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200B1 -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200B1
KR101457200B1 KR1020140109634A KR20140109634A KR101457200B1 KR 101457200 B1 KR101457200 B1 KR 101457200B1 KR 1020140109634 A KR1020140109634 A KR 1020140109634A KR 20140109634 A KR20140109634 A KR 20140109634A KR 101457200 B1 KR101457200 B1 KR 101457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usb
connection terminal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재
Original Assignee
(주)청공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공정밀 filed Critical (주)청공정밀
Priority to KR1020140109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이 직접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검사 지그를 매개로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에 접속되게 하여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 손상을 방지하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는, 영상표시기기와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의 사이를 매개하여 영상표시기기의 성능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 지그이며, 검사 지그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 전단에 배치되어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가 구비된 접속단자;와, 제1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점과, 제2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점이 구비된 기판;과, 본체 후단에 배치되되 기판의 제1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에 접속되는 제1USB단자와, 기판의 제2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에 접속되는 제2USB단자가 구비된 USB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Testing system of image display device and Test Jig used therein}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이 직접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검사 지그를 매개로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게 하여 영상표시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4660호에 영상표시기기의 성능 검사 장치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4660호는, 영상표시기기에 직접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태의 상태값을 독출하고, 독출한 상태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기준으로 소정 허용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태값이 상기 허용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4660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이 직접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어 영상표시기기의 포트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이 직접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될 때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접속단자 사이에 걸림 결합을 두고 있으므로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과 직접 영상표시기기를 일일이 자동화의 구현이 쉽지 않아서 수작업으로 접속시켜야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4660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이 직접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검사 지그를 매개로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에 접속되게 하여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 손상을 방지하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의 접속 부분의 외면에 걸림부가 구비되어 손쉽게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는, 영상표시기기와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의 사이를 매개하여 영상표시기기의 성능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 지그이며, 검사 지그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 전단에 배치되어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가 구비된 접속단자;와, 제1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점과, 제2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점이 구비된 기판;과, 본체 후단에 배치되되 기판의 제1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에 접속되는 제1USB단자와, 기판의 제2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에 접속되는 제2USB단자가 구비된 USB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는,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 배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면서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플러그의 전단에서 영상표시기기의 걸림편에 대응 형성되는 걸림부와, 플러그의 후단에서 플러그의 상면과 하면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조립공간이 구비된 제1본체;와, 기판의 상측에 배치되어 기판과 함께 제1본체의 조립공간에 그 전단이 끼워져 조립되는 제2본체;와, 제1USB단자와 제2USB단자가 배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면서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의 USB 플러그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직사각형태로 절곡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리셉터클 하우징이 구비된 제3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러그는,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에 접속되는 사각 단면 형상의 금속캡과, 금속캡의 후단에서 금속캡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금속캡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림부는, 금속캡의 상면에서 영상표시기기의 제1걸림편에 대응되게 적어도 두 개의 타원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걸림홀들과, 금속캡의 하면에서 영상표시기기의 제2걸림편에 대응되게 세로방향으로 움푹하게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본체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의 USB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태로 절곡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리셉터클 하우징의 적어도 네 측면에 구비되어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의 USB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걸림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접속단자는, 기판의 전단에 형성된 4개의 금속 리드를 포함하며, 제2접속단자는, 기판의 중단에 형성된 5개의 금속 리드와, 5개의 금속 리드에 접속되는 5개의 리드 접속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5개의 리드 접속핀 각각은, 일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핀부;와, 핀부의 중앙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2본체에 형성된 수용홈에 고정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는,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는 검사 지그;와, 검사 지그를 매개로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어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종합적으로 성능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을 포함하며, 검사 지그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 전단에 배치되어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가 구비된 접속단자;와, 제1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점과, 제2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점이 구비된 기판;과, 본체 후단에 배치되되 기판의 제1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에 접속되는 제1USB단자와, 기판의 제2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에 접속되는 제2USB단자가 구비된 USB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는,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 배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면서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플러그의 전단에서 영상표시기기의 걸림편에 대응 형성되는 걸림부와, 플러그의 후단에서 플러그의 상면과 하면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조립공간이 구비된 제1본체;와, 기판의 상측에 배치되어 기판과 함께 제1본체의 조립공간에 그 전단이 끼워져 조립되는 제2본체;와, 제1USB단자와 제2USB단자가 배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면서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의 USB 플러그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직사각형태로 절곡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리셉터클 하우징이 구비된 제3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표시기기 검사유닛은, 검사 지그와의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영상표시기기의 성능 측정에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영상표시기기에 대한 측정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영상표시기기의 국제규격에 따른 성능, 기능, 통화품질과 아울러 DMB/MPEG 시간정보 및 프로토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운용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각종 시험 기준 데이터 및 측정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인터페이스부, 입력부, 출력부 및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운용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종합적인 성능 측정 및 분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이 직접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검사 지그를 매개로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게 하여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의 접속 부분의 외면에 걸림부가 구비되어 손쉽게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c는 도 1의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d는 도 1의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2b에 도시된 제1A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2b에 도시된 제1A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c는 도 2b에 도시된 제1A본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2b에 도시된 제1B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2b에 도시된 제1B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c는 도 2b에 도시된 제1B본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a는 도 2b에 도시된 제2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2b에 도시된 제2본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2b에 도시된 제2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6b에 도시된 리드 접속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6b에 도시된 리드 접속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a는 도 6b에 도시된 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6b에 도시된 기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10)는, 영상표시기기(20)에 접속되는 검사 지그(100);와, 검사 지그(100)를 매개로 영상표시기기(20)에 접속되어 영상표시기기(20)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종합적으로 성능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200)은, 인터페이스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저장부(240),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검사 지그(100)와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표시기기(20)의 성능 측정에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입력부(220)는 다수의 키로 구성된 키보드인 것으로 설정하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230)는, 모니터(미도시) 및 프린터(미도시)로 구성되어, 영상표시기기(20)에 대한 측정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240)는, 영상표시기기의 국제규격에 따른 성능, 기능, 통화 품질과 아울러 DMB/MPEG 시간정보 및 프로토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운용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각종 시험 기준 데이터 및 측정 결과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을 수행한다. 이러한 저장부(240)는 비휘발성 메모리(EEPRO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50)는 인터페이스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저장부(24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운용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종합적인 시험을 진행한다.
다음,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설명한다. 도 2a는 도 1의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c는 도 1의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300);와, 본체(300) 전단에 배치되어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접속단자(410)와 제2접속단자(420)가 구비된 접속단자(400);와, 제1접속단자(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점(510)과, 제2접속단자(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점(520)이 구비된 기판(500);과, 본체(300) 후단에 배치되되 기판(500)의 제1접점(5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200)에 접속되는 제1USB단자(610)와, 기판(500)의 제2접점(5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200)에 접속되는 제2USB단자(620)가 구비된 USB단자(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300)는 검사 지그(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본체(300)는, 검사 지그(100)의 전단을 형성하면서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에 접속되는 제1본체(310)와, 검사 지그(100)의 중단을 형성하는 제2본체(320)와, 검사 지그(100)의 후단을 형성하면서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 유닛(200)에 접속되는 제3본체(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본체(310)는, 제1접속단자(410)와 제2접속단자(42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면서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에 접속되는 플러그(311)와, 플러그(311)의 전단에서 영상표시기기(20)의 걸림편(미도시)에 대응 형성되는 걸림부(312)와, 플러그(311)의 후단에서 플러그(311)의 상면과 하면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조립공간(313)이 구비된다.
제2본체(320)는, 기판(500)의 상측에 배치되어 기판(500)과 함께 제1본체(310)의 조립공간(313)에 그 전단이 끼워져 조립된다.
제3본체(330)는, 제1USB단자(610)와 제2USB단자(62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면서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200)의 USB 플러그(미도시)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직사각형태로 절곡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리셉터클 하우징(331)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100)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200)이 직접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검사 지그(100)를 매개로 영상표시기기(20)에 접속되게 하여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 3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도 2b에 도시된 제1A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b는 도 2b에 도시된 제1A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c는 도 2b에 도시된 제1A본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a는 도 2b에 도시된 제1B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2b에 도시된 제1B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c는 도 2b에 도시된 제1B본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b 및 도 3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310)는, 제1접속단자(410)와 제2접속단자(42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면서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에 접속되는 플러그(311)와, 플러그(311)의 전단에서 영상표시기기(20)의 걸림편(미도시)에 대응 형성되는 걸림부(312)와, 플러그(311)의 후단에서 플러그(311)의 상면과 하면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조립공간(313)이 구비된다.
플러그(311)는,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에 접속되는 사각 단면 형상의 금속캡(314)과, 금속캡(314)의 후단에서 금속캡(314)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금속캡(314)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15)를 포함한다.
걸림부(312)는, 금속캡(314)의 상면에서 영상표시기기(20)의 제1걸림편(미도시)에 대응되게 적어도 두 개의 타원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걸림홀들(317)과, 금속캡(314)의 하면에서 영상표시기기(20)의 제2걸림편(미도시)에 대응되게 세로방향으로 움푹하게 형성되는 걸림홈(318)을 포함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100)는 접속 부분의 외면에 걸림부(312)가 구비되어 손쉽게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3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제1A본체(310A)와 하측 외관을 형성하는 제1B본체(310B)가 분할하여 조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A본체(310A)는 제1접속단자(410)와 제2접속단자(420)가 배치되는 제1수용공간(S)을 정의하면서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에 접속되는 제1플러그(311A)와, 제1플러그(311A)의 전단에서 영상표시기기(20)의 제1걸림편(미도시)에 대응되게 적어도 두 개의 타원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걸림홀들(317)과, 제1플러그(311A)의 후단에서 제2본체(320)와 기판(500)이 조립되는 제1조립공간(31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러그(311A)는 하부가 개방된 제1금속캡(314A)과, 제1금속캡(314A)의 후단에서 제1금속캡(314A)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제1금속캡(314A)이 영상표시기기의 포트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제1스토퍼(315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A본체(310A)의 가로 길이, 전단 세로길이(제1금속캡(314A) 길이), 후단 세로길이(제1스토퍼(315A) 길이)는 각각 14.05mm, 12mm, 16mm이며, 제1스토퍼(315A) 두께, 제1금속캡(314A) 판재 두께를 포함한 제1금속캡(314A) 높이, 제1금속캡(314A) 판재 두께를 제외한 제1금속캡(314A) 높이는 각각 0.92mm, 1.94mm, 1.59mm이다.
그리고, 제1B본체(310B)는 제1접속단자(410)와 제2접속단자(420)가 배치되는 제2수용공간(S)을 정의하면서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에 접속되는 제2플러그(311B)와, 제2플러그(311B)의 전단에서 영상표시기기(20)의 제2걸림편(미도시)에 대응되게 세로방향으로 움푹하게 형성되는 걸림홈(318)과, 제2플러그(311B)의 후단에서 제2본체(320)와 기판(500)이 조립되는 제2조립공간(3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플러그(311B)는 상부가 개방된 제2금속캡(314B)과, 제2금속캡(314B)의 후단에서 제2금속캡(314B)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제2금속캡(314B)이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제2스토퍼(315B)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B본체(310B)의 가로 길이, 전단 세로길이(제2금속캡(314B) 길이), 후단 세로길이(제2스토퍼(315B) 길이)는 각각 14.05mm, 12mm, 16mm이며, 제2스토퍼(315B) 두께, 제2금속캡(314B) 판재 두께를 포함한 제2금속캡(314B) 높이, 걸림홈(318) 깊이는 각각 1.1mm, 2.5mm, 0.8mm이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310)는 상하로 제1A본체(310A)와 제1B본체(310B)가 분할 형성되어 내부에 제1접속단자(410)와 제2접속단자(420)가 배치되는 수용공간(S)을 정의하면서 제1접속단자(410)와 제2접속단자(420)가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본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도 2b에 도시된 제2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2b에 도시된 제2본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c는 도 2b에 도시된 제2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본체(320)는, 기판(500)의 상측에 배치되어 기판(500)과 함께 제1A본체(310A)의 제1조립공간(313A)과 제1B본체(310B)의 제2조립공간(313B)의 사이 공간에 끼워져 조립된다.
이러한 제2본체(320)의 가장 자리에는 나사 조립을 위한 다수의 나사홈(321)이 형성되어 있다.
제2본체(320)의 배면에는 후술하는 제2접속단자(420)의 리드 접속핀(422)이 끼워져 조립되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다수의 수용홈(3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본체(320)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전단 두께, 후단 두께는 각각 21.4mm, 16mm, 1.46mm, 2.4mm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접속단자(400)는, 제1본체(310)에 수용 배치되어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접속단자(410)와 제2접속단자(420)가 구비된다.
제1접속단자(410)는, 기판(500)의 전단에 형성된 4개의 제1금속 리드(410)를 포함한다.
제1금속 리드(410)는,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에 삽입될 때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와 면접촉을 이루도록 그 형상이 규정된다. 즉, 제1금속 리드(410)의 위치와 형상은 USB 2.0 규격에서 규정한 바에 따라 결정되어 기판(500)에 배열될 수 있다.
제2접속단자(420)는, 기판(500)의 중단에 형성된 5개의 제2금속 리드(421)와, 5개의 제2금속 리드(421)에 접속되어 일단이 플러그(311)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5개의 리드 접속핀(422)을 포함한다.
제2금속 리드(421)는 제1금속 리드(410)와 이격 형성되고, 일렬로 형성된 5개의 제2금속 리드(421)를 포함한다. 5개의 제2금속 리드(421)는 5개의 리드 접속핀(422)을 통하여 USB 3.0 규격에 따른 위치에 형성된다.
5개의 리드 접속핀(422) 각각은, 일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핀부(422A);와, 핀부(422A)의 중앙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2본체(320)에 형성된 수용홈(322)에 고정 결합되는 돌출부(422B);를 포함한다.
핀부(422A)는,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의 내부 기판(5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 및 기판(500)의 제2금속 리드와 원활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핀부(422A)의 양단이 탄력적으로 휘어지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중앙에 함몰된 함몰부(422C)를 가진다. (도 7a 및 도 7b 참조)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드 접속핀(422) 핀부(422A)의 길이, 두께 및 높이는 각각 20mm, 0.2mm 및 1.4mm이며, 함몰부(422C)의 깊이는 3mm일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도 6b에 도시된 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b는 도 6b에 도시된 기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500)은 제2본체(320)의 하부에 위치되며, 길이방향으로는 제1본체(310), 제2본체(320), 제3본체(330)에 걸쳐서 배치된다.
이러한 기판(500)은 제1접속단자(410)와 제1USB단자(610), 제2접속단자(420)와 제2USB단자(620)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기판(500)은 제1접속단자(410)와 제1USB단자(610) 사이 및 제2접속단자(420)와 제2USB단자(620)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가 인터페이스되도록 한다.
기판(500)은 동박이 형성되는 FR-4 에폭기 기판일 수 있으며 제1접속단자(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점(510)과, 제2접속단자(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점(510)은 기판(500)의 하면 일측에 일렬로 배열된 네 개의 단자(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접점(520)은 기판(500)의 하면 타측에 일렬로 배열된 다섯 개의 단자(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500)의 전체 길이, 전단 길이, 폭 및 두께는 각각 38.5mm, 10.8mm, 11.18mm 및 1mm이다.
그리고, 제3본체(330)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200)의 USB 플러그(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태로 절곡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리셉터클 하우징(331)의 적어도 네 측면에 구비되어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200)의 USB 플러그(미도시)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걸림편(332)이 구비된다.
USB단자(600)는,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200)의 인터페이스부(210)에 접속된다.
이러한 USB단자(600)는 제3본체(330)에 배치되되 기판(500)의 제1접점(5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200)에 접속되는 제1USB단자(610)와, 기판(500)의 제2접점(5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200)에 접속되는 제2USB단자(6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USB단자(610)의 위치와 형상은 USB 2.0 규격에서 규정한 바에 따라 결정되어 배열될 수 있으며, 제2USB단자(620)의 위치와 형상은 USB 3.0 규격에서 규정한 바에 따라 결정되어 배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100)는 영상표시기기(20)의 USB포트(21)에 접속하여 검사 지그(100)에 연결되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200)에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이 직접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검사 지그를 매개로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에 접속되게 하여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20...영상표시기기
100...검사 지그 200...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
210...인터페이스부 220...입력부
230...출력부 240...저장부
250...제어부 300...본체
310...제1본체 320...제2본체
330...제3본체 400...접속단자
500...기판 600...USB단자

Claims (10)

  1. 영상표시기기와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의 사이를 매개하여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성능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 지그이며,
    상기 검사 지그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가 구비된 접속단자;와,
    상기 제1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점과, 상기 제2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점이 구비된 기판;과,
    상기 본체 후단에 배치되되 상기 기판의 제1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에 접속되는 제1USB단자와, 상기 기판의 제2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에 접속되는 제2USB단자가 구비된 USB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 배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전단에서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걸림편에 대응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플러그의 후단에서 상기 플러그의 상면과 하면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조립공간이 구비된 제1본체;와,
    상기 기판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과 함께 상기 제1본체의 조립공간에 그 전단이 끼워져 조립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USB단자와 제2USB단자가 배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의 USB 플러그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직사각형태로 절곡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리셉터클 하우징이 구비된 제3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에 접속되는 사각 단면 형상의 금속캡과, 상기 금속캡의 후단에서 상기 금속캡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금속캡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금속캡의 상면에서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제1걸림편에 대응되게 적어도 두 개의 타원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걸림홀들과, 상기 금속캡의 하면에서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제2걸림편에 대응되게 세로방향으로 움푹하게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지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본체는,
    상기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의 USB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태로 절곡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리셉터클 하우징의 적어도 네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의 USB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걸림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지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단자는,
    상기 기판의 전단에 형성된 4개의 금속 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접속단자는,
    상기 기판의 중단에 형성된 5개의 금속 리드와, 상기 5개의 금속 리드에 접속되는 5개의 리드 접속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지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5개의 리드 접속핀 각각은,
    일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핀부;와,
    상기 핀부의 중앙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2본체에 형성된 수용홈에 고정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 지그.
  8.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는 검사 지그;와,
    상기 검사 지그를 매개로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종합적으로 성능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검사 지그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가 구비된 접속단자;와,
    상기 제1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점과, 상기 제2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점이 구비된 기판;과,
    상기 본체 후단에 배치되되 상기 기판의 제1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에 접속되는 제1USB단자와, 상기 기판의 제2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에 접속되는 제2USB단자가 구비된 USB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 배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USB포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전단에서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걸림편에 대응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플러그의 후단에서 상기 플러그의 상면과 하면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조립공간이 구비된 제1본체;와,
    상기 기판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과 함께 상기 제1본체의 조립공간에 그 전단이 끼워져 조립되는 제2본체;와,
    상기 제1USB단자와 제2USB단자가 배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의 USB 플러그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직사각형태로 절곡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리셉터클 하우징이 구비된 제3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유닛은,
    상기 검사 지그와의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성능 측정에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대한 측정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국제규격에 따른 성능, 기능, 통화품질과 아울러 DMB/MPEG 시간정보 및 프로토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운용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각종 시험 기준 데이터 및 측정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 입력부, 출력부 및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운용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종합적인 성능 측정 및 분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KR1020140109634A 2014-08-22 2014-08-22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 KR101457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634A KR101457200B1 (ko) 2014-08-22 2014-08-22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634A KR101457200B1 (ko) 2014-08-22 2014-08-22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200B1 true KR101457200B1 (ko) 2014-10-31

Family

ID=51999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634A KR101457200B1 (ko) 2014-08-22 2014-08-22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2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249B1 (ko) 2015-06-10 2015-12-21 (주)청공정밀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
US10429451B2 (en) 2016-04-08 2019-10-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testing luminaire based on USB and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7308A (ja) * 1998-02-18 1999-08-31 Tdk Corp ディスプレイ検査ジグ
KR20020020980A (ko) * 2000-09-13 2002-03-18 키타무라 이사오 기판 검사용 검사 지그 및 그 검사 지그를 구비한기판검사장치
KR20060015402A (ko) * 2004-08-14 2006-02-17 아이원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비쥬얼 지그 장치
KR20070034660A (ko) * 2005-09-26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7308A (ja) * 1998-02-18 1999-08-31 Tdk Corp ディスプレイ検査ジグ
KR20020020980A (ko) * 2000-09-13 2002-03-18 키타무라 이사오 기판 검사용 검사 지그 및 그 검사 지그를 구비한기판검사장치
KR20060015402A (ko) * 2004-08-14 2006-02-17 아이원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비쥬얼 지그 장치
KR20070034660A (ko) * 2005-09-26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249B1 (ko) 2015-06-10 2015-12-21 (주)청공정밀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
US10429451B2 (en) 2016-04-08 2019-10-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testing luminaire based on USB and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0721B1 (en) LED socket
US9799982B1 (en) Auto-positioning structure for upper cover of network plug
KR20160092366A (ko) 핀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검사 장치
JP4973988B2 (ja) 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用いたicソケット
US818703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improved board lock
JP2010157386A (ja) 半導体装置用電気接続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
USRE46475E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neighboring connectors
KR101457200B1 (ko)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
KR1014860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
JP2011003541A (ja) コネクタ装置
JP6211861B2 (ja) コンタクトピン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7076265B2 (ja) コネクタ
KR101457199B1 (ko)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
JP2006313666A (ja) カード用ソケット組立体
KR101579249B1 (ko) 영상표시기기 성능 검사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
US6811425B1 (en) Controller module responsive to input signals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appliance
KR101674792B1 (ko) Usb 리셉터클
JP2006294311A (ja) ハウジングへの端子類の取付構造
JP6295165B2 (ja) 端子ユニット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JP4122340B2 (ja) 端子台
JP5986255B1 (ja)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557150B1 (ko)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장치
US8465326B1 (en) Card connector
US20050196982A1 (en) Land grid array connector with reliable securing blocks
JP4657731B2 (ja) 半導体試験用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