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586B1 - 오일 상태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상태 측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6586B1 KR101456586B1 KR1020130057654A KR20130057654A KR101456586B1 KR 101456586 B1 KR101456586 B1 KR 101456586B1 KR 1020130057654 A KR1020130057654 A KR 1020130057654A KR 20130057654 A KR20130057654 A KR 20130057654A KR 101456586 B1 KR101456586 B1 KR 1014565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oil
- signal
- electrode sensor
- st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9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13 used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22 Wood fibr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1 electric ar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68 gas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5 wood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35—Specif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s or fue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01F2027/404—Protective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filled transfor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오일 상태 측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상태 측정 장치는, 오일에 삽입되고, 상기 오일 내의 도전성 슬러지에 따른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는 전극 센서; 상기 전극 센서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신호 발생부의 입력 신호와 상기 전극 센서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오일의 상태를 판단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의 상태를 측정하는 오일 상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는 고압의 전기를 가정이나 산업단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 값을 갖는 전압으로 낮춰서 가정이나 산업단지 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변압기를 오랜 기간 사용하거나 변압기에 과부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변압기내 절연유의 열화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열화현상이란, 절연유에 존재하는 산소에 의해서 산화작용을 받아 슬러지(Sludge)를 생성하여 절연유의 절연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절연유의 열화현상이 심해짐에 따라, 변압기 내의 절연파괴 현상이 잦아지고, 이에 따라 변압기의 폭발 및 안전사고 등의 위험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고자 일반적으로 변압기의 수명예측 및 열화진단을 통해 변압기의 이상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열화진단의 방법은 변압기 내에 들어가는 절연유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절연유의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은 절연유 내의 수분 및 산가 분석, 가스분석, 내압분석 등을 이용한 장비와 절연유 열화센서, CNT(Carbon Nano Tube)를 이용한 측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절연유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상기 장비 및 센서는 고가이다. 따라서, 이러한 장비와 센서를 다량으로 상용화 하는데 있어서 가격 경쟁력에 따른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절연유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절연유 시료를 변압기 내부에서 외부로 채취해야 한다. 따라서 관리자가 절연유 시료를 직접 채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절연유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서 변압기 가동을 중단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206651호(1999.07.01)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기 내의 오일의 상태를 측정시, 절연유를 외부에서 직접 채취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절연유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간단한 제조 공정을 통해 상용화가 가능한 오일 상태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상태 측정 장치는, 오일에 삽입되고, 상기 오일 내의 도전성 슬러지에 따른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는 전극 센서; 상기 전극 센서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신호 발생부의 입력 신호와 상기 전극 센서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오일의 상태를 판단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기 내의 오일의 상태를 측정시, 절연유를 외부에서 직접 채취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절연유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압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단전에 의한 피해 및 설비 투자 비용 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사용함으로써, 전극 패턴화 공정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 가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상태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새로운 절연유와 폐 절연유의 철 입자 수를 비교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상태 측정 장치 중, 전극 센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오일 상태 측정 장치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센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상태 측정 장치 중, 전극 센서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새로운 절연유와 폐 절연유의 철 입자 수를 비교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상태 측정 장치 중, 전극 센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오일 상태 측정 장치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센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상태 측정 장치 중, 전극 센서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일 상태 측정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상태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일 상태 측정 장치(10)는 전극 센서(20), 신호 발생부(30), 분석부(40), 및 표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센서(20)는 변압기(90) 내의 절연유(91)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유(91)는 변압기(90)를 보호하고, 변압기(90)내 코일간의 절연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변압기(90) 내에 수용된다. 변압기(90)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절연유(91)의 열화현상에 의해 슬러지(Sludge)가 생성된다. 슬러지는 도전성 물질로서 절연유(91)의 절연성을 저하시킨다. 슬러지는 절연유(91)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러지는 탄소(Carbon), 철(Iron), 우드 파이퍼(Wood Fiber) 등 다양한 입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압기(90) 내부의 절연유(91)로 나프탄계 광유가 삽입되면 철 입자(Iron Particle)의 슬러지가 생성될 수 있다.
도 2는 새로운 절연유와 폐 절연유의 철 입자 수(도전성 슬러지)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새로운 절연유는 검정색의 사각형으로 나타내었고, 폐 절연유는 빨간색의 원형으로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새로운 절연유의 경우, 철 입자(즉, 도전성 슬러지)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폐 절연유의 경우, 철 입자가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하고 많은 수의 철 입자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철 입자는 100mL당 수십만개 정도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 절연유 내에서 아크 방전이 일어날 수도 있으므로, 절연유를 신속하게 교체해주어야 한다.
전극 센서(20)는 변압기(90)내에 직접 삽입되어 이러한 슬러지의 생성 정도에 따라 절연유(91)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유(91)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관리자가 변압기(90) 내의 절연유(91)를 직접 채취하지 않아도 된다. 전극 센서(20)의 신호 입력 패드(106)는 신호 발생부(30)로부터 입력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이때, 도전성 물질인 슬러지에 의해 전극 센서(20)에 전기적 변화가 생기게 되고, 이러한 전기적 변화에 따른 출력 신호를 신호 출력 패드(108)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된 출력 신호는 분석부(40)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전극 센서(20)의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신호 발생부(30)는 전극 센서(20)의 신호 입력 패드(106)로 입력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신호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 신호일 수 있다. 입력 신호의 주파수는 측정하고자 하는 절연유(91)의 종류와 주위 온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분석부(40)는 신호 발생부(30)에서 발생시킨 입력 신호 및 전극 센서(20)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절연유(91)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40)는 입력 신호 대비 출력 신호의 위상값을 이용하여 절연유(91)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석부(40)는 입력 신호 대비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절연유(91)의 상태를 분석할 수도 있다. 이때, 분석부(40)는 입력 신호 대비 출력 신호의 위상값 및 크기(Amplitude)를 통해 입력 신호 대비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분석부(40)는 상기 입력 신호 대비 출력 신호의 위상값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설정된 기준 상태값과 비교하여 절연유(91)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분석부(40)는 신호 발생부(30)에서 발생시킨 입력 신호 및 전극 센서(20)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 대비 출력 신호의 위상값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산출한 위상값 및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설정된 기준 상태값과 비교하여 절연유(91)의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기준 상태값은 절연유(91)의 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설정된 위상값 또는 주파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준 상태값은 절연유(91)의 상태를 새로운 절연유, 사용유, 폐유의 3단계 상태로 구분하여 설정된 위상값 또는 주파수 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더 세분화하여 절연유(91)의 상태를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유 상태의 단계는 절연유(91)의 사용 년 수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다.
분석부(40)는 입력 신호 대비 출력 신호의 위상값(또는 주파수)가 상기 절연유(91)의 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설정한 기준 상태값 중에서 가장 근사한 값에 해당하는 상태를 해당 절연유(91)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 대비 출력 신호의 위상값이 절연유(91)의 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기설정된 기준 상태값(즉, 위상값) 중 폐유의 위상값과 가장 근사한 경우, 분석부(40)는 해당 절연유(91)의 상태가 폐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표시부(50)는 분석부(40)에서 분석한 절연유(91)의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때, 표시부(50)는 절연유(91)의 상태가 폐유 또는 폐유에 가까운 상태일 경우, 주의나 경고 메시지를 화면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오일 상태 측정 장치(10)는 절연유(91) 상태에 대한 주의나 경고를 경고음, 또는 경고 메시지 전송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처럼, 변압기(90)의 절연유(91)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변압기(90)내부의 절연유(91)에 전극 센서(20)를 삽입함으로써, 절연유(91)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관리자가 절연유(91)를 변압기(90) 밖으로 채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절연유(91)의 상태에 따라 주의나 경고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변압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상태 측정 장치 중, 전극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극 센서(2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전극 센서(20)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극 센서(20)는 변압기(90)내에 삽입되어 절연유(91)의 상태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전극 센서(20)는 베이스 필름(100), 제1 전극(102), 제2 전극(104), 신호 입력 패드(106) 및 신호 출력 패드(10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0)은 예를 들어, PI (Polyimide)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절연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0)의 일면에는 제1 전극(102), 제2 전극(104), 신호 입력 패드(106) 및 신호 출력 패드(108)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02)은 베이스 필름(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02)의 일측은 예를 들어, 빗살무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02)은 물결모양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102)의 타측은 베이스 필름(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신호 입력 패드(106)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104)은 베이스 필름(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04)의 일측은 제1 전극(102)의 일측과 대향하고 상호 이격되어 인터디지트(Interdigit)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104)의 일측은 제1 전극(102)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102) 및 제2 전극(104)의 일측은 상호 대응되는 부분의 면적이 넓게 나타나는 형태(예를 들어, 빗살 무늬 형태, 물결 모양 형태 등)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104)의 타측은 베이스 필름(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신호 출력 패드(108)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102)과 제2 전극(104)의 상호 대응되는 부분에서, 제1 전극(102)과 제2 전극(104) 간의 간격 및 제1 전극(102)과 제2 전극의 폭은 절연유의 종류 및 도전성 슬러지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02)과 제2 전극(104)간의 간격 및 제1 전극(102)과 제2 전극의 폭은 절연유의 종류 및 도전성 슬러지의 크기에 따라 수 ~ 수백 ㎛에서 조정될 수 있다.
신호 입력 패드(106)는 신호 발생부(30)에서 발생된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부분이다. 신호 입력 패드(106)는 베이스 필름(100)의 말단부분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입력 패드(106)는 제1 전극(102)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신호 출력 패드(108)는 신호 입력 패드(106)에 입력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전극 센서(20)의 제1 전극(102)과 제2 전극(104) 사이에서 절연유(91)의 도전성 슬러지에 의해 나타나는 전계 변화에 따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신호 입력 패드(106)에 입력 신호가 인가되면, 제1 전극(102)과 제2 전극(104) 사이에는 전계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제1 전극(102)과 제2 전극(104) 사이에 발생한 전계는 절연유(91) 내의 도전성 슬러지에 따라 변화가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전계 변화에 따른 신호가 신호 출력 패드(108)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신호 출력 패드(108)는 베이스 필름(100)의 말단부분 타측에서 신호 입력 패드(106)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출력 패드(108)는 제2 전극(104)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전극 센서(20) 중 신호 입력 패드(106) 및 신호 출력 패드(108)는 변압기(9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호 입력 패드(106) 및 신호 출력 패드(108)는 변압기(90)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 신호 입력 패드(106) 및 신호 출력 패드(108)는 절연유(91) 내에 삽입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전극(102)의 일측에 빗살무늬 형태로 형성된 전극 부분과 제2 전극(104)의 일측에 빗살무늬 형태로 형성된 전극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절연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실제 측정이 이루어지는 부분(제1 전극(102)의 일측에 빗살무늬 형태로 형성된 전극 부분과 제2 전극(104)의 일측에 빗살무늬 형태로 형성된 전극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절연유 상태 측정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1 전극(102)의 일측에 빗살무늬 형태로 형성된 전극 부분과 제2 전극(104)의 일측에 빗살무늬 형태로 형성된 전극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절연층(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제1 전극(102)과 제2 전극(104)의 상호 대응되는 부분(빗살무늬 형태의 전극)만이 절연유(91) 내에서 노출되어 절연유(91)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부분이 절연유 상태 측정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신호 입력 패드(106) 및 신호 출력 패드(108)의 일단은 절연층(미도시)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신호 입력 패드(106)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 신호를 전달받고, 신호 출력 패드(108)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함이다.
베이스 필름(100)의 타면에는 베이스 필름(100)을 지지하는 서포터(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유(91) 내에서 베이스 필름(100)이 유동적으로 움짐임으로 인해 절연유(91) 상태 측정에 오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일 상태 측정 장치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 센서(20)는 서포터(110)의 일면에 제1 전극 센서(120)가 형성되고, 서포터(110)의 타면에 제2 전극 센서(2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 센서(120)와 제2 전극 센서(220)는 동일한 형상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 센서(120)와 제2 전극 센서(220)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110)는 프리프레그(prepreg)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서포터(110)의 두께는 1.5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110)가 1.5m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제1 전극 센서(120)와 제2 전극 센서(220) 사이에 생기는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해 측정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서포터(110)의 일면에 제1 전극 센서(120)를 형성하고, 서포터(110)의 타면에 제2 전극 센서(220)를 형성한 상태에서, 제1 전극 센서(120) 및 제2 전극 센서(220) 각각의 신호 입력 패드(미도시)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면, 하나의 전극 센서(20)를 이용한 경우보다 출력 신호의 민감도를 2배 정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2배 민감도가 높은 출력 신호를 확보함으로써, 절연유(91)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상태 측정 장치 중, 전극 센서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극 센서(2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FPCB를 사용할 수 있다. FPCB는 베이스 필름(100)에 동박층(112)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도 5(a)). 상기 베이스 필름(100)에 예를 들어, 노광 및 식각 공정 또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여 전극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 패턴은 제1 전극(102), 제2 전극(104), 신호 입력 패드(106) 및 신호 출력 패드(108)일 수 있다. 노광 및 식각 또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형성된 전극 패턴에는 동박층(112)이 남아있으며, 전극 패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동박층(112)은 상기 노광 및 식각 또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제거된 상태이다(도 5(b)). 여기서, 전극 패턴은 도금되어 도금층(11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극 패턴을 따라 남아있는 동박층(112)이 씨드층이 되어 용이하게 도금될 수 있다(도 5(c)). 여기서, 도금층(114)은 금(Au)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금층(172)은 은(Ag) 또는 백금(Pt)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오일 상태 측정 장치(10)는, 전극 센서(20)를 FPCB로 사용함으로써, 전극 패턴대로 형성된 동박층(112)을 씨드층으로 하여 그대로 도금하는 공정을 통해 용이하게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공정에서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웨이퍼 또는 유리 기판 등의 고가의 원자재를 사용하는 대신 저가의 FPCB를 사용함으로써 제조 가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오일 상태 측정 장치 20 : 전극 센서
30 : 신호 발생부 40 : 분석부
50 : 표시부 90 : 변압기
91 : 절연유 100 : 베이스 필름
102 : 제1 전극 104 : 제2 전극
106 : 신호 입력 패드 108 : 신호 출력 패드
110 : 서포터 112 : 동박층
114 : 도금층 120 : 제1 전극 센서
220 : 제2 전극 센서
30 : 신호 발생부 40 : 분석부
50 : 표시부 90 : 변압기
91 : 절연유 100 : 베이스 필름
102 : 제1 전극 104 : 제2 전극
106 : 신호 입력 패드 108 : 신호 출력 패드
110 : 서포터 112 : 동박층
114 : 도금층 120 : 제1 전극 센서
220 : 제2 전극 센서
Claims (9)
- 오일에 삽입되고, 상기 오일 내의 도전성 슬러지에 따른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는 전극 센서;
상기 전극 센서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신호 발생부의 입력 신호와 상기 전극 센서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오일의 상태를 판단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입력신호 대비 상기 출력 신호의 위상값 및 상기 입력신호 대비 상기 출력 신호의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와 기 설정된 기준 상태값을 비교하여 상기 오일 상태를 판단하는, 오일 상태 측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변압기 내에 수용되는 절연유인, 오일 상태 측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센서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지는, 오일 상태 측정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센서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서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전극;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의 일측과 연결되는 신호 입력 패드;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단에서 상기 신호 입력 패드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의 일측과 연결되는 신호 출력 패드를 포함하는, 오일 상태 측정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타측은,
인터디지트(Interdigit)하게 형성되는, 오일 상태 측정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상태 측정 장치는,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 센서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오일 상태 측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센서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여 상호 이격되고, 상기 오일 내의 도전성 슬러지에 의한 전기적 변화에 따라 상기 출력 신호가 출력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센서; 및
상기 서포터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 센서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2 전극 센서를 포함하는, 오일 상태 측정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상태값은,
상기 오일 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복수 개가 기 설정되는, 오일 상태 측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7654A KR101456586B1 (ko) | 2013-05-22 | 2013-05-22 | 오일 상태 측정 장치 |
PCT/KR2014/004494 WO2014189256A1 (ko) | 2013-05-22 | 2014-05-20 | 오일 상태 측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7654A KR101456586B1 (ko) | 2013-05-22 | 2013-05-22 | 오일 상태 측정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6586B1 true KR101456586B1 (ko) | 2014-10-31 |
Family
ID=5193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7654A KR101456586B1 (ko) | 2013-05-22 | 2013-05-22 | 오일 상태 측정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6586B1 (ko) |
WO (1) | WO2014189256A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86697A (ja) * | 2001-03-22 | 2002-10-03 | Ntn Corp | オイルチェックセンサ |
KR20050050515A (ko) * | 2003-11-25 | 2005-05-31 | 한상옥 | 변압기용 전기절연유의 열화진단을 위한 3단자형전기용량센서 |
KR100811677B1 (ko) * | 2007-02-09 | 2008-03-11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다기능 감지장치 |
KR20120028595A (ko) * | 2010-09-15 | 2012-03-23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Usn용 센서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7887B1 (ko) * | 2001-03-02 | 2003-12-01 | 한국과학기술원 | 온도와 유전율을 동시에 측정하기 위한 온도 유전센서 및그 제조방법 |
JP4400262B2 (ja) * | 2004-03-15 | 2010-01-20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オイル劣化判定装置 |
-
2013
- 2013-05-22 KR KR1020130057654A patent/KR10145658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4
- 2014-05-20 WO PCT/KR2014/004494 patent/WO201418925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86697A (ja) * | 2001-03-22 | 2002-10-03 | Ntn Corp | オイルチェックセンサ |
KR20050050515A (ko) * | 2003-11-25 | 2005-05-31 | 한상옥 | 변압기용 전기절연유의 열화진단을 위한 3단자형전기용량센서 |
KR100811677B1 (ko) * | 2007-02-09 | 2008-03-11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다기능 감지장치 |
KR20120028595A (ko) * | 2010-09-15 | 2012-03-23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Usn용 센서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89256A1 (ko) | 2014-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567380B1 (en) | Non-contact dc voltage measurement device with oscillating sensor | |
EP3179256A1 (en) | Non-contact ac voltage measurement device | |
US20180136259A1 (en) | Sensor subsystems for non-contact voltage measurement devices | |
EP3567384B1 (en) | Multi-sensor configuration for non-contact voltage measurement devices | |
EP3567383B1 (en) | Multi-sensor scanner configuration for non-contact voltage measurement devices | |
JP6562241B2 (ja) | 非接触電圧センサ及び電力測定装置 | |
JP5157323B2 (ja) | 通電部の位置測定方法および装置 | |
KR20100082956A (ko) | Saw 소자를 이용한 가스 감지센서 및 그 감지방법 | |
JP2009168489A (ja) | 絶縁監視装置および絶縁診断方法 | |
KR101456586B1 (ko) | 오일 상태 측정 장치 | |
JP2010223841A (ja) | 電気特性測定システム及び電気特性測定方法 | |
JP2013205211A (ja) | 腐食センサ、劣化検知センサおよび劣化モニタ | |
RU90204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защищенности подземны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сооружений | |
KR101447639B1 (ko) | 플라즈마 진단장치 및 그 방법 | |
JP2006349450A (ja) | 濃度測定装置 | |
KR101787876B1 (ko) |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한 플라즈마 밀도 측정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측정용 탐침 | |
CN114859127A (zh) | 一种样品高压电阻率测试装置 | |
JP2015169440A (ja) | 電圧測定装置および電圧測定方法 | |
JP2013134134A (ja) | 部分放電測定装置、及び部分放電測定方法 | |
CN207114708U (zh) | 一种电力变压器重症监测的油中气体检测电路 | |
JP4980383B2 (ja) | イオン発生装置の検査用治具 | |
JP5145525B2 (ja) | 高周波電磁波信号発生方法及び装置 | |
KR100511624B1 (ko) | 비접촉 방식의 시트저항 측정기 | |
JP2016080537A (ja) | 電圧検出装置 | |
JP2014224743A (ja) | 部分放電セン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