)에서 20시간~30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다음,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사탕수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포벽 분해효소는 베타-글루카나제(β-glucnase), 셀룰라제(celulase), 프로테인나제(proteinase), 펜토산나제(pentosanase), 및 알파-아밀라제(α-amylase)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얻는 것은,
    상기 분쇄한 사탕수수 분말에, 상기 사탕수수 분말의 부피 10배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첨가하고, 0.1N NaOH 와 1N HCI를 이용해서 pH를 5~8로 조절한 혼합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추출하는 것은 50℃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120011972A 2012-02-06 2012-02-06 효소처리에 의한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458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972A KR101458543B1 (ko) 2012-02-06 2012-02-06 효소처리에 의한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972A KR101458543B1 (ko) 2012-02-06 2012-02-06 효소처리에 의한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671A KR20130090671A (ko) 2013-08-14
KR101458543B1 true KR101458543B1 (ko) 2014-11-07

Family

ID=4921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972A KR101458543B1 (ko) 2012-02-06 2012-02-06 효소처리에 의한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301B1 (ko) * 2017-04-03 2018-09-11 이상복 비정제 저온발효 마스코바도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7934A (ja) * 1995-10-24 1997-04-28 Miyazaki Pref Gov J A Shokuhin Kaihatsu Kenkyusho 甘藷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7934A (ja) * 1995-10-24 1997-04-28 Miyazaki Pref Gov J A Shokuhin Kaihatsu Kenkyusho 甘藷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301B1 (ko) * 2017-04-03 2018-09-11 이상복 비정제 저온발효 마스코바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671A (ko)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8207B (zh) 莲雾的加工方法及莲雾提取物
KR101274664B1 (ko) 뽕잎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101423100B1 (ko) 진세노사이드 Rg3 및 Rb1의 함량을 증폭시키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101486648B1 (ko) 꽃송이버섯 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
Dorta et al. Value added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pineapple by‐products
KR101439321B1 (ko) 배 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배 발효액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1208584B1 (ko) 발효 인삼 추출액을 함유한 기능성 배 주스의 제조방법
WO2018214458A1 (zh) 一种富含可溶性多酚以及黄酮苷元的番石榴叶及制备方法与应用
Rashad et al. Production of antioxidant xylooligosaccharides from lignocellulosic materials using Bacillus amyloliquifaciens NRRL B-14393 xylanase
KR101170685B1 (ko) 쌀가공 부산물로부터 수용성 식이섬유의 제조방법
IT8224870A1 (it) Miglioramento in e relativo a un enzima per decomposizione di un carboidrato ad alto peso molecolare, il carboidrato isolato ad alto peso molecolare, un metodo per la selezione di un microorganismo produttore di tale enzima e un metodo per la produzione di tale enzima
CN101353685A (zh) 一种玉米蛋白活性肽及其制备工艺
JPS5841824A (ja) 血清コレステロ−ル上昇抑制物質
KR100827422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9384860A (zh) 一种从叶属生物质中提取天然果胶的方法
KR101458543B1 (ko) 효소처리에 의한 사탕수수 추출물의 제조방법
Buenrostro-Figueroa et al. Juice extraction from mango pulp using an enzymatic complex of Trichoderma sp. produced by solid-state fermentation
CN100489077C (zh) 五味子保健酒及其生产工艺
KR101397405B1 (ko) 복분자 주박을 활용한 복분자 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1485575B1 (ko) 발아현미의 수용성 gaba성분 추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당뇨환자용 건강기능 조성물
KR101283323B1 (ko) 생산성이 향상된 홍삼액의 제조방법
CN109529404A (zh) 利用重瓣红玫瑰花渣制备多酚提取物的方法
JP2886950B2 (ja) 水溶性食物繊維の製造法
CN109566927A (zh) 一种浓缩姜汁及其生产工艺和应用
KR102389586B1 (ko) 유산균으로 발효한 유자 발효 음료의 개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