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723B1 - 높이조절 침대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723B1
KR100897723B1 KR1020080044733A KR20080044733A KR100897723B1 KR 100897723 B1 KR100897723 B1 KR 100897723B1 KR 1020080044733 A KR1020080044733 A KR 1020080044733A KR 20080044733 A KR20080044733 A KR 20080044733A KR 100897723 B1 KR100897723 B1 KR 100897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bed
plate
mattress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호
Original Assignee
안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호 filed Critical 안정호
Priority to KR102008004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43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using wound springs
    • A47C23/0435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using wound springs of adjustable resilie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각 부분에 대응하는 침대의 높이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침대사용자의 필요에 대응하고, 매트리스가 사용자의 신체 굴곡을 따라 골고루 접촉하여 체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매트리스가 놓이는 분할된 복수의 상판과; 하부지지판과 상기 각 상판과 하부지지판 사이에 높이조절기구를 가지는 침대이다.
침대, 상판, 하부지지판, 높이조절기구

Description

높이조절 침대{A height adjustable bed}
본 발명은 각 부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체부분, 허리부분 등 필요에 따라 해당부분의 상판의 높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매트리스를 오래 사용하여 눌려진 부분을 들어 올려 전체적으로 평탄한 형태를 유지하거나, 침대 위에 누워있는 사람의 자세를 변경할 필요 등에 따라 신체의 굴곡을 반영하여 체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프레임 위에 매트리스를 얹는 구조이며, 사용자가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푹신한 느낌을 주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침대 본래의 기능에 더하여, 매트리스를 오래 사용하여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꺼진 부분 때문에, 꺼지지 않은 다른 부분의 탄성이 유지되고 있음에도 매트리스 교체를 위해 지불해야 하는 비용을 절감할 필요성이나, 질환 등으로 장시간 같은 자세로 침대 위에 누워 있는 사람들이 누워 있는 채로 자세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 및 피곤한 상태로 침대 위에서 휴식을 취하려는 사람들에게 쾌적함을 주기 위한 부가적 기능에 대한 요청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체의 각 부분에 대응하는 침대의 높이를 각각 조절함으로써 침대사용자의 필요에 대응하고, 매트리스가 사용자의 신체 굴곡을 따라 골고루 접촉하여 체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매트리스가 놓이는 분할된 복수의 상판과;
하부지지판과;
상기 각 상판과 하부지지판 사이에 높이조절기구를 가지는 침대이다.
또한, 이러한 복수개의 상판위에 놓이는 매트리스가 각 상판들의 높이조절에 따라 발생하는 단차, 예를 들면 높이 올려진 상판과 그 옆에 위치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는 상판과의 단차를 덮어서 완만한 곡선을 만들게 되나 단차가 클 경우는 매트리스만으로는 이러한 단차를 현저히 완화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추가로 탄성을 제공하는 재질로 완충층을 만들어 상판과 매트리스 사이에 설치한다. 높이조절기구는 인력 또는 다른 동력에 의해 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각기 다른 두께를 갖는 각 상판 크기의 판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과 매트리스 사이에 하나 이상의 완충층을 가질 수 있으며, 완충층은 쿠션감을 부여하는 재질이나 구조로서 일반스프링, 포켓스프링, 스폰지, 우레탄, 라텍스, 코코넛 팜, 휄트류, 겔(gel)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상판들과 매트리스 사이에 스프링층(13′)을 완충층으로 가지는 침대를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도2에서는 2개의 완충층(13)과 스프링층(13’)을 동시에 가지는 침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에서 복수의 상판이 제1상판, 제2상판, 제3상판으로 분할되는 경우, 도1,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상판이 상체를 받치는 머리판, 상기 제2상판이 허리를 받치는 중앙판, 상기 제3상판이 하체를 받치는 다리판으로서 기능하며 각 상판을 위, 아래로 움직이는 높이조절기구의 작동에 의하여,
매트리스를 오래 사용하여 스프링이 아래로 꺼진 부분에 해당하는 중앙판을 들어 올려 매트리스를 평평하게 유지하는 기능, 머리판이나 다리판을 들어 올려 자세를 바꾸어 주는 기능, 상체부위와 하체부위는 내리고 허리부위를 높이기 위해, 머리판과 다리판을 내리고 중앙판을 높이는 등의 상대적인 높이조절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분할된 상판의 배치는 1인용, 2인용 등의 침대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매트리스의 재질이나 구조로서 일반스프링, 포켓스프링, 스폰지(우레탄, 라텍스), 코코넛 팜, 휄트류, 겔(gel) 등 어떤 종류를 채택한다 할지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체부위, 허리부위, 하체부위를 개별적으로 상승 또 는 하강 시키거나, 상체부위와 하체부위는 내리고 허리부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매트리스를 오래 사용하여 스프링이 아래로 꺼진 부분에 해당하는 중앙판을 들어 올려 매트리스를 평평하게 유지하거나,
주요 신체부위에 대응하는 침대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여 매트리스가 신체 굴곡을 따라 골고루 접촉하며 침대사용자가 선호하는 자세로 변경한다는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매트리스를 보다 장기간 평형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며 활력이 감소한 상태로 침대 위에 누워 있는 사람들이나, 피곤한 상태로 침대 위에 잠시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에게 쾌적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높이조절을 위해 에어백, 모터, 잭, 캠을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높이조절을 위한 기구가 상기 네 가지 종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에어백 침대의 기본적인 구성은,
세 개의 상판(1′, 2, 3’)과 하부지지판 사이에 놓이며 공기 주입구(6)를 갖는 에어백(5)으로 구성된다. 도3은 에어백이 한 개만 설치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입체적인 동작 예시도이다.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가 공급관연결구(8)를 통하여 에어백(5)에 주입되면 에어백이 부풀어 제2상판(2)이 위로 들려지며, 머리부(1′) 및 다리부(3′)과의 단차를 만들고, 그 위에 덮여지는 매트리스가 단차를 완만하게 만든다.
도4는 자세변경을 위하여 두 개의 에어백을 설치한 실시예로서 상체나 하체부분을 각각 또는 함께 신체의 다른 부분보다 높게 또는 낮게 배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제2상판(2)은 그 아래 에어백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또한 구비하지 않는 경우(중앙부, 2′)에도 제1상판(1)과 제3상판(3)의 공기충전량을 제어함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앙부(2′)가 다른 상판보다 높게 또는 낮게 위치하는 효과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에어백(6)이 두 개이며, 두 에어백의 경계부가 제2상판 아래에서 거리를 두고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이 때, 제2상판(2)의 아래는 상당한 부분이 빈공간이 되고, 제2상판(2)이 받는 체중이 제1상판(1)과 제3상판(3) 밑에 있는 에어백과 겹쳐지는 부분에만 걸리게 되므로, 제2상판(2)이 제1상판(1)과 제3상판(3)보다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신체의 상체와 하체가 허리부분보다 높게 위치하게 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각 에어백에 들어가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점진적인 상향 또는 하향 경사를 만들 수 있다.
도6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세 개의 에어백이 각각의 상판아래 개별적으로 놓인 경우를 나타내었다. 각각의 에어백에 주입되는 공기의 상대적인 양에 따라 각 상판의 상대적인 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선호하는 자세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7은 상기 기본적인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제2상판(2)과 하부지지판(4)사이의 각각의 모서리에 수직이동가이드가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부분입체도이다. 각 상판이 에어백위에 놓이게 되면 공기주머니의 특성상 좌우로 흔들릴 수 있으므로 상하가 아닌 전후좌우로의 움직임을 막아주기 위하여 스플라인방식이나 트러스트베어링방식 등의 수직이동을 가능하게 기구물(11, 12)을 설치하고 에어백을 구동하는 방식을 채택한 예이다. 도8은 제1판(1), 제2판(2), 제3판(3)이 각각 모두 수직이동 가이드를 채택한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도9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에 더하여, 상기 에어백의 공기주입구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 각 에어백에 연결된 공기공급관의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다. 각 에어백은 각각 연결된 공기공급관(7)과 공급관연결구(8)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아 같은 높이를 유지할 수도 있고, 하나의 공급관연결구(8)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되 필요에 의해 밸브(15)의 열림정도를 조합하여 각각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공기는 침대의 제3상판에 근접하는 면에 설치된 공급관 연결구(8)를 통해 인력펌프 또는 모터펌프에 의해 공급된다. 공급관 연결구(8)는 공급된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마개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도 7과 도 8에서 도시한 수직이동가이드를 채택하는 경우의 에어백 설치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에어백을 원통형으로 만들어 각각의 수직이동가이드 주변에 설치하는 경우로서, 이때, 수직이동가이드(11)와 슬라이더(12)가 앞서 예시한 스플라인연결이나 트러스트베어링과 같은 타이트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적정한 여유를 가지는 원통형의 기둥사이의 결합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네 모서리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수직방향의 높이조절 외에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전후좌우의 기울기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11은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에 더하여, 상기 상판들과 매트리스 사이에 완충층(13)과 스프링층(13′)을 가지는 침대를 도시하고 있다. 각 상판들의 높이조절에 따라 발생하는 단차를 매트리스가 현저히 완화시킬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추가로 탄성을 제공하는 재질로 복수의 완충층을 만들어 상판과 매트리스 사이에 설치한다.
도 12는 도10과 관련하여 언급한 원통형의 기둥사이의 적정한 여유를 가지는 결합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전후의 기울기를 보다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판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힌지(16)에 슬라이더(12)가 연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13은 도10과 관련하여 언급한 원통형의 기둥사이의 적정한 여유를 가지는 결합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전후좌우의 기울기를 보다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판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볼조인트(17)에 슬라이더(12)가 연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모터침대의 기본적인 구성은,
세 개의 상판(1´, 2, 3´)과 하부지지판 사이에 놓이는 높이조절기구가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이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축이 상판에 직결되는 외에, 하부지지판(4)에 고정된 모터(201)는 축이음(202)를 통해 나사축(203)과 연결되며, 제2상판(2)에 고정된 중공축(20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나사축과 중공축은 모터의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바꾸게 된다. 수직이동가이드(211)와 슬라이더(212)는 모터(201)의 회전에 의해 제2상판(2)가 자전하는 것 을 방지한다. 모터가 회전하여 제2상판(2)이 위로 들려지며, 머리부(1′) 및 다리부(3′)와의 단차가 생기고, 그 위에 덮여지는 매트리스가 단차를 완만하게 만든다.
도15에 상기 제2상판과 상기 하부지지판 사이에 상기 모터가 네 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모터(201)의 회전에 의해 제2상판(2)가 자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이동가이드(211)와 슬라이더(212)는 필요 없게 된다. 작은 용량의 모터를 복수로 설치하여 큰 모터를 한 개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구동부하를 줄이는 경우이다.
또한 상기 제1상판과 상기 하부지지판, 상기 제3상판과 상기 하부지지판 사이에 각각 상기 모터가 네 개씩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실시예가 도16에 도시되어 있다.
도17에서는, 상기 각 모터와 각 상판과의 연결부에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0과 관련하여 언급한 원통형의 기둥사이의 적정한 여유를 가지는 결합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전후의 기울기를 보다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판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힌지(216)에 중공축(204)이 연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18에서는, 상기 각 모터와 각 상판과의 연결부에 피봇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0과 관련하여 언급한 원통형의 기둥사이의 적정한 여유를 가지는 결합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전후좌우의 기울기를 보다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판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볼조인트(217) 에 중공축(204)가 연결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도16은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에 더하여, 상기 상판들과 매트리스 사이에 완충층(13)과 스프링층(13′)을 가지는 침대를 도시하고 있다. 각 상판들의 높이조절에 따라 발생하는 단차를 매트리스가 현저히 완화시킬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추가로 탄성을 제공하는 재질로 복수의 완충층을 만들어 상판과 매트리스 사이에 설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잭 침대의 기본적인 구성은,
세 개의 상판(1′, 2, 3′)과 하부지지판 사이에 놓이는 높이조절기구가 잭(jac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이다.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잭이 제2상판(2)에 십자지지대(302)를 통해 직결된다. 도20에서는 상기 잭의 제2상판(2)과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하여 두 개의 가로지지대(304)를 갖는 X자형 개량잭(303)을 사용하며, 힌지고정부(30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레일지지부(310)가 레일(309)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있으며, 좌우에 각각 설치된 개량잭(303)의 레일지지부(310)을 연결하며, 나사축지지대(306)에 의해 지지되는 나사축(307)이 통과하는 나사산을 갖는 구멍이 마련된 이동보강대(305)가 도시되어 있다. 나사축이 회전하여 제2상판(2)이 위로 들려지며, 머리부(1′) 및 다리부(3′)와의 단차가 생기고, 그 위에 덮여지는 매트리스가 단차를 완만하게 만든다.
도21에서는, 상기 제1상판과 하부지지판, 제3상판과 하부지지판 사이에 각각 두 개의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가 도시되어 있으며, 장시간 동일한 자세를 취하는 경우의 불편 해소를 목적으로 침대위의 사람을 그대로 둔 채로 자세변경을 실시하기 위하여 두 개의 상판을 움직이는 실시예로서 상체나 하체부분을 각각 또는 함께 신체의 다른 부분보다 높게 배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판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기 위한 하나의 크랭크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도22a와 도22b에서는, 상기와 같이 각 상판의 아래에 좌우로 위치하는 두 개의 X자형 잭을 연동시키기 위하여, 침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배치되는 상기 두 개의 잭(303)과;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각각의 잭의 두 개의 상부를 상판과 연결하는 힌지와;
상기 하부지지판에 침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상기 각각의 잭의 하부의 양단 중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308)와;
상기 각각의 좌, 우로 배치되는 잭의 하부의 타단(310)을 연결하며, 침대폭방향에 평행한 막대형상으로서 중앙부에 나사구멍을 갖는 연결부(305)와;
상기 연결부의 나사구멍을 지나며, 회전에 의해 연결부를 이동시키는 나사축(30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의 제2상판이 상하로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21은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에 더하여, 상기 상판들과 매트리스 사이에 완충층(13)과 스프링층(13′)을 가지는 침대를 도시하고 있다. 각 상판들의 높이조절에 따라 발생하는 단차를 매트리스가 현저히 완화시킬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추가로 탄성을 제공하는 재질로 복수의 완충층을 만들어 상판과 매트리스 사이에 설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캠 침대의 기본적인 구성은,
세 개의 상판(1, 2, 3)과 하부지지판(4′)사이에 놓이며, 회전운동을 상하운 동으로 바꾸는 하부캠(416)과 종동체(417)를 가진다.
도2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러한 침대의 구성 중 상기 캠구조물가 침대의 가운데에 위치한 제2판(2)의 아래에만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입체도이며, 도24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판의 아래에 설치된 캠구조를 작동시켜 제2상판(2)이 위로 들려지며, 제1판(1) 및 제3판(3)과의 단차가 생기고, 그 위에 놓이는 매트리스(9)가 단차를 완만하게 만들어 침대에 눕는 신체의 허리 및 엉덩이의 굴곡에 밀착하는 형태가 된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체중분산이 이루어져 보다 쾌적한 휴식상태에 이르게 된다.
상기 실시예가 하부캠과 종동체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부분이 침대의 중간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인 반면, 도25에는 하부캠과 종동체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부분이 상체부분이 놓이는 제1판과 하체부분이 놓이는 제3판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25는 장시간 동일한 자세를 취하는 경우의 불편 해소를 목적으로 침대위의 사람을 그대로 둔 채로 자세변경을 실시하기 위하여 두 개의 상판을 움직이는 실시예로서 상체나 하체부분을 각각 또는 함께 신체의 다른 부분보다 높게 배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판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기 위한 하나의 크랭크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제2상판과 하부지지판 사이에 하부캠과 종동체가 상판의 모서리부마다 각 한 쌍씩 네 쌍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의 침대 가 도26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되는 제1판과 하부지지판 및 제3판과 하부지지판 사이에 각각 도26에 예시한 바와 같은 하부캠과 종동체가 네 쌍씩 놓일 수 있다. 도27에는 하부캠(416)과 종동체(417)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네 개의 캠들이 동시에 회전하여 각각의 종동체(417)와 연결된 상판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하부캠(416)을 부분회전시키는 직선방향의 힘이 전달되어야 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크랭크기구를 돌려 발생하는 회전력을 연결부재간의 직선운동으로 바꾸고, 이 직선운동을 다시 직선운동면에 직각인 방향의 수직운동으로 바꾸기 위해 다수의 결합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결합축들은 회전축(415, 4151, 4152, 4153, 4154), 진행축(423, 4231, 4232, 4233, 4234), 푸쉬축(409, 4091, 4092)을 포함한다.
상기 각 상판과 하부지지판 사이에 놓이는 네 쌍의 하부캠과 종동체는, 도27의 캠 부분확대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부지지판(4′)에 회전축(415)이 설치되고 이 축에 하부캠(416)이 결합되며, 하부캠의 나선회전면을 따라 종동체(417)가 맞물리고, 하부캠의 회전에 따라 종동체(417)가 회전하며 상승하고, 도2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격자형으로 연결되어 강성이 확보된 종동체프레임(418)과 가로프레임(419)이 위로 올라가며 매트리스(9)의 중간 부분이 들어 올려져(도24참조) 허리와 엉덩이 부분의 굴곡에 맞춰지게 된다.
이러한 상승동작을 위해서는 도28의 결합축간 연결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캠(416)에 회전바(420)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만들어진 구멍을 진행축(4231)이 관통하며 부싱(421), 변환바(424), 와셔(422)가 차례로 결합되고, 축잠금부(423′)에 의해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상호 회전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며 축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변환바(424)의 직선운동이 하부캠(416)의 부분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두 개의 진행축이 짝(4231과 4232, 4233과 4234)을 이루어 변환바(424)에 각각 연결되고, 각 변환바의 일단이 연결되는 진행축(4232, 4234)에 푸쉬로드(4101, 4102)의 일단을 연결하며, 각 푸쉬로드의 타단은 푸쉬바(4081)의 양단에서 푸쉬축(4091, 4092)과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푸쉬로드(410)와 연결된 푸쉬바(4081)는 슬라이더(408)의 내부를 회전하면 전후진하는 나사축(407)과 직각을 유지하며 고정되며, 이 나사축(407)은 중공축(406)과 나사축홀더(411)에 의해 지지되면서 크랭크(402)와 연결된다.
이러한 요소들 간의 결합관계를 갖는 침대는,
쌍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상기 각 상판과 하부지지판 사이에 놓이는 높이조절기구인, 하나의 상판의 네 모서리의 하부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네 개의 종동체(417)와, 상기 종동체와 맞물리며 각각의 회전바(420)를 가지며 연동되는 네 개의 하부캠(416)과;
좌측에 설치된 두 개의 하부캠에 고정된 각각의 회전바와 단부와 각각 제1진행축(4231)결합과 제2진행축(4232)결합하는 양 단부를 가지며 침대길이방향을 따르는 막대형상의 좌측변환바(4241)와;
우측에 설치된 두 개의 하부캠에 고정된 각각의 회전바의 단부와 각각 제3진행축(4233)결합과 제4진행축(4234)결합하는 양 단부를 가지며 침대길이방향을 따르는 막대형상의 우측변환바(4242)와;
내경의 나사산에 의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슬라이더(408)에 고정되며, 축결합하는 양단이 있는 막대형상을 가지며 침대폭방향에 평행한 푸쉬바(4081)와;
일단이 상기 좌측변환바 상의 하나의 축결합에 결합하고 타단이 푸쉬바의 일단과 축결합하는 좌측푸쉬로드(4101)와;
일단이 상기 우측변환바 상의 하나의 축결합에 결합하고 타단이 푸쉬바의 타단과 축결합하는 우측푸쉬로드(4102)와;
중공축(406)과 나사축홀더(41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더(408)에 끼워지며 크랭크(402)에 연결되는 나사축(407)으로 이루어진다.
도29a와 도29b는 이러한 구성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29a는 하부캠(416)과 종동체(417)가 맞물려 있어 상판이 상승하지 않은 모습을 나타내며, 도29b는 종동체프레임(418)과 가로프레임(419)으로 이루어지는 상판이 하부캠(416)의 회전에 따라 들어 올려진 모습이다.
도30은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에 더하여, 상기 상판들과 매트리스 사이에 완충층(13)을 가지는 침대를 도시하고 있다. 각 상판들의 높이조절에 따라 발생하는 단차를 매트리스가 모두 완화시킬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추가로 탄성을 제공하는 재질로 완충층을 만들어 상판과 매트리스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 완충층은 침대커버로서의 기능을 겸할 수 있으며, 또한 독립적으로 놓여지거나 침대틀 전체에 씌워져 있거나 부착되는 등 설치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도30은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에 더하여, 상기 상판들과 매트리스 사이에 완충층(13)과 스프링층(13′)을 가지는 침대를 도시하고 있다. 각 상판들의 높이조절에 따라 발생하는 단차를 매트리스가 현저히 완화시킬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추가로 탄성을 제공하는 재질로 복수의 완충층을 만들어 상판과 매트리스 사이에 설치한다.
1: 제1상판
1′: 머리부(고정된 제1상판)
2: 제2상판
2′: 중앙부(고정된 제2상판)
3: 제3상판
3′: 다리부(고정된 제3상판)
4: 하부지지판
4′: (분할된) 하부지지판
5: 에어백
6: 공기주입구
7: 공기공급관
8: 공급관연결구
9: 매트리스
10: 측면판
11: 수직이동가이드
12: 슬라이더
13: 완충층
13′: 스프링층
14: 원통형 에어백
15: 밸브
16: 힌지
17: 볼조인트
201: 모터
202: 축이음
203: 나사축
204: 중공축
205: 중공축지지대
206: 중공축브라켓
211: 수직이동가이드
212: 슬라이더
216: 힌지
217: 볼조인트
301 잭
302 십자지지대
303 개량잭
304 가로지지대
305 이동보강대
306 나사축지지대
307 나사축
308 힌지고정부
309 레일
401. 크랭크홀더
402. 크랭크
403. 손잡이
404. 침대커버
405. 중공축홀더
406. 중공축
407. 나사축
408. 슬라이더
4081. 푸쉬바
409. 푸쉬축
4091. 제1푸쉬축
4092. 제2푸쉬축
410. 푸쉬로드
4101. 좌측푸쉬로드
4102. 우측푸쉬로드
411. 나사축홀더
412. 보강쇠
414. 보강볼트
415. 회전축
4151. 제1회전축
4152. 제2회전축
4153. 제3회전축
4154. 제4회전축
416. 하부캠
417. 종동체
418. 종동체프레임
419. 가로프레임
420. 회전바
421. 부싱
422. 와셔
423. 진행축
423′. 축잠금부
4231. 제1진행축
4232. 제2진행축
4233. 제3진행축
4234. 제4진행축
423′. 축잠금부
424. 변환바
4241. 좌측변환바
242. 우측변환바
425. 침대상판후면
426. 프레임보강대
도1 본 발명에 의한 침대의 구성도
도2 본 발명에 의한 침대의 다른 구성도
도3 본 발명의 한 개의 에어백의 실시예
도4 본 발명의 두 개의 에어백의 실시예
도5 본 발명의 두 개의 에어백의 다른 실시예
도6 본 발명의 세 개의 에어백의 실시예
도7 본 발명의 수직이동가이드의 실시예
도8 본 발명의 수직이동가이드를 각 상판에 적용한 실시예
도9 본 발명의 공기공급관의 구성예
도10 본 발명의 원통형 에어백의 실시예
도11 본 발명의 복수의 완충층의 실시예
도12 본 발명의 힌지를 사용한 실시예
도13 본 발명의 볼조인트를 사용한 실시예
도14 본 발명의 한 개의 모터의 실시예
도15 본 발명의 네 개의 모터의 실시예
도16 본 발명의 여덟 개의 모터의 실시예
도17 본 발명의 모터와 힌지를 사용한 실시예
도18 본 발명의 모터와 볼조인트를 사용한 실시예
도19 본 발명의 잭을 사용한 구성을 나타낸 입체도
도20 본 발명의 개량 잭을 사용한 구성을 나타낸 입체도
도21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축간 연결 상세도
도22a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동작예시도
도22b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동작예시도
도23 본 발명에 의한 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입체도
도24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25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도26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 구성도
도27 본 발명의 실시예의 캠 부분확대도
도28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축간 연결 상세도
도29a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동작예시도
도29b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동작예시도
도30 상판과 매트리스 사이의 완충층 예시도

Claims (36)

  1.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가 놓이는 분할된 제1상판, 제2상판, 제3상판과;
    하부지지판과;
    상기 분할된 상판과 매트리스 사이에 놓이는 하나 이상의 완충층과;
    상기 제1상판, 제2상판, 제3상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하부지지판 사이에 놓이며, 침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 연동되는, 높이조절기구인 두 개의 X자형 잭과;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각각의 잭의 두 개의 상부를 상판과 연결하는 힌지와;
    상기 하부지지판에 침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상기 각각의 잭의 하부의 양단 중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와;
    상기 각각의 잭의 하부의 양단 중 타단을 연결하며 침대머리방향에 평행한 막대형상으로서 중앙부에 나사구멍을 갖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나사구멍을 지나며, 회전에 의해 연결부를 이동시키는 나사축을 가지는 침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 중의 하나가 스프링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가 놓이는 분할된 제1상판, 제2상판, 제3상판과;
    하부지지판과;
    상기 분할된 상판과 매트리스 사이에 놓이는 하나 이상의 완충층과;
    상기 제1상판, 제2상판, 제3상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하부지지판 사이에 놓이는 높이조절기구인, 하나의 상판의 네 모서리의 하부에 설치되는 네 개의 종동체와, 상기 종동체와 각각 쌍을 이루어 맞물리며 각각의 회전바를 가지며 연동되는 네 개의 하부캠과
    좌측에 설치된 두 개의 하부캠에 고정된 각각의 회전바의 단부와 각각 제1진행축결합과 제2진행축결합하는 양 단부를 가지며 침대길이방향을 따르는 막대형상의 좌측변환바와;
    우측에 설치된 두 개의 하부캠에 고정된 각각의 회전바의 단부와 각각 제3진행축결합과 제4진행축결합하는 양 단부를 가지며 침대길이방향을 따르는 막대형상의 우측변환바와;
    내경의 나사산에 의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축결합하는 양단이 있는 막대형상을 가지며 침대머리방향에 평행한 푸쉬바와;
    일단이 상기 좌측변환바상의 하나의 축결합과 결합되고 타단이 푸쉬바의 일단과 축결합하는 좌측푸쉬로드와;
    일단이 상기 우측변환바상의 하나의 축결합과 결합되고 타단이 푸쉬바의 타단과 축결합하는 우측푸쉬로드와;
    중공축과 나사축홀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끼워지며 크랭크에 연결되는 나사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35. 삭제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 중의 하나가 스프링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KR1020080044733A 2008-05-14 2008-05-14 높이조절 침대 KR100897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733A KR100897723B1 (ko) 2008-05-14 2008-05-14 높이조절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733A KR100897723B1 (ko) 2008-05-14 2008-05-14 높이조절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723B1 true KR100897723B1 (ko) 2009-05-18

Family

ID=4086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733A KR100897723B1 (ko) 2008-05-14 2008-05-14 높이조절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7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122A1 (ko) * 2015-10-28 2017-05-04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침대
CN113679201A (zh) * 2021-08-27 2021-11-23 芜湖集拓实心胎有限公司 环保办公家具弹簧垫橡胶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274A (ko) * 1997-09-13 1998-03-30 소용호 안마침대
KR100204718B1 (ko) * 1997-05-16 1999-06-15 박창준 침대매트리스용 공기쿠션장치
KR20030012411A (ko) * 2001-07-31 2003-02-12 박규화 건강침대
KR100555895B1 (ko) * 2003-04-07 2006-03-03 문명일 압축공기식 자동조절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718B1 (ko) * 1997-05-16 1999-06-15 박창준 침대매트리스용 공기쿠션장치
KR980000274A (ko) * 1997-09-13 1998-03-30 소용호 안마침대
KR20030012411A (ko) * 2001-07-31 2003-02-12 박규화 건강침대
KR100555895B1 (ko) * 2003-04-07 2006-03-03 문명일 압축공기식 자동조절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122A1 (ko) * 2015-10-28 2017-05-04 주식회사 삼홍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침대
CN108471888A (zh) * 2015-10-28 2018-08-31 株式会社三弘社 高度可调式床
CN113679201A (zh) * 2021-08-27 2021-11-23 芜湖集拓实心胎有限公司 环保办公家具弹簧垫橡胶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67363B (zh) 能翻转的车用座椅框架组件
CN102297323B (zh) 一种笔记本电脑支架
KR101227967B1 (ko) 의료용 욕창방지 침대
US11026516B2 (en) Adjustable bed apparatus and methods incorporating a rail system
CN100475094C (zh) 可调式坐具
KR101266497B1 (ko) 가변 시트형 안마 의자
CN105726237A (zh) 一种整体旋转翻身床
KR100897723B1 (ko) 높이조절 침대
CN113017326B (zh) 按摩椅
KR101718901B1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침대
KR20110037429A (ko) 휠체어 변신 침대
CN201939684U (zh) 一种按摩椅机架
KR100339486B1 (ko) 침대 승강장치
WO2023202301A1 (zh) 一种床架、床垫及电动床
CN103169580A (zh) 腰椎颈椎调理床
CN114652130B (zh) 一种按摩床垫
CN206120605U (zh) 带手托的护理床
CN206880482U (zh) 一种新型平推式电动床
CN114158875A (zh) 一种带可调节腰部支撑的床
KR102025523B1 (ko) 전동형 이승강기
CN101019797B (zh) 一种床面角度可调的理疗床
CN212817040U (zh) 一种按摩床的支撑机构
CN213048082U (zh) 一种按摩床的按摩力度调节机构
CN209776261U (zh) 一种用于副驾驶和后排座椅的地毯按摩装置
JPS5810595Y2 (ja) 寝台に於ける背部床板の昇降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