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388B1 -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 - Google Patents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388B1
KR101456388B1 KR1020130090054A KR20130090054A KR101456388B1 KR 101456388 B1 KR101456388 B1 KR 101456388B1 KR 1020130090054 A KR1020130090054 A KR 1020130090054A KR 20130090054 A KR20130090054 A KR 20130090054A KR 101456388 B1 KR101456388 B1 KR 101456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lifting
control unit
lever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창
Original Assignee
정회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회창 filed Critical 정회창
Priority to KR1020130090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1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4Acoustic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에 있어서, 매트리스가 설치되는 침상을 승강침상과 상판침상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이들 침상을 연결구로 연결하여 침대의 본체틀 내측에 장착하되, 상기 승강침상은 승강장치에 의해 일측 단부가 일정높이에서 승강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판침상은 이송장치에 의해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승강침상의 승강작용과 상판침상의 이동작용의 시기와 횟수 및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를 제공하여, 침대가 규칙 또는 불규칙적 주기로 상하 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되어 요람기능을 가지거나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상적인 사람이나 불면증이 있는 사람이 쉽게 잠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코골이 증상이 심한 사람의 수면 중 코고는 소리를 감지하여 침대를 규칙 또는 불규적으로 상하이동 시키거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코고는 사람의 신체를 흔들어 코골이가 방지되며, 아기가 일정크기 이상의 울음소리를 낼 때 이를 감지하고 일정시간 침대에 부드러운 흔들림을 제공함으로써 아기 보호자가 아기를 안거나 업고 흔들어 잠을 재워야 하는 수고를 줄이고, 일반적인 사람이 침대에 누워 휴식을 취할 때, 침대를 규칙 또는 불규적 주기로 상하 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켜 줌으로써, 흔들이 침대에 누워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되도록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Getting on and off and move with Bed}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의 침상 또는 매트리스가 설치되는 침상부를 승강 및 왕복동 시킴으로써 침대 사용자의 몸이 부드럽게 유동되도록 하여 숙면이 가능하고 코골이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침대 지지대에 침상을 설치하고, 침상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상기 침상에 매트리스를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매트리스에는 스프링 또는 유체 등을 이용한 쿠션기능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최대한의 편안한 상태에서 휴식이나 취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흔들리는 요람에 어린아기를 재우면 잠을 잘잔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현상이고, 또한 코골이가 심한 사람을 흔들거나 건들려 주면 코골이를 잠시 멈춘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현상이다.
그러나 통상적인 침대는 어느 일부라도 유동되는 구조가 아니라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누울 경우 매트리스를 가압하는 사용자 신체 부위 각각을 부드럽게 받쳐서 신체와 딱딱하게 부딪치는 불쾌감을 해소할 수는 있으나, 특히 불면증이나 코골이 증상이 심한 사용자들에게는 침대를 이용하여 숙면을 유도하거나 코골이를 방지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질병으로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장기간 침대에 정지된 상태로 누워있게 됨으로써 욕창 및 내장 기관의 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침대를 요동시키는 종래기술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한국 공개특허 특2003-0063247호(2003. 7. 28. 공개)로서 전동 요동 침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의 고정프레임(100)이 일체로 형성되는 기대(101)의 저부 중심에 작동로드(102)가 연결되는 탄력장치(103)가 설치된다. 상기 작동로드(102)의 선단에는 로울러(104)가 설치되며, 감속기어장치(105)의 캠(106)이 로울러(104)에 접면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00)의 상부에는 레일(106)이 고정 설치되며, 가동프레임(107)에 캐스터(108)가 설치되어 레일(106)에 안착되고, 가동프레임(107) 상부에 매트리스(109)가 탑재되며, 작동로드(102)에는 연결프레임(110)이 설치되어 상단이 가동프레임(107)의 저부에 고정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은 콘트롤장치(112)를 조작하여 감속기어장치(105)를 구동시키면, 캠(106)이 회전하면서 작동로드(102)를 탄력장치(103)측으로 밀어주면 작동로드에 연결된 가동프레임(107)이 일측으로 이동하고, 캠이 회전하여 작동로드의 밀음력을 해제하면 탄력장치의 탄발력에 의해 가동프레임을 탄력 복귀시켜 침대가 요동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은 침대의 길이방향으로만 가동프레임을 왕복 이동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실증을 느끼게 되고, 또한 사용자가 가동프레임의 단순한 왕복 이동에 곧바로 적응되어 숙면을 취하거나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떨어지며, 가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구조 또한 복잡하여 쉽게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침대 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며 매트리스가 설치되는 침상을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승강시키고, 또한 침상을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왕복이동시켜 침대 사용자의 숙면과 휴식을 유도하고, 코골이 증상이 심한 침대 사용자의 코골이방지를 지원할 수 있는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와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침대에 있어서, 매트리스가 설치되는 침상을 승강침상과 상판침상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이들 침상을 연결구로 연결하여 침대의 본체틀 내측에 장착하되, 상기 승강침상은 승강장치에 의해 일측 단부가 일정높이에서 승강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판침상은 이송장치에 의해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승강침상의 승강작용과 상판침상의 이동작용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침상은 상판침상의 일측에 장착되도록 일정두께의 4각형 판재로 형성하고, 상기 상판침상은 일측을 일정두께의 4각형 판재로 형성하며 타측은 승강침상이 장착되는 장착대를 결합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상판침상은 장착대를 포함하여 본체틀 내벽에 형성되는 침상설치대에 테두리를 안착시켜 설치하며, 상기 상판침상 단부측 침상설치대에는 상판침상이 침대의 길이방향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상판침상과 장착대는 그 하부 테두리의 길이방향 양측에 복수개의 이동바퀴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이동바퀴가 침상설치대 상에서 회전구동 되어 승강침상과 상판침상이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승강장치는 회전레버가 구비된 제1구동모터, 제1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지렛대 및 제1지렛대를 받치는 제1받침대와 승강침상의 일측을 탄력지지하는 제1탄력지지장치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승강침상의 일측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장치는 회전레버가 구비된 제2구동모터, 제2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2지렛대 및 제2지렛대를 받치는 제2받침대와 침상의 길이방향 왕복이동을 탄력지지하는 제2탄력지지장치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승강침상이 장착된 상판침상을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승강작용 제어부와 왕복이동 제어부로 형성하고, 이들 제어부에서 제1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승강작용 제어부와 왕복이동 제어부의 제1, 2구동모터 제어신호는 승강작용시에는 왕복이동 제어신호를 차단하고 왕복이동시에는 승강작용 제어신호를 차단하여 침상의 승강과 이동이 동시에 시행되지 않도록 하고, 제1, 2구동모터에 전류공급량을 증감시켜 모터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조절하여 승강작용 및 왕복이동 시간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침대에 있어서 음향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음향센서에서 코골이 또는 아기울음 음향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의 승강작용 제어부 또는 왕복이동 제어부에서 제1구동모터 또는 제2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한번 내지 두 번 승강침상 또는 상판침상을 흔들어주거나 일정시간 승강작용 또는 이송작용이 발생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침대가 규칙 또는 불규칙적 주기로 상하 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되어 요람기능을 가지거나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상적인 사람이나 불면증이 있는 사람이 쉽게 잠을 이룰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코골이 증상이 심한 사람의 수면 중 코고는 소리를 감지하여 침대를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상하이동 시키거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코고는 사람의 신체를 흔들어 코골이가 방지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움직임을 느껴야 잠을 잘자는 아기가 일정크기 이상의 울음소리를 낼 때 이를 감지하고 일정시간 침대에 부드러운 흔들림을 제공함으로써 아기 보호자가 아기를 안거나 업고 흔들어 잠을 재워야 하는 수고를 줄이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사람이 침대에 누워 휴식을 취할 때, 침대를 규칙 또는 불규칙적 주기로 상하 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켜 줌으로써, 흔들이 침대에 누워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침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의 승강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의 이송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의 회전레버의 단부에 회전롤러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매트리스(1)가 설치되는 침상(2)을 승강침상(3)과 상판침상(4)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이들 침상을 연결구(5)로 연결하여 침대의 본체틀(6) 내측에 장착하되, 상기 승강침상(3)은 승강장치(7)에 의해 일측 단부가 일정높이에서 승강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판침상(4)은 이송장치(8)에 의해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승강침상(3)의 승강작용과 상판침상(4)의 이동작용의 시기와 횟수 및 속도를 조절하여 승강작용과 이동작용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1)를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침상(3)은 상판침상(4)의 일측에 장착되도록 일정두께의 4각형 판재로 형성하고, 상기 상판침상(4)은 일측을 일정두께의 4각형 판재로 형성하며 타측은 승강침상(3)이 장착되는 장착대(4a)를 결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연결구(5)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 또는 회전관절(미도시)로 형성하며, 상기 승강침상(3)과 상판침상(4)이 연결되는 연결부의 복수개소에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되, 상기 연결부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침상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침상에 내삽하여 설치한다.
상기 상판침상(4)은 도 2(C)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틀(6) 내벽에 형성되는 침상설치대(9)에 테두리를 안착시켜 설치하며, 상기 상판침상(4) 단부측 침상설치대(9)에는 상판침상(4)이 침대의 길이방향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공간(9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판침상(4)과 장착대(4a)는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 테두리의 길이방향 양측에 복수개의 이동바퀴(1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이동바퀴(10)가 침상설치대(9) 상에서 회전구동 되어 승강침상(3)과 상판침상(4)이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이동바퀴(10)는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접촉소음이 적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장치(7)는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침상(3)과 연결 설치되어 승강침상의 일측을 상승시키는 구성으로서, 회전레버(19)가 구비된 제1구동모터(11), 제1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지렛대(12) 및 제1지렛대를 받치는 제1받침대(13)와 승강침상(3)의 일측을 탄력지지하는 제1탄력지지장치(14)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이송장치(8)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침상(3)이 장착된 상판침상(4)을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서, 회전레버(19)가 구비된 제2구동모터(15), 제2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2지렛대(16) 및 제2지렛대를 받치는 제2받침대(17)와 침상의 길이방향 왕복이동을 탄력지지하는 제2탄력지지장치(18)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1, 2구동모터(11, 15)는 감속기어가 구비된 통상의 소형 기어드모터를 채용하되, 상기 제1, 2지렛대(12, 16)의 작동을 통해 승강침상(3)의 일측을 상승시키고, 승강침상(3)과 상판침상(4)이 결합된 전체 침상을 수평이동 시킬 수 있는 구동력이 발생되는 정도의 용량을 가지는 것을 채용하도록 한다.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2구동모터(11, 15)에 연결되어 상기 제1, 2지렛대(12, 16)의 힘점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레버(19)는 제1, 2구동모터의 구동축에 복수개를 연결하고, 복수개의 회전레버(19) 각각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일정각도로 이격시켜 형성함으로써, 회전레버(19)가 회전 접촉되어 구동력을 작용시키는 제1, 2지렛대의 힘점부 변위량을 서로 다르게 하여 승강침상(3)이 상승되는 높이가 다르게 하거나, 승강침상(3)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거리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레버(19)의 단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롤러(20)를 설치하여 제1지렛대(12)의 승강힘점부와 제2지렛대(16)의 링크단부에 작용하는 회전레버(19)의 접촉 및 분리 작용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롤러(20)는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접촉소음이 적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렛대(1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침상(3)을 상승시키는 구성으로서, 수평축(12a)과 수평축의 일측 단부에 직교축(12b)을 연결하여 형성하고, 직교축(12b)의 단부에 승강작용부(12c)를 형성하며, 상기 승강작용부(12c)가 승강침상(3)의 양측 하부 일정위치를 밀어서 승강침상(3)의 일측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지렛대(12)의 수평축(12a)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승강힘점부(12d)에는 상기 제1구동모터(11)의 회전레버(19)와 접촉되어 제1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하며, 상기 제1받침대(13)는 제1지렛대(12)의 수평축(12a)의 하부 일정위치에 설치하여 지렛대의 받침점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1받침대(13)는 제1지렛대(12)와 접촉되는 부위에 원통형 붓싱(13a)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제1지렛대(12)의 직교축(12b) 양단부에 구비되는 승강작용부(12c)에는 작용롤러(12e)를 장착하도록 한다. 상기 원통형 붓싱(13a)과 작용롤러(12e)는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접촉소음이 적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침상(3)에서 제1지렛대(12)의 승강작용부(12c)가 접촉되는 부위는 상기 작용롤러(12e)가 내삽되는 직사각형 요홈을 상판침상의 수평방향 이동거리보다 길게 여유를 두고 형성하여, 지렛대의 승강작용부(11c)의 작용롤러(12e)가 승강침상(3)에 결합된 상태에서 승강침상(3)을 원활하게 승강시키고, 또한 승강침상에 제1지렛대(12)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판침상(4)의 수평방향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1탄력지지장치(14)는 스프링 또는 오일완충기 또는 에어완충기로 형성하고, 그 상단부를 승강침상(3)의 하부 일측단부에 장착구(14a)를 형성하여 연결하고, 하단부를 승강침상이 장착되는 상판침상(4)의 장착대(4a) 상부면과 연결하여 설치하되, 상기 장착대(4a) 제1탄력지지장치 포켓(4b) 복수개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며, 제1지렛대(12)에 의해 상승된 승강침상(3)이 자중에 의해 하강할 때, 승강침상(3)을 완충 지지하여 하강 작용이 부드럽고 완만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구조를 구비함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침상(3)은 제1지렛대(12)의 수평축 힘점부(12d)를 제1구동모터(11)에 연결된 길이가 상이한 회전레버(19)가 차례로 가압하면 제1받침대(13)를 지지점으로 제1지렛대의 작용부(12c)가 순차적으로 승강을 반복하면서 상승하고, 이에 따라 승강침상(3)의 일측단부는 상판침상(4)과 연결된 연결부를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져 승강작용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침상(3)이 상승하는 단계에서 순간 하강시에는 제1탄력지지장치(14)가 승강침상(3)의 하강력을 완충시켜 승강침상(3)이 부드럽게 출렁이는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구동모터(11)가 더 회전하여 회전레버(19)가 힘점부(12d)로부터 이격되는 구간에 진입하면, 제1지렛대(12)에 가해진 제1구동모터(11)의 구동력이 해제되고 승강침상(3)은 자중에 의해 하강되며, 이 때 제1탄력지지장치(14)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침상이 완충되면서 부드럽고 완만하게 하강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작용이 연속되어 승강침상은 반복 승강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8)에 구비되는 제2지렛대(16)는 승강침상(3)이 장착된 상판침상(4)을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수직부재(16a)와 상기 수직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수평직교부재(16b)와 수직부재(16a)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16c)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재(16a)의 일정위치와 상기 제2받침대(17)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형성한다.
상기 수평직교부재(16b)의 양측 단부에는 이동작용부(16d)를 구비하고 이 이동작용부(16d)가 상판침상(4)의 양측 하부 일정위치를 밀어서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작용부(16d)의 양단부에는 작용롤러(12e)를 장착하도록 한다. 상기 작용롤러(12e)는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접촉소음이 적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렛대(16)에 구비되는 수직부재(16a)의 하단부는 상기 링크(16c)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링크(16c)의 타단은 제2구동모터(15)의 구동축에 연결된 회전레버(19)의 회전롤러(20)와 접촉되어 제2구동모터(15) 구동력이 상기 회전레버(19)와 링크(16c)를 통해 전달되어 수직부재(16a) 하단부의 이동힘점부(16e)에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제2지렛대(16)의 수직부재(16a)는 그 중간부를 제2받침대(17)의 단부와 회전관절(16f)로 연결하고, 상기 회전관절(16f)을 받침점으로 하여, 상기 이동힘점부(16e)에 전달된 제2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이동작용부(16d)에 전달되도록 하며, 수직부재(16a)의 하단부와 링크(16c)의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는 회동이 자유로운 회전관절(16g)을 구비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상판침상(4)에서 제2지렛대(16)의 이동작용부(16d)가 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작용롤러(12e)가 내삽되어 연결되는 직사각형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작용부(16c)의 작용롤러(12e)가 상판침상(4)에 이동력을 가함으로써 상판침상(4)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탄력지지장치(18)는 스프링 또는 오일완충기 또는 에어완충기로 형성하고, 상기 이동공간(9a)의 내부에 복수개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되, 상판침상(4)과 침상설치대(9) 간에 상호 탄성반력이 작용하도록 설치하고, 제2지렛대(16)에 의해 이동된 상판침상(4)이 제2탄력지지장치(18)의 탄성반력에 의해 부드럽고 완만하게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침상설치대(9)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이동공간(9a)은 신축이 가능한 덮개(미도시)로 덮어서 제2탄력지지장치가 노출되지 않으면서 제2탄력지지장치 내로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구조를 구비함에 따라서 본 발명의 승강침상(3)이 장착된 상판침상(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지렛대(16)에 구비되는 링크(16c)를 통해 제2구동모터(15)에 연결된 길이가 상이한 회전레버(19)가 차례로 회전하여 가압하면 제2받침대(17)를 지지점으로 제2지렛대의 이동작용부(16d)가 순차적으로 수평방향 이동을 반복하고, 이에 따라 상판침상(4)은 침상설치대(9) 상에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판침상(4)이 이동하는 단계에서 회전레바(19)의 회전에 의해 순간 구동력이 해제되면, 제2탄력지지장치(18)의 탄성 복귀력이 작용하여 상판침상(4)을 순간복귀 시켜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부드럽게 출렁이는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구동모터(15)가 더 회전하여 회전레버(19)가 링크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구간에 진입하면, 제2지렛대(16)에 가해진 제2구동모터(15)의 구동력이 해제되고 승강침상(3)과 상판침상(4)은 제2탄력지지장치(18)에 의해 완충되면서 부드럽고 완만하게 복귀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작용이 연속되어 상판침상(4)은 반복 이송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침상(3)의 승강작용 및 상판침상(4)의 왕복이동 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21)는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의 본체틀(6) 일정부위에 설치한다.
상기 제어부(21)는 승강작용 제어부(21a)와 왕복이동 제어부(21b)로 형성하고, 이들 제어부에서 제1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작용 제어부(21a)와 왕복이동 제어부(21b)의 제1, 2구동모터(11, 15) 제어신호는 승강작용 제어시에는 왕복이동 제어신호를 차단하고, 왕복이동 제어시에는 승강작용 제어신호를 차단하여 침상의 승강과 이동이 동시에 시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승강작용 제어부(21a)와 왕복이동 제어부(21b)는 제1, 2구동모터(11, 15)에 전류공급량을 증가시켜 모터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제어할 수 있으며, 승강작용 및 왕복이동 시간을 조절하여 승강작용과 이동작용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센서(22)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음향세서에서 코골이 또는 아기울음 음향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21)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의 승강작용 제어부(21a) 또는 왕복이동 제어부(21b)에서 제1구동모터(11) 또는 제2구동모터(15)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한번 내지 두 번 승강침상 또는 상판침상을 흔들어주거나 일정시간 승강 또는 이송작동이 발생되도록 한다.
1 : 매트리스 2 : 침상
3 : 승강침상 4 : 상판침상
5 : 연결구 6 : 본체틀
7 : 승강장치 8 : 이송장치
9 : 침상설치대 10 : 이동바퀴
11 : 제1구동모터 12 : 제1지렛대
13 : 제1받침대 14 : 제1탄력지지장치
15 : 제2구동모터 16 : 제2지렛대
17 : 제2받침대 18 : 제2탄력지지장치
19 : 회전레버 20 : 회전롤러
21 : 제어부 22 : 음향센서

Claims (8)

  1. 침대에 있어서,
    매트리스(1)가 설치되는 침상(2)을 승강침상(3)과 상판침상(4)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이들 침상을 연결구(5)로 연결하여 침대의 본체틀(6) 내측에 장착하되,
    상기 승강침상(3)은 승강장치(7)에 의해 일측 단부가 일정높이에서 승강되고 상판침상(4)의 일측에 장착되도록 일정두께의 4각형 판재로 형성하고,
    상기 상판침상(4)은 이송장치(8)에 의해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일측을 일정두께의 4각형 판재로 형성하며 타측은 승강침상(3)이 장착되는 장착대를 결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승강침상(3)의 승강작용과 상판침상(4)의 이동작용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1)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침상(4)은 장착대를 포함하여 본체틀(6) 내벽에 형성되는 침상설치대(9)에 테두리를 안착시켜 설치하며,
    상기 상판침상(4) 단부측 침상설치대(9)에는 상판침상(4)이 침대의 길이방향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침상(4)과 장착대는 그 하부 테두리의 길이방향 양측에 이동바퀴(10) 복수개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이동바퀴(10)가 침상설치대(9) 상에서 회전구동 되어 승강침상(3)과 상판침상(4)이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7)는 회전레버(19)가 구비된 제1구동모터(11), 제1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지렛대(12) 및 제1지렛대를 받치는 제1받침대(13)와 승강침상(3)의 일측을 탄력지지하는 제1탄력지지장치(14)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승강침상의 일측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이송장치(8)는 회전레버(19)가 구비된 제2구동모터(15), 제2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2지렛대(16) 및 제2지렛대를 받치는 제2받침대(17)와 침상의 길이방향 왕복이동을 탄력지지하는 제2탄력지지장치(18)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승강침상(3)이 장착된 상판침상(4)을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는 승강작용 제어부와 왕복이동 제어부로 형성하고,
    이들 제어부에서 제1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승강작용 제어부와 왕복이동 제어부의 제1, 2구동모터 제어신호는 승강작용시에는 왕복이동 제어신호를 차단하고 왕복이동시에는 승강작용 제어신호를 차단하여 침상의 승강과 이동이 동시에 시행되지 않도록 하고, 제1, 2구동모터에 전류공급량을 증감시켜 모터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조절하여 승강작용 및 왕복이동 시간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
  8. 제7항에 있어서,
    음향센서(22)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음향센서에서 코골이 또는 아기울음 음향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의 승강작용 제어부 또는 왕복이동 제어부에서 제1구동모터 또는 제2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한번 내지 두 번 승강침상 또는 상판침상을 흔들어주거나 일정시간 승강작용 또는 이송작용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
KR1020130090054A 2013-07-30 2013-07-30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 KR101456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054A KR101456388B1 (ko) 2013-07-30 2013-07-30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054A KR101456388B1 (ko) 2013-07-30 2013-07-30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388B1 true KR101456388B1 (ko) 2014-10-31

Family

ID=5199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054A KR101456388B1 (ko) 2013-07-30 2013-07-30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3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3753A (zh) * 2019-08-01 2019-10-11 蔡奕 一种婴幼儿电动摇床
CN112220284A (zh) * 2020-10-09 2021-01-15 张超 一种多功能童床
KR20210123832A (ko) * 2020-04-06 2021-10-14 이경환 사용자 맞춤형 모션베드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5251650A (zh) * 2022-08-02 2022-11-01 嘉兴慕思寝室用品有限公司 一种可调床垫及床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124Y1 (ko) * 2002-03-30 2002-06-22 명고봉 매트리스의 직선운동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건강침대
JP2003024393A (ja) * 2001-07-16 2003-01-28 Nippon Bed Seizo Kk 半身起床ベッド
JP2008289796A (ja) * 2007-05-28 2008-12-04 Atex Co Ltd 揺動ベッド
KR20120134626A (ko) * 2011-06-03 2012-12-12 박한욱 적합한 진동패턴을 제공하는 스마트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4393A (ja) * 2001-07-16 2003-01-28 Nippon Bed Seizo Kk 半身起床ベッド
KR200279124Y1 (ko) * 2002-03-30 2002-06-22 명고봉 매트리스의 직선운동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건강침대
JP2008289796A (ja) * 2007-05-28 2008-12-04 Atex Co Ltd 揺動ベッド
KR20120134626A (ko) * 2011-06-03 2012-12-12 박한욱 적합한 진동패턴을 제공하는 스마트 침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3753A (zh) * 2019-08-01 2019-10-11 蔡奕 一种婴幼儿电动摇床
KR20210123832A (ko) * 2020-04-06 2021-10-14 이경환 사용자 맞춤형 모션베드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87151B1 (ko) * 2020-04-06 2022-04-14 이경환 사용자 맞춤형 모션베드 구동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2220284A (zh) * 2020-10-09 2021-01-15 张超 一种多功能童床
CN115251650A (zh) * 2022-08-02 2022-11-01 嘉兴慕思寝室用品有限公司 一种可调床垫及床架
CN115251650B (zh) * 2022-08-02 2024-04-26 嘉兴慕思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可调床垫及床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388B1 (ko) 승강 및 왕복이동 침상이 구비된 침대
KR102111189B1 (ko) 안마의자
US9737155B2 (en) System for tandem bed communication
EP1999055B1 (en) Overhead conveyor
US6966083B1 (en) Magnetic levitation bed
CN110062591B (zh) 具有可编程控制器的模块化摇床
JP6431733B2 (ja) 可動ベッドシステム
US9933775B2 (en) Programmable mattress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JP7453685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CN107048858B (zh) 一种座椅光线传感坐姿检测系统及其方法
JP2020054797A (ja) 揺動式睡眠誘導ベッドおよびベッド用水平揺動装置
KR100339486B1 (ko) 침대 승강장치
EP1762212A1 (en) Structure of magnetic levitation bed
CN210612616U (zh) 一种用于儿科门诊用专用输液椅
JP5364623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101721549B1 (ko) 안마 기능을 가지는 매트리스
JP5019438B2 (ja) マッサージ機
KR20130043138A (ko) 전동식 꺼꾸리용 구동장치 및 전동식 꺼꾸리
KR100897723B1 (ko) 높이조절 침대
JP3780792B2 (ja) リラックス装置
KR102090520B1 (ko) 수면 유도용 침대
CN219646172U (zh) 一种自适应腿长的按摩椅
KR200356521Y1 (ko) 치과용 스탠드 엑스레이장치
CN211065808U (zh) 功能床
KR100930059B1 (ko) 수면 유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