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198Y1 - 난로용 보일러 - Google Patents

난로용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198Y1
KR200463198Y1 KR2020120000032U KR20120000032U KR200463198Y1 KR 200463198 Y1 KR200463198 Y1 KR 200463198Y1 KR 2020120000032 U KR2020120000032 U KR 2020120000032U KR 20120000032 U KR20120000032 U KR 20120000032U KR 200463198 Y1 KR200463198 Y1 KR 200463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ve
hot water
tank
receiving tank
wat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길
Original Assignee
고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종길 filed Critical 고종길
Priority to KR2020120000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1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1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3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5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난로용 보일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난로용 보일러는, 난로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난로의 중간영역 이상의 영역을 감싸면서 결합되며, 상면 일측에는 출수구가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에어 빠짐관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온수 수용탱크; 상기 난로와 연결된 연통을 감싸도록 상기 연통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에어 빠짐공이 형성되며, 하단부는 상기 온수 수용탱크의 하부와 하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에어 빠짐관과 연결되며, 상기 연통의 폐열로 온수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탱크; 상기 출수구에 설치되는 순환펌프; 및
일단이 상기 순환펌프와 연결되고, 말단은 상기 예열탱크와 연결되며, 난방공간에 설치되는 순환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사용하는 난로에 독립적으로 구성된 보일러를 결합시켜 난로를 열원으로 하여 온수를 승온시키고 순환시킬 수 있음으로써, 기존의 난로를 훼손하지 않고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연통의 폐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예열시킨 후 온수 수용탱크로 공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온수가 신속하게 고온으로 승온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난로를 열원으로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난로용 보일러{BOILER FOR STOVE}
본 고안은 난로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로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난로에 결합하여 난로를 열원으로 하여 온수를 발생시키고 순환시킬 수 있는 난로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 겸용 보일러는 화목이나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로에 열매체유가 순환하는 파이프를 설치하여 연료가 연소함에 따라 발생되는 열에 의해 파이프를 순환하는 열매체유가 승온된 후 난방 공간으로 순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난로 겸용 보일러는 종래기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9-006478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연탄 도가니 외측에 파이프가 권취되고, 외측으로 난로 케이스가 결합되며, 파이프의 상,하단부는 각각 난방 공간에 설치된 순환 파이프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탄 난로에 의해 승온된 열매체유가 순환 파이프로 순환하여 난방공간을 난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일러는 종래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난로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였기 때문에 해당 난로의 제작시 보일러의 구조나 형태가 설정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미 사용되는 난로를 이용하여 보일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해당 난로의 구조를 변경하여 연결 파이프 등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9-0064784호(공개일자 : 1999.08.05)
본 고안의 목적은, 이미 사용되는 난로의 형상이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해당 난로를 열원으로 하는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난로용 보일러로서,
상기 난로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난로의 중간영역 이상의 영역을 감싸면서 결합되며, 상면 일측에는 출수구가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에어 빠짐관이 구비되는 중공형의 온수 수용탱크;
상기 난로와 연결된 연통을 감싸도록 상기 연통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에어 빠짐공이 형성되며, 하단부는 상기 온수 수용탱크의 하부와 하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에어 빠짐관과 연결되며, 상기 연통의 폐열로 온수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탱크;
상기 출수구에 설치되는 순환펌프; 및
일단이 상기 순환펌프와 연결되고, 말단은 상기 예열탱크와 연결되며, 난방공간에 설치되는 순환호스를 포함하여,
기존의 난로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난로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예열탱크에서 예열된 온수가 상기 온수 수용탱크로 공급되어 승온 된 후 순환펌프에 의해 상기 순환호스를 통하여 난방공간을 순환하고, 다시 예열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용 보일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순환호스에는 3방향 밸브체가 설치되고, 상기 3방향 밸브체와 상기 에어 빠짐관이 연결되며, 상기 3방향 밸브체의 내부에는 온수가 상기 에어 빠짐관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일방향 밸브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 빠짐공에는,
상기 예열탱크 내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상승하고,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하강하여 온수의 보충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플로트가 구비되되,
상기 플로트는,
상기 예열탱크 내부에 설치된 부력부; 및
상기 에어 빠짐공을 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부력부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온수 수용탱크에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콘트롤러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온도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난로는,
연탄 난로, 화목 난로, 펠렛 난로, 석탄 난로, 석유 난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류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난로가 세워진 원통형이고, 연료 투입구가 상면에 형성된 경우,
상기 온수 수용탱크의 중앙에는 상기 연료 투입구와 일치되고 하향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진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난로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는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상기 난로의 전면 또는 측부에 연료 투입구가 형성된 경우,
상기 온수 수용탱크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난로의 상면에 안착되고, 양측부는 상기 난로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난로의 상부를 감싸면서 씌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난로용 보일러로서,
상기 난로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난로의 중간영역 이상의 영역을 감싸면서 결합되며, 상면 일측에는 출수구가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에어 빠짐관이 구비되는 중공형의 온수 수용탱크;
상기 출수구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 수용탱크에서 승온된 온수를 난방공간에 설치되는 순환호스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및
하부 일측이 상기 에어 빠짐관과 연결되고, 상단부에는 에어 빠짐공이 형성되며, 하부 타측이 상기 온수 수용탱크의 하부와 하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순환호스의 말단과 연결되는 온수 보충탱크를 포함하여,
기존의 난로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난로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온수 보충탱크의 온수가 상기 온수 수용탱크로 공급되어 승온 된 후 순환호스를 통하여 난방공간을 순환하고, 다시 온수 보충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용 보일러를 제공한다.
상기 온수 수용탱크에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콘트롤러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온도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난로는,
연탄 난로, 화목 난로, 펠렛 난로, 석탄 난로, 석유 난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류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사용하는 난로에 독립적으로 구성된 보일러를 결합시켜 난로를 열원으로 하여 온수를 승온시키고 순환시킬 수 있음으로써, 기존의 난로를 훼손하지 않고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통의 폐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예열시킨 후 온수 수용탱크로 공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온수가 신속하게 고온으로 승온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난로를 열원으로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온수를 난방공간의 바닥으로 순환시켜 바닥을 난방하고, 난로 자체 및 온수 수용탱크나 예열탱크로부터 발생된 열은 난방공간의 공기를 난방하게 됨으로써 난방공간을 저비용으로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적은 비용으로 실내공기와 바닥을 동시에 난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난로용 보일러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난로용 보일러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난로용 보일러가 연료 투입구가 전방에 구비된 난로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난로용 보일러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난로용 보일러는 다양한 형태의 난로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난로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난로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즉, 기존의 난로 상부에 얹혀져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난로를 열원으로 하여 온수를 발생시키고 순환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난로용 보일러는, 난로(10)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되, 난로(10)의 상부에 밀착되면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온수 수용탱크(20)와, 온수 수용탱크(20)와 연결되고 연통에 설치되어 연통의 폐열로 온수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탱크(30)와, 온수 수용탱크(20)에 저장된 온수를 난방공간에 설치되는 순환호스(40)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50)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가 적용되는 난로(10)는 연탄을 연료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내부에 연탄을 수용하는 도가니가 구비되고, 상면에는 뚜겅이 구비되며, 연통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난로(10)는 원통형의 상부체와 하부체로 나뉘어 구성되는데, 상부체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좁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난로(10)는 어느 한 종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연탄 난로를 비롯하여 화목 난로, 펠렛 난로, 석탄 난로, 석유 난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온수 수용탱크(20)는 난로(10)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난로(10)의 중간영역 이상의 영역을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는 출수구(22)가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에어 빠짐관(24)이 구비된 중공형의 구조를 갖는다. 즉, 온수가 저장되도록 내부에 온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온수 수용탱크(20)의 형상은 난로(1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중공형의 원통 구조로 형성되고, 중앙에 난로(10)의 상부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부(26)가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난로(10)가 세워진 원통형이고, 연료 투입구가 상면에 형성된 경우, 온수 수용탱크(20)의 중앙에는 난로(10)의 연료 투입구와 일치되고 하향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진 결합부(26)가 형성되어 난로(1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고, 결합부(26)는 뚜껑(27)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온수 수용탱크(20)의 내경에 하향 확장되도록 된 결합부(26)가 형성되므로, 온수 수용탱크(20)가 난로(10)의 상부로부터 얹혀지게 되면, 경사진 결합부(26)의 내주면과 난로(10)의 상부 외주면이 밀착되거나 근접하게 되어 난로(10)로부터 발생된 열이 온수 수용탱크(20)로 전달되어 열매체유인 물을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구조의 결합부(26)에 난로(10)의 상부가 걸리게 되므로 온수 수용탱크(20)는 안정되게 난로(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6)의 내부면 경사도를 난로(10)의 상부 외주면 경사도와 일치시킬 경우, 온수 수용탱크(20)의 결합부(26) 내주면은 난로(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어서 난로(10)의 열은 보다 효율적으로 온수 수용탱크(20)로 전달될 수 있다.
예열탱크(30)는 난로(10)와 연결된 연통(12)을 감싸도록 연통(12)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에어 빠짐공(32)이 형성되며, 하단부는 온수 수용탱크(20)의 하부와 하부 연결관(34)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예열탱크(30)는 중앙에 연통(12)이 삽입되기 위한 끼움공(3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온수가 수용되어 예열되는 예열공간(36)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예열탱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12)과는 별도로 제작되어 연통(12)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통(1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예열탱크(30)의 에어 빠짐공(32)은 물을 보충하는 기능과 수증기가 빠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에어 빠짐공(32)에는 예열탱크(30) 내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상승하고,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하강하여 온수의 보충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플로트(38)가 설치된다. 이 플로트(38)는 예열탱크(30) 내부에 설치된 부력부(38A)와, 에어 빠짐공(32)을 통하여 하단부가 부력부(38A)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부(38B)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로트(38)는 온수의 수위를 표시하여 온수의 보충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예열탱크(30)는 연통(12)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폐열로 새로이 주입되는 물이나 순환호스(40)를 순환한 물을 예열하여 다시 온수 수용탱크(2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순환펌프(50)는 온수 수용탱크(20)의 출수구(22)에 설치되어 온수 수용탱크(20)에서 승온된 온수를 난방공간에 설치되는 순환호스(40)로 순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순환펌프(50)는 온수 수용탱크(20)에 설치되어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60)에 의해 작동된다. 즉, 온도센서(60)는 콘트롤러(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콘트롤러(70)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온도에 따라 온도센서(60)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순환펌프(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온도센서(60)는 온수 수용탱크(2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거나 온수 수용탱크(2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순환호스(40)는 일단이 순환펌프(50)와 연결되고, 말단은 예열탱크(30)와 연결된다. 이러한 순환호스(40)는 난방이 필표한 공간의 바닥에 설치된다.
이때, 순환호스(40)의 말단 영역에는 3방향 밸브체(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3방향 밸브체(80)는 양측이 순환호스(40) 측과 예열탱크(30) 측 호스와 연결되고, 나머지 한쪽은 에어 빠짐관(24)과 연결된다. 그리고, 3방향 밸브체(80)의 내부에는 온수가 에어 빠짐관(24)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일방향 밸브(82)가 설치된다. 물론, 순환호스(40)로부터 순환하는 온수가 다시 순환호스(40) 측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별도의 일방향 밸브(82)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순환호스(40)를 순환한 온수 및 에어 빠짐관(24)으로부터의 수증기나 온수는 3방향 밸브체(80)에 구비된 일방향 밸브(82)에 의해 역류하지 않고, 예열탱크(30)로만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른 난로용 보일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수 수용탱크(20)를 난로(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온수탱크(20)의 결합부(26)에 난로(10)의 상부로 삽입되도록 온수 수용탱크(20)를 난로(10)의 상부측에서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 과정으로 결합부(26)의 내주면과 난로(10)의 상부체 외주면이 밀착된다.
이와 같이 난로(10)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된 온수 수용탱크(20)를 난로(10)에 얹어 결합하는 작업만으로 온수 수용탱크(20)에 수용된 온수는 난로(10)를 열원으로 하여 승온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연통(12)에는 예열탱크(30)를 설치하고, 예열탱크(30)와 온수 수용탱크(20)를 하부 연결관(34)으로 연결하고, 에어 빠짐관(24)은 3방향 밸브체(80)의 일방향 밸브(82)와 연결한다. 그리고, 순환펌프(50)에는 순환호스(40)의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은 3방향 밸브체(80)의 다른 일방향 밸브(82)에 연결한 후 3방향 밸브체(80)는 예열탱크(30)와 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온수 수용탱크(20)의 뚜껑(27)을 열고, 난로(10)의 내부에 점화된 연탄을 넣게 되면, 온수 수용탱크(20) 내부에 수용된 몰은 가열되어 온수가 된다.
온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상승되었음이 온도센서(60)에 의해 감지되면, 콘트롤러(70가 순환펌프(50)를 작동시켜 온수 수용탱크(20)에 수용된 온수를 순환호스(40)로 강제 순환시키게 된다.
이 과정으로 난로(10)에 의해 가열된 온수는 순환호스(40)를 순환하면서 난방이 필요한 공간의 바닥을 난방하게 된다.
한편, 순환호스(40)를 순환한 온수는 3방향 밸브체(80)를 통하여 예열탱크(30)로 흐른다.
그리고, 온수 수용탱크(20)에 수용된 온수의 과열로 수증기가 발생할 경우 에어 빠짐관(24)으로 빠진 후 3방향 밸브체(80)를 통하여 예열탱크(30)로 이동된다.
이어서, 순환호스(40)를 순환하면서 온도가 낮아진 온수는 예열탱크(30)로 유입된 후 연통(12)의 폐열에 의해 다시 예열된다.
이때, 예열탱크(30)에 수용된 온수의 수위는 플로트(38)에 의해 외부로 표시되고, 예열탱크(30) 내에서 발생되거나 에어 빠짐관(24)으로부터 유입된 공기 및 수증기는 에어 빠짐공(3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예열탱크(30) 내에서 연통(12)의 폐열에 의해 예열된 온수는 하우 연결관(34)을 통하여 온수 수용탱크(20) 내부로 공급되어 다시 난로(10)에 의해 승온된다.
이와 같이 예열탱크(30)가 순환호스(40)를 순환하면서 온도가 낮아진 온수를 예열한 후 온수 수용탱크(20)로 공급하므로, 온수 수용탱크(20) 내의 온수는 신속하게 다시 승온될 수 있으며, 난로(10)의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온수가 순환하는 순환호스(40)는 바닥을 난방하고, 난로(10)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난방이 필요한 공간의 바닥과 공간이 모두 따듯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난로용 보일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난로용 보일러는, 예열탱크(30) 대신에, 온수 보충탱크(90)가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다.
즉, 하부 일측이 에어 빠짐관(24)과 연결되고, 상단부에는 에어 빠짐공(92)이 형성되며, 하부 타측이 온수 수용탱크(20)의 하부와 하부 연결관(94)에 의해 연결되고, 순환호스(40)의 말단과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예열탱크(30) 대신에 온수 보충탱크(90)만 구비되어도 난로용 보일러의 기능에는 문제가 없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난로용 보일러가 연료 투입구가 전방에 구비된 난로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투입구(14)가 전방에 구비된 난로(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온수 수용탱크(20)가 설치된다.
즉, 난로(10)의 전면 또는 측부에 연료 투입구(14)가 형성된 경우에, 온수 수용탱크(20)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향 및 연료가 투입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결합부(26A)가 형성된다. 이러한 온수 수용탱크(20)의 상부(29A)는 난로(10)의 상면에 안착되고, 양 측부(29B)는 난로(1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난로(10)의 상부를 감싸면서 씌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결합부(26A)로 난로(1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므로, 온수 수용탱크(20)가 난로(10)의 상부를 감싸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와 같이 온수 수용탱크(20)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연료 투입구(14)가 측면이나 전방면에 구비된 다양한 난로(10)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난로 12 : 연통
14 : 연료 투입구 20 : 온수 수용탱크
22 : 출수구 24 : 에어 빠짐관
26 : 결합부 29A : 상부
29B : 양 측부 30 : 예열탱크
32,92 : 에어 빠짐공 34,94 : 하부 연결관
36 : 예열공간
38 : 플로트 38A : 부력부
38B : 표시부 40 : 순환호스
50 : 순환펌프 60 : 온도센서
70 : 콘트롤러 80 : 3방향 밸브체
82 : 일방향 밸브 90 :온수 보충탱크

Claims (12)

  1. 연탄 난로, 화목 난로, 펠렛 난로, 석탄 난로, 석유 난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류로 이루어진 난로에 적용되는 난로용 보일러로서,
    상면 일측에는 출수구가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에어 빠짐관이 형성되며, 상기 난로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온수 수용탱크;
    상기 난로와 연결된 연통을 감싸도록 상기 연통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의 폐열로 온수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탱크;
    상기 출수구에 설치되는 순환펌프; 및
    일단이 상기 순환펌프와 연결되고, 말단은 상기 예열탱크와 연결되며, 난방공간에 설치되는 순환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수용탱크는,
    상기 난로의 중간영역 이상의 영역을 감싸거나 씌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되되, 이미 존재하는 난로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난로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난로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예열탱크는,
    상단부에 에어 빠짐공이 형성되고, 예열된 온수가 상기 온수 수용탱크로 공급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온수 수용탱크의 하부와 하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온수 수용탱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상기 에어 빠짐공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단부가 상기 에어 빠짐관에 의해 상기 온수 수용탱크와 연결되며,
    기존 난로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예열탱크에서 예열된 온수가 상기 온수 수용탱크로 공급되어 상기 난로에 의해 승온 된 후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상기 순환호스를 통하여 난방공간을 순환하고, 다시 예열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용 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호스의 말단 영역에는,
    3방향 밸브체가 설치되고, 상기 3방향 밸브체와 상기 에어 빠짐관이 연결되며, 상기 3방향 밸브체의 내부에는 온수가 상기 에어 빠짐관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일방향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용 보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빠짐공에는,
    상기 예열탱크 내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상승하고,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하강하여 온수의 보충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플로트가 구비되되,
    상기 플로트는,
    상기 예열탱크 내부에 설치된 부력부; 및
    상기 에어 빠짐공을 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부력부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용 보일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수용탱크에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콘트롤러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온도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용 보일러.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로가 세워진 원통형이고, 연료 투입구가 상면에 형성된 경우에,
    상기 온수 수용탱크의 결합부는,
    상기 연료 투입구가 상향으로 노출되도록 상,하부로 개구되고, 내주면이 하향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난로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온수 수용탱크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부영역은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용 보일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로의 전면 또는 측부에 연료 투입구가 형성된 경우에,
    상기 온수 수용탱크의 결합부는,
    하향이 개구되고 연료가 투입되는 방향이 개구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부 상면은 상기 난로의 상면에 안착되고, 내부 양측면는 상기 난로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난로의 상부를 감싸면서 씌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용 보일러.
  8. 연탄 난로, 화목 난로, 펠렛 난로, 석탄 난로, 석유 난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류로 이루어진 난로에 적용되는 난로용 보일러로서,
    상면 일측에는 출수구가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에어 빠짐관이 형성되며, 상기 난로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온수 수용탱크;
    상기 출수구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 수용탱크에서 승온된 온수를 난방공간에 설치되는 순환호스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 및
    하부 일측이 상기 에어 빠짐관과 연결되고, 상단부에는 에어 빠짐공이 형성되며, 하부 타측이 상기 온수 수용탱크의 하부와 하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순환호스의 말단과 연결되는 온수 보충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수용탱크는,
    상기 난로의 중간영역 이상의 영역을 감싸거나 씌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되되, 이미 존재하는 난로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난로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난로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며,
    기존의 난로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온수 보충탱크의 온수가 상기 온수 수용탱크로 공급되어 승온 된 후 순환호스를 통하여 난방공간을 순환하고, 다시 온수 보충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용 보일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수용탱크에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콘트롤러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온도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용 보일러.
  10. 삭제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난로가 세워진 원통형이고, 연료 투입구가 상면에 형성된 경우에,
    상기 온수 수용탱크의 결합부는,
    상기 연료 투입구가 상향으로 노출되도록 상,하부로 개구되고, 내주면이 하향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난로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온수 수용탱크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부영역은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용 보일러.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난로의 전면 또는 측부에 연료 투입구가 형성된 경우에,
    상기 온수 수용탱크의 결합부는,
    하향이 개구되고 연료가 투입되는 방향이 개구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부 상면은 상기 난로의 상면에 안착되고, 내부 양측면는 상기 난로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난로의 상부를 감싸면서 씌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용 보일러.

KR2020120000032U 2012-01-02 2012-01-02 난로용 보일러 KR200463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032U KR200463198Y1 (ko) 2012-01-02 2012-01-02 난로용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032U KR200463198Y1 (ko) 2012-01-02 2012-01-02 난로용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198Y1 true KR200463198Y1 (ko) 2012-10-24

Family

ID=4756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032U KR200463198Y1 (ko) 2012-01-02 2012-01-02 난로용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19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601B1 (ko) * 2012-11-14 2014-06-19 고종길 조립식 보일러
KR101407600B1 (ko) * 2012-11-14 2014-06-19 고종길 조립식 보일러
CN105674339A (zh) * 2016-04-11 2016-06-15 王树平 一种双炉体水箱的高热取暖炉
WO2018004024A1 (ko) * 2016-06-27 2018-01-04 (주) 한성스틸 보일러 일체형 하이브리드 난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726B1 (ko) * 2005-03-21 2005-07-18 김홍길 절약형 열효율 향상 연탄 보일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726B1 (ko) * 2005-03-21 2005-07-18 김홍길 절약형 열효율 향상 연탄 보일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601B1 (ko) * 2012-11-14 2014-06-19 고종길 조립식 보일러
KR101407600B1 (ko) * 2012-11-14 2014-06-19 고종길 조립식 보일러
CN105674339A (zh) * 2016-04-11 2016-06-15 王树平 一种双炉体水箱的高热取暖炉
WO2018004024A1 (ko) * 2016-06-27 2018-01-04 (주) 한성스틸 보일러 일체형 하이브리드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198Y1 (ko) 난로용 보일러
KR101284544B1 (ko) 중화렌지 열을 이용한 온수발생장치
CN106482326A (zh) 热水垫用热水锅炉
KR20160089991A (ko) 온수량 조절가능한 무동력 온수 보일러
KR20090070462A (ko) 열 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
KR100673620B1 (ko) 연탄보일러의 난방수 및 온수 공급장치
KR101588120B1 (ko) 보일러겸용 난로
KR101650529B1 (ko) 조립식 보일러
KR20160048560A (ko) 전기 보일러
KR101407601B1 (ko) 조립식 보일러
JP2010223539A (ja) 薪ストーブ装置及び薪ストーブ暖房システム
KR101407600B1 (ko) 조립식 보일러
KR200446160Y1 (ko) 연탄보일러의 난방/온수 자동제어시스템
JP5858555B1 (ja) 薪ストーブ及び温水供給装置
KR100908390B1 (ko) 가정용 보일러
KR200473698Y1 (ko) 아궁이용 난방설비
KR200379073Y1 (ko) 화목겸용 연탄보일러
KR100807537B1 (ko) 연탄을 연료로 하는 난방장치
CN212132871U (zh) 一种新型酒精炉
KR100681344B1 (ko) 연탄 보일러
KR102141530B1 (ko) 강제순환 방식의 휴대형 온수매트 어셈블리
KR102317865B1 (ko) 가정용 메탄올 보일러
KR100607025B1 (ko) 보일러
KR101612173B1 (ko) 온수 공급 시스템
KR20080002340U (ko) 스팀 보일러 급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