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444B1 - 실내용 발판 - Google Patents

실내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444B1
KR101452444B1 KR1020120139944A KR20120139944A KR101452444B1 KR 101452444 B1 KR101452444 B1 KR 101452444B1 KR 1020120139944 A KR1020120139944 A KR 1020120139944A KR 20120139944 A KR20120139944 A KR 20120139944A KR 101452444 B1 KR101452444 B1 KR 101452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elastic
footrest
uni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1847A (ko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주)생활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생활낙원 filed Critical (주)생활낙원
Priority to KR102012013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444B1/ko
Publication of KR20140071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1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 A47G27/0225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for bathrooms

Abstract

본 개시는 실내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접촉하는 하부층을 구성하는 판상의 발포부재로 구비되며 제1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 위에 적층되어 접착되며 상기 제1 탄성력에 보다 딱딱한 제2 탄성력을 가지는 판상의 발포부재로 구비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내용 발판의 일 예에 따르면,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무릎 또는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완화시켜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실내용 발판의 일 예에 따르면, 상부와 하부의 탄성부재의 색상 및 모양을 발포공정에서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으므로 추가 제조비용 없이 다양한 색상과 모양을 가진 실내용 발판의 제조가 용이해지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실내용 발판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덜 딱딱한 부재가 하층에 구비되어 사용시 바닥에 밀착되는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실내용 발판{INDOOR STEP PLATE}
본 개시(Disclosure)는 실내 공간에서 사용을 위한 발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욕실, 베란다, 주방 등 습기나 오염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판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87432호에 개시되어 있는 욕실용 깔판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욕실용 깔판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모재(1)와 부재(5)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모재(1)는 다 수개가 서로 결합되어 구비되는데, 모재(1)간 연결시에 모재(1)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걸림돌기(3)를 또 다른 모재(1)의 연결부(2)에 끼워서 결합해서 사용한다. 상기 모재(1)에 형성된 걸림돌기(3)의 형상이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바깥쪽에는 경사부(301)를 형성하여 연결부(2)의 연결공(201)에 끼워 넣을 때 저항이 적기 때문에 쉽게 결합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일단 연결부(2)의 연결공(201)에 끼워지고 나면 연결부(2)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02)에 의해 걸림돌기(3)의 상단면이 걸리기 때문에 욕실 바닥과 같이 평평한 바닥에 깔려 있는 상태에서는 연결공(201)에서 걸림돌기(3)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고, 분리시에는 연결된 모재(1)간에 연결된 부분을 접으면 연질수지로 된 모재(1)의 연결부(2)가 다소 벌어지면서 연결공(201)에 끼워진 걸림돌기(3)를 쉽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모재(1)의 결합 및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의 연결공(201)이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기둥형의 걸림돌기(3)가 끼워진 후에도 충분한 여유공간이 있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 의해 연질수지의 모재(1)가 수축하더라도 연결부(2)의 여유공간에 의해 수축에 의한 깔판의 휨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재(1)와 부재(5)를 결합하기 위하여 모재(1)의 저면에서 나사결합공(6)으로 투입된 결합나사(7)의 노출된 머리부분을 실리콘층(8)으로 피복하여 나사결합공(6)으로 나사머리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므로서 항상 수분이 많은 욕실에서 깔판을 사용할 때 나사가 수분에 노출되어 녹이 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깔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깔판이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모재(1)와 부재(5)를 결합한 나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욕실용 깔판은 탄성력이 없어 사용자의 무릎에 피로감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욕실용 깔판은 탄성력이 없는 이유로 바닥에 밀착되어 고정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사용 중 욕실용 깔판이 미끄러지면서 사용자가 넘어져 다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욕실용 깔판은 합성수지를 사출하거나 압출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사출이나 압출공정에서 욕실용 깔판의 상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를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미끄럼 방지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별도의 미끄럼 방지 시트를 구입하여 부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된 실내용 발판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바닥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실내용 발판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가 형성된 실내용 발판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발이 접촉되는 실내용 발판의 상면의 경도 및 색상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실내용 발판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내용 발판의 일 예에 따르면, 바닥에 접촉하는 하부층을 구성하는 판상의 발포부재로 구비되며 제1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 위에 적층되어 접착되며 상기 제1 탄성력 보다 딱딱한 제2 탄성력을 가지는 판상의 발포부재로 구비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실내용 발판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적층되며 상기 제1탄성력 및 상기 제2 탄성력 보다 딱딱한 제3 탄성력을 가지는 제3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배수공이 구비될되는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바닥에 접촉하는 하면에 요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바닥과 접촉하는 하면에 미끄럼 방지 시트가 코팅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는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상태로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접착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는 각각의 상면에 형성되는 미세요철;로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 각각의 상면에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는 미세요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3 탄성부재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1 단위 실내용 발판;으로써,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구멍이 구비되는 제1 단위 실내용 발판; 상기 제1,2,3 탄성부재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2 단위 실내용 발판;으로써, 상기 제1 단위 실내용 발판과 측면이 정확히 맞대어지도록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측면 중 상기 제1 결합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결합구멍이 구비되는 제2 단위 실내용 발판; 및 상기 제1 결합구멍 및 제2 결합구멍에 양단이 끼워져 상기 제1 단위 실내용 발판과 제2 단위 실내용 발판을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내용 발판의 일 예에 따르면,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무릎 또는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을 완화시켜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실내용 발판의 일 예에 따르면, 상부와 하부의 탄성부재가 서로 색상을 달리하거나 경도를 달리하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발이 접촉되는 부분의 색상 또는 경도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실내용 발판의 일 예에 따르면, 단위 실내용 발판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실내용 발판의 면적을 확장 및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87432호에 개시되어 있는 욕실용 깔판을 보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실내용 발판의 일 예를 보인 사진,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실내용 발판의 단면 일부를 보인 사진,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실내용 발판의 다른 예를 보인 측면 사진,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실내용 발판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측면 사진 및
도 8은 도 7에 따른 실내용 발판이 다수 결합되는 예를 보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내용 발판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실내용 발판의 일 예를 보인 사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실내용 발판의 단면 일부를 보인 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실내용 발판(50)은 판상으로 형성된 두 개의 탄성부재(51,53)가 서로 적층되도록 접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두 개의 탄성부재(51,53)는 발포부재로 구비된다.
두 개의 탄성부재(51,53)의 재질은 EVA, PVC, NBR, 폴리우레탄 등 발포 성형이 가능한 재질이라면 무방하나, 내구성, 내습성 및 탄성을 고려할 때 EVA로 구비되는 것이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한편, 두 개의 탄성부재(51,53)를 접합하는 방식으로 접착제 또는 양면접착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배제되는 것이 아니나, 유해한 접착제 사용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을 해소시키기 위해 열융착 방법에 의한 접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 따른 실내용 발판(50)은 전체가 탄성을 가지는 발포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무릎 또는 허리를 보호할 수 있게 되며, 실내용 발판(50)의 이동 시 발생되는 소음도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또한 탄성을 가지는 발포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므로, 실내용 발판(50)이 설치되는 면이 곡면이 경우에도 어느 한쪽이 들뜨는 문제가 방지된다.
한편, 본 예에 따른 실내용 발판(50)은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배수공(55)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실내용 발판(50)의 상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예에 따른 실내용 발판(50)은 두 개의 탄성부재(51,53)가 서로 탄성계수를 달리하는 부재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바닥에 접촉하는 하부층을 구성하는 판상의 하부 탄성부재(53)는 상대적으로 연질의 발포부재로 구비되며,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탄성부재(51)는 상대적으로 경질의 발포부재로 구비된다.
이는 발포물질의 차이 또는 발포온도의 차이로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부 탄성부재(53)가 바닥면에 보다 밀착되어 미끄럼이 실내용 발판(50)의 위치가 고정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나아가, 하부 탄성부재(53)와 바닥면의 밀착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하부 탄성부재(53)의 하면에 미끄럼 방지 시트를 코팅하거나, 발포과정에서 형성되어 노출된 발포기포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부 탄성부재(53)의 하면을 매끄럽게 표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예에 따른 실내용 발판(50)은 두 개의 탄성부재(51,53)가 서로 색상을 달리하는 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발포과정에서 색상을 결정하는 첨가물을 변경함으로써 쉽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나, 이에 의해 사용자는 실내용 발판이 놓이는 위치의 주변 분위기에 따라 상면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예에 따른 실내용 발판(50)에 있어서, 두 개의 탄성부재(51,53) 중 어느 하나의 탄성부재(51)는 서로 분리된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51a)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51a)는 나머지 하나의 탄성부재(53)에 접합되는데 이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57)을 가지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51a) 사이에 형성된 간격(57)을 통해 물이 배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51a)로 구성된 탄성부재(51)가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51a) 사이에 형성된 간격(57)은 실내용 발판(50)이 놓이는 바닥 면에 존재하는 물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51a)는 도 3과 같이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나, 여러 가지 캐릭터 형상 또는 퍼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실내용 발판(50)이 하나의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51a)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비되는 것도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서 기능을 위해 바람직하다.
종래의 경우 압출 등의 제조공정에 의해 제작된 경질의 합성수지를 실내용 발판의 재료로 사용하였으므로, 여러 가지 캐릭터 형상 또는 퍼즐 형상 등으로 제작하는데 많은 제조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개시와 같이 발포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발포 지그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 및 색상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예에 있어서, 두 개의 탄성부재(51,53) 중 어느 하나의 탄성부재(51)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미세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다수 개의 미세요철에 의해 미끄럼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탄성부재(51)의 상면에 나뭇결 무늬 등과 같은 디자인이 부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세요철은 발포 지그의 표면에 미세요철을 부가함으로써 발포과정에서 한번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므로 종전 실내용 발판에 적용하는 것에 비해 제조 비용이 크게 낮아지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미세요철은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51a)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51a)의 형상에 따라 나뭇잎 형상의 단위 탄성부재(51a)에는 잎맥의 모양이 형성될 수 있으며, 캐릭터 모양의 단위 탄성부재(51a)에는 그 내부 윤곽선(예: 눈, 코, 입 등)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실내용 발판의 다른 예를 보인 측면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실내용 발판(60)은 하부 탄성부재(63)와 상부 탄성부재(61) 사이에 개재되어 적층되는 중간 탄성부재(6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중간 탄성부재(62)는 하부 탄성부재(63)뿐만 아니라 상부 탄성부재(61)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질의 발포부재로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하부 탄성부재(63)가 접촉되는 바닥면의 굴곡을 따라 상부 탄성부재(61)가 휘는 것을 중간 탄성부재(62)가 완화시켜 주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실내용 발판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측면 사진 및 도 8은 도 7에 따른 실내용 발판이 다수 결합되는 예를 보인 사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실내용 발판(70)은 다수의 단위 실내용 발판(70a,70b,70c)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단위 실내용 발판(70a,70b,70c)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3개의 탄성부재(71,72,73)가 적층되어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경질의 발포부재로 구비되는 중간 탄성부재(72)의 측면에는 두 개의 결합구멍(76)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구멍(76)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단위 실내용 발판(50)의 측면이 서로 정확하게 맞대어지도록 그 위치가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서로 대응되는 결합구멍(76)에는 결합구(74)가 끼워지며 이에 의해 두 개의 단위 실내용 발판(50)은 하나로 결합되게 된다.
이에 의해 실내용 발판(70)이 놓여지는 바닥면의 면적에 따라 실내용 발판(7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판상의 합성수지 발포부재로 구비되며 제1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 위에 열융착되어 적층되며 상기 제1 탄성력 보다 딱딱한 제2 탄성력을 가지는 판상의 발포부재로 구비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 중 선택에 의해 어느 일방이 바닥 면과 접촉되어 설치되고, 타방이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배수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는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는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상태로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 면에 열융착되어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발판.
  8. 판상의 합성수지 발포부재로 구비되며 제1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 위에 열융착되어 적층되며 상기 제1 탄성력 보다 딱딱한 제2 탄성력을 가지는 판상의 발포부재로 구비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 중 선택에 의해 어느 일방이 바닥 면과 접촉되어 설치되고, 타방이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배수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는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는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상태로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 면에 열융착되어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색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발판.
  9. 삭제
  10. 판상의 합성수지 발포부재로 구비되며 제1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탄성부재 위에 열융착되어 적층되며 상기 제1 탄성력 보다 딱딱한 제2 탄성력을 가지는 판상의 발포부재로 구비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 중 선택에 의해 어느 일방이 바닥 면과 접촉되어 설치되고, 타방이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배수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는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탄성부재는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상태로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일 면에 열융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적층되며 상기 제1탄성력 및 상기 제2 탄성력 보다 딱딱한 제3 탄성력을 가지는 제3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2,3 탄성부재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1 단위 실내용 발판;으로써,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구멍이 구비되는 제1 단위 실내용 발판;
    상기 제1,2,3 탄성부재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2 단위 실내용 발판;으로써, 상기 제1 단위 실내용 발판과 측면이 정확히 맞대어지도록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측면 중 상기 제1 결합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결합구멍이 구비되는 제2 단위 실내용 발판; 및
    상기 제1 결합구멍 및 제2 결합구멍에 양단이 끼워져 상기 제1 단위 실내용 발판과 제2 단위 실내용 발판을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발판.
KR1020120139944A 2012-12-04 2012-12-04 실내용 발판 KR101452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944A KR101452444B1 (ko) 2012-12-04 2012-12-04 실내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944A KR101452444B1 (ko) 2012-12-04 2012-12-04 실내용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47A KR20140071847A (ko) 2014-06-12
KR101452444B1 true KR101452444B1 (ko) 2014-10-23

Family

ID=5112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944A KR101452444B1 (ko) 2012-12-04 2012-12-04 실내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4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232A (ko) * 2003-02-17 2004-08-25 민태의 조립식 깔판
KR100743984B1 (ko) * 2006-04-28 2007-08-01 이주완 조립식 매트블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232A (ko) * 2003-02-17 2004-08-25 민태의 조립식 깔판
KR100743984B1 (ko) * 2006-04-28 2007-08-01 이주완 조립식 매트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47A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2012B2 (en) Yoga mat with support and traction
US10006211B2 (en) Flooring system having assembly clip and related method
US8815370B2 (en) Adhesiveless decorative floor tile
WO2005110184A3 (en) Cleaning mat
AU2006201915B1 (en) Floor plank
TWM549692U (zh) 連接式發泡膠塊
US20070193149A1 (en) Floor pad
US20220275654A1 (en) Load distribution and absorption underlayment system with transition features
JP3160467U (ja) 床材
KR101452444B1 (ko) 실내용 발판
US20150033643A1 (en) Floor element and floor
US20150013066A1 (en) Yoga Mat
WO2012170872A2 (en) Shower mat
JP4171292B2 (ja) 敷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505224A2 (en) Tile made of stone or agglomerate or the like including means suitable for insertion on slippery surfaces
JP2007195701A5 (ko)
KR101923692B1 (ko) 조립식 매트
JP3207590U (ja) ジョイントマット
JP5440133B2 (ja) 浴室用洗い場床
JP5088560B2 (ja) 浴室用洗い場床
KR101411299B1 (ko) 실내용 발판
JP5572840B2 (ja) 階段構造
CN212546531U (zh) 防滑垫
KR102229023B1 (ko) 주름 및 표피박리 방지구조가 적용된 다층 쿠셔닝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7639U (ko) 욕실용 흡착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