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094B1 -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094B1
KR101452094B1 KR1020130032734A KR20130032734A KR101452094B1 KR 101452094 B1 KR101452094 B1 KR 101452094B1 KR 1020130032734 A KR1020130032734 A KR 1020130032734A KR 20130032734 A KR20130032734 A KR 20130032734A KR 101452094 B1 KR101452094 B1 KR 10145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ase
leg
cores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1640A (ko
Inventor
원재선
한승호
엄재근
진화훈
김태훈
유승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3/920,97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40176289A1/en
Publication of KR2014008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9Filters comprising mutual induc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01F30/16Toroidal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8Winding conductors onto closed formers or cores, e.g. threading conductors through toroidal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는, 제1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1 베이스 코어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 코어를 포함하는 베이스 코어; 상기 제1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2 베이스 코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레그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는 서로 대향하는 레그 코어;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 각각에 권선되어 전원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권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 각각은 자화 인덕턴스 및 누설 인덕턴스를 제공하는 권선 코일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 간에 누설 경로를 제공하는 중앙 코어;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Flat Panel Display: FPD)에 적용될 수 있는 전자기 간섭 필터(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FPD)의 경우, 스위칭 방식에 의한 전력 컨버터뿐만이 아니라 영상보드, 반도체 소자 등에 의해 야기되는 전자기파 노이즈가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파 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해 통상 전자기 간섭(EMI)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기 간섭 필터는, 스위칭 모드 전원 장치(Switch Mode Power Supply: 이하 SMPS라 함)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SMPS는 저 주파수에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이러한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자기파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통상,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SMPS는 전력품질부, 전력변환부 및 부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력변환부는 정류부, 역률보정(PFC)부 및 스위칭 방식의 DC/DC 컨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력변환부는 비절연형 역률보정(PFC)부를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 LLC(인덕터+인덕터+커패시터) 공진타입 컨버터나 플라이백 컨버터 등의 절연이 가능한 토폴로지(topology)의 DC/DC 컨버터가 채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DC/DC 컨버터에서는, 스위칭 동작에 기인한 급격한 전류 및 전압 변화와 영상보드 및 반도체 소자의 소형화 및 고속화 등에 의해 전자기 간섭(EMI)이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규제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으로 역률보정부의 앞단에 전자기 간섭(EMI) 필터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전자기파 노이즈는 크게 전도성 전파(Conducted Emission)와 전파성 전파(Radiated Emission)로 나누어지며, 각각은 다시 차동모드 전류와 공통모드 전류로 분류된다.
통상, 공통모드의 경우는 넓은 대역에 걸쳐 공통모드 노이즈가 높게 나타나며, 차동모드의 경우는 저주파 대역에서 차동모드 노이즈가 크게 나타난다. 특히 역률보정(PFC)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저주파 대역에서의 차동모드 노이즈가 더욱더 크게 나타난다.
기존의 역률보정회로가 채용된 평판 디스플레이에 적용되고 있는 전자기파 필터는, 저/고주파에서 높게 형성되는 공통모드 노이즈의 저감을 위한 2개의 공통모드 초크(예, CM choke 1, CM choke 2)와, 차동모드 노이즈 저감을 위한 차동모드 초크(예, DM choke)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평판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세트의 슬림(Slim) 디자인에 따라 라인 필터(Line filter)(예, CM choke 1, DM choke 2, DM choke)로는, 높이가 낮은 형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토로이달 타입 코어(Toroidal Type Core)에 1차 및 2차를 함께 권선한 라인 필터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노이즈 저감을 위한 커패시터로는, 차동모드 노이즈의 저감을 위해 X 타입 커패시터와, 공통모드 노이즈의 저감을 위해 Y타입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전자기 간섭(EMI)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많은 다른 필터링 소자가 이용되어야 하므로, 구현상 사이즈 및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 1은, 직접화된 전자기 간섭 필터에 관한 것으로, 누설 인덕턴스를 높일 수 있는 기술적 사항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756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누설 인덕턴스를 높일 수 있는 전자기 간섭 필터(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으로써, 본 발명은, 제1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1 베이스 코어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 코어를 포함하는 베이스 코어; 상기 제1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2 베이스 코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레그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는 서로 대향하는 레그 코어;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 각각에 권선되어 전원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권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 각각은 자화 인덕턴스 및 누설 인덕턴스를 제공하는 권선 코일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 간에 누설 경로를 제공하는 중앙 코어; 를 포함하는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으로써, 본 발명은, 제1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1 베이스 코어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 코어를 포함하는 베이스 코어; 상기 제1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2 베이스 코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레그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는 서로 대향하는 레그 코어;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 각각을 감싸고, 권선 영역을 갖는 제1 및 제2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 상기 제1 및 제2 보빈 각각의 권선영역에 권선되어 전원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권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 각각은 자화 인덕턴스 및 누설 인덕턴스를 제공하는 권선 코일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 간에 누설 경로를 제공하는 중앙 코어; 를 포함하는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기술적인 측면에서, 상기 중앙 코어는,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에 부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기술적인 측면으로써, 본 발명은, 베이스 코어; 상기 베이스 코어의 양측에 권선되어 전원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권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 각각은 자화 인덕턴스 및 누설 인덕턴스를 제공하는 권선 코일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코어 간에 누설 경로를 제공하는 중앙 코어; 를 포함하는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3 기술적인 측면에서, 상기 중앙 코어는, 상기 베이스 코어에 부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앙 코어는, 상기 베이스 코어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 코어의 재질은 망간-아연 페라이트 합금이 될 수 있고, 상기 중앙 코어의 재질은 니켈-아연 페라이트 합금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기술적인 측면으로써, 본 발명은, 제1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1 베이스 코어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 코어를 포함하는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1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2 베이스 코어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레그 코어를 포함하는 레그 코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 각각을 감싸도록, 권선 영역을 갖는 제1 및 제2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보빈 각각의 권선영역에 제1 및 제2 권선 코일을 권선하여 권선 코일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간에 누설 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 사이에 중앙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4 기술적인 측면에서, 상기 중앙 코어는, 상기 베이스 코어 및 상기 레그 코어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 코어 및 레그 코어의 재질은 망간-아연 페라이트 합금이 될 수 있고, 상기 중앙 코어의 재질은 니켈-아연 페라이트 합금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권선 코일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권선 코일부의 코일 단부를 베이스 구조물의 핀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 기술적인 측면에서, 상기 중앙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코어를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에 부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 간섭 필터에서는, 자화 인덕턴스 및 누설 인덕턴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누설 인덕턴스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등가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차동모드 전류 도통 경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차동모드 노이즈 저감 효과를 보이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제조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코어 및 레그 코어의 마련 과정에 대한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빈부 형성 과정에 대한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선 코일부 형성 과정에 대한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코어 형성 과정에 대한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선 코일부의 코일 단부의 연결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선 코일부의 코일 단부의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전면도 및 후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가 전자 장치에 적용된 회로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있어서, 일 예로써 설명되는 구조, 형상 및 수치에 관련되는 용어 및 표현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내용에 비추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이에 따라, 도면 전반에 걸쳐 참조 부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는, 베이스 코어(100), 레그 코어(200), 권선 코일부(400) 및 중앙 코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코어(100)는, 제1 베이스 코어(110)와, 상기 제1 베이스 코어(110)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 코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 코어(200)는, 상기 제1 베이스 코어(110)와 상기 제2 베이스 코어(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레그 코어(210,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210,220)는 서로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코어(100)와 레그 코어(200)를 서로 다른 용어를 붙인 이유는 코일 권선 여부에 기인한 것으로, 제작 방식이나, 재질이나, 전기적 특성 등에 기인한 것이 아니고, 코어의 개수에 기인한 것도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코어(100)와 레그 코어(200)는 별도로 제작된 이후에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상기 베이스 코어(100)와 레그 코어(20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권선 코일부(400)는,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210,220) 각각에 권선되어 전원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 각각은 자화 인덕턴스 및 누설 인덕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은, 통상의 전자기 간섭 필터와 같이, 서로 동일한 권선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권선 코일(410)은 상기 제1 레그 코어(210)에 권선된 상태에서 전원과 연결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코일 단부(E11, E12)를 갖는다. 상기 제2 권선 코일(420)은 상기 제2 레그 코어(220)에 권선된 상태에서 전원과 연결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코일 단부(E21, E22)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중앙 코어(500)는, 제1 및 제2 레그 코어(210,2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110,120)간의 누설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코어(500)는,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110,120)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부착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110,120)간의 누설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딩이나 납땜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상기 중앙 코어(500)는, 상기 베이스 코어(150)중 부착된 두 지점간에 누설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코어(500)는, 상기 제1 레그 코어(210)와의 이격 거리와 상기 제2 레그 코어(210,220)와의 이격 거리가 동일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코어(500)는, 누설 인덕턴스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 코어(100) 및 상기 레그 코어(200)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코어(100) 및 레그 코어(200)의 재질은 망간-아연(Mn-Zn) 페라이트 합금이 될 수 있고, 상기 중앙 코어(500)의 재질은 니켈-아연(Ni-Zn) 페라이트 합금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코어(100), 레그 코어(200), 보빈부(300), 권선 코일부(400) 및 중앙 코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와 구별되는 점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에, 제작시의 작업성 및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빈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과, 상기 권선 코일부(400)가 상기 보빈부(300)에 형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코어(100), 레그 코어(200) 및 중앙 코어(500)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보빈부(300)는,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210,220) 각각을 감싸고, 권선 영역을 갖는 제1 및 제2 보빈(310,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빈부(300)는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권선 코일부(400)의 권선 작업을 수월하게 하며, 상기 권선 코일부(400)와 코어와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빈(310)은 상기 제1 레그 코어(210)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레그 코어(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빈(32)은 상기 제2 레그 코어(220)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2 레그 코어(2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빈(310)은 권선영역(311), 기어(312) 및 홈(31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보빈(320)은 권선영역(321), 기어(322) 및 홈(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보빈(310,320) 각각의 권선영역(311,321)은 상기 권선 코일부(400)중 일부가 권선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보빈(310,320) 각각의 기어(312,322) 및 홈(313,323)은 코일 권선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서 상기 권선영역(311,321) 각각의 서로 반대편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선 코일부(400)는, 상기 제1 및 제2 보빈(310,320) 각각의 권선영역(311,321)에 권선되어 전원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 각각은 자화 인덕턴스 및 누설 인덕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은, 통상의 전자기 간섭 필터와 같이, 서로 동일한 권선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권선 코일(410)은 상기 제1 보빈(310)에 권선된 상태에서 전원과 연결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코일 단부(E11, E1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권선 코일(420)은 상기 제2 보빈(320)에 권선된 상태에서 전원과 연결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코일 단부(E21, E22)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는, 베이스 코어(150), 권선 코일부(400) 및 중앙 코어(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코어(150)는 일체형 토로이달(Toroidal)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권선 코일부(400)는, 상기 베이스 코어(150)의 양측에 각각 권선되어 전원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 각각은 자화 인덕턴스 및 누설 인덕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은, 통상의 전자기 간섭 필터와 같이, 서로 동일한 권선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권선 코일(410)은 상기 코어(150)에 권선된 상태에서 전원과 연결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코일 단부(E11, E1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권선 코일(420)은 상기 코어(150)에 권선된 상태에서 전원과 연결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코일 단부(E21, E22)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코어(500)는, 상기 베이스 코어(15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코어(150)간의 누설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코어(500)는, 상기 베이스 코어(150)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부착 방법은 상기 베이스 코어(150)간의 누설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딩이나 납땜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상기 중앙 코어(500)는, 상기 베이스 코어(150)중 부착된 두 지점간에 누설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코어(500)는, 상기 제1 권선 코일(410)과의 이격 거리와 상기 제2 권선 코일(420)과의 이격 거리가 동일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코어(500)는, 양측 상기 베이스 코어와의 이격 거리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코어(500)는, 누설 인덕턴스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 코어(150)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코어(150)의 재질은 망간-아연(Mn-Zn) 페라이트 합금이 될 수 있고, 상기 중앙 코어(500)의 재질은 니켈-아연(Ni-Zn) 페라이트 합금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코어에 의한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이 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로이달(Toroidal) 형상이 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이나 형태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 코어(100)와 레그 코어(200)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적되어 조립 및 부착될 수 도 있는 것으로, 제작 방식에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보빈(310)이 2개의 조각 보빈(310-1,310-2)으로 제작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레그 코어(210)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보빈(320)이 2개의 조각 보빈(320-1,320-2)으로 제작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레그 코어(220)에 조립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보빈(310) 및 제2 보빈(320) 각각에 상기 제1 권선 코일(410) 및 제2 권선 코일(420)이 권선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앙 코어(500)가 상기 제1 권선 코일(410) 및 제2 권선 코일(4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 코어(1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코어(100) 및 레그 코어(200)가 별도의 베이스 구조물(60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구조물(600)에는 권선 코일부와 기판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권선 코일(420)의 코일단부(E21, E22) 각각은 상기 베이스 구조물(600)의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직접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제1 권선 코일(410)의 코일단부 각각도, 상기 제2 권선 코일(420)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구조물(600)의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선 코일(410)은 제1 및 제2 코일 단자(E11, E12)간의 제1 공통모드 초크(Lcm1)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권선 코일(420)은 제3 및 제4 코일 단자(E21, E22)간의 제2 공통모드 초크(Lcm2)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공통모드 초크(Lcm1, Lcm2) 각각에는 병렬로 제1 및 제2 자화 인덕턴스(Lm1, Lm2)가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간에 형성되는 누설 자속은 제1 및 제2 누설 인덕턴스(Lk1, Lk2)로 표현될 수 있다. 이 제1 및 제2 누설 인덕턴스(Lk1, Lk2)는 상기 중앙 코어(500)에 의해 제공되는 누설 경로에 의해서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누설 인덕턴스(Lk1, Lk2)는 중앙 코어(500)에 의해서 증가하게 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존의 전자기 간섭 필터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에 대해, 차동모드의 저주파수중 1kHz 및 100kHz 각각에서 실험한 결과, 각 누설 인덕턴스를 비교해 보면 하기 표 1과 같다.
실험횟수 기존기술 본 발명
[1kHz] [100kHz] [1kHz] [100kHz]
1 144μH 141μH 256μH 253μH
2 145μH 141μH 261μH 257μH
3 144μH 140μH 216μH 213μH
4 144μH 141μH 218μH 214μH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차동모드 전류 도통 경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차동모드에서의 등가회로(도 7의 상측 도면 참조)는 도 6에 도시한 등가회로와 동일하다.
이때, 차동모드에서의 저주파 노이즈 관점에서 보면, 도 7의 하측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누설 인덕턴스(Lk1, Lk2)를 갖는 등가회로로 도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표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누설 인덕턴스(Lk1, Lk2)가 기존과 대비 거의 2배 가량 높아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누설 인덕턴스(Lk1, Lk2)는 차동모드 노이즈에 대한 필터 기능을 수행하므로, 차동모드의 저주파 제거 효과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환언하면, 이는 그 만큼 차동모드의 저주파를 제거하기 위한 소자 수를 줄을 수 있다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차동모드 노이즈 저감 효과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8a의 그래프는 60Hz의 110Vac에 대한 차동모드에서의 저주파수 저감 효과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를 참조하면, 기존 전자기 간섭 필터에 의한 저주파수 특성(P11 부분)에 비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에 의한 저주파수 특성(P12 부분)에서 특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8b의 그래프는 60Hz의 230Vac에 대한 차동모드에서의 저주파수 저감 효과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를 참조하면, 기존 전자기 간섭 필터에 의한 저주파수 특성(P21 부분)에 비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에 의한 저주파수 특성(P22 부분)에서 특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제조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코어 및 레그 코어의 마련 과정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S100 단계에서는, 베이스 코어(100)와 레그 코어(200)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코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코어(110)와, 상기 제1 베이스 코어(110)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 코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 코어(200)는, 상기 제1 베이스 코어(110)와 상기 제2 베이스 코어(120)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레그 코어(210,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에 의한 형상은, 사각 형상이 될 수 있고, 토로이달(Toroidal) 형상이 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이나 형태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베이스 코어(100)와 레그 코어(200)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 및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제작 방식에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빈부 형성 과정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300 단계에서는, 보빈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빈부(300)는,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210,220) 각각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권선 영역을 갖는 제1 및 제2 보빈(310,3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빈(310)이 2개의 조각 보빈(310-1,310-2)으로 제작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레그 코어(210)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보빈(320)이 2개의 조각 보빈(320-1,320-2)으로 제작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레그 코어(220)에 조립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 보빈(310)은 권선영역(311), 기어(312) 및 홈(3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312)와 홈(313)은 권선 작업성의 편이를 위해 서로 반대편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빈(320)은 권선영역(321), 기어(322) 및 홈(3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312)와 홈(313)은 권선 작업성의 편이를 위해 서로 반대편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빈부(300)를 형성하는 단계(S300)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이 동일한 권선비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선 코일부 형성 과정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S500 단계에서는 권선 코일부(4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권선 코일부(400)는, 상기 제1 및 제2 보빈(310,320) 각각의 권선영역에 권선되는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권선 코일(410)은 상기 제1 레그 코어(210)에 권선된 상태에서 전원과 연결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코일 단부(E11, E1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권선 코일(420)은 상기 제2 레그 코어(220)에 권선된 상태에서 전원과 연결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코일 단부(E21, E22)를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선 코일부 형성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권선 코일부(400)를 형성하는 단계(S500)에서는, 상기 제1 보빈(310)은, 상기 제1 보빈(310)의 권선영역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기어(312) 및 홈(31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보빈(320)은 상기 제2 보빈(320)의 권선영역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기어(322) 및 홈(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권선 코일부(400)를 형성하는 단계(S500)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보빈(310, 320) 각각의 가장 자리에 형성된 홈(313,323)과 기어(312,32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보빈(310,320) 각각의 권선영역(311,321)에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을 각각 권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빈(310)은 권선영역(311), 기어(312) 및 홈(3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312)와 홈(313)은 서로 반대편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빈(320)은 권선영역(321), 기어(322) 및 홈(3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322)와 홈(323)은 서로 반대편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권선 코일(410)의 제1 코일 단부(E11) 또는 제2 코일 단부(E12)중 하나의 단부측 코일을 상기 제1 보빈(310)의 가장 자리에 형성된 홈(313)에 걸어서, 상기 제1 보빈(310)의 가장 자리에 형성된 기어(312)를 외부 전동 장치에 맞물려 회전시켜서, 상기 제1 보빈(310)의 권선영역(311)에 제1 권선 코일(410)을 권선할 수 있다.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2 권선 코일(420)의 제3 코일 단부(E21) 또는 제4 코일 단부(E22)중 하나의 단부측 코일을 상기 제2 보빈(320)의 가장 자리에 형성된 홈(323)에 걸어서, 상기 제2 보빈(320)의 가장 자리에 형성된 기어(322)를 외부 전동 장치에 맞물려 회전시켜서, 상기 제2 보빈(320)의 권선영역(321)에 제2 권선 코일(420)을 권선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코어 형성 과정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S700 단계에서는 중앙 코어(50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코어(500)는,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210,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코어(500)가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110,120)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중앙 코어(500)는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110,120)에 납땜(500a, 500b)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상기 중앙 코어(500)는, 상기 제1 레그 코어(210)와의 이격 거리와 상기 제2 레그 코어(220)와의 이격 거리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코어(500)는,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누설 인덕턴스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 코어(100) 및 상기 레그 코어(200)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 코어(100) 및 레그 코어(200)의 재질은 망간-아연(Mn-Zn) 페라이트 합금이 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코어(500)의 재질은 니켈-아연(Ni-Zn) 페라이트 합금이 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선 코일부의 코일 단부의 연결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권선 코일부의 코일 단부의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전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권선 코일부(400)를 형성하는 단계(S500)와 상기 중앙 코어(500)를 형성하는 단계(S700) 사이에, 권선 코일부의 코일 단부를 베이스 구조물(600)의 핀에 접속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600 단계에서는,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의 코일 단부(E11, E12, E21, E22)를 상기 베이스 구조물(600)의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코일 단부(E11, E12, E21, E22)를 연결하는 단계(S600)는,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410,420) 각각의 코일 단부(E11, E12, E21, E22)를 상기 베이스 구조물(600)에 형성된 핀과 납땜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구조물(600)의 핀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가 장착되는 기판의 전원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가 전자 장치에 적용된 회로 예시도이다.
도 16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는, 전자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입력단(Live 및 Neutral)과 전자 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Y 커패시터(YC1, YC2) 및 X 커패시터(XC1, XC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간섭 필터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공통모드 초크와 차동모드 초크의 기능이 집적화된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를 통해, 공통모드 및 차동 모드 노이즈의 저감을 위한 소자 수 및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설계 시간의 단축 및 개발 비용의 저감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공통모드 및 차동모드 초크는 수작업으로 제작함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지만, 제작시 자동 권선화가 가능함에 따라 생산량의 증가와 제작 비용의 저감 및 소자의 저감을 통해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소형화에 의한 공간활용의 증대도 기대할 수 있다.
100: 베이스 코어
110: 제1 베이스 코어
120: 제2 베이스 코어
200: 레그 코어
210, 220: 제1 및 제2 레그 코어
300: 보빈부
310, 320: 제1 및 제2 보빈
400: 권선 코일부
410, 420: 제1 및 제2 권선 코일
500: 중앙 코어
E11,E12,E21,E22: 코일 단부

Claims (31)

  1. 제1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1 베이스 코어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 코어를 포함하는 베이스 코어;
    상기 제1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2 베이스 코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레그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는 서로 대향하는 레그 코어;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 각각에 권선되어 전원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권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 각각은 자화 인덕턴스 및 누설 인덕턴스를 제공하는 권선 코일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 간에 누설 경로를 제공하는 중앙 코어;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코어는, 상기 베이스 코어 및 상기 레그 코어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는,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에 부착되어 이루어진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는,
    상기 제1 레그 코어와의 이격 거리와 상기 제2 레그 코어와의 이격 거리가 동일한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어 및 레그 코어의 재질은 망간-아연 페라이트 합금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의 재질은 니켈-아연 페라이트 합금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어와 레그 코어에 의한 형상은,
    사각 형상 및 토로이달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8. 제1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1 베이스 코어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 코어를 포함하는 베이스 코어;
    상기 제1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2 베이스 코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레그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는 서로 대향하는 레그 코어;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 각각을 감싸고, 권선 영역을 갖는 제1 및 제2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
    상기 제1 및 제2 보빈 각각의 권선영역에 권선되어 전원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권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 각각은 자화 인덕턴스 및 누설 인덕턴스를 제공하는 권선 코일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 간에 누설 경로를 제공하는 중앙 코어;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코어는, 상기 베이스 코어 및 상기 레그 코어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는,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에 부착되어 이루어진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는,
    상기 제1 레그 코어와의 이격 거리와 상기 제2 레그 코어와의 이격 거리가 동일한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어 및 레그 코어의 재질은 망간-아연 페라이트 합금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의 재질은 니켈-아연 페라이트 합금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어와 레그 코어에 의한 형상은,
    사각 형상 및 토로이달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15. 베이스 코어;
    상기 베이스 코어의 양측에 권선되어 전원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권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 각각은 자화 인덕턴스 및 누설 인덕턴스를 제공하는 권선 코일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권선 코일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코어 간에 누설 경로를 제공하는 중앙 코어;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코어는, 상기 베이스 코어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는,
    상기 베이스 코어에 부착되어 이루어진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는,
    양측 상기 베이스 코어와의 이격 거리가 서로 동일한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어의 재질은 망간-아연 페라이트 합금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의 재질은 니켈-아연 페라이트 합금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어와 레그 코어에 의한 형상은,
    사각 형상 및 토로이달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22. 제1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1 베이스 코어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 코어를 포함하는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1 베이스 코어와 상기 제2 베이스 코어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레그 코어를 포함하는 레그 코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 각각을 감싸도록, 권선 영역을 갖는 제1 및 제2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보빈 각각의 권선영역에 제1 및 제2 권선 코일을 권선하여 권선 코일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간에 누설 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레그 코어 사이에 중앙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코어는, 상기 베이스 코어 및 상기 레그 코어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제조 방법.
  23. 삭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코어를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코어에 부착하는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제조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는,
    상기 제1 레그 코어와의 이격 거리와 상기 제2 레그 코어와의 이격 거리가 동일한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제조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어 및 레그 코어의 재질은 망간-아연 페라이트 합금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제조 방법.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의 재질은 니켈-아연 페라이트 합금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제조 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어와 레그 코어에 의한 형상은,
    사각 형상 및 토로이달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인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제조 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코일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권선 코일부의 코일 단부를 베이스 구조물의 핀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제조 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제1 보빈의 권선영역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기어 및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빈은, 상기 제2 보빈의 권선영역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기어 및 홈을 포함하는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제조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코일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보빈 각각의 가장 자리에 형성된 홈과 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보빈 각각의 권선영역에 제1 및 제2 권선 코일을 각각 권선하는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30032734A 2012-12-21 2013-03-27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20,970 US20140176289A1 (en) 2012-12-21 2013-06-18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1472 2012-12-21
KR1020120151472 2012-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640A KR20140081640A (ko) 2014-07-01
KR101452094B1 true KR101452094B1 (ko) 2014-10-16

Family

ID=5173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734A KR101452094B1 (ko) 2012-12-21 2013-03-27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292B1 (ko) * 2018-01-22 2023-10-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기 간섭 필터
KR102127430B1 (ko) * 2019-06-07 2020-06-26 (주) 트랜스온 스퀘어 타입 라인필터용 코일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7599B2 (ja) * 1988-03-10 1997-02-05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ライン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05116792A (ja) * 2003-10-08 2005-04-28 Shimadzu Corp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2006294872A (ja) 2005-04-11 2006-10-26 Sony Corp コイルボビン及びそのコイルボビンを用いた電気機器
JP2008005171A (ja) 2006-06-21 2008-01-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ベース付ライン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7599B2 (ja) * 1988-03-10 1997-02-05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ライン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05116792A (ja) * 2003-10-08 2005-04-28 Shimadzu Corp コモンモードノイズフィルタ
JP2006294872A (ja) 2005-04-11 2006-10-26 Sony Corp コイルボビン及びそのコイルボビンを用いた電気機器
JP2008005171A (ja) 2006-06-21 2008-01-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ベース付ライン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640A (ko)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9484B2 (en) Magnetic component and power conversion device using the same
US10283261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KR101320164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049918A1 (en) Common Mode Choke Apparatus and Method
KR0139032B1 (ko) 일체형 emi/rfi 필터 자석
US10083791B2 (en) Integrated magnetics for soft switching converter
JP4219907B2 (ja) ノイズ抑制回路
TWI497908B (zh) 改善濾波器性能的方法及功率變換裝置
JP2022174101A (ja) インダクタ及びこれを含むemiフィルター
KR101208240B1 (ko) 전자기 간섭 필터,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258395A (ja) インターリーブ用pfcチョークコイル
JPH11265831A (ja) シートトランス
US20140176289A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9036649A (ja) インダクタ
JP2006203862A (ja) ノイズ抑制回路
JP2008085004A (ja) 疎結合トランス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
KR101452094B1 (ko) 전자기 간섭 필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WO2017002550A1 (ja) 電源回路
JP4424476B2 (ja) ノイズ抑制回路
JPH07263262A (ja) 複合型交流リアクトル
CN210403487U (zh) 一种集成差模的共模电感器及电源
JP2006186620A (ja) ラインフィルタ
CN109346288A (zh) 一种片式磁心以及使用该磁心的片式变压器
KR20120067568A (ko) 집적화된 전자기 간섭 필터
JP2006108389A (ja) トランスコア及びこれを用いたリーケージ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