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421B1 -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 - Google Patents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421B1
KR101453421B1 KR1020140025229A KR20140025229A KR101453421B1 KR 101453421 B1 KR101453421 B1 KR 101453421B1 KR 1020140025229 A KR1020140025229 A KR 1020140025229A KR 20140025229 A KR20140025229 A KR 20140025229A KR 101453421 B1 KR101453421 B1 KR 101453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on
heating
water
circulation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동주
Original Assignee
(주)삼성의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의료기 filed Critical (주)삼성의료기
Priority to KR1020140025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8Level sensors, e.g. water level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환수를 가열하는 가열탱크에 월류관을 구비시켜 가열탱크의 내부에 항상 순환수가 일정수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순환수회수탱크와 가열탱크로 분리된 이중 탱크구조로 구성되게 하여 순환수가 순환수회수탱크에 먼저 저장되고 순환수회수탱크에 저장된 순환수가 가열탱크에 항상 일정량 공급되게 함으로써 가열탱크가 순환수의 부족으로 인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일러의 고장발생을 줄여주는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는, 순환수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순환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순환수를 난방공급처로 유출하는 순환수유출구가 구비된 가열탱크와; 상기 순환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탱크는, 내부에 순환수가 일정수위로 유지되도록 일단은 상기 순환수유출구에 연통되고, 타단은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배치되는 월류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ELECTRIC BOILER WITH FUNCTION OF PREVENTING OVERHEAT}
본 발명은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환수를 가열하는 가열탱크에 월류관을 구비시켜 가열탱크의 내부에 항상 순환수가 일정수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순환수회수탱크와 가열탱크로 분리된 이중 탱크구조로 구성되게 하여 순환수가 순환수회수탱크에 먼저 저장되고 순환수회수탱크에 저장된 순환수가 가열탱크에 항상 일정량 공급되게 함으로써 가열탱크가 순환수의 부족으로 인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일러의 고장발생을 줄여주는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적정온도로 가열시켜 난방용 또는 온수용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계장치를 의미하며, 연료의 종류에 따라 기름보일러, 가스보일러, 연탄보일러, 전기보일러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그 중 전기보일러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대용량의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 순환되는 물을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전기히터로 직·간접적으로 가열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탱크 내에서 가열된 물을 난방배관과 난방펌프 등으로 건물의 난방용수나 생활용 온수로 공급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보일러는 다른 종류의 보일러에 비해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위행적이며, 과열 등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도 상대적으로 적어 점점 그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에는 기존에 열선을 이용한 전기 매트 및 전기 담요를 이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전자파의 피해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전기 보일러를 소형화하여 온수매트에 적용시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보일러는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개발되어 상품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전기보일러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356호(등록일자 : 2012.07.02.) "전기보일러"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356호에 게재된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보일러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단열재(110)가 구비되고, 일측 하부에 외부의 순환수가 공급되는 공급구(120)가 구비되며, 일측 상부에 배출구(130)가 구비되고, 배출구(130)에는 온수 순환펌프(140)가 구비된 몸체케이스(100); 몸체 케이스(100)의 단열재(110) 내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공급구(120)를 통해 유입된 물이 가열되는 가열탱크(200)와; 가열탱크(200)의 상부를 밀폐하는 밀폐뚜껑(300)과; 밀폐뚜껑(300)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밀폐뚜껑(300)을 관통하여 가열탱크(200) 내부에 유입된 물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감지센서(410)가 구비된 자동온도조절기(400)와; 자동온도조절기(400)의 하부에 가열탱크(200) 내부로 삽입되어 가열탱크(200)에 공급된 순환수를 가열하는 히터(500)를 포함하는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가열탱크(200)는 외측에 몸체케이스(100) 외부로 전기가 누전되는 차단하는 도자기층(210)이 구비되고, 상기 도자기층(210)의 내측에 온수에 원적외선을 발생하여 온수를 살균하는 세라믹층(2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유입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가 상기 가열탱크(200) 한 개로 이루어진 구조로,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물이 난방처를 순환하는 과정 중에 누수가 발생될 경우 상기 가열탱크(200)로 유입되는 순환수의 유입량이 감소되어 상기 가열탱크(200)의 내부의 물의 양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가열탱크(200) 자체가 과열되어 상기 전기보일러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수 순환펌프(140)가 상기 배출구(130)에 구비되어 높은 온도로 가열된 물을 상기 온수 순환펌프(140)를 통해 순환시키는 구조로, 높은 온도로 가열된 물의 열에 의해 상기 온수 순환펌프(140)의 내부 구성들이 열변형 되어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순환수를 가열하는 가열탱크에 월류관을 구비시켜 가열탱크의 내부에 항상 순환수가 일정수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순환수회수탱크와 가열탱크로 분리된 이중 탱크구조로 구성되게 하여 순환수가 순환수회수탱크에 먼저 저장되고 순환수회수탱크에 저장된 순환수가 가열탱크에 항상 일정량 공급되게 함으로써 가열탱크가 순환수의 부족으로 인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일러의 고장발생을 줄여주는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순환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를 순환수회수탱크와 가열탱크를 연결하는 순환수이송관 상에 설치하여 가열탱크에서 고온으로 가열된 순환수가 아닌 난방공급처를 통과한 후 상대적으로 저온상태로 되돌아온 순환수를 순환시키게 됨으로써 순환수의 열에 의한 순환펌프의 고장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는, 순환수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순환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순환수를 난방공급처로 유출하는 순환수유출구가 구비된 가열탱크와; 상기 순환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탱크는, 내부에 순환수가 일정수위로 유지되도록 일단은 상기 순환수유출구에 연통되고, 타단은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배치되는 월류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는, 상기 난방공급처를 통과한 순환수를 회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순환수를 상기 가열탱크로 공급하는 순환수회수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는, 상기 순환펌프는, 상기 순환수회수탱크와 상기 가열탱크를 연결하는 순환수이송관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는 가열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는 월류관에 의해 순환수가 가열탱크의 내부에 항상 일정수위로 유지될 수 있어 가열탱크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는 순환수회수탱크와 가열탱크로 분리된 이중 탱크구조의 전기보일러로서 순환수가 순환수회수탱크에 먼저 저장되고, 순환수회수탱크에 저장된 순환수가 가열탱크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가열탱크에 항상 일정량의 순환수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순환수가 순환하는 동안 누수 등의 이유로 손실되어 순환수회수탱크에 유입되는 순환수의 양이 적어지더라도 순환수회수탱크에 저장된 순환수를 가열탱크에 공급하기 때문에 가열탱크에는 항상 일정량의 순환수를 공급할 수 있어 순환수 부족으로 인한 가열탱크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는 순환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를 순환수회수탱크와 가열탱크를 연결하는 순환수이송관 상에 설치하여 가열탱크에서 고온으로 가열된 순환수가 아닌 난방공급처를 통과한 후 상대적으로 저온상태로 되돌아온 순환수를 순환시키게 됨으로써 순환수의 열에 의한 순환펌프의 고장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보일러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의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이하 "전기보일러"라 한다)는 가열탱크(10), 순환수회수탱크(20), 순환펌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탱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순환수를 임시저장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을 갖는 탱크구조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순환수가 유입되는 순환수유입구(12)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순환수유입구(12)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상기 순환수를 가열하는 히터(14)가 구비되며, 타측에 상기 히터(14)에 의해 가열된 순환수를 난방공급처(R)로 유출하는 순환수유출구(1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열탱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항상 순환수가 일정수위로 유지되도록 일단은 상기 순환수유출구(13)에 연통되고, 타단은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배치되는 월류관(15)이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가열탱크(10)는 상기 순환수유입구(12)를 통해 내부로 순환수가 유입되어 상기 수용공간(11)에 임시저장되고, 상기 수용공간(11)에 임시저장된 순환수를 내부에 구비된 히터(14)로 가열하여 일정온도의 온수로 만들어 상기 순환수유출구(13)를 통해 외부에 설치된 상기 난방공급처(R)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가열탱크(10)의 내부에 일정수위 이상으로 순환수가 채워져야만 상기 월류관(15)을 통해 가열된 순환수(온수)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순환수유입구(12)가 상기 가열탱크(1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나,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가열탱크(10)의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상기 가열탱크(10)의 상부에 고정되고, 발열되는 타측부가 상기 가열탱크(10)의 상부를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열탱크(10)에 유입된 순환수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히터(14)는 부식 및 녹이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재질이 철일 경우 외부에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열에 강한 테프론과 같은 테이프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터(14)는 상기 가열탱크(10)에 유입되는 순환수를 상기 가열탱크(10)의 하부에서부터 가열되면서 상부로 상승되도록 상기 히터(14)의 하부를 코일 형태로 굴곡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수유출구(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수유입구(12)가 구비된 위치의 반대측 즉 상기 가열탱크(10)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순환수유출구(13)를 상기 순환수유입구(12)의 반대측에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순환수유입구(12)로 유입되는 저온의 순환수가 가열되기 전에 바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할 수 있고, 상기 순환수유출구(13)가 상기 가열탱크(10)의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순환수유출구(13)가 상기 월류관(15)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월류관(15)의 타단을 통해 넘쳐 흐르게 되는 순환수가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월류관(15)은 상기 가열탱크(10)에 항상 일정수위의 순환수가 채워져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열탱크(10)가 순환수 부족으로 인하여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가열탱크(10)의 외형변형 및 고장을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가열탱크(10)는 열 또는 전기가 통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절연재로 성형되거나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순환수가 상기 순환수유입구(12)로 유입되어 가열된 후 상기 순환수유출구(13)로 유출됨에 있어 순환수가 누수 되지 않는 밀폐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열탱크(10)는 일측이 상기 가열탱크(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가열탱크(10)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열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된 순환수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감지센서(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보일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수유출구(13)와 상기 난방공급처(R)의 사이에 상기 순환수유출구(13)와 상기 난방공급처(R)를 연결하는 순환수공급관(L1)이 배관되며, 상기 순환수공급관(L1)을 통해 상기 가열탱크(10)에서 만들어진 상기 온수를 상기 난방공급처(R)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는 상기 난방공급처(R)를 통과한 후 온도가 내려간 순환수를 회수하여 내부에 형성된 저장공간(21)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공간(21)에 저장된 순환수를 상기 가열탱크(1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의 하부 일측에 상기 난방공급처(R)를 통과한 순환수가 회수되는 순환수회수구(22)가 구비되고, 하부 타측에 상기 저장공간(21)에 저장된 순환수를 상기 가열탱크(10)로 공급하는 순환수공급구(23)가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의 상기 저장공간(21)에 저장된 순환수가 부족한 경우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보충수공급구(24)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보일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방공급처(R)를 통과한 순환수가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에 회수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난방공급처(R)와 상기 순환수회수구(22)를 연결하는 순환수회수관(L2)이 배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보일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에 저장된 순환수가 상기 가열탱크(1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순환수공급구(23)와 상기 순환수유입구(12)를 연결하는 순환수이송관(L3)이 배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보일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의 상부 일측에 일측이 고정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의 내부로 연장형성되어 순환수가 일정한 수위로 유지되도록 순환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센서(25)로부터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에 저장된 순환수의 수위가 일정수위 미만으로 내려간 것이 감지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경고등이나 경고벨과 같은 알림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보일러는 상기 난방공급처(R)를 통과하여 회수되는 순환수를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에 먼저 저장한 후 상기 가열탱크(10)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열탱크(10)에 항상 일정량의 순환수를 공급할 수 있어 순환수 부족으로 인한 상기 가열탱크(1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순환펌프(30)는 순환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순환펌프(30)가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와 상기 가열탱크(10)를 연결하는 상기 순환수이송관(L3) 상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보일러는 상기 순환펌프(30)를 상기 순환수이송관(L3) 상에 설치시켜 상기 순환펌프(30)가 상기 가열탱크(10)에서 고온으로 가열된 순환수가 아닌 상기 난방공급처(R)를 통과한 후 상대적으로 저온상태로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에 회수되어 저장되는 순환수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되어 고온의 순환수에 의한 상기 순환펌프(30)의 고장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보일러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상부구조체(US)와 하부구조체(LS)를 각각 분리제작하여 이후 나사체결(미도시)에 의해 결합하는 방식으로 외형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보일러는 상기 상부구조체(US)와 상기 하부구조체(LS)가 결합함에 따라 상기 가열탱크(10)와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가 각각 구분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구조체(US)와 상기 하부구조체(LS)가 밀폐결합되면서 일측에 상기 가열탱크(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상부구조체(US)와 상기 하부구조체(LS)가 결합되는 접촉면 사이에는 고푸패킹이나 실리콘 등의 밀폐부재를 개재시켜 밀폐력을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보일러는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에 저장된 순환수가 상기 순환수공급구(23)와 상기 순환수유입구(12)를 연결하는 상기 순환수이송관(L3)을 통해 상기 가열탱크(1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에 저장된 순환수는 상기 순환수이송관(L3) 상에 설치되는 상기 순환펌프(30)에 의해 상기 가열탱크(10)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가열탱크(10)로 유입된 순환수는 상기 가열탱크(1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히터(14)에 의해 직접 가열되어 단시간 내에 설정된 온도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온도감지센서(16)가 가열되는 순환수의 온도를 센싱하여 순환수가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되면 자동으로 상기 히터(14)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히터(14)에 의해 가열된 순환수는 상기 가열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수유출구(13)와 연통되어 구비되는 상기 월류관(15)을 통해 상기 가열탱크(10) 밖으로 유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월류관(15)은 상기 가열탱크(10)의 내부에 순환수가 항상 일정수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단은 상기 가열탱크(10)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순환수유출구(13)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가열탱크(1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배치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된다.
상기 월류관(15)에 의해 상기 히터(14)로 가열된 순환수가 상기 가열탱크(10) 밖으로 모두 유출되지 않고 상기 가열탱크(10)의 내부에 항상 일정수위로 채워져 있게 되어 상기 가열탱크(1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열탱크(10)의 밖으로 유출된 순환수는 상기 순환수유출구(13)와 상기 난방공급처(R)를 연결하는 상기 순환수공급관(L1)을 통해 상기 난방공급처(R)로 공급되고, 상기 난방공급처(R)를 통과한 순환수는 온도가 내려간 상태에서 상기 난방공급처(R)와 상기 순환수회수구(22)를 연결하는 상기 순환수회수관(L2)을 통해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로 회수되어 저장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순환과정으로 통해 순환수는 상기 전기보일러와 상기 난방공급처(R)를 계속하여 순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보일러는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에 순환수가 부족하게 되면 상기 수위감지센서(25)가 이를 바로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보충수공급구(24)를 통해 상기 순환수회수탱크(20)에 물을 바로 보충할 수 있어 순환수의 부족에 따른 상기 전기보일러의 과열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는 상기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관계 및 작용에 의하여 상기 전기보일러가 과열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가열탱크
11 수용공간
12 순환수유입구
13 순환수유출구
14 히터
15 월류관
16 온도감지센서
20 순환수회수탱크
21 저장공간
22 순환수회수구
23 순환수공급구
24 보충수공급구
25 수위감지센서
30 순환펌프
L1 순환수공급관
L2 순환수회수관
L3 순환수이송관
R 난방공급처
US 상부구조체
LS 하부구조체

Claims (3)

  1. 순환수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순환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순환수를 난방공급처로 유출하는 순환수유출구가 구비된 가열탱크와;
    상기 순환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상기 난방공급처를 통과한 순환수를 회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순환수를 상기 가열탱크로 공급하는 순환수회수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탱크는, 내부에 순환수가 일정수위로 유지되도록 일단은 상기 순환수유출구에 연통되고, 타단은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배치되는 월류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순환펌프는, 상기 순환수회수탱크와 상기 가열탱크를 연결하는 순환수이송관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
  2. 삭제
  3. 삭제
KR1020140025229A 2014-03-03 2014-03-03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 KR101453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229A KR101453421B1 (ko) 2014-03-03 2014-03-03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229A KR101453421B1 (ko) 2014-03-03 2014-03-03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421B1 true KR101453421B1 (ko) 2014-10-22

Family

ID=5199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229A KR101453421B1 (ko) 2014-03-03 2014-03-03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4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732B1 (ko) 2015-09-10 2017-11-27 이재덕 전력 효율성이 우수한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793Y1 (ko) 2006-03-17 2006-07-19 장경식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KR20090044384A (ko) * 2007-10-31 2009-05-07 이승수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793Y1 (ko) 2006-03-17 2006-07-19 장경식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KR20090044384A (ko) * 2007-10-31 2009-05-07 이승수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732B1 (ko) 2015-09-10 2017-11-27 이재덕 전력 효율성이 우수한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9387T3 (es) Sistema adaptable de bombeo automático para calefacción solar de agua con protección de sobrecalentamiento
KR101568372B1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KR101233750B1 (ko) 조립식 전기보일러
CN103817099B (zh) 一种自动供水蒸汽清洗机
KR101196384B1 (ko)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US20230024550A1 (en) Electric Water Heater Having Internal Heat Concentrator
CN103225871A (zh) 热水循环系统
GB2468002A (en) Grey water heat recovery apparatus
KR20160089991A (ko) 온수량 조절가능한 무동력 온수 보일러
KR101453421B1 (ko) 과열방지 기능을 갖는 전기보일러
KR100971176B1 (ko) 자연물공급스팀발생장치
KR101812264B1 (ko)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
KR20180007868A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KR200463198Y1 (ko) 난로용 보일러
KR20120061199A (ko) 보조탱크가 구비된 열교환장치
KR101675550B1 (ko) 탄소 히터를 이용한 온수 보일러
CN207394804U (zh) 一种安全蒸汽发生器
CA2848572A1 (en) Waste water evaporators and methods
IT202100018431A1 (it) Apparecchiatura per il riscaldamento di fluidi in impianti di riscaldamento e/o in impianti idrico-sanitari
KR20170079861A (ko) 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CN106482339A (zh) 电加热导热油炉系统
KR101229301B1 (ko) 물살투시창이 구비된 온수매트용 보일러
TW201533406A (zh) 具自動補水飲水系統及其安全控制機制方法
TWM504549U (zh) 蒸氣及熱水供應裝置
JP6341406B2 (ja) 壁貫通設置型燃焼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