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316B1 -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316B1
KR101454316B1 KR1020120090341A KR20120090341A KR101454316B1 KR 101454316 B1 KR101454316 B1 KR 101454316B1 KR 1020120090341 A KR1020120090341 A KR 1020120090341A KR 20120090341 A KR20120090341 A KR 20120090341A KR 101454316 B1 KR101454316 B1 KR 10145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nfr
fusion protein
buffer
protein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644A (ko
Inventor
원혜순
성병제
안용호
박상경
Original Assignee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7152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5431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2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1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cytokines; for lymphokines; for interferons
    • C07K14/7151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cytokines; for lymphokines; for interferons for tumor necrosis factor [TNF], for lymphotoxin [L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78NGF-receptor/TNF-receptor superfamily, e.g. CD27, CD30, CD40, CD95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9/00Hybrid peptides, i.e. peptides covalently bound to nucleic acids, or non-covalently bound protein-protein comple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C07K1/18Ion-exchange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C07K1/20Partition-, reverse-phase or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C07K1/22Affinity chromatography or related techniques based upon selective absorp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30Non-immunoglobulin-derived peptide or protein having an immunoglobulin constant or Fc region, or a fragment thereof,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HIC)를 이용한 TNFR-Fc 융합 단백질을 분리하여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농도의 염 용액으로 단백질 시료의 전도도를 조절하고 그 주입양을 조절하여 치환효과에 의해 절단형 단백질로부터 활성형 단백질을 고순도로 분리하여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TNFR-Fc 융합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Method for Preparing Active Form of TNFR-Fc Fusion Protein}
본 발명은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HIC)를 이용한 TNFR-Fc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농도의 염 용액으로 단백질 시료의 전도도를 조절하고 그 주입양을 조절하여 치환효과에 의해 절단형 단백질들이 혼합된 TNFR-Fc 융합 단백질의 혼합액으로부터 활성형 단백질을 고순도로 분리하여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TNFR-Fc 융합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TNF-α(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는 인체 내에서 과발현되면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NFR(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는 TNF-α 수용체로서 과발현된 TNF-α와 결합시켜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제로 이용할 수 있다. TNFR는 인간의 면역글로불린 G(immunoglobulin G; IgG) 중 Fc 부분과 융합하여 Fc 융합 단백질 형태인 치료용 의약단백질로 활용할 수 있다.
TNFR-Fc는 TNFR의 235개 아미노산과 hinge를 포함한 Fc 부분의 232개의 아미노산을 융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할 경우 이합체(dimer) 형태로 존재하여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낸다.
TNFR는 4개의 도메인과 막(transmembrane) 영역으로 나뉘며 총 23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시스테인의 개수가 22개로서 이 시스테인은 모두 다이설파이드 결합을 이루어 입체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동물세포 등을 이용하여 TNFR-Fc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경우 시스테인이 무작위로 결합하여 천연 단백질과 동일한 다이설파이드 결합을 이루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일부 TNFR 부분이 절단되어 올바른 형태의 TNFR-Fc 이합체가 생산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올바른 다이설파이드 결합을 이루지 않은 TNFR-Fc의 경우 TNF-α와의 결합능력이 급격히 감소하여 적절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TNFR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절단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TNFR-Fc 이합체를 유전자 재조합 기술과 동물세포 배양기술을 이용하여 생산했을 경우 활성형의 단백질, 다이설파이드 결합이 올바르지 않은 비활성형 단백질, 응집체(aggregates) 및 절단된 형태(clipped form)의 단백질을 동시에 생산하므로 이러한 단백질 혼합액 중에서 활성형 단백질을 분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치료를 위한 생분자들은 인간에 적용되기 전 99% 이상의 순도로 분리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순도를 얻기 위해서는, 이온교환, 역상, 크기배제, 친화(염료, 금속, 항체, 단백질 A 등) 및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3 내지 4개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는 분리과정이 요구된다. 선택되는 크로마토그래피 과정의 형태 및 순서는 목적 생분자와 공존하는 불순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지만, 최종 단계로는 보통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가 사용되는데 이는 단백질 응집체를 제거하고 최종 제형 완충액으로 정제된 단백질을 교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는 주입할 수 있는 시료의 부피가 한정되어 있어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전체 컬럼 부피의 약 5% 이상 시료를 주입하였을 경우 확산-관련 띠 확산 및 컬럼을 통한 용질 띠 이동시 희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피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컬럼 주입 전 초미세여과 농축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초미세여과 농축과정 또한 시스템 내의 막 또는 다른 물질과 단백질 간의 비특이적 결합, 튜빙과 펌프로의 부피 손실 및 장비 준비, 작동 그리고 세척과 연관된 복합성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을 수반한다. 그러므로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에 농축된 시료를 주입하여 치환효과를 이용한 분리를 수행함으로 복잡하고 생산성 손실을 수반하는 정제과정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목적 단백질의 분리 방법은 그 목적 단백질의 종류,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등에 의해서 분리 조건이 달라질 수 있으며, 기존에 알려진 목적 단백질의 분리 방법이 다른 목적 단백질 또는 다른 조건에 의해 제조된 목적 단백질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원하는 목적 단백질을 고순도 및 고농도로 분리할 수 있는 적절한 조건을 규명하는 것은 단백질 의약품 등 단백질 제조 시장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활성형의 TNFR-Fc 융합 단백질을 분리하기 고순도 및 고농도로 분리하기 위하여 방법을 찾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유기용매 등을 사용하지 않아 단백질 변성 가능성이 적은 이점을 지니는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종래 기술과 달리 단위 담체 부피당 주입하는 단백질 시료의 양 및 전도도를 조절함으로써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 분획만을 고순도로 회수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활성형 TNFR(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Fc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활성형 TNFR(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Fc 융합 단백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HIC)를 이용하여 활성형 TNFR(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Fc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a) 시트르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및 인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을 포함하는 평형 완충액(equilibration buffer)으로 전-평형화(pre-equilibration)된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HIC) 컬럼에 포유류 세포에서 생산된 TNFR-Fc 융합 단백질의 혼합액을 포함하는 시료를 담체 부피당 10 내지 14 g/L bed의 양으로 주입하는 단계; b) 상기 평형 완충액의 염과 동일한 염을 포함하는 세척 완충액(wash buffer)으로 상기 컬럼을 세척하여 TNFR-Fc 융합 단백질의 혼합액 중 절단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c) 상기 평형 완충액에 비하여 염 농도를 감소시킨 용출 완충액(elution buffer)을 이용하여 상기 컬럼으로부터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용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로 형질전환시킨 숙주세포로 TNFR-Fc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경우, TNF-α에 결합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이량체(dimer) 형태의 TNFR-Fc 융합 단백질이 형성되는 것 외에도 TNFR 단백질의 시스테인이 무작위로 결합하여 천연형 TNFR 단백질과 동일하지 않은 다이설파이드 결합을 형성하거나, TNFR 단백질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올바른 형태의 TNFR-Fc 이량체가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TNFR-Fc 융합 단백질을 숙주 세포로부터 생산하는 경우,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 비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 또는 TNFR-Fc 융합 단백질의 응집체가 포함되어 있는 혼합액으로부터 야생형 TNFR 단백질의 생물학적 활성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활성을 가지는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만을 분리해낼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TNFR-Fc 융합 단백질의 혼합액으로부터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고순도로 분리해낼 수 있는 방법으로,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의 분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TNFR(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단백질"은 TNF-α에 결합하는 수용체 단백질을 의미한다. 상기 TNFR 단백질은 TNFRⅠ(p55) 단백질 또는 TNFRⅡ(p75) 단백질을 모두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TNFRⅡ 단백질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TNFRⅡ는 TNFRSF1B(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member 1B)와 혼용될 수 있다. 상기 TNFRⅡ 단백질은 4개의 도메인 및 막통과(transmembrane) 영역으로 나뉘며, 그 예로 23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4개의 도메인 및 막 통과 영역을 포함하는 TNFRⅡ 단백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TNFRⅠ 단백질 및 TNFRⅡ 단백질에 대한 정보는 미국 국립보건원 GenBank와 같은 공지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그 예로 Accession number가 NP_001056 또는 P20333인 단백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TNFR 단백질은 인체 내에 과발현되면 여러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TNF-α에 결합하는 활성을 지니므로, 이를 이용하여 자가면역질환과 같은 TNF-α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면역글로불린의 Fc 영역을 TNFR 단백질에 융합시켜 반감기를 증대시킨 융합 단백질의 형태로 제작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TNFR(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Fc 융합 단백질”은 TNFR 단백질 전부 또는 일부분이 면역글로불린의 Fc 영역과 효소 작용에 의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유전자 조작을 통하여 상기 두 폴리펩타이드가 하나의 폴리펩타이드로 발현된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은 TNFR 단백질과 면역글로불린의 Fc 영역이 직접 연결되거나 펩타이드 링커(peptide linker)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은 TNFR 단백질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면역글로불린 Fc 영역과 융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그 예로 TNFRⅡ 단백질의 1번 내지 235번 아미노산 부위와 힌지(hinge) 부위를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의 232개의 아미노산을 융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은 발현하고자 하는 숙주세포에 따라 코돈 최적화(codon optimization)될 수 있으며, 그 예로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정의되는 CHO 세포에 특이적으로 코돈 최적화된 TNFR-Fc 융합 단백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뿐만 아니라, 상기 서열과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로서 실질적으로 TNF-α에 결합하는 활성을 갖는 단백질이라면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유사성을 갖는 서열로서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 변이체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뿐만 아니라, 상기 서열과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뉴클레오티드 서열로서 실질적으로 TNF-α에 결합하는 활성을 갖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라면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유사성을 갖는 서열로서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이라면,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 변이체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CHO 세포에 특이적으로 코돈을 최적화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 Ig)의 Fc 영역”은 면역글로불린의 중쇄 및 경쇄의 가변영역, 중쇄 불변영역 1(CH1)과 경쇄 불변영역(CL1)을 제외한 부분을 제외한, 중쇄 불변영역2(CH2), 중쇄불변영역(CH3) 및 힌지(hinge) 부분을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의 일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천연형 아미노산 서열뿐만 아니라 이의 서열 유도체를 포함한다. 아미노산 서열 유도체란 천연형 아미노산 서열 중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 삽입, 비보전적 또는 보전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은 IgG, IgM, IgE, IgA 또는 IgD 유래 또는 이들의 조합(combination) 또는 이들의 혼성(hybrid)에 의한 Fc 영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단백질의 반감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IgG 유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IgG1 유래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용어, "조합(combination)"은 이량체 또는 다량체를 형성할 때, 동일 기원 단쇄 면역글로불린 Fc 영역을 암호화하는 폴리펩타이드가 상이한 기원의 단쇄 폴리펩타이드와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IgG Fc, IgA Fc, IgM Fc, IgD Fc 및 IgE의 Fc 단편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단편으로부터 이량체 또는 다량체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혼성(hybrid)"은 단쇄의 면역글로불린 Fc 영역 내에 2개 이상의 상이한 기원의 면역글로불린 Fc 단편에 해당하는 서열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본 발명의 경우 여러 형태의 하이브리드가 가능하다. 즉, IgG Fc, IgM Fc, IgA Fc, IgE Fc 및 IgD Fc의 CH1, CH2, CH3 및 CH4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1개 내지 4개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도메인의 하이브리드가 가능하며,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IgG 역시 IgG1, IgG2, IgG3 및 IgG4의 서브클래스로 나눌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의 혼성화도 가능하다.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은 상기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포유류 세포에 도입하여 발현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으며, 그 예로 변이된 GS(glutamine synthetase) 효소 및 TNFR-Fc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포유류 세포에 도입하여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변이된 GS 효소는 야생형 GS 효소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299번째 아미노산인 글리신(Glycine, G)이 아르기닌(Arginine, R)으로 치환된 서열을 가지는 GS 효소로서, 본 발명의 TNFR-Fc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는 상기 변이된 GS 효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예로, pcDNA3.1-Kozak-TNFRⅡ-Fc-IRES-GS 벡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대표적으로 TNFR-Fc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로서 pcDNA3.1-Kozak-TNFRⅡ-Fc-IRES-GS 벡터를 사용하였고, 이를 CHO 세포에 형질도입하고 TNFR-Fc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상기의 방법으로 수득된 TNFR-Fc 융합 단백질에는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 절단형 TNFR-Fc 융합 단백질, 비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 또는/및 TNFR-Fc 융합 단백질 응집체 등 다양한 형태의 TNFR-Fc 융합 단백질이 혼합되어 있어, 이로부터 TNF-α에 결합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지니는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만을 분리해낼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단편, 상기 활성형 융합 단백질 및 응집체를 각각 다른 분획으로 분리할 수 있어, 활성형 융합 단백질만을 고순도로 얻을 수 있다.
상기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분리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a) 전-평형화된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포유류 세포에서 생산된 TNFR-Fc 융합 단백질의 혼합액을 포함하는 시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시료는 평형 완충액(equilibration buffer)으로 전-평형화된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주입한다.
상기 컬럼의 전-평형화는 크로마토그래피의 컬럼 담체가 평형 완충화 되도록 하기 위하여 고농도의 염용액을 처리한다.
상기 고농도의 염용액으로는 시트르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및 인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을 포함하는 완충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의 컬럼 담체를 완충화시킬 수 있는 염 용액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 예로 시트르산나트륨 또는 황산나트륨이 염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시트르산나트륨을 염으로 포함하는 평형 완충액인 경우, 그 농도는 0.45 내지 0.55M일 수 있으며, 추가로 50 내지 100mM 인산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황산나트륨을 염으로서 포함하는 경우, 그 농도는 0.70 내지 0.72M일 수 있으며, 추가로 50 내지 100mM 인산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평형 완충액의 pH는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형 완충액은 pH 6.7 내지 6.9의 0.48 내지 0.52M 시트르산나트륨 및 50 내지 7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 또는 pH 6.7 내지 6.9의 0.71 내지 0.72M 황산나트륨 및 50 내지 70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6.8의 0.5M 시트르산나트륨 및 50mM 인산나트륨 완충액, 또는 pH 6.8의 0.72M 황산나트륨 및 50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평형 완충액으로서 pH 6.8의 0.5M 시트르산나트륨 및 50mM 인산나트륨 완충액과 pH6.8의 0.72M 황산나트륨 및 50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는 생분자의 정제과정에 사용되는 크로마토그래피의 일종으로, 단백질 표면과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흡착제 간의 가역적 상호작용에 기초하는 크로마토그래피를 의미한다. 이는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나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비해 이소형(isoform) 단백질과 비슷한 등전점 또는 분자량을 갖는 불순물의 분리에 탁월하다.
상기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의 컬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리간드는 본 발명의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의 분리에 사용될 수 있는 리간드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그 예로 부틸기(butyl group), 옥틸기(octyl group), 페닐기(phenyl group) 또는 알킬기(alkyl group)일 수 있다. 상기 리간드로는 바람직하게는 부틸기 또는 페닐기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틸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부틸기를 리간드로 포함하는 GE Healthcare 사의 Butyl Sepharose 4 Fast Flow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Butyl Sepharose 4 Fast Flow는 고도로 교차결합된 4% 아가로즈(highly cross-linked 4% agarose)를 매트릭스로 하여 에테르 결합에 의해 부틸기가 리간드로서 도입된 90 μm 크기의 비드로 높은 화학적, 물리적, 열적 안정성을 가진다. 담체의 높은 소수성으로 인해 친수성 단백질을 분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분리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a) 상기 평형 완충화된 컬럼에 TNFR-Fc 융합 단백질의 혼합액을 포함하는 시료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TNFR-Fc 융합 단백질의 혼합액을 포함하는 시료"는 TNFR-Fc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는 세포의 배양 상등액(cell culture supernant), 상기 세포의 파쇄물(cell extract) 또는 상기 상등액이나 파쇄물로부터 부분정제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을 숙주 세포에서 생산하는 경우, 이의 배양 상등액이나 세포 파쇄물에는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 TNFR-Fc 융합 단백질의 일부분이 결실된 절단형 TNFR-Fc 융합 단백질, 디설파이드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은 비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 또는/및 TNFR-Fc 융합 단백질의 응집체 등이 혼합되어 있다.
이에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은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가 도입된 포유류 세포에서 발현시키고, 이를 포함하는 상등액을 회수한 다음, 이를 다시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주입하기 전에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탈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부분 정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부분 정제(partially purified)”는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분류 과정(fractionation procedure)을 하나 이상 수행하였으나 목적하는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 외의 다른 단백질도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백질 A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배양 상등액의 부분 정제를 수행하였다.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의 혼합액은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의 주입 전에 고농도의 염 용액으로 전도도가 조절된 혼합 단백질 시료일 수 있다. 상기 염 용액으로는 시트르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및 황산 암모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을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농도 염 용액을 처리한 TNFR-Fc 융합 단백질 시료의 전도도는 50 내지 75mS/cm의 전도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농도의 염 용액으로서 시트르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5mS/cm의 전도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mS/cm의 전도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백질 시료는 시트르산나트륨의 농도가 0.45 내지 0.55M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48 내지 0.52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5M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황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농도가 0.70 내지 0.72M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71 내지 0.72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72M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백질 시료의 pH는 6.5 내지 7.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트르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염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TNFRⅡ-Fc 융합 단백질 시료를 50 내지 52mS/cm의 전도도를 가지도록 조정하였으며, 이때 시트르산나트륨의 최종 농도는 0.5M이었다. 또한, 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염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시료의 전도도를 65 내지 75 mS/cm로 조정하였고, 이 때 황산나트륨의 최종 농도는 0.72M이었다(실험예 1).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트르산나트륨과 황산나트륨 외에도 염화나트륨을 염으로 사용하여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으나, 0.75M 내지 1.5M의 높은 염화나트륨의 농도에도 활성형 TNFRⅡ-Fc 융합 단백질이 컬럼에 결합하지 않고 Flow-through 분획으로 회수되는 결과를 보여(도 3 내지 5), 사용되는 염의 종류 및 농도 범위 역시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는 TNFR-Fc 융합 단백질 혼합액을 치환효과(displacement effect)에 의해 단백질 분리가 용이하도록 단위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당 10 내지 14 g/L bed의 양으로 단백질 시료를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환효과(displacement effect)"는 상대적으로 높은 결합력을 갖는 분석물이 고농도로 존재할 때 낮은 결합력의 분석물은 컬럼 담체에 머무르지 못하고 빠르게 용출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관심 분석물질인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은 비활성형 및 응집체와는 소수성 정도의 차이가 커서 전도도 조절만으로도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나 절단형의 경우 그 차이가 크지 않아 기존의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조건으로는 분리해내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주입하는 단백질 시료의 양을 단위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당 10 내지 14 g/L bed의 양으로 조절할 경우, 상기 치환효과를 이용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달성할 수 없었던 활성형 단백질로부터 절단형 단백질의 분획을 제거해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위 크로마토그래피 담체 당 12 내지 14 g/L bed의 양으로 단백질 시료를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백질 주입량에 따른 치환효과를 비교하였으며, 10 g/L bed 미만인 9.5 g/L bed를 주입한 경우에는 절단형 TNFRⅡ-Fc 융합 단백질 분획과 활성형 TNFRⅡ-Fc 융합 단백질의 분획이 분리되어 나타나지 않는 결과를 보인 반면, 13 g/L bed를 주입한 경우에는 절단형 분획과 활성형 분획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실험예 5, 도 9 및 10).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b) 절단형 TNFR-Fc 융합 단백질 분획을 분리하여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 완충액(wash buffer)로 상기 컬럼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 완충액은 평형 완충액과 동일한 조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세척 완충액을 이용하여 컬럼을 세척하였을 때, 절단형 TNFR-Fc 융합 단백질이 용출되며, 이때 용출되는 피크를 본 발명에서는 피크 1으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평형 완충화에 사용한 평형 완충액으로 컬럼을 세척하여 절단형 단백질을 제거하였으며, 이때 사용한 평형 완충액은 pH 6.8이고, 0.5M 시트르산나트륨 및 50mM 인산나트륨 완충액 또는 pH 6.8이고 0.72M 황산나트륨 및 50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이었다.
또한, 본 발명은 c) 상기 평형 완충액에 비하여 염 농도를 감소시킨 용출 완충액(elution buffer)을 이용하여 상기 컬럼으로부터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용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분자의 소수성이 클수록, 컬럼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적은 염이 요구되므로, 염의 농도를 조절하여 소수성 차이가 있는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과 비활성형 또는 응집체 TNFR-Fc 융합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는 평형 완충액에 비하여 염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과 소수성 리간드와의 상호작용을 감소시켜 컬럼으로부터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분리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피크를 피크 2로 명명하였다.
상기 용출 완충액은 평형 완충액 및 세척 완충액에 비하여 그 염 농도가 감소된 완충액으로서, 전도도가 40 내지 47mS/cm인 완충액일 수 있다. 시트르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용출 완충액을 사용하는 경우, 시트르산 농도가 0.35 내지 0.4M인 용출 완충액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38 내지 0.4M인 용출 완충액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4M인 용출완충액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용출 완충액을 사용하는 경우, 황산나트륨의 농도가 0.35 내지 0.56M인 용출 완충액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38 내지 0.4M인 용출 완충액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4M인 용출 완충액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용출 완충액은 추가로 50 내지 100mM 인산 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pH 6.8인 0.4M 시트르산나트륨 및 50mM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용출 완충액과 pH 6.8인 0.4M 황산나트륨 및 50mM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용출 완충액을 사용하였다. 상기 용출 완충액의 pH는 6.5 내지 7.0 범위 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c)를 수행한 후 전도도는 40 내지 47 mS/cm를 나타낸다.
상기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분리하여 제조하는 방법은 d) 컬럼으로부터 비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 또는 TNFR-Fc 융합 단백질 응집체를 포함하는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비활성형 및 응집체 단백질을 포함하는 분획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용출 완충액에 비하여 염의 농도를 감소시키거나 시트르산나트륨 또는 황산나트륨이 포함되지 않은 완충액을 사용하여 용출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용출되는 피크를 본 발명에서는 피크 3로 명명하였다. 이때 사용되는 완충액은 6.5 내지 7.0의 pH를 가지고, 0 내지 0.1M의 시트르산나트륨 또는 0 내지 0.1M 황산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완충액의 pH는 6.5 내지 7.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완충액은 4 내지 6 mS/cm의 전도도를 가질 수 있으며, 50 내지 70 mM의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며, pH 6.7 내지 6.9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완충액으로 50 mM 인산나트륨 용액, pH 6.8을 사용하였으며, 전도도는 4 내지 6 mS/cm으로 조절되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절단형, 응집체, 비활성형 및 활성형 단백질의 혼합물 중 활성형 단백질을 분리해내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컬럼에 주입되는 시료의 전도도를 고농도의 염용액을 이용하여 조절하고 그 주입양을 높게 함으로서, 치환효과에 의해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낮은 절단형 단백질을 활성형 단백질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의 특정 염의 농도를 특정 농도로 선정하면 목적하는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고농도로 분리하며 제조할 수 있다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99번째 아미노산이 치환된 GS 및 TNFRⅡ-Fc 융합 단백질을 각각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동물 세포인 CHO 세포에 형질전환하였고(실시예 1 내지 4), 이로부터 TNFRⅡ-Fc 융합 단백질을 수득한 다음, 활성형 TNFRⅡ-Fc 융합 단백질을 분리해내기 위하여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실험예 1). 본 발명의 방법으로 TNFRⅡ-Fc 융합 단백질을 분리하는 경우, 절단형 TNFRⅡ-Fc 융합 단백질, 활성형 TNFRⅡ-Fc 융합 단백질 및 TNFRⅡ-Fc 융합 단백질 응집체가 각각 피크 1, 2 및 3로 분리되어 나왔다(도 3, 6 및 7). 또한,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는 단백질 시료의 양을 12 g/L bed 이상으로 높게 하여 분리하였을 때, 9.5 g/L bed 이하로 하여 분리하였을 때는 나타나지 않았던 절단형 단백질에 해당하는 피크가 활성형 단백질 피크로부터 분리되어 나왔고(도 9 및 10), 얻어진 활성형 단백질 피크에 해당하는 분석물의 활성은 순수한 활성형의 것과 비슷한 수준으로 얻어졌다(도 8). 종래 알려진 기술에 따른 TNFRⅡ-Fc 이합체의 정제방법의 경우 두 가지 분획 즉, 활성형 분획과 비활성형, 응집체 및 절단된 형태의 단백질이 모두 포함된 분획으로 분리하였으나, 절단된 단백질이 다량 포함된 분획, 활성형의 분획, 비활성형 및 응집체의 분획의 세가지 분획으로 분리한 예는 알려진 바 없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3가지 분획으로 분리하였고, 그 활성은 순수한 활성형의 것과 비슷한 수준으로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더 높은 순도로 활성형 TNFRⅡ-Fc 융합 단백질을 제조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방법으로 분리가 어려운 절단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제거하여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고순도로 정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 에타너셉트(etanercept)를 고순도로 정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 및 TNFR-Fc 융합 단백질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HIC)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염용액을 사용하여 시료의 전도도를 조절하고, 주입되는 단백질 시료의 양을 조절함으로서 단백질 혼합액 시료로부터 활성형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시된 방법으로 동물세포 배양으로부터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생산된 에타너셉트와 같은 재조합 단백질 중 활성형 단백질을 고순도로 분리하여 제조하는데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pcDNA3.1-Kozak-TNFRⅡ-Fc-IRES-GS 벡터를 클로닝하는 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pcDNA.1-Kozak-TNFRⅡ-Fc-IRES-GS 벡터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개열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르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소수성 크로마토그램(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m; HIC)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분획의 소수성-HPLC 분석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분획의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 exclusion;SE)-HPLC 분석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분획의 in vitro 생물활성 분석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 주입량이 9.5 g/L bed인 경우의 소수성 크로마토그램(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m; HIC)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백질 주입량이 13 g/L bed인 경우의 소수성 크로마토그램(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m; HIC)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TNFRⅡ - Fc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합성
재조합 단백질 발현 벡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된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목적 단백질로서 TNFRⅡ-Fc 융합단백질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서열번호 2)를 다음의 기준에 부합되도록 GeneArt사에 의뢰하여 합성하였다: (1) TNFR의 신호서열(signal sequence)을 포함하도록 한다 (2) TNFR 아미노산 1번부터 235번째 아미노산까지 발현할 수 있도록 한다 (3) CHO 세포에 도입할 수 있도록 CHO 세포에 특이적으로 코돈 최적화(codon optimization)한다 (4) Invitrogen 사의 pcDNA3.1 벡터에 삽입할 것을 감안하여 5'-말단에는 제한효소 NheI 절단부위를, 3'-말단에는 제한효소 NotI 절단부위를 삽입하도록 한다.
상기 합성된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최종 염기서열은 VectorNTI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실시예 2: TNFRⅡ - Fc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의 제작
일반적인 재조합 단백질 발현 시스템인 DHFR 시스템을 확보하고자 햄스터의 DHFR(dihydrofolate reductase)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구체적으로, 햄스터의 DHFR 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하여, mutant type의 햄스터 DHFR 유전자가 들어있는 pSVA3 벡터(ATCC 77273)를 구입한 뒤, 해당 DHFR 유전자를 주형으로 하여 점 돌연변이(point mutation) 방법을 사용하여 wild type의 DHFR유전자를 확보하였다. 아울러, IRES 염기서열은 해당 DNA 서열을 포함하고 있는 Clontech 벡터(Cat. #6029-1, PT3267-5)로부터 PCR 반응을 통해 확보하였다.
상기 확보한 DHFR 유전자와 IRES(Internal ribosome entry site) 염기서열을 pCR2.1 벡터에 클로닝하여, pCR2.1-IRES-DHFR 형태의 발현벡터를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TNFRⅡ-Fc가 삽입되어 있는 pcDNA3.1-TNFRⅡ-Fc 벡터와 상기 수득한 pCR2.1-IRES-DHFR 벡터를 각각 제한효소인 SalI 및 XbaI로 절단하고,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TNFRⅡ-Fc가 삽입된 pcDNA3.1-TNFRⅡ-Fc-IRES-DHFR 발현벡터를 수득하였다. 카나마이신 저항성 유전자를 함유한 벡터로의 클로닝을 위하여 Clontech의 pAC-GFP 벡터(#632483)로부터 카나마이신 저항성 유전자를 수득하여 Kan/Neo 유전자를 도입하였다. 상기 벡터는 TNFRⅡ-Fc 유전자의 전사 시작 부위에 Kozak 서열 및 항생제 선별 마커로 Kan/Neo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 벡터로 CHO 세포주를 사용한 재조합 단백질 발현양 비교를 위한 4종의 발현 벡터 시스템 클로닝 시 기본 골격으로 사용되었다.
실시예 3: 햄스터의 GS 유전자 클로닝 및 포유류 세포 단백질 발현 벡터 pcDNA3.1-Kozak-TNFRⅡ-Fc-IRES-GS의 제조
GS DNA를 확보하기 위하여 햄스터세포주인 CHO DG44(Invitrogen, 12609-012)를 배양한 후 TRIZOL 시약(Invitrogen)을 사용하여 총 RNA를 확보하였다. 확보한 총 RNA를 이용한 RT-PCR을 수행하여 cDNA를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cDNA를 주형으로 하고 하기의 GS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한 프라이머(GS SalI-F primer, GS XbaI-R primer)를 사용한 PCR을 수행하여(94℃에서 5분간 변성; 94℃에서 30초간 변성, 50℃에서 30초간 재결합, 72℃에서 90초간 신장과정을 25회 반복; 및 72℃에서 7분간 신장) PCR 산물을 수득하였다.
GS SalI-F: 5'-gtcgacatggccacctcagcaagttccc-3'(서열번호 3)
GS XbaI-R: 5'-tctagattagtttttgtattggaaaggg-3'(서열번호 4)
상기 수득한 PCR 산물을 0.8% 아가로즈젤에 전기영동한 후, 해당 밴드를 잘라 Quiagen Cleaning kit(#28204)를 사용하여 clean-up 한 후 이를 유전자 클로닝벡터인 pGEMT 벡터(Promega, USA)에 삽입하였다. 상기 PCR 산물이 삽입된 pGEMT 벡터를 TOP10 세포에 도입하여 총 10개의 colony를 얻어 염기서열(서열번호 5) 및 상기 염기서열에 의하여 코딩되는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6)을 확인한 결과 NCBI GenBank 사이트를 통해 알려진 일반적인 햄스터 GS 유전자(GenBank: X03495.1)에 의하여 코딩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1개의 아미노산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클로닝한 GS 유전자는 야생형 GS 단백질의 299번째 아미노산이 글리신(Glycine, G)에서 아르기닌(Arginine, R)으로 치환된 단백질을 코딩한다.
상기 pGEMT-GS를 SalI 및 XbaI 제한효소로 절단한 단편을 SalI 및 XbaI 제한효소로 미리 절단해 둔 TOPO-IRES-DHFR 벡터에 삽입하여 pCR2.1-TOPO-IRES-GS 유전자를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TNFR-Fc 유전자와 IREF-GS 유전자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각각 XhoI과 XbaI으로 절단한 TNFR-Fc-IRES-DHFR 유전자와 IRES-GS 단편을 라이게이션시켜 최종 kozak-TNFR-Fc-IRES-GS 벡터("IRES-GS 벡터")를 제작하였다(도 1). 도 1은 본 발명의 pcDNA3.1-Kozak-TNFRⅡ-Fc-IRES-GS 를 클로닝하는 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또한, 상기 벡터의 모식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할 시료의 제조
리포펙타민(lipofectamine 2000; Invitrogen)을 이용하여 상기에서 제조한 TNFRⅡ-Fc를 생산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pcDNA3.1-Kozak-TNFRⅡ-Fc-IRES-GS 벡터를 CHO(Chinese hamster ovary) 세포주에 도입하였다. 상기 유전자 도입 CHO 세포주를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을 함유하는 DMEM/F12(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Nutrient Mixture F-12) 배지를 이용하여 플라스크나 바이오리액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depth filter로 여과하여 세포를 제거하고, 다시 한번 microfiltration을 수행하여 세포 조각 등을 제거하여 배양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Protein A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부분정제를 수행하였다. 정제분획은 pH 2.1의 100 mM 시트르산 또는 인산을 이용하여 pH를 3.6 내지 3.8로 조정하였다.
1M 시트르산나트륨, 75 mM 인산나트륨, pH 6.8 용액을 이용하여 약 1:1의 부피비로 혼합하였다. 혼합하면서 전도도를 관찰하여 전도도가 상온에서 50 내지 52 mS/cm가 될 때까지 상기의 용액을 교반하며 첨가하였다. 첨가 후 0.2㎛ 필터로 혼합액을 여과하였다.
실험예 1: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실험예 1-1: 시트르산 나트륨을 이용한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Butyl Sepharose 4 Fast Flow(GE Healthcare)를 유리 컬럼에 8 cm 이상의 높이로 충전하였다. 완충액으로 pH 6.8의 0.5 M 시트르산나트륨 및 5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완충액 I로 명명한다), 및 pH 6.8의 5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완충액 J로 명명한다)을 제조하였다.
충전된 컬럼에 3 컬럼 부피의 평형 완충액(equilibrium buffer)로서, 완충액 I을 흘려주어 컬럼을 평형화 시켰다. 평형화 완료 후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용액을 컬럼에 대하여 리터 당 12 그램 이상의 양으로 컬럼에 주입하였다. 주입을 완료하고 2 컬럼 부피의 상기 완충액 I을 세척 완충액(wash buffer)으로 사용하여 컬럼을 세척하였다. 이때, 용출되는 분획을 피크 1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완충액의 조성을 80% 완충액 I와 20% 완충액 J로 구성되도록 조정하여 이를 용출 완충액으로 사용하여, 전도도를 조정하였다. UV 검출기의 시그널이 증가하면 분획을 회수하였고, 이때 용출되는 분획을 피크 2로 명명하였다. 피크 2는 1.5 컬럼 부피에서 3.5 컬럼 부피까지 회수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완충액 J 조성을 100%로 조정한 다음, 3 컬럼 부피만큼 컬럼을 세척하였다. 이 때 용리되는 분획을 피크 3으로 명명하였다.
상기에 따른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결과로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크 1, 피크 2, 및 피크 3으로 분리되며, 피크 1은 절단된 형태의 TNFRⅡ-Fc 단백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피크 2는 활성형의 TNFRⅡ-Fc 단백질, 피크 3은 비활성형과 응집체 TNFRⅡ-Fc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2: 황산나트륨을 이용한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Butyl Sepharose 4 Fast Flow를 10 cm 이상의 높이로 충전하였다. 완충액으로 pH 6.8의 0.72 M 황산나트륨 및 5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이하에서 '완충액 S') 및 50 mM 인산나트륨 완충액(이하에서 '완충액 J')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충전된 컬럼에 3 컬럼 부피의 완충액 S를 흘려주어 컬럼을 평형화 시켰다. 평형화 완료 후 pH 6.8의 1.2 M 황산나트륨 및 50 mM 인산 나트륨을 이용하여 황산나트륨의 최종농도를 0.72M로 조정한 단백질 용액을 컬럼 리터 당 11그램 이상의 양으로 컬럼에 주입하였다. 상기 단백질 용액은 65 내지 75mS/cm 범위 내의 전도도를 가졌다. 주입을 완료하고 2 컬럼 부피의 완충액 S로 컬럼을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완충액 S의 조성을 30 컬럼 부피 동안 100~30%로 감소시킨 후 순차적으로 3 컬럼 부피동안 30~0% 감소시켰다. 상기에 따른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결과로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TNFRⅡ-Fc 융합단백질은 0.72M 황산나트륨 농도에서 컬럼에 흡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트르산 나트륨 외에도 황산 나트륨을 본 발명의 염으로 사용하여 활성형 TNFRⅡ-Fc 융합 단백질을 분리해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험예 1-3: 염화나트륨을 이용한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Butyl Sepharose 4 Fast Flow를 10cm 이상의 높이로 충전하였다. 완충액으로 각각 pH 7.2의 0.75M 염화나트륨 및 50mM Tris-HCl(이하에서 '완충액 X'), pH 7.2의 1.0M 염화나트륨 및 50mM Tris-HCl(이하에서 '완충액 Y'), pH 7.2의 1.5M 염화나트륨 및 50mM Tris-HCl(이하에서 '완충액 Z') 및 pH 7.2의 50mM Tris-HCl 완충액(이하에서 '완충액 T')을 제조하였다.
상기 충전된 컬럼에 3 컬럼 부피의 완충액 X를 흘려주어 컬럼을 평형화 시켰다. 평형화 완료 후 pH 7.2의 1.5M 염화나트륨 및 50mM Tris-HCl을 이용하여 염화나트륨의 최종농도를 0.75M로 조정한 단백질 용액을 컬럼 리터 당 4그램 이상의 양으로 컬럼에 주입하였다. 주입을 완료하고 2컬럼 부피의 완충액 X로 컬럼을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완충액 X의 조성을 20 컬럼 부피 동안 100~0% 감소시켰다. 또한, 완충액 Y와 완충액 Z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에 따른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결과도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도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TNFRⅡ-Fc 융합단백질은 고농도의 염화나트륨 염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컬럼에 흡착하지 않고 flow-through 분획으로 회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활성형 TNFRⅡ-Fc 융합단백질의 분리는 단순히 전도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수행될 수 없으며, 사용되는 특정 염의 종류 및 농도 범위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실험예 2: 소수성- HPLC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행한 각 단계에서 얻어진 시료에 대하여 소수성-HPLC(hydrophobic interactio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다. 소수성-HPLC는 Butyl NPR 컬럼(Tosoh Bioscience)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 A는 pH 7.0의 1.8M 황산암모늄, 100mM 인산나트륨 용액, 이동상 B는 pH 7.0의 100mM 인산나트륨 용액을 이용하였다. 1 ㎖/min의 유속으로 초기 5분간은 이동상 A의 조성을 100%로 유지하다가 45분간 이동상 A의 조성을 100%에 0%로 선형구배를 주어 농도를 변화시켰다. 상기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피크 1에는 피크 1의 분획이 우세하며, 피크 2가 혼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크 2는 활성형의 단일분획만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피크 3은 활성형의 분획 없이 피크 3의 분획만 우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TNFRⅡ-Fc 융합 단백질 분리방법은 활성형 형태만의 단백질만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실험예 3: 크기배제( size - exclusion ; SE )- HPLC
상기 실험예 1-1에서 수행한 각 단계에서 얻어진 시료에 대하여 SE-HPLC를 실시하였다. SE-HPLC는 단백질의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절단된 단백질과 응집체를 머무른 시간(retention time)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 TSK-GEL3000SWXL 컬럼(Tosoh Bioscience; 7.8 mm ID * 30 cm H)을 PBS로 1 ㎖/min의 유속으로 평형화시킨 후 20㎍의 단백질을 주입하여 단백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피크 1은 주피크 다음의 작은 피크가 관찰되며 이것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절단된 형태의 단백질을 나타낸다. 피크 2는 SE-HPLC에서 단일 피크로 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피크 3은 주피크보다 앞서서 2개의 피크가 용출되며 이것은 응집체 단백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활성형 TNFRⅡ-Fc 융합 단백질 제조 방법은 단백질 혼합액으로부터 활성형 TNFRⅡ-Fc 융합 단백질만을 고순도로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임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실험예 4: In vitro 생물학적 활성
상기 실험예 1-1에서 확인한 피크 2와 피크 3에 존재하는 TNFRⅡ-Fc 융합 단백질의 TNF-α와의 결합을 확인하였다. 항 IgFc 항체가 코팅된 고체 표면에 피크 2 분획 또는 피크 3 분획을 적절하게 희석하여 결합시킨 후 TNF-α를 처리하여 피크 2 및 피크 3 분획이 TNF alpha와 결합하는 정도를 HRP로 발색시켜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준 결합 단위(binding unit)를 100으로 하였을 때, 피크 2는 100에 상당하는 값을 나타내는 반면, 피크 3은 20 이하의 값을 나타내어, 본 방법으로 TNFRⅡ-Fc 융합 단백질의 정제를 수행하였을 경우 활성형과 비활성형의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단백질 주입량에 따른 치환효과 비교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시료를 동일한 방법으로 컬럼 단위부피당 시료의 주입량만 달리하여 분석했다. 상기 실험예 1-1에서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용액을 12 g/L bed의 용량으로 컬럼에 주입하여 분리 분석한 반면, 본 실험예에서는 각각 9.5 g/L bed와 13 g/L bed의 용량으로 주입하여 분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각각 도 9와 도 10에 나타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을 주입한 경우(9.5 g/L bed) 절단형 단백질 분획인 피크 1이 피크 2로부터 분리되어 나타나지 않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많은 양을 주입한 경우(13 g/L bed) 절단형 단백질 분획인 피크 1이 활성형 단백질 분획인 피크 2로부터 뚜렷이 분리되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TNFRⅡ-Fc 융합 단백질의 정제에 있어 주입하는 단백질의 양이 활성형 단백질의 효과적인 분리에 있어 중요하게 작용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110> HANWHA CHEMICAL CORPORATION <120> Method for Preparing Active Form of TNFR-Fc Fusion Protein <130> PA120759/KR <150> KR 10-2011-0081854 <151> 2011-08-17 <160> 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46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RII-Fc protein <400> 1 Leu Pro Ala Gln Val Ala Phe Thr Pro Tyr Ala Pro Glu Pro Gly Ser 1 5 10 15 Thr Cys Arg Leu Arg Glu Tyr Tyr Asp Gln Thr Ala Gln Met Cys Cys 20 25 30 Ser Lys Cys Ser Pro Gly Gln His Ala Lys Val Phe Cys Thr Lys Thr 35 40 45 Ser Asp Thr Val Cys Asp Ser Cys Glu Asp Ser Thr Tyr Thr Gln Leu 50 55 60 Trp Asn Trp Val Pro Glu Cys Leu Ser Cys Gly Ser Arg Cys Ser Ser 65 70 75 80 Asp Gln Val Glu Thr Gln Ala Cys Thr Arg Glu Gln Asn Arg Ile Cys 85 90 95 Thr Cys Arg Pro Gly Trp Tyr Cys Ala Leu Ser Lys Gln Glu Gly Cys 100 105 110 Arg Leu Cys Ala Pro Leu Arg Lys Cys Arg Pro Gly Phe Gly Val Ala 115 120 125 Arg Pro Gly Thr Glu Thr Ser Asp Val Val Cys Lys Pro Cys Ala Pro 130 135 140 Gly Thr Phe Ser Asn Thr Thr Ser Ser Thr Asp Ile Cys Arg Pro His 145 150 155 160 Gln Ile Cys Asn Val Val Ala Ile Pro Gly Asn Ala Ser Met Asp Ala 165 170 175 Val Cys Thr Ser Thr Ser Pro Thr Arg Ser Met Ala Pro Gly Ala Val 180 185 190 His Leu Pro Gln Pro Val Ser Thr Arg Ser Gln His Thr Gln Pro Thr 195 200 205 Pro Glu Pro Ser Thr Ala Pro Ser Thr Ser Phe Leu Leu Pro Met Gly 210 215 220 Pro Ser Pro Pro Ala Glu Gly Ser Thr Gly Asp Glu Pro Lys Ser Cys 225 230 235 240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Leu Gly 245 250 255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260 265 270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275 280 285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290 295 300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Tyr 305 310 315 320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325 330 335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340 345 350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355 360 365 Tyr Thr Leu Pro Pro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370 375 380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385 390 395 400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405 410 415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420 425 430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435 440 445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450 455 460 Pro Gly Lys 465 <210> 2 <211> 14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RII-Fc protein <400> 2 ctgcctgccc aggtggcctt caccccttac gcccctgagc ctggctccac ctgccggctg 60 cgggagtact acgaccagac cgcccagatg tgctgctcca agtgctcccc tggccagcac 120 gccaaggtgt tctgcaccaa gacctccgac accgtgtgcg acagctgcga ggactccacc 180 tacacccagc tgtggaactg ggtgcccgag tgcctgtcct gcggctcccg gtgctcctcc 240 gaccaggtgg agacccaggc ctgcacccgg gagcagaacc ggatctgcac ctgcaggcct 300 ggctggtact gcgccctgtc caagcaggag ggctgccggc tgtgcgcccc tctgcggaag 360 tgccggcctg gcttcggcgt ggccaggcct ggcaccgaga ccagcgacgt ggtgtgcaag 420 ccttgcgccc ctggcacctt ctccaacacc acctcctcca ccgacatctg ccggcctcac 480 cagatctgca acgtggtggc catccctggc aacgcctcca tggacgccgt gtgcacctcc 540 acctccccca cccggtctat ggcccctggc gctgtgcacc tgcctcagcc tgtgtccacc 600 cggtcccagc acacccagcc tacccctgag ccctccaccg ccccttctac cagcttcctg 660 ctgcctatgg gccctagccc tcctgccgag ggctccaccg gcgacgagcc taagtcctgc 720 gacaagaccc acacctgccc tccctgccct gcccctgagc tgctgggcgg accttccgtg 780 ttcctgttcc ctcctaagcc taaggacacc ctgatgatct cccggacccc tgaggtgacc 840 tgcgtggtgg tggacgtgtc ccacgaggat cctgaggtga agttcaattg gtacgtggac 900 ggcgtggagg tgcacaacgc caagaccaag cctcgggagg agcagtacaa cagcacctac 960 cgggtggtgt ccgtgctgac cgtgctgcac caggactggc tgaacggcaa ggaatacaag 1020 tgcaaggtgt ccaacaaggc cctgcccgct cctatcgaaa agaccatctc caaggccaag 1080 ggccagcctc gcgagcctca ggtgtacacc ctgcctccct cccgggagga gatgaccaag 1140 aaccaggtgt ccctgacctg cctggtgaag ggcttctacc cttccgacat cgccgtggag 1200 tgggagtcca acggccagcc tgagaacaac tacaagacca cccctcctgt gctggactcc 1260 gacggctcct tcttcctgta ctccaagctg accgtggaca agtcccggtg gcagcagggc 1320 aacgtgttct cctgctccgt gatgcacgag gccctgcaca accactacac ccagaagtcc 1380 ctgtccctga gccccggcaa g 1401 <210> 3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S SalI-F primer <400> 3 gtcgacatgg ccacctcagc aagttccc 28 <210> 4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S XbaI-R primer <400> 4 tctagattag tttttgtatt ggaaaggg 28 <210> 5 <211> 1122 <212> DNA <213> Hamster GS DNA <400> 5 atggccacct cagcaagttc ccacttgaac aaaaacatca agcaaatgta cttgtgcctg 60 ccccagggtg agaaagtcca agccatgtat atctgggttg atggtactgg agaaggactg 120 cgctgcaaaa cccgcaccct ggactgtgag cccaagtgtg tagaagagtt acctgagtgg 180 aattttgatg gctctagtac ctttcagtct gagggctcca acagtgacat gtatctcagc 240 cctgttgcca tgtttcggga ccccttccgc agagatccca acaagctggt gttctgtgaa 300 gttttcaagt acaaccggaa gcctgcagag accaatttaa ggcactcgtg taaacggata 360 atggacatgg tgagcaacca gcacccctgg tttggaatgg aacaggagta tactctgatg 420 ggaacagatg ggcacccttt tggttggcct tccaatggct ttcctgggcc ccaaggtccg 480 tattactgtg gtgtgggcgc agacaaagcc tatggcaggg atatcgtgga ggctcactac 540 cgcgcctgct tgtatgctgg ggtcaagatt acaggaacaa atgctgaggt catgcctgcc 600 cagtgggaat tccaaatagg accctgtgaa ggaatccgca tgggagatca tctctgggtg 660 gcccgtttca tcttgcatcg agtatgtgaa gactttgggg taatagcaac ctttgacccc 720 aagcccattc ctgggaactg gaatggtgca ggctgccata ccaactttag caccaaggcc 780 atgcgggagg agaatggtct gaagcacatc gaggaggcca tcgagaaact aagcaagcgg 840 caccggtacc acattcgagc ctacgatccc aaggggggcc tggacaatgc ccgtcgtctg 900 actgggttcc acgaaacgtc caacatcaac gacttttctg ctggtgtcgc caatcgcagt 960 gccagcatcc gcattccccg gactgtcggc caggagaaga aaggttactt tgaagaccgc 1020 cgcccctctg ccaattgtga cccctttgca gtgacagaag ccatcgtccg cacatgcctt 1080 ctcaatgaga ctggcgacga gcccttccaa tacaaaaact aa 1122 <210> 6 <211> 373 <212> PRT <213> Hamster GS protein <400> 6 Met Ala Thr Ser Ala Ser Ser His Leu Asn Lys Asn Ile Lys Gln Met 1 5 10 15 Tyr Leu Cys Leu Pro Gln Gly Glu Lys Val Gln Ala Met Tyr Ile Trp 20 25 30 Val Asp Gly Thr Gly Glu Gly Leu Arg Cys Lys Thr Arg Thr Leu Asp 35 40 45 Cys Glu Pro Lys Cys Val Glu Glu Leu Pro Glu Trp Asn Phe Asp Gly 50 55 60 Ser Ser Thr Phe Gln Ser Glu Gly Ser Asn Ser Asp Met Tyr Leu Ser 65 70 75 80 Pro Val Ala Met Phe Arg Asp Pro Phe Arg Arg Asp Pro Asn Lys Leu 85 90 95 Val Phe Cys Glu Val Phe Lys Tyr Asn Arg Lys Pro Ala Glu Thr Asn 100 105 110 Leu Arg His Ser Cys Lys Arg Ile Met Asp Met Val Ser Asn Gln His 115 120 125 Pro Trp Phe Gly Met Glu Gln Glu Tyr Thr Leu Met Gly Thr Asp Gly 130 135 140 His Pro Phe Gly Trp Pro Ser Asn Gly Phe Pro Gly Pro Gln Gly Pro 145 150 155 160 Tyr Tyr Cys Gly Val Gly Ala Asp Lys Ala Tyr Gly Arg Asp Ile Val 165 170 175 Glu Ala His Tyr Arg Ala Cys Leu Tyr Ala Gly Val Lys Ile Thr Gly 180 185 190 Thr Asn Ala Glu Val Met Pro Ala Gln Trp Glu Phe Gln Ile Gly Pro 195 200 205 Cys Glu Gly Ile Arg Met Gly Asp His Leu Trp Val Ala Arg Phe Ile 210 215 220 Leu His Arg Val Cys Glu Asp Phe Gly Val Ile Ala Thr Phe Asp Pro 225 230 235 240 Lys Pro Ile Pro Gly Asn Trp Asn Gly Ala Gly Cys His Thr Asn Phe 245 250 255 Ser Thr Lys Ala Met Arg Glu Glu Asn Gly Leu Lys His Ile Glu Glu 260 265 270 Ala Ile Glu Lys Leu Ser Lys Arg His Arg Tyr His Ile Arg Ala Tyr 275 280 285 Asp Pro Lys Gly Gly Leu Asp Asn Ala Arg Arg Leu Thr Gly Phe His 290 295 300 Glu Thr Ser Asn Ile Asn Asp Phe Ser Ala Gly Val Ala Asn Arg Ser 305 310 315 320 Ala Ser Ile Arg Ile Pro Arg Thr Val Gly Gln Glu Lys Lys Gly Tyr 325 330 335 Phe Glu Asp Arg Arg Pro Ser Ala Asn Cys Asp Pro Phe Ala Val Thr 340 345 350 Glu Ala Ile Val Arg Thr Cys Leu Leu Asn Glu Thr Gly Asp Glu Pro 355 360 365 Phe Gln Tyr Lys Asn 370

Claims (23)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활성형 TNFR(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Fc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
    a) 시트르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및 인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을 포함하는 평형 완충액(equilibration buffer)으로 전-평형화(pre-equilibration)된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HIC) 컬럼에 포유류 세포에서 생산된 TNFR-Fc 융합 단백질의 혼합액을 포함하는 시료를 담체 부피당 10 g/L bed 내지 14 g/L bed의 양으로 주입하는 단계;
    b) 상기 평형 완충액의 염과 동일한 염을 포함하는 세척 완충액(wash buffer)으로 상기 컬럼을 세척하여 TNFR-Fc 융합 단백질의 혼합액 중 절단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c) 상기 평형 완충액에 비하여 염 농도를 감소시킨 용출 완충액(elution buffer)을 이용하여 상기 컬럼으로부터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용출시키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평형 완충액은 0.45M 내지 0.55M 시트르산나트륨 및 50mM 내지 100mM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완충액인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평형 완충액은 0.70M 내지 0.72M 황산나트륨 및 50mM 내지 100mM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완충액인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 완충액은 pH가 6.5 내지 7.0인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 완충액은 0.48M 내지 0.52M 시트르산나트륨 및 50mM 내지 70mM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pH 6.7 내지 6.9의 완충액인 것인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 완충액은 0.71M 내지 0.72M 황산나트륨 및 50mM 내지 70mM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pH 6.7 내지 6.9의 완충액인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의 리간드는 부틸기(butyl group), 옥틸기(octyl group), 페닐기(phenyl group) 및 알킬기(alkyl group)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TNFR-Fc 융합 단백질은 pcDNA3.1-Kozak-TNFRⅡ-Fc-IRES-GS 벡터가 도입된 포유류 세포에서 생산된 것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은 컬럼에 주입하기 전에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탈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부분 정제된 단백질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의 혼합액은 주입 전에 50mS/cm 내지 75mS/cm의 전도도로 조절된 것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도는 시트르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및 황산암모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으로 조절된 것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의 혼합액은 주입 전에 시트르산나트륨을 이용하여 50mS/cm 내지 55mS/cm의 전도도로 조절된 것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NFR-Fc 융합 단백질의 혼합액은 주입 전에 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65mS/cm 내지 75mS/cm의 전도도로 조절된 것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세척 완충액은 a) 단계의 평형 완충액과 조성이 동일한 것인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전도도가 40mS/cm 내지 47 mS/cm인 용출 완충액으로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용출하는 것인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용출 완충액은 0.35M 내지 0.4M 범위의 시트르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용출 완충액은 0.35M 내지 0.56M 범위의 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 완충액의 pH는 6.5 내지 7.0인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 완충액은 pH가 6.7 내지 6.9이고, 0.38M 내지 0.40M의 시트르산나트륨 및 50mM 내지 70mM의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 완충액은 pH가 6.7 내지 6.9이고, 0.38M 내지 0.40M의 황산나트륨 및 50mM 내지 70mM의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pH가 6.5 내지 7.0이고, 전도도가 4mS/cm 내지 6mS/cm인 완충액을 이용하여 컬럼으로부터 비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 또는 TNFR-Fc 융합 단백질 응집체를 포함하는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 d)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완충액은 pH가 6.7 내지 6.9이고, 50mM 내지 70mM 인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3. 삭제
KR1020120090341A 2011-08-17 2012-08-17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 KR101454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854 2011-08-17
KR20110081854 2011-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644A KR20130020644A (ko) 2013-02-27
KR101454316B1 true KR101454316B1 (ko) 2014-10-27

Family

ID=4771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341A KR101454316B1 (ko) 2011-08-17 2012-08-17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79014B2 (ko)
EP (1) EP2753634B1 (ko)
JP (2) JP6223338B2 (ko)
KR (1) KR101454316B1 (ko)
ES (1) ES2651483T3 (ko)
WO (1) WO20130250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0789B2 (ja) 2011-10-18 2017-10-25 コヒラス・バイオサイエン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糖およびポリオールの組合せによって安定化されたエタネルセプト製剤
BR112014022409A2 (pt) * 2012-03-12 2018-09-25 Hanwha Chemical Corp vetor de expressão que compreende um polinucleotídeo codificante de uma glutamina-sintetase modificada e um método para a preparação de uma proteína alvo oue emprega o mesmo
CN104902914B (zh) 2012-09-11 2019-01-01 科荣生生物科学公司 高纯度和优异产量的正确折叠的依那西普
MX2015010427A (es) 2013-02-13 2016-03-17 Lab Francais Du Fractionnement Anticuerpos anti-tnf-alfa altamente galactosilados y sus usos.
BR112016029157A8 (pt) * 2014-06-13 2021-07-06 Lupin Ltd processo para purificar a proteína de fusão tnfr:fc
EP2975050B1 (en) 2014-07-18 2019-05-29 Sandoz Ag Quantification of misfolded TNFR2:Fc
AU2015372801B2 (en) * 2014-12-31 2018-12-20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tnfr-fc fusion protein containing target content of impurities
US20180079796A1 (en) * 2015-03-13 2018-03-22 Samsung Bioepis Co., Ltd. Anti-tnf-alpha polypeptid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US11952399B2 (en) * 2018-12-18 2024-04-09 Amgen Inc. Methods for purifying protei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0504220T2 (tr) * 1998-12-17 2007-04-24 Biogen Idec Ma Inc. Aktif limfotoksin-beta reseptör imunoglobülin şimeAktif limfotoksin-beta reseptör imunoglobülin şimerik proteinlerinin yüksek düzey ifadesi ve saflaştrik proteinlerinin yüksek düzey ifadesi ve saflaştırılması için bir yöntem.ırılması için bir yöntem.
US7294481B1 (en) 1999-01-05 2007-11-13 Immunex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recombinant proteins
ES2618832T3 (es) 2002-02-27 2017-06-22 Immunex Corporation Composición TNFR-FC estabilizada que comprende arginina
EP1687328B1 (en) * 2003-10-24 2010-03-31 Amgen, Inc. Process for purifying proteins in a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flow-through fraction
ATE540967T1 (de) 2004-01-30 2012-01-15 Amgen Inc Verfahren zur reinigung von proteinen
US20110129468A1 (en) 2008-02-29 2011-06-02 Biogen Idec Ma Inc. Purified immunoglobulin fusion proteins and methods of their purification
CN102675465A (zh) * 2011-03-09 2012-09-19 上海赛金生物医药有限公司 重组人ⅱ型肿瘤坏死因子受体-抗体融合蛋白的纯化方法
EP2723759A4 (en) * 2011-06-24 2015-01-28 Reddys Lab Ltd Dr PURIFICATION OF CHIMERIC PROTEI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2008) VOL.105, NO.5, pp.454-459 *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2008) VOL.105, NO.5, pp.454-45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16114A1 (en) 2014-10-23
JP2016168049A (ja) 2016-09-23
ES2651483T3 (es) 2018-01-26
US9279014B2 (en) 2016-03-08
JP2014521364A (ja) 2014-08-28
JP6223338B2 (ja) 2017-11-01
KR20130020644A (ko) 2013-02-27
EP2753634B1 (en) 2017-11-01
EP2753634A1 (en) 2014-07-16
WO2013025079A1 (en) 2013-02-21
EP2753634A4 (en)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316B1 (ko) 활성형 TNFR-Fc 융합 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
CA2469815C (en) Methods for purifying protein
KR101555740B1 (ko) 면역글로불린 용액 정제 방법
US20190194248A1 (en) Polypeptide Separation Methods
KR102589422B1 (ko) 다중특이적 항체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펩티드 링커
KR20190037247A (ko) Fc-함유 단백질의 정제 방법
ES2674697T5 (es) Eliminación de ligando de purificación por afinidad filtrado
KR101913743B1 (ko) 혈중 반감기 연장을 위한 항체 Fc 변이체들
KR101957431B1 (ko) 혈중 반감기 연장을 위한 항체 Fc 변이체들
RU2698671C2 (ru) КОЛИЧЕСТВЕННАЯ ОЦЕНКА НЕПРАВИЛЬНО СВЕРНУТОГО TNFR2:Fc
KR101792205B1 (ko) 혈중 지속성 연장을 위한 항체 Fc 변이체들
KR101985863B1 (ko) ADCC 향상을 위한 항체 Fc 변이체
KR101792191B1 (ko) 연장된 혈중 반감기를 위한 항체 Fc 변이체들
JP2019172702A (ja) 目的とする含量で不純物を含むTNFR−Fc融合タンパク質の製造方法
RU2776302C2 (ru) Полипептидный линкер для получения мультиспецифических антител
CN115702169A (zh) 包含促红细胞生成素多肽的融合蛋白
US20110201785A1 (en) Method for optimizing proteins having the folding pattern of immunoglobul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