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887B1 -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 Google Patents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887B1
KR101454887B1 KR1020130110822A KR20130110822A KR101454887B1 KR 101454887 B1 KR101454887 B1 KR 101454887B1 KR 1020130110822 A KR1020130110822 A KR 1020130110822A KR 20130110822 A KR20130110822 A KR 20130110822A KR 101454887 B1 KR101454887 B1 KR 101454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surface
face
protective
mask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주)온유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온유조경 filed Critical (주)온유조경
Priority to KR1020130110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는, 마스크와, 마스크에 덧대어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작업자의 안면 전체를 감싸는 투명 재질의 보호면과, 마스크와 보호면을 연결시키는 연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FACE PROTECTIVE EQUIPMENT HAVING DETACHABLE STRUCTURE OF PROTECTION MEMBER}
본 발명은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안면전체를 감쌀 수 있는 보호면을 마스크에 탈착시킬 수 있는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비산되는 유해한 물질(제초제, 살충제 등)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마스크, 보호헬멧 등과 같은 안면보호 장비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마스크와 같이 안면 일부만을 보호하는 안면보호 장비를 사용할 경우, 안면전체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호헬멧과 같은 안면보호 장비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작업자의 머리가 압박되어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었고, 내부에 김서림이 발생하거나 비산되는 유해한 물질이 외부에 부착되어 작업을 위한 시야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702678호(1998.08.05. 공개)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납작하게 접히는 개인용 호흡 보호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농약을 살포하는 조경작업 시, 작업자의 안면전체를 감싸 보호할 수 있는 보호면을 마스크에 탈착시켜 작업 안정성 및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는, 마스크; 상기 마스크에 덧대어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작업자의 안면 전체를 감싸는 투명 재질의 보호면; 및 상기 마스크와 보호면을 연결시키는 연결구;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면은, 내부에 김서림 방지층이 코팅되고 외부에 발수층이 코팅된다.
상기 발수층은, 탄화수소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염소화합물 및 불소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면 외부의 일부 구간에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실리카 피막층이 구비된다.
상기 보호면은, 상부에 일부가 개방된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보호면의 상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보호면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보호면은, 복수의 마디가 서로 포개져 길이가 신축되는 절첩식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상기 삽입부의 상부를 덮되, 상기 보호면의 내부로 돌출된 단턱을 갖는 상부덮개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격된 간격으로 함몰된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보호면은, 상기 삽입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양분되어 양측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고정돌기; 및 상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의 상부를 덮되, 상기 보호면의 내부로 돌출된 단턱을 갖는 상부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보호면은, 상기 삽입부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연결구는, 벨크로, 단추 및 고정클립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는, 내부에 탈착 가능한 거즈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에 의하면, 농약 살포 작업 시 작업자의 안면전체를 감싸 보호할 수 있는 보호면을 마스크에 탈착시켜 작업의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면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면 형태에 따라 안면 보호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표시된 A-A'선의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에 있어서, 연결구를 중심으로 앞뒤로 회동되는 보호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에 있어서, 보호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표시된 B-B'선의 단면도.
도 9는 도 7에 표시된 C-C'선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가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에 있어서, 거즈가 탈착되는 마스크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가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8은 도 14에 표시된 D-D'선의 단면 예시도.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100)는, 마스크(110), 보호면(120) 및 연결구(130)를 포함한다.
마스크(110)는 작업자의 코와 입을 보호할 수 있으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머리에 직접 부착이 가능한 고정밴드(111)를 구비한다.
보호면(120)은 마스크(110)에 덧대어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보호면(120)은 작업자의 안면 전체를 감쌀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투명한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보호면(120)은 곡면을 이루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마스크(110)를 둘러 감쌀 수 있다. 이때, 보호면(120)은 마스크(110)에 탈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경량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보호면(12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구(130)는 마스크(110)와 보호면(120)을 연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연결구(130)는 마스크(110)와 보호면(120) 사이에 구비되어, 보호면(120)이 마스크(110)에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표시된 A-A'선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병행 참조하면, 연결구(130)는 마스크(110)와 보호면(120)을 연결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구(130)는 벨크로, 단추 및 고정클립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30)는 마스크(110)와 보호면(120) 사이에서 벨크로(131, 132)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도 4에서처럼 고정클립 형태로 이루어져 마스크(110)에 보호면(1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연결구(130)는 도 5에서처럼 수단추(133)와 암단추(134)가 탈착되는 단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에 있어서, 연결구를 중심으로 앞뒤로 회동되는 보호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구(130)가 수단추와 암단추가 탈착되는 구조를 가질 경우, 이러한 연결구(130)를 중심으로 보호면(120)이 앞뒤로 회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에 있어서, 보호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표시된 B-B'선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표시된 C-C'선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병행 참조하면, 보호면(120)은 작업자의 안면 전체를 감쌀 수 있는 보호면적을 가지며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호면(120)의 내부에는 김서림 방지층(Anti fog, 123)이 코팅되고 외부에는 발수층(121)이 코팅된다.
여기서 김서림 방지층(123)은 액상 형태로 보호면(120)의 내부 표면에 도포되거나, 스티커 형태로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김서림 방지층(123)은 보호면(120)의 내부의 전면 또는 일부면에 구코팅될 수 있으며, 일부면인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확보 구간(V.F)에 코팅될 수 있다.
발수층(121)은 탄화수소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염소화합물 및 불소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중에서 발수층(121)은 플루오로알킬실란(FAS)계의 발수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극소의 표면에너지를 부여하는 성분인 CF3 또는 CF2를 충분히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플루오로알킬실란계 발수제는 임계표면장력이 20 dyn/cm 이하가 되어 물 및 극성용제는 물론, 기름도 발하는 성질을 가지며, 직선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발수기의 조밀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발수층(121)은, 김서림 방지층(123)과 마찬가지로 액상 형태로 보호면(120)의 외부 표면에 도포되거나, 스티커 형태로 접착될 수 있다.
이렇게 발수층(121)이 보호면(120)의 외부에 코팅됨에 따라, 작업자는 깨끗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수층(121)은 보호면(120)에 미끄럼 증가를 유발하여, 농약 등과 같은 유해한 물질이 보호면(120)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보호면(120)의 외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카 피막층(122)이 발수층(121)과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실리카 피막층(122)은 보호면(120)의 외부 일부 구간에 구비되며, 표면 거칠기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호면(120)의 외부 일부 구간이란 도 6에 도시된 시야확보 구간(V.F)이 아닌 나머지 구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실리카 피막층(122)은 다수의 미세 실리카결정입자가 분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실리카 피막층(122)은, 발수층(121)이 보호면(120)으로부터 쉽게 박리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강화시켜줄 수 있다.
아울러,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면(120)의 시야확보 구간(V.F)에서, 보호면(120)의 내부에는 김서림 방지층(123)이 코팅되고, 보호면(120)의 외부에는 발수층(121)이 코팅된다.
즉, 시야확보를 위해 보호면(120)의 내부 시야확보 구간(V.F)에는 실리카 피막층(122)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가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100)는, 작업자(H)의 안면 전체를 감쌀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조경작업 중 농약을 살포하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 본 발명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 보호 장비(100)는 작업자(H)의 안면 전체를 감쌈으로써 농약으로부터 작업자(H)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보호면(120)의 외부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발수층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농약이 묻더라도 쉽게 흘러내려 작업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에 있어서, 거즈가 탈착되는 마스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마스크(110)는 내부에 탈착 가능한 거즈(1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110)는 작업자가 착용 중에 호흡에 의해 마스크(110)의 내부가 젖었을 경우, 마스크(110)를 교체할 필요 없이 내부 거즈(112) 만을 탈거시키고 새로운 거즈(112)를 장착시킬 수 있다.
이는 마스크(110)의 교체횟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내부의 거즈(112)를 연결편(113)을 통해 탈착시킴에 따라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작업자의 위생문제 및 작업상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편(113)은 마스크(110)의 내부와 거즈(112)의 외부 사이에 구비되며, 벨크로, 단추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가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100)는 보호면(120)에 귀마개(15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귀마개(150)와 보호면(120) 사이에는 이음부(160)가 구비된다. 이음부(160)는 귀마개(150)와 연결되는 이음부재(161)와, 상기 이음부재(161)를 보호면(120)에 연결시키는 이음편(162)을 구비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안면보호 장비(100)를 착용할 경우 작업자(H)의 귀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귀마개(150)가 착용된다.
이러한 귀마개(150)는 이음부(160)를 통해 보호면(12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보호면(120)의 내부에는 귀마개(15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여기서 귀마개(150)는 이음부재(161)와의 연결부위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음부(160)의 이음부재(161)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음편(162)은 보호면(120)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면(120)에는 소정의 연결홀(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이음편(162)이 탈착되는 구조를 갖거나, 보호면(120)과 이음편(162) 사이에 암, 수단추 구조를 통해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작업자(H)가 안면보호 장비(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모자(C)를 쓴 후 작업을 할 때, 모자(C)와 보호면(120) 사이의 간격(t)이 없거나 작으면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인 안면보호 장비(100)는 연결구(130)를 중심으로 보호면(120)을 앞뒤로 회동시켜 모자(C)와 보호면(120) 사이의 간격(t)을 조절하여 공기가 잘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 내지 도 18은 도 14에 표시된 D-D'선의 단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100)는 마스크(110), 보호면(120), 연결구(130) 및 보조보호면(140)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보호면(14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13에서 상술된 내용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술된 내용이라도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조보호면(140)은 보호면(120)의 상부에 일부가 개방된 삽입부(124)에 구비된다. 이때, 보조보호면(140)은 상기 보호면(120)의 상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보호면(140)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마디가 서로 포개져 길이가 신축되는 절첩식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조보호면(140)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부의 상부를 덮되, 상기 보호면의 내부로 돌출된 단턱(142a)을 갖는 상부덮개(1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142a)은 작업자의 손이 닿는 소정의 길이(L)로 돌출되어, 보조보호면(140)을 상부로 쉽게 올릴 수 있게 해준다.
도 17 및 도 18의 보조보호면(140)은 도 15 및 도 16과 다른 실시예로써, 보호면(120)의 구조도 상이하다.
즉, 도 17 및 도 18을 병행 참조하면, 보호면(120)의 삽입부(124)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격된 간격으로 함몰된 고정홈(125)을 구비한다.
이러한 보조보호면(140)은 몸체, 고정돌기(141) 및 상부덮개(142)를 ??마한다. 몸체는 보조보호면(140)의 외형을 이루며, 상기 삽입부(124)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고정돌기(141)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양분되어 양측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부덮개(142)는 상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124)의 상부를 덮되, 상기 보호면(120)의 내부로 돌출된 단턱(142a)을 갖는다.
이때, 상기 단턱(142a)은 작업자의 손이 닿는 소정의 길이(L)로 돌출되어, 보조보호면(140)을 상부로 쉽게 올릴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작업자마다 안면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면 형태에 따라 손쉽게 안면보호 면적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보호면(140)은 상기 삽입부(124)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조경작업 등에 사용된 안면보호 장비(100)를 재사용하기 위해 세척할 시, 농약으로 인해 오염된 부위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는, 농약 살포 작업 시 작업자의 안면전체를 감싸 보호할 수 있는 보호면을 마스크에 탈착시켜 작업의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면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면 형태에 따라 안면 보호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상술된 상세한 설명 및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110 : 마스크 111 : 고정밴드
112 : 거즈 113 : 연결편
120 : 보호면 121 : 발수층
122 : 실리카 피막층 123 : 김서림 방지층
124 : 삽입부 125 : 고정홈
130 : 연결구 131, 132 : 벨크로
133 : 수단추 134 : 암단추
140 : 보조보호면 141 : 고정돌기
142 : 상부덮개 142a : 단턱
150 : 귀마개
160 : 이음부 161 : 이음부재
162 : 이음편

Claims (10)

  1. 마스크;
    상기 마스크에 덧대어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작업자의 안면 전체를 감싸는 투명 재질의 보호면; 및
    상기 마스크와 보호면을 연결시키는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면은 내부에 김서림 방지층이 코팅되고 외부에 발수층이 코팅되며,
    상기 보호면 외부의 일부 구간에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실리카 피막층이 구비되는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층은,
    탄화수소계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 염소화합물 및 불소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면은,
    상부에 일부가 개방된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보호면의 상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보호면이 구비되는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보호면은,
    복수의 마디가 서로 포개져 길이가 신축되는 절첩식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상기 삽입부의 상부를 덮되, 상기 보호면의 내부로 돌출된 단턱을 갖는 상부덮개를 구비하는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격된 간격으로 함몰된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보호면은,
    상기 삽입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양분되어 양측으로 압력이 작용하는 고정돌기; 및
    상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의 상부를 덮되, 상기 보호면의 내부로 돌출된 단턱을 갖는 상부덮개;를 포함하는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보호면은,
    상기 삽입부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벨크로, 단추 및 고정클립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진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내부에 탈착 가능한 거즈를 구비하는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KR1020130110822A 2013-09-16 2013-09-16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KR101454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22A KR101454887B1 (ko) 2013-09-16 2013-09-16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22A KR101454887B1 (ko) 2013-09-16 2013-09-16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887B1 true KR101454887B1 (ko) 2014-11-04

Family

ID=5228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822A KR101454887B1 (ko) 2013-09-16 2013-09-16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8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421B1 (ko) * 2020-06-19 2021-03-09 백기선 페이스 쉴드 프레임의 투명보호창에 조립되는 위생 쉴드 마스크
KR102227497B1 (ko) * 2020-08-20 2021-03-12 배영진 마스크 착탈형 비말방지용 보안면
KR102273318B1 (ko) * 2020-11-12 2021-07-06 배영진 비말방지용 보안면 착탈이 용이한 복합 마스크
IT202000007042A1 (it) * 2020-04-02 2021-10-02 Stefano Cerchiari Dispositivo accessorio per mascherine di protezione delle vie respiratorie di un utente.
KR20210002533U (ko) 2020-05-11 2021-11-18 문시현 안면보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881Y1 (ko) * 1994-04-19 1996-06-17 주식회사 홍진크라운 헬멧 안면보호판의 김서림 및 성애서림 방지구조
JPH08252335A (ja) * 1994-02-22 1996-10-01 Nisshin Steel Co Ltd 液体処理用顔面保護カバー材
JPH09251144A (ja) * 1996-01-09 1997-09-22 Takehara Nobuaki マスクの設けられた顔面保護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2335A (ja) * 1994-02-22 1996-10-01 Nisshin Steel Co Ltd 液体処理用顔面保護カバー材
KR960004881Y1 (ko) * 1994-04-19 1996-06-17 주식회사 홍진크라운 헬멧 안면보호판의 김서림 및 성애서림 방지구조
JPH09251144A (ja) * 1996-01-09 1997-09-22 Takehara Nobuaki マスクの設けられた顔面保護体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07042A1 (it) * 2020-04-02 2021-10-02 Stefano Cerchiari Dispositivo accessorio per mascherine di protezione delle vie respiratorie di un utente.
WO2021198747A1 (en) * 2020-04-02 2021-10-07 Cerchiari Stefano Accessory device for masks for protecting the respiratory tracts of a user
KR20210002533U (ko) 2020-05-11 2021-11-18 문시현 안면보호장치
KR102225421B1 (ko) * 2020-06-19 2021-03-09 백기선 페이스 쉴드 프레임의 투명보호창에 조립되는 위생 쉴드 마스크
KR102227497B1 (ko) * 2020-08-20 2021-03-12 배영진 마스크 착탈형 비말방지용 보안면
KR102273318B1 (ko) * 2020-11-12 2021-07-06 배영진 비말방지용 보안면 착탈이 용이한 복합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887B1 (ko) 보호면 탈착구조를 갖는 안면보호 장비
JP6018072B2 (ja) 農薬防霧マスク
KR100873671B1 (ko) 타자 보호용 위생 마스크
KR101787486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
KR100920512B1 (ko) 다기능 마스크
US20090126064A1 (en) Mask and Face Shield
US8899743B2 (en) Protective spray painter eyewear
US11478668B1 (en) Mask apparatuses and approach
JP6541649B2 (ja) 鼻支持拡張部を有する呼吸用マスク
JP2008541197A (ja) 着脱可能なフレームを有したゴーグル、そのゴーグルの作成方法およびそのゴーグルの使用方法
JP2011505200A5 (ko)
US20140259320A1 (en) Air safety protector for the facial area including the eyes, nose, mouth and ears
US20140215696A1 (en) Face mask with hearing protection
JP6223140B2 (ja) 使い捨てマスク
JP3194865U (ja) 顔面ガードフレーム
KR200493595Y1 (ko) 향균 패치를 구비한 마스크
EP2747720B1 (en) Protective spray painter eyewear
US6694971B2 (en) Face mask
US8721071B2 (en) Protective spray painter eyewear
KR102339309B1 (ko)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KR100422968B1 (ko) 김서림 방지구가 구비된 방제복
US20080010726A1 (en) Disposable Deflector Eyepiece
KR101686662B1 (ko) 원터치 방독면
KR102444763B1 (ko) 입김배출패드가 구비된 김서림 방지형 방진 마스크
KR102556624B1 (ko) 일체형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